12.07.2015 Views

개화기 복식의 변천 - 단국대학교 | USER계정서버

개화기 복식의 변천 - 단국대학교 | USER계정서버

개화기 복식의 변천 - 단국대학교 | USER계정서버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개화기</strong>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을을사조약을을 체결하여 朝 鮮 에 대한한 야심을을 구체화하였으며 1910년년 韓 日 合 邦 으로 大 韓 帝 國 은은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 이러한한 과정에서 서구문화의의 유입과 개화사상에 힘입어 정책적인인 변변화가발생되었으며 특히 신교육의의 필필요성 , 신분계급의의 타파 등 혁신적인인 변변화가 요구되었다 .2.변<strong>변천</strong>요인인<strong>개화기</strong><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요인인 분석에 대하여는 몇몇 선행연구가 있다. 장장윤윤정은은 개화사상 , 계몽운운동 ,국가정책 , 근대교육의의 보급으로 대별별하였으며 6) 이밖에 衣 料 의의 다양화와 재재봉봉틀의의 등장장도 변<strong>변천</strong>요인인의의 일부분으로 작용용하였다.17 세기 이후후로 접어들면서 성리학적 가치체계가 강한한 도전전을을 받고 있었으며 代 案案 으로 실학사상과 같은은 새로운운 가치관이 등장장하게 되었고18세기 후후반이래 실학자들에 의의한한 새로운운 안목의의 역사가 연구되었다. 7) 조선 후후기의의 실학사상은은 실생활활에 기반을을 둔 과학적이고 실증적인인 학문이었으므로 실학사상은은 복식이 지나칠 정도의의 형식적이며 의의례적인인 용용도보다는 실용용성과 편리성 , 합리성 등을을 강조하게 되었다.개화사상의의 전전개로 나타난 반응응은은 새로운운 종종교와 외외래문화의의 도입이다 . 구교인인 천주교와 신교인인기독교가 우리 나라에 들어온 것은은1885 년년대부터였다 . 8) 천주교의의 보급으로 가시적인인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은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남녀평등주의의 사고를 가지게 되었고 특히 여성의의 의의식구조에 변변화를 가져왔다. 기독교의의 전전파는 여성의의식의의 변변화와 여성의의 사회참여 , 교육기회의의 확대를 가져와 여성<strong>복식의</strong>의개량을을 주도하였다 . 기독교 전전도부인인들의의 옷차림을을 모방하여 짧았던 저고리를 길게 하고9) 길었던치마를 짧게 하면서 뒷트임을을 막아 통치마로 개량하였다 . 전전래되는 1880-1910 년년대 초 저고리유물들은은 자신의의 가슴을을 가릴 수 없을을 정도로 짧은은 것이 주류를 이루는 상황황에서 제제시된 새로운운 방안이었다.형태뿐만 아니라 服 色 은은 짙은은 색을을,옷감은은 국내 布 木 이나 麻 紵 를 권장장하여 상하 동색의의 치마 저고리 등 복색과 옷감에 대한한 개량안도 제제시되었다 . 그밖에도 외외국문물을을 먼저 접할할 수 있었던 외외국사절절단 , 외외교관 등의의 수행원원과 그들의의 부인인, 왕족,유학생들은은 일반인인보다 일찍 우리 의의복을을 개량하여 입거나 양복을을 착용용하였다.일반 서민에 변변화는 동학사상의의 전전파와 언론론의의 보급, 여성단체의의 결성 등을을 들 수 있다.동학의의인인간존존중중사상과 평등사상은은 복장장에 있어서 신분계급을을 타파하여 왕, 관리, 일반 모두 두루마기 [ 周衣 ]를 착용용하게 되었고 10) , 양반가 부인인뿐만 아니라 기생들도 두루마기와 마고자를 입게 되었다 .6) 주 4참조7) 조광외외 , 한한국사학사의의 연구- 조선후후기의의 역사인인식 ( 을을유문화사 , 1995), p.1328) 유희경 , 한한국복식사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0), p.638.9) 1906년년 제제국신문 5월월 31일 논논설부분 참조10) 高 宗 實 錄 高 宗 32년년 3월월 29일 참조-297 -


東 洋 學 學 術 會 議 錄 講 演 金金 少독립신문 이나 가정잡지 등의의 언론론매체는 여성교육의의 필필요성과 기능적인인 의의복의의 필필요성을을 주장장하였다 . 여성들의의 활활발한한 단체활활동은은 내외외법을을 폐지시켰고 역시 여성교육의의 확대와 의의복 개량을을강조하였다. 11) 특히 복식에 있어서는 내외외법 철폐의의 일환환으로 長 衣을을 개량하여 저고리의의 길이를 길게 하고 통치마 , 주름 잡은은 치마를 착용용하였다 .착용용을을 폐지시키고 , 여성의의복1907년년 6월월 19일 제제국신문 논논설에는 치마는 도랑치마로 하되 외외로 입고 바로 입는 폐단이없이 만들어 걸음 걸을을 때 치마 자락이 버버러지지 않도록 주의의시키는 내용용이 언급되어 있다.여성의의 복식제제도의의 개량과 관련된 기사를 독립신문 (1896-1899), 황황성신문 (1900-1910), 매일신문(1910-1919) 내용용을을 종종합하면 백색금지 15 건, 장장의의 등 쓰개류 폐지 9 건, 형태변변형 9건에이른다. 12)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주도한한 의의복제제도의의 개혁은은 대신들의의 반대상소에도 불구하고 특히官 服 과私 服 의의 변변화가 시행되었다 . 1884년년 윤윤5월월 24일 갑신의의제제개혁에서는 時 服 으로 착용용하던 廣廣 袖 의의紅 團 領 을을 窄 袖 의의 黑 團 領 으로 간소화하였고 , 1894년년 2월월 갑오경장장 때에는 進 宮 時 通 常 服 으로 흑색의의 두루마기에 답호를 착용용하도록 하였다 . 다음해 3 월월 을을미개혁에서는 公 私 예복으로 답호는 없애고 두루마기만 입게 하여 관복이 최대한한 간소화되었다 . 1895년년 11월월 15일에는 단발령과 함께께 의의복제제도는 외외국제제를 채용용해도 무방하다고 하여 양복을을 착용용이 시도되었다 . 1899년년 8월월에는 외외교관의의 복장장을을 양복화하고 문관의의 소례복 , 즉 착수의의 흑단령에 品 帶 만을을 가하여 대례복으로 입도록 하였다. 1900년년 4월월 17 일 발표한한 칙령에서는 문관의의 대례복 , 소례복 , 상복을을 구미식 관복으로 제제정하였다.근대적 교육의의 보급으로 교육기관이 설립되었으며 학생복이 출현현하게 되었다 . 이 학생복은은 일반인인 및 여성 <strong>복식의</strong>의 변변화에 무엇보다도 중중요한한 역할할을을 하였다 . 현현 숙명여중중고의의 전전신인인 명신여학교의의 교복은은 자주빛 보네트모자와 간호부복 유사한한 원원피스형태로서 획기적인인 시도였다 . 이는 4년년만에 폐지되고 치마저고리로 대신하였다. 13) 특히 기독교계 선교사들에 의의한한 여성교육기관의의 설립으로 인인해 기능적으로 편리한한 의의복 개량안을을 실천할할 수 있게 되었다 . 1886년년 설립된 이화학당 초창기 상하 同 色 한한복은은 서양의의 단색 원원피스에서 착안한한 것으로 훗훗날 동색 배색의의 한한복 유행의의 효효시가되었다 . 또한한 내외외법 철폐의의 일환환으로 장장옷이 폐지되면서 대신 검정 우산을을 쓰게 되었다 . 14) 1913년년 7월월 6 일 매일신보에는 검정우산을을 들고 한한복을을 입고 있는 부녀자들의의 모습이 확인인된다 . 또한한교복으로 통치마를 지정하여 여성 복식 개량에 일조하였으며 양장장 교복 출현현의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15) 그 후후 양장장화된 교복은은 일반 <strong>복식의</strong>의 양장장화에도 기여하게 된다.이밖에 사립여학교인인 順 成 여학교 (1898-1903) 에서는 개교 초기 재재봉봉틀 사용용법을을 교수하였11) 「 제제국신문 」 1907년년 6월월 19일 논논설부분 참조12) 남윤윤숙 , 「 한한국현현대여성복식제제도의의 변<strong>변천</strong>과정 연구」( 세종종대학교 대학원원 박사학위위논논문 ), p.8513) 최은은희 , 한한국개화여성열전전 ( 정음사, 1985), p.11014) 「 제제국신문 」 1898년년 10월월 12일 참조15) 1908 년년 개교한한 경기여고의의 통치마 흰저고리 차림의의 사진이 전전해진다 .-298 -


<strong>개화기</strong>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고 16) 숙명의의 경우 창설 때부터 다량의의 재재봉봉틀을을 구비하였고 1942년년경에는 30여대를 보유하게되었다고 17) 고 한한다.재재봉봉틀의의 등장장은은 여성교육발전전은은 물론론 일상생활활에도 획기적인인 기여를 하게 되었다. 또한한 자급자족으로 충당하였던 기본본적인인 衣 料 보다 다양한한 외외국직물을을 접하게 되었다 . 1906년년의의 조사에 의의하면 당시 사용용하던 국내외외 衣 料 品 들은은 견, 면, 저마 등 30여종종에 이르렀으며 이 가운운데 청국산이 반 이상을을 차지하였다. 18) 이는 1882 년년 체결한한 「 朝 ㆍ淸 商 民 水 陸 貿 易 章 程 」 의의 영향향으로 보인인다. 19) 이외외에 영국산과 일본본산 면직물도 수입되었는데 일본본제제 면직이 처음 조선에 나타난 것은은1890 년년이었으며 점차 영국산 면직을을 압도하게 되었다 . 20) 이상과 같이 일부에서 실시되기 시작하였으나 최초의의 재재봉봉틀을을 이용용한한 기계화재재봉봉교육과 근대화된 기계직 직물의의 보급은은 의의생활활에 혁신을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Ⅲ.<strong>개화기</strong> <strong>복식의</strong>의 변변화1.왕실복식(1) 王 服왕의의 官 服 은은 祭 服 인인 冕 旒 冠 ㆍ冕 服 , 朝 服 인인 遠 遊 冠 ㆍ絳 紗 袍 , 常 服 인인 翼 善 冠 ㆍ袞 龍 袍 , 戎 服 인인 玉鷺 笠 ㆍ軍 服 으로 대별별된다 . 조선 전전반기에는 이들 관복류는 明 의의 관복제제를 2등체강원원칙에 따라 친왕복제제도로 九 旒 冕 과 九 章 服 을을 사여받아 착용용하였으나 명나라 패망 이후후에는 大 明 會 典 에 의의거하여 만들어 착용용하였다 . 高 宗 34 년년(1897)대한한제제국을을 선포하고 고종종이 皇 帝 위위에 오르면서 大 明會 典 에 따라 황황제제와 동격인인 十 二 旒 冕 과 十 二 章 服 을을 적용용, 시행하였다 . 21) 이 때 제제정한한 복식은은純 宗 皇 帝 까지 착용용하였으며 이를 御 用 한한 사진자료료가 남아있으며 구장장복의의 실물은은 玄 衣 와 中 單單 만이전전하고 있다. 22)면복은은 袞 服 이라고도 하며 宗 廟廟 와 社 稷 에 祭 禮 , 嘉嘉 禮 , 凶 禮 시 착용용하였다 . 면복은은 冕 旒 冠 , 圭 , 玄衣 , 中 單單 , 裳 , 大 帶 , 蔽 膝 , 綬 , 佩 玉 , 赤 襪 , 赤 舃 으로 구성되며 왕세자 , 왕세손은은 왕의의 제제도와 차이를 두었다 . 國 朝 五 禮 儀 序 例 에 따르면 구류면류관은은 前 後 9류 총 18류의의 구슬이 달리며 每 旒 에는 주, 백, 창, 황황, 흑색 순으로 꿰는데 앞은은 8촌 5 푼, 뒤는 9촌 5 푼으로 한한다. 玄 衣 어깨깨에는 神16) 「 황황성신문 」 1899년년 2월월 24일자 사설17) 숙명 50 년년사(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p.19118) 高 承 濟 , 韓 國 經 營 史 硏 究 ( 한한국능률협협회 , 1985), p.18619) 譚 永 盛 , 「 조선말기 청국상인인에 관한한 연구」( <strong>단국대학교</strong>대학원원 , 1976), p.5020) 남윤윤숙 , 전전게서, p.4321) 增 補 文 獻 備 考 禮 考 26, 卷 79 章 服 1 참조22) 중중요민속자료료 제제66 호,국립중중앙박물관 소장장-299 -


東 洋 學 學 術 會 議 錄 講 演 金金 少奇 를 의의미하는 龍 , 등에는 鎭 定 을을 의의미하는 五 嶽 , 소매 외외측에는 번번영을을 상징하는 火 , 문채가 화려한한 華 蟲 , 효효를 나타내는 예기인인 宗 彛彛 를 3 개씩 그린다 . 상과 폐슬에는 陰 事 라 하여 수를 놓았는데화미한한 藻 , 養 民 을을 표현현한한 粉 米 , 결단의의 의의미인인 黼 , 背 惡 向 善 의의 黻 을을 등 국왕으로서의의 지켜야 할할 상징적인인 문장장을을 장장식하였다 23) . 곤복을을 祭 服 으로 착용용할할 경우에는 方 心 曲 領 을을 부착하여 예를 갖추었다. 왕세자는 8류면 3 채옥, 용용과 산을을 제제외외한한 7 장장복, 왕세손은은 7류면 3 채옥, 보 불을을 제제외외한한 5장장복으로 구분하였다 . 황황제제의의 면복제제도는 12류면에 홍홍과 녹색이 추가된 7 채옥, 日 , 月 , 星 辰 이 추가된 12 장장복으로 양어깨깨와 등에 시문하였다 . 황황태자는 9류면 9 장장복으로 하였다 . 24)왕의의 朝 服 으로는 遠 遊 冠 과 絳 紗 袍 이며 황황제제 조복은은 원원유관 대신 12 봉봉의의 通 天 冠 으로 바뀌었다 .황황제제 강사포는 국왕 강사포와 형태는 같으나 中 單單 25) 깃깃에 黻 文 26) 13 개를 付 金金 하였다 .27) 강사포실물은은 남아있지 않고 고종종의의 어진만 전전해지고 있다.조복에는 장장문이 없고 부속품은은 면복과 동일하다.常 服 은은 翼 善 冠 과 홍홍색 袞 龍 袍 로 착용용되어 오다가 황황제제용용 黃 龍 袍 를 착용용하게 되었다 . 황황룡룡포에는양어깨깨와 가슴․등에 용용문을을 금사로 수놓은은 둥근형 補 를 달았는데 왕은은 五 爪 龍 紋 , 왕세자는 홍홍색곤룡룡포에 사조룡룡으로 하였다. 28)익선관 後 部 양각 형태는 매미의의 날개를 형상화한한 것으로 翼 蟬 冠 으로 표기되기도 한한다. 29) 중중요민속자료료 제제58 호로 지정된 雲 紋 紗 황황용용포가 세종종대학교박물관에 소장장되어 있다.군복은은 옥로립 , 동다리 , 협협수로 일습을을 이루며 補 를 부착한한 철종종의의 御 眞 이 남아있다 . 융융복은은 철릭으로서 유물자료료는 없으나 正 祖 가 수원원 행차시 袞 龍 帖 裡 을을 착용용한한 기록이 있다. 30) 곤룡룡철릭은은철종종어진에서 보이듯이龍 補 를 가식한한 철릭을을 말한한다.(2)왕비복왕비의의 대례복인인 법복도 면복과 마찬가지로 국초부터 명나라로부터 사여받았는데 大 衫 ㆍ霞 帔 제제였으며 朝 賀 儀 나 冊 妃 등 가례시와 길례, 흉례 시 착용용하였다 . 명나라 패망 이후후에는 국속제제인인 大 紅緞緞 翟 衣 를 착용용하였으며 대한한제제국시대에는 명나라 황황후후의의 적의의제제를 적용용하였다 . 적의의는 적관(대23) 國 朝 五 禮 儀 序 例 卷 1, 吉 禮 , 祭 服 圖 說24) 增 補 文 獻 備 考 卷 79, 예고 26 章 服25) 강사포 안에 입는 직령포.26) ‘ 亞 ’ 字 형의의 문양. 12 장장문 중중 하나.27) 각주 24참조28) 각주 24 참조29) 소현현세자가례도감의의궤 ( 서울울대학교 규장장각도서 , 1627 년년)왕세자가례도감의의궤 ( 서울울대학교 규장장각도서 , 1651 년년)30) 원원행을을묘정리의의궤 (1795) 권1 筵 說 윤윤2월월 초9일-300 -


<strong>개화기</strong>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수), 玉 圭 , 적의의, 中 單單 , 蔽 膝 , 霞 帔 , 裳 , 佩 玉 , 帶 , 綬 , 靑 襪 , 靑 舃 으로 구성된다 . 국속제제의의 적의의는가슴과 등에 金金 繡繡 를 놓은은 오조룡룡 보를 달고 앞면에 圓 翟 을을 좌우에 각각 7 개씩 수놓고 , 뒷면에는 각각 9개씩 수놓아 총 51 개를 달도록 하였다 . 이는 국조속오례의의보서례 의의 제제도를 따른 것이다 31).국속제제 시행시기 초반에는 세자빈은은 아청색으로 하여 구분하였고 세자빈의의 원원적문은은36개로 하였으나 32) 1882 년년 임오가례 ( 순종종 첫번번째 가례) 에 세자빈의의 가례발기와 국조속오례의의보서례 에는원원적51개로 기록되어 있다33) . 따라서 왕비와 세자빈은은 적의의색으로 구분하였음을을 알 수 있다.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국속제제 적의의 의의차에 金金 線線 緞緞 을을 사용용한한 기록을을 근거로 적의의 바탕에 錦 織織 이 시문된 직금단에 원원적을을加 飾 한한 원원삼형태의의 국속적의의를 제제시하고 있어 주목된다. 34)고종종의의 황황제제 즉위위 후후에는 명나라의의 제제도를 따라 深 靑 色 적의의로 바뀌었는데 翟 紋 을을 12단에 나누누어수놓고 그 사이에 작은은 小 輪 化 를 배치하였다 . 머리에는 翟 冠 대신 大 首 를 착용용하였다 . 광무원원년년에시행된 제제도는 增 補 文 獻 備 考 예고에 기록되어 있으나 당시 마련된 大 禮 儀 軌 에는 황황후후용용 적의의에관한한 언급이 없다. 35) 당시 명성황황후후는 시해된 상태였으며 황황후후는 공석이었다 . 순종종비 ( 윤윤비)가 착용용하였던 12 등 적의의는 세종종대학교박물관 ( 중중요민속자료료 제제 54 호, 55 호), 영왕비의의 9등 적의의는 덕수궁 유물전전시관에 소장장되어 있다. 그밖에 12 등 적의의본본이 국립중중앙박물관에 소장장되어 있다.(중중요민속자료료67 호)상복용용 예복으로 기록에 보이는 노의의와 장장삼이 있으나 전전래되는 유물이 없다.다만 청연군주의의노의의로 보이는 출토유물이 전전래되고 있다 36) . 그밖에 圓 衫 은은 대한한제제국 시대에 착용용하였던 황황후후용용은은황황원원삼으로 황황색 길에 다홍홍색과 남색의의 끝동과 백한한삼을을 달았다 ( 중중요민속자료료 제제49 호).영왕비의의홍홍원원삼 ( 중중요민속자료료 제제48 호) 도 색의의 차이를 보일뿐 동일한한 제제도이다 . 세종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장되어 있다. 고종종의의 후후궁이었던 광화당의의 자적원원삼도 세종종대학교에 소장장되어 있다. ( 중중요민속자료료제제52 호)2.남성복식(1) 百 官 服라<strong>개화기</strong> 관복의의 변<strong>변천</strong>은은 고종종 21 년년(1884) 甲 申 衣 制 改 革 부터 시작되었다 . 이 때에 관복뿐만 아니私 服 의의 개정제제령도 반포되었다 . 광수의의 홍홍단령은은 착수의의 흑단령으로 고치고 문무관의의 관직과 품31) 國 朝 續續 五 禮 儀 補 序 例 吉 禮 卷 之 1, 王 妃 禮 服 制 度32) 朴 聖 實 , 「 翟 衣 制 度 의의 變 遷 硏 究 」( 服 飾 9, 한한국복식학회 , 1985), pp.39 ~4033) 「 궁중중가례물품목록 」( 임오천만세동궁마마가례시 ) ( 정신문화연구원원 , 장장서각 소장장)34) 김연자 , 「 조선왕조 왕세자빈 적의의연구 」( <strong>단국대학교</strong>대학원원 , 2002) 참조35) 大 禮 儀 軌 ( 서울울대학교 규장장각도서 , 1897)36) 국립중중앙박물관에 소장장되어 있으며 이를 조사하여 복원원 발표한한 바 있다.2001 년년, KOSCO 국제제의의상전전 , ( 사)한한국복식학회-301 -


東 洋 學 學 術 會 議 錄 講 演 金金 少계에 따라 흉배를 달아 입게 하였다 37) . 사복 역시 도포중중치막 ․ 등과 같은은 넓은은 소매[ 廣廣 袖 ] 옷은은행동하기에 불편하므로 좁은은 소매[ 窄 袖 ] 의의 착수의의 , 전전복, 사대로 바꾸어 착용용하도록 하였다 .38) 이때 착수의의는 두루마기를 지칭한한 것으로 보인인다 . 수 차례에 걸쳐 반대상소가 있었으나 강행되었다 .고종종 31 년년(1894)갑오경장장 때에는 관복은은 착수의의 착용용을을 다시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착수의의 착용용이 정확히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인다 . 사복에 있어서는 두루마기 위위에 戰 服 를 덧입어士 庶庶 人 과 구별별하도록 하고 있다39) . 같은은 해 12월월에는 관복이 더욱 간소화되어 대례복은은 흑단령으로 하고 진궁 시 통상 예복은은 흑색 두루마기에 답호를 착용용토록 하였으며 단령에는 紗 帽 , 靴 子를 착용용하도록 하였다 40) .고종종 32 년년(1895) 3월월 을을미개혁에서는 공사예복에 답호도 없애고 두루마기만을을 착용용하게 하여 41) 관복과 사복 모두 두루마기를 착용용하게 되었다 . 또한한 官 民 이 다같이 흑색 두루마기를 착용용하라 하였는데 이는 관민을을 一 視 하여 衣 制 상으로 구분하지 않겠다는 의의지의의 표현현이라 하겠다 . 또한한 4월월 9일에는 칙령 제제 78 호로 육군복장장규칙을을 반포하였다 . 42) 8월월 10 일에는 궁내부에서 大 臣 과 朝臣 이하의의 服 章 式式 을을 칙령으로 반포하였는데 朝 服 과 祭 服 은은 전전과 같이 하고 대례복은은 흑단령 , 사모,품대, 화자로 慶 節 과 문안, 禮 接 시 착용용하고 소례복은은 黑 盤 領 착수포 , 사모, 속대,화자로 진현현 시착용용하되 경우에 따라 대례복으로 사용용토록 하였다 . 통상복은은 周 衣 , 褡 濩 , 絲 帶 로 규정하였다 . 43)같은은 해 11 월월 태양력을을 사용용하고 연호를 建建 陽 이라 하였으며 斷 髮 令 이 내려졌다 . 그 내용용은은 망건을을 폐지하고 의의복제제도는 이국의의 것을을 채용용해도 무방하다는 것으로 단발령과 함께께 양복의의 착용용이 시작되었다 . 당시 단발령의의 충격은은 심각하여 일반 백성을을 비롯롯하여 유림의의 거두인인 崔 益 鉉鉉 은은 頭 加 斷髮 不 斷 이라 외외쳤다고 한한다. 44)1899년년 8 월월에는 出 彊彊 使 臣 의의 복식을을 외외국 실정을을 참작하여 개정하도록 하고 국내의의 문관은은 소례복,즉 착수인인 흑단령을을 착용용토록 하였으며 여기에 품대를 더하여 대례복으로 착용용하도록 하였다. 또한한 제제례와 하례 시에는 전전과같이 흑단령과 조ㆍ제제복을을 착용용토록 지시하였다 . 45) 여기서 출강사신은은 외외국에 나가는 사신을을 말하며 이들의의 복장장은은 양복으로 개정토록 지시하는 내용용이다 . 이로써신라 진덕왕 2 년년(648 년년) 唐 의의 공복인인 단령을을 수용용한한 이래 천수백년년간 습용용되어온 전전통이 개혁되는 순간을을 맞이하게 된다. 조복과 제제복만은은 先 祖 의의 遺 制 로서 국말까지 착용용되었으나 구성적인인 면에37) 高 宗 實 錄 卷 21, 高 宗 21년년 윤윤5월월 24 일.38) 高 宗 實 錄 卷 21 高 宗 21년년 윤윤 5월월 25일39) 高 宗 實 錄 卷 32, 高 宗 31년년 6월월 28 일. 高 宗 時 代 史 고종종 31년년 6월월 29일40) 高 宗 實 錄 卷 32, 高 宗 32년년 12 월월.41) 高 宗 實 錄 卷 32, 高 宗 32년년 3월월 29 일.42) 高 宗 實 錄 高 宗 32년년 4월월 9일 개국 504 년년, 高 宗 時 代 史 高 宗 32년년 4월월 9일43) 高 宗 實 錄 高 宗 32년년 8월월 10일44) 柳柳 喜 卿 , 한한국복식사연구 ( 이화여대출판부 , 1985), pp.618 ~620.45) 高 宗 時 代 史 卷 4 光 武 3년년 8월월 3 일, p.948-302 -


<strong>개화기</strong>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서는 간소화되는 경향향을을 보인인다 . 조복은은 梁梁 冠 , 赤 綃 衣 , 蔽 膝 , 中 單單 , 裳 , 後 綬 , 大 帶 , 角 帶 , 笏 , 靴 로일습을을 갖추며 양관과 후후수, 홀홀, 각대 등으로 신분을을 구별별한한다 . 이는 국초에 마련된 경국대전전의의 제제도 46) 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중중단의의 의의색이 청색으로 바뀌었다 . <strong>단국대학교</strong> 석주선기념념박물관의의 소장장품 가운운데 이 시기에 해당하는 조복 일습 중중에는裳 을을 별별도로 제제작하지 않고 짧게 만들어 적초의의에 고정시켜 놓은은 것이 있다.외외관상으로는 상을을 착용용한한 것처럼 보이나 실제제는 적초의의 도련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 이는 상을을 만들거나 착용용하는데 번번거로운운 절절차가 생략되어 간편하게 사용용할할 수있는 구성법이다.이듬해 광무 4 년년(1900) 에 반포된 문관복장장규칙 및 문관대례복제제식에 의의하여 대례복 , 소례복 ,상복을을 양복으로 제제정하였다. 47) 대례복의의 구성은은 연미복형이다 . 소례복에는 연미복과 프록코트(frock coat) 의의 두 종종류가 있으며 官 內 進 見 時 , 각국 使 臣 召 接 時 에 착용용하였다 . 상복은은 仕 進 時 ,執 務 時 에 착용용하며 구성은은 중중절절모와 연미복에 비해 뒤가 더 짧은은 상의의와 조끼를 입는다.(2) 軍 服군복에 洋 服 이 도입되는 것은은 1895 년년 이후후이며 그 전전까지는 재재래 군복을을 착용용하였다 . 재재래 군복은은 戰 笠 , 동다리 , 戰 服 , 纏纏 帶 木 靴 로 구성되어 있다.동다리의의 모양은은 두루마기와 비슷하며 주로주홍홍색 길에 붉은은 소매 등의의 화려한한 배색을을 하였다 . 길과 소매의의 색이 다르다 하여 동다리라 불린다. 중중요민속자료료 제제 216 호인인 윤윤용용구 (1853-1936) 동다리는 전전복이 함께께 바느질되어 있어 간편하게 착용용할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이는 조복의의 경우와 같이 간소화된 구성법도 이시기 재재봉봉방법의의 한한 특징으로 나타난다.군복의의 변<strong>변천</strong>은은軍 制 변변화에 직접적인인 영향향을을 받는다 . 군제제의의 근대화는 선진국들의의 군제제수용용에 따르게된다 . 당시 우리의의 환환경은은 근대화의의 목표를 설정하고 수용용한한 것이 아니라 외외국의의 열강들의의 압력에 따르지 않을을 수 없었다 . 따라서 한한말 군제제를 4 단계로 구분하기도 한한다. 48) 육군본본부에서 발간된 陸 軍 服 制 史 에 기록된 내용용을을 근거로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제제 1단계는 일본본국군영향향기로 1895-1897, 제제2단계는 러시아군제제영향향기로 1897-1900, 제제3단계는 자주적 군제제영향향기로 1900-1907, 제제4단계는 일본본군제제영향향기로 1907-1909 로 구분하였다 . 1895년년 고종종 32년년 4월월에는 을을미개혁의의 일환환으로 육군복장장규칙이 반포되면서 훈훈련대 보병병과 장장교복이 양복으로 제제정되고 같은은 해 9 월월에는 일반 군인인에게도 적용용되었다 . 제제 1 단계는 正 裝은은 儀 式式 이나 제제사 등 大 禮 時 에 착용용하며 군모[ 帽 ] 49) , 외외투50) , 상의의( 衣 ) 51) , 肩 章 , 칼[ 刀 ], 바지46) 譯 註 經 國 大 典 ( 한한국정신문화연구원원 , 1990)47) 柳柳 喜 卿 , 앞책, pp.624 ~625.48) 陸 軍 服 制 史 ( 육군본본부 , 1980), p.7549) 위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넓은은 투구형.흑색 융융으로 만들고 정상에 화살촉 모양의의 금색 장장식을을 부착하고 턱끈은은 검은은가죽으로 하였으며 정면 표장장은은 무궁화 가지와 배꽃으로 장장식하였다.-303 -


東 洋 學 學 術 會 議 錄 講 演 金金 少[ 袴 ] 52) , 靴 등으로 구성된다 . 제제 2단계의의 군복장장은은 1897년년 5월월 15일 제제정된 육군복장장규칙에 따랐으며 제제 1단계에 2년년간 시행된 복장장을을 禮 衣 와 常 衣 로 구분하였으며 1단계에 비해 변변화를 보였다. 예장장의의 禮 帽 는 前 面 에 챙이 나오고 모자의의 윗윗부분이 안으로 들어갔다 . 소재재는 흑색융융이며 홍홍색융융으로 梨 花 形形 을을 수놓아 부착하였다 . 禮 衣 는 합임으로 흑색의의 광직 緣緣 을을 좌우솔기와 도련에 둘렀다. 단추는 검은은 실로 매듭을을 만들어 달았는데 무궁화 모양을을 좌우에 5 개씩 부착하였다 . 소매부분은은 紅 絨 緣緣 을을 소매길이까지 표시하고 여기에 人 字 形形 금선을을 대장장은은 9, 부장장은은 8, 참장장은은 7, 정령은은6, 부령은은 5, 참령은은 4, 정위위는 3, 부위위는 2, 참위위는 1 줄줄로 하고 인인자형 위위에는 금사로 槿槿 花 章 을을수놓았다 . 常 衣 는 공사를 막론론하고 평상시에 착용용하였다 .常 帽 의의 형식과 복제제는 예모와 동일하나 모자 덮개 주위위선 , 관등 표시선 , 계급표시 횡횡선,모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 앞 챙은은 반원원형의의 검정색 가죽으로 하였으며 하사관용용 , 병병졸졸용용의의 구분을을 두었다. 常 衣 의의 재재질은은 흑라사로 합임이며 깃깃에는 관등 표식이 없으며 소매에만 예의의와 같이 황황색수장장을을 부착하였다 . 단추 5 개를 무궁화 모양으로 만들어 의의령 밑에서 아래로 부착하고 黑 絲 광직 緣緣 을을좌우 솔기와 도련에 둘렀다 . 소매 장장식은은 예의의와 동일하지만 黑 絲 織織 으로 표시한한다 . 하사관이나 병병졸졸의의 수장장은은 홍홍색띠를 부착하여 계급을을 구분하였다 . 제제 3단계의의 군복장장은은 군모의의 변변화는 크게 다르지 않았고 의의식거행시에는 깃깃털을을 장장식하였다.제제복의의 경우는 변변화의의 폭이 매우 컸다. 1900년년 7 월월에 陸 軍 將 卒 服 裝 制 式式 에 의의해 군복이 개정되었는데 전전 제제도와의의 차이점만을을 중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禮 衣 는 흑색사로 교임형으로서 깃깃과 단추의의 모양을을 달리하였다 . 도금한한 무궁화 모양의의 단추를 좌우에 7개씩 부착하였으며 목부분의의의의령을을 연결하는 좌우 襟 部 에는 홍홍색 융융선을을 직선으로 합봉봉하였다 . 常 衣 는 합임으로 , 도금한한 무궁화 문양을을 부착하였다 . 뒷중중심 솔기선 옆에는 흑색 융융단을을 부착하고 단추를 3 개씩 부착하였다 . 의의령 상, 하단에 홍홍색선을을 1 줄줄씩 부착하였고 , 소매에는 흑색선을을 人 字 形形 으로 부착하였는데 그 개수는1897 년년 禮 衣 의의 것과 같았다 . 상의의는 일자형이며 7 개의의 도금 단추를 달아 주었다 . 의의령에는 은은별별을을 부착하였는데 장장관 3, 영관 2, 위위관은은 1 개를 달았다 . 제제 4 단계의의 군복장장은은 1907년년 8월월 군대가 해산됨으로써 유명무실하게 되었으나 1909 년년까지 군부는 존존재재하였다 . 일본본군 군복의의 영향향을을많이 받았다.1907년년 10 월월에 반포된 陸 軍 服 裝 制 式式 에 의의하면 예장장의의 예모는 흑색의의 융융으로 만들었으며1897 년년 제제정된 예모와 동일하였으나 장장교의의 兵 科 定 色 을을 제제정하여 모테에 적용용하였다 . 모자에 달린 귀단추의의 문양이 무궁화에서 이화로 바뀌었다 . 하단부의의 색은은 계급에 따라 달리하였는데 장장관과50) 외외투는 흑색 융융으로 만든 스텐 칼라가 달린 긴 외외투로서 앞면에는 은은색 단추가 2줄줄로 5 개씩 달려있다 . 허허리폭을을조정할할 수 있게 하였으며 소매에는 수장장( 袖 章 ) 을을 부착하여 관등을을 표시하였다 . 장장관은은 3, 영관 2, 위위관은은 1개씩의의은은별별을을 달아준준다.51) 여밈은은 합임으로 은은색 단추 5 개로 고정한한다 . 재재질은은 흑라사 ( 黑 羅 紗 ) 이며 관등은은 깃깃에 달린 은은별별로 구분하였다 . 將官 은은 3 개, 領 官 2 개, 尉 官 1 개를 부착한한다 . 계급은은 소매에 부착한한 금띠와 태극단추로 구분하였다 .52) 재재질은은 흑라사이며 옆 봉봉합선 장장식은은 붉은은색 융융으로 , 장장관은은 3 줄줄, 영관 및 위위관은은 1 줄줄로 하였다 .-304 -


<strong>개화기</strong>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보병병은은 홍홍색, 기병병은은 녹색, 포병병은은 황황색, 공병병은은 자색, 군의의는 유록색 , 軍 司 는 청색으로 하였다 . 예의의는 스탠드 칼라형의의 교임으로 도금한한 무궁화 모양의의 단추가 좌우에 각각7 개씩 부착되어 있다.뒷중중심에는 단추 3 개를 부착하였다 . 의의령과 袖 口 에는 各 兵 科 定 色 에 의의한한 色 絨 緣緣 을을 장장식하였으며의의령장장을을 달아 계급을을 표시하였다 . 소매장장식은은 색융융연 위위에 인인자형 선을을 둘러 선의의 수로써 계급을을나타내었다 . 상모 재재질은은 흑융융을을 사용용하였으며 하반부는 홍홍색융융으로 하였다 . 常 衣 는 다갈색 융융지의의합임으로 도금 무문원원형 단추를5 개 부착하고 가슴 좌우와 복부 좌우에 주머니를 달았다 . 가슴 주머니 뚜껑껑에는 도금한한 소형단추를 1 개 부착하였다 . 의의령 상, 하단에 홍홍사선을을 1조씩 부착하였으며의의령장장은은 은은사 繡繡 飾 으로 별별 모양이다 . 뒷중중심에는 흑색 융융단을을 부착하고 단추 3 개를 부착하였다 .소매장장식은은 소매끝 앞쪽에 도금한한 소형 이화문 단추를 옆으로 직급에 따라 부착하였다 . 바지의의 재재질도 다갈색 융융지로 하며 좌우에 縫縫 章 을을 장장식하였다 . 장장교는 홍홍색의의 융융선을을 1조 부착하되 승마하는자는短 袴 를 착용용하였다 . 하사병병 및 무관생도의의 옷도 그 제제식과 봉봉장장은은 장장교와 동일하다 . 53)(3)개화파 인인사의의 복식우리 나라 사람으로 최초로 양복을을 입은은 사람들은은金金 玉 均 , 徐徐 光 範 , 兪 吉 濬 , 洪 英 植 , 尹 致 昊같은은 개화파인인사들이라고 한한다. 이들은은 1881년년을을 전전후후하여 신사유람단 또는 수신사절절단의의 일원원으로 일본본에 건너가 양복을을 접하게 되었다 . 이들이 처음 사입은은 양복은은 쌕코트 (sack coat) 로 18세기 유럽에서 스포츠용용으로 만들어져 미국에서 크게 유행한한 형태이다 . 깃깃은은 턱밑에 바짝 붙고 여밈은은 가슴부분에서 무릎 위위까지 벌벌어졌다 . 셔츠는 칼라가 둥근 크라이앙셔츠이고 넥타이는 보우타이처럼 생긴 크라브트였다 . 1883년년 한한미친선 도모와 통상 협협의의를 위위해 11명의의 인인사가 파견되었는데 이들 역시 미국각지와 유럽을을 돌아보고 귀국할할 때 양복을을 한한 벌벌씩 구입하여 돌아왔다 . 그 당시의의사진자료료가 남아있다.1904년년 한한일의의정서 체결에 따라 일본본에 가게된 초빙대사들은은 수행원원들과 함께께 상투를 자르고양복을을 입고 떠떠났으며 , 1906 년년 통감정치가 시작되면서 단발과 양복착용용은은 더욱 확대되었다 .1907 년년 네덜란드 헤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의에 밀사로 파견된 李 相 卨 , 李 儁 , 李 瑋 鍾 등도 하이칼라 (high collar) 에 타이(tie) 를 맨 양복을을 착용용하였고 1910년년에는 최신유행의의 프록코트(frock coat) 가 일반에게 유행할할 정도로 양복착용용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 54)등과(4)일반 서민복이시기의의 복식은은 유물자료료나 사진자료료로 구체적인인 확인인이 가능하다 . 일반 서민 남성의의 의의복은은 개53) 陸 軍 服 制 史 ( 육군본본부 , 1980) 제제 2 절절 구한한말기 참조, pp.75 ~93.54) 유희경 , 한한국복식사연구 ( 이화여자대학출판부 , 1980), pp.625 ~627참조-305 -


東 洋 學 學 術 會 議 錄 講 演 金金 少화기에 들면서 그 형태는 간소화되고 의의복의의 실용용적인인 면이 강조되었다 . 상의의로는 저고리 위위에 덧입는 마고자가 등장장하고 , 여러 袍 類 를 두루마기로 통일하였다 . 두루마기는 양복에서의의 외외투와 같은은역할할을을 하였지만 사계절절 내내,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두 착용용하였고 더욱 간소화하여 고름 대신단추를 달아 입기도 하였다 . 조끼는 1910년년대 양복의의 조끼를 본본떠떠 만들어 저고리 위위에 덧입은은 것으로 배자를 대신하였다 . 앞길에 주머니를 달아 생활활에 편리하도록 만든 한한복과 양복을을 절절충한한 의의복이다.바지는 별별다른 변변화 없이 계절절에 따라 소재재를 달리해 입었다 . 內 衣 로는 속고의의를 입었는데 후후에팬츠로 대치되어 갔다.주머니는 필필요한한 물건을을 넣어 허허리띠에 찼는데 담배주머니 , 안경집 등이 있었고 조끼를 입게 되면서 조끼에 달린 주머니가 그 역할할을을 대신하자 주머니의의 착용용이 줄줄어들었다 . 신은은 갓신과 짚신,미투리, 나막신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용되었다 . 갑오경장장 이후후에는 混 織織 草 鞋 가 유행하기도 하였는데 짚과 왕골로 곱게 삼은은 이 미투리는 남자용용 신 중중 일등품이었다 . 머리는 단발령과 함께께 망건의의 사용용이폐지된 宕 巾 을을 쓰고 그 위위에 黑 笠 을을 썼다.촌에서 일할할 때는 비를 피하기 위위해 삿갓을을 사용용하였으며喪 人 은은 方 笠 도 착용용하였다.(5)남학생복1900년년대 이전전에는 한한복 차림으로 저고리와 바지 위위에 두루마기를 입었으며 머리에는 상투를틀고 망건에 갓을을 쓰거나 땋은은 머리에 댕기를 늘였다 . 단발령 이후후에는 깍은은 머리에 모자를 쓰기도하였다 . 신은은 버버선을을 신고 짚신, 미투리 , 흑혜혜, 나막신 등의의 鞋 를 신었다 . 양복 교복은은 1920년년대에 들어서야 많은은 학교에서 착용용하였다.3.여성복식여성복식은은 남성복식과는 달리 국가 정책에 의의한한 강제제성 있는 큰 변변화는 없었으나 상류사회의의 여성, 유학생 , 개화파 인인사의의 부인인들은은 양장장을을 착용용한한데 반해,양가집 부녀자와 일반 여성들은은 대부분기존존의의 풍습을을 유지함으로써 한한복과 양장장의의 이중중구조를 형성하였다.(1)궁중중여인인복1897 년년 대한한제제국 성립 이후후 황황후후의의 상복은은 황황원원삼 , 황황태자비는 홍홍원원삼 , 공주․옹주는 예복으로녹원원삼을을 착용용하여 衣 色 을을 구분하였다 . 그밖에도 활활옷․ 당의의에 대란스란치마를 ․함께께 입었다 . 초록 원원삼은은 花 紋 으로 장장식하고 스란단은은 화문 또는 鳳 凰 紋 으로 장장식하였다 . 순종종황황제제비 윤윤황황후후의의 당-306 -


<strong>개화기</strong>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의의와高 宗 의의 외외동딸 덕혜혜옹주의의 당의의가 전전해지고 있으며 옹주의의 생모 양귀인인의의 원원삼 착용용모습 사진이 전전해지고 있다.尙 宮 은은 민간의의 혼혼례 대신 관례를 치뤄뤄 주었는데 어여머리를 하고 예복으로 원원삼을을 입었다 . 관례시 이외외에도 왕실의의 국혼혼에는 원원삼차림으로 성장장하였다. 55) 예복 밑에 착용용하는 기본본복식은은 동일하였으나 옷감의의 우열과 색상으로 어느 정도의의 신분의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 상의의로는 속저고리 , 저고리, 회장장 저고리 당의의를 입고 치마 속에 단속곳 , 바지, 속곳 등을을 갖추어 입었다 . 나인인들의의 복색은은입궁 시기에 따라 달랐는데 입궁 후후 얼마되지 않은은 아기나인인은은 남치마 보라저고리 , 젊젊은은 나인인은은 초록저고리 남치마 , 노상궁들은은 남치마와 옥색 저고리 차림이었으며 남치마는 궁녀들의의 대표적인인 복장장이었다고 한한다. 56) 당의의는 당저고리라고도 하며 저고리 삼작에는 당의의가 일습으로 포함되었다.조선왕실의의 존존재재가 미약해져 가는 과정 속에서도 왕실의의 귄위위를 잃지 않으려는 노력이 그들의의 복장장에서 느껴껴진다.(2)신여성의의 복식기독교의의 전전파로 개화사상을을 접하게 된傳 導 婦 人 들은은 한한복을을 간편하게 개량하여 입었다 . 짧아지기만 하던 저고리의의 길이를 길게 하고, 길기만 하던 치마를 짧게 하였다 . 또한한 뒤트임을을 막아 통치마를 만들었다 . 이러한한 한한복 개량과 더불어 양장장의의 착용용이 시작되었다 . 우리나라 최초로 양장장을을 한한여성은은 윤윤고려 ( 윤윤치오부인인 ) 로 1899년년경으로 알려져 있으나 57) 윤윤치오의의 부인인은은 이숙경으로1907년년 부인인과 사별별하였고 윤윤고려와는 1908년년 3 월월 재재혼혼하였다 . 이숙경은은 윤윤치오를 따라 도일하여 함께께 귀국한한 것은은1906 년년이었다 . 58) 이숙경의의 양장장차림은은 1968년년 여성동아 2월월호에 소개되고 있으며 1900 년년경으로 발표한한바 있다. 윤윤고려는 1891년년 생으로 1899년년은은 8세의의 어린 소녀였다. 확실한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895년년의의 단발령 이후후 양장장을을 하고 기념념사진을을 찍은은 고종종황황비인인嚴 妃 의의 모습도 볼볼 수 있다.미국 볼볼티모어로 유학을을 가서 의의학을을 전전공하고 우리 나라 최초의의 여의의사가 된 박에스더는 1900년년 귀국 당시 검소한한 양장장을을 입고 귀국하였고란사도 양장장을을 하고 귀국하였다 . 이는 여성 최초의의 미국학사였다 59).1900년년 미국 오하이오 웨웨스리안 대학을을 졸졸업한한 하이와 같이 일부 상류계층 여성을을 비롯롯하여 유학파 계층이나 전전문직에 종종사할할 수 있었던 개화여성들에 의의해 양장장을을 한한 모습을을 볼볼 수 있으나 당시 일반 서민 여성의의 양복 착용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았다 . 당시의의 사진자료료들이 전전해지고 있다.55) 김용용숙 , 朝 鮮 朝 宮 中 風 俗 硏 究 ( 일지사, 1987)56) 김명길 , 樂樂 善 齋 周 邊 ( 중중앙일보사 , 1977), pp.148 ~149.57) 유희경 , 한한국 복식사 연구( 이화여대 출판부, 1980), p.640.58) 남윤윤숙 , 전전게서, p.7059) 최은은희 , 한한국 개화여성열전전 ( 정음사, 1985), p.99.-307 -


東 洋 學 學 術 會 議 錄 講 演 金金 少(3)일반 서민복이시기의의 복식은은 전전래되는 유물자료료로 확인인이 가능하며 사진자료료도 상당부분 남아있다 . <strong>개화기</strong>에 들면서 옷의의 모양이나 색에 따라 신분을을 나타내던 풍습이 점차 사라지기 시작한한다 . 경제제적인인 여유가 있으면 수입비단이나 고급직물을을 이용용하여 자유스럽게 선택해 입을을 수 있는 분위위기가 조성되었다.한한편 그 길이에 있어서는 전전도부인인이 저고리를 길게 입은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일반 부녀자들의의 저고리는 점점 더 짧아져갔다 . 저고리의의 길이는 20cm안팎으로 저고리와 치마 사이로 젖가슴이드러났기 때문에 살을을 보이지 않기 위위해서는 허허리띠로 묶는 경우도 있었다.사회활활동을을 하는 일부 여성들의의 치마는 활활동에 편리하도록 짧아지는 경향향을을 보였으나 일반 부녀자들의의 치마에는 별별 변변화가 없었다 . 한한편 복식제제도 개량 안에 의의해 통치마가 제제시되고 1907년년6월월 19일자 제제국신문 논논설에서도 통치마 착용용을을 권장장하여 1920년년대 초반에 들어서는 통치마 스타일이 확산되었다 . 겉옷으로는 남성과 같이 마고자나 두루마기를 착용용하였다 . 머리모양은은 조선 후후기와 큰 차이가 없었다 . 처녀들은은 댕기머리였고 부녀자들은은 쪽진머리와 얹은은머리 ( 주로 이북지방 ) 를하였다 . 그러나 최활활란의의 경우처럼 1907년년 일본본에서 귀국 시 팜프도어라는 도오넛형의의 머리가 신여성들이 의의해 소개되기도 하였다 60) .그밖에 머리쓰개는 조바위위가 유행됨에 따라 아얌은은 차츰 자취를 감추었고 방한한용용 남바위위도 널리착용용하였다 . 상기한한 바와같이 1898년년 10월월 12일자 제제국신문에서는 장장옷의의 대용용품으로 우산의의사용용을을 건의의하였고1905년년 이후후에 장장의의 폐지 논논의의는 더욱 활활발해져 대용용품으로 검정우산이 사용용되었다 . 개화초기 당시 신발에는 큰 변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일반적으로 짚신과 미투리를 착용용하였고 비오는 날이면 나막신을을 신었다 . 경우에 따라서 어린아이들이 맑은은날 나막신을을 신고 있는 모습이 사진에서 확인인된다.(4)여학생복상류 계층의의 여성들은은 양장장을을 도입하여 소개하는 데 그쳤을을 뿐 일반 서민들의의 복식 변변화에 큰 영향향을을 끼치지는 못하였다 . 반면 새로운운 문물을을 빨리 접할할 수 있으면서 수적으로 많은은 여학생 집단은은일반 서민 여성복의의 개량화에 있어 선구자적인인 역할할을을 하였다.이화학당의의 학생들은은1890년년대에는 좁은은 소매가 달린 짧은은 저고리 아래 허허리띠를 매고 허허리보다 약간 위위에 치마를 입었다 . 1900년년대에는 큰 학생에 한한하여 흰저고리에 옥색치마를 입었는데길이는 발까지 왔다. 당시의의 사진자료료에서 확인인된다 . 저고리 길이가 길어지는 것은은 어깨깨허허리가 고안된 이후후인인1910 년년 이후후이다 .경기여고의의 전전신인인 한한성고등학교는1910년년 이전전에 흰색 저고리와 검정색 통치마를 입게 하였는60) 유희경 , 앞의의 책, pp.643 ~644.-308 -


<strong>개화기</strong>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데 이 시기에 여성의의 치마가 발목위위로 올라온 것은은 획기적인인 일이라 할할 수 있다.숭의의 여학교는 무색 저고리에 대체로 흰 치마를 입었고 나이 많은은 학생들은은 흰 저고리에 흰 치마를 입었으며 흰 저고리의의 끝동과 옷고름의의 색으로 유행색을을 나타내기도 하였다.숙명 여학교는1907년년까지 한한복을을 착용용하다가 최초로 커다란 모자가 특이한한 모양의의 양장장 교복을을 제제정하였으나 몇 년년 지나지 않아 폐지되었으며 당시 대부분의의 여학교는 저고리에 통치마를 착용용하였다.Ⅳ.결론론<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은은 그 시대의의 정치경제제사회 ․ ․ ․ 문화적인인 요인인과 국내외외 정세까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에 영향향을을 미치는 여러 요인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용한한다 . 특히 <strong>개화기</strong>는 국내외외 정세에 더욱 민감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주변변 정세 변변화에 따라 짧은은 시간 안에 복식 변변화의의 폭도 컸던 때라 하겠다.<strong>개화기</strong>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은은 크게 전전통<strong>복식의</strong>의 변변화와 양복의의 착용용을을 들 수 있는데 이를 남성 복식과 여성 복식으로 나누누어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우선 남성 <strong>복식의</strong>의 변<strong>변천</strong>은은 강제제성을을 가지는 국가적 차원원의의 의의복제제도 개혁에 의의한한 관복의의 급격한한 변변화로 일어났다 . 시복인인 廣廣 袖 衣 홍홍단령이 窄 袖 衣 흑단령으로 간소화되고 , 다시 흑색의의 두루마기에 褡 護 를 착용용하도록 하였다가 답호마저 생략하고 두루마기만 입도록 하여 관복이 최대한한 간소화도기도 하였다 . 조복과 제제복은은 전전통이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이중중에서는 훈훈상을을 작게 만들어 적초의의에 부착하는 실용용적인인 구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 구군복도 전전복을을 동다리에 같이 바느질하여 간편하게 착용용할할 수 있는 실용용적인인 디자인인이 확인인되었다 . 또한한 관복의의 변<strong>변천</strong>으로 私 服 에도 변변화가 있었는데 1884년년 도포․창의의 등의의 廣廣 袖 袍 가 착수의의 두루마기로 변변하였고 , 1894 년년 신분계급의의 철폐시도로 관민 ․ 차별별 없이 모두 사복으로 두루마기를 착용용하게 되었다 . 한한편 1899 년년 외외교관의의 복식을을 시작으로 그 다음해 문관복도 양복화 하였다 . 군복 또한한 서양복의의 군복제제도로 변변화되었다 . 이러한한 양복의의 착용용은은 개화파 인인사들에 의의해 주장장되어 제제도적지시에 따라 변<strong>변천</strong>이 용용이한한 제제복, 즉 관복학생복 ․ 등에 적용용되면서 일반인인들에게도 전전파되었다 .이것이 현현재재 착용용하고 있는 양복의의 효효시이다.대한한제제국시대의의 황황제제 및 황황후후의의 관복제제도는 명나라가 멸망 후후會 典 에 따라 제제도적으로 수용용하였다.3 세기 경과한한 시기였음에도 大 明여성 복식에서 궁중중 예복 및 상류층의의 복식은은 <strong>개화기</strong> 이전전과 큰 차이가 없는 반면 평상복에는 많은은 변변화가 있었다 . 기독교의의 보급으로 여성 의의식구조의의 변변화, 여성 교육기관의의 설립,여성의의 사회진출이 이루어져 활활동하기에 편리하도록 장장옷이나 쓰개치마의의 길이가 짧아지다가 대체물로 양산 등이-309 -


東 洋 學 學 術 會 議 錄 講 演 金金 少사용용되었으나 차츰 폐지되었다 . 또한한 저고리의의 길이는 길어지고 , 치마는 짧아지면서 통치마나 주름잡은은 치마와 같은은 개량 한한복이 착용용되었다 . 이러한한 개량복의의 보급에는 기독교 전전도부인인과 여학생의의의의복이 큰 영향향을을 미쳤다 . 한한편 외외래 문화를 먼저 접할할 수 있었던 고관 부인인, 외외교관 부인인,유학생들의의 양장장 착용용과 양장장화된 교복 착용용으로 일반인인들에게도 양장장이 널리 전전파되었다 . 이는 여성들의의사회진출이 점차 확산되는 동기가 되었다 . ( 구체적인인 내용용과 형태는 유물 및 사진을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한다.)-310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