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Untitled

Untitled

Untitled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감사의 글먼저 본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은혜와 지혜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하나님께서 은혜를 주지 않으셨다면 목회자로서의 삶을 살지도 못했을 것이고 중증장애인들과 요셉의 집에서 함께 한 경험을 다룬 본 논문을 쓸 엄두조차내지 못하였을 것입니다.본 논문을 작성에 있어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선에서 일하는 필자를 잘 이해해 주시고 힘을 주시며 지도해 주신 오성춘 교수님과, 함께 일하며 협조해 준 요셉의 집의 직원들과 그동안 필자를 위해 기도를 아끼지 않았던 여전도회의 여러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필자를 위해 본 논문을 쓸 수 있도록 집안의 모든일들을 맡아 주고 여러 심부름들을 해준 동생 김혜경과언제나 딸을 위해 기도하시는 어머님께 감사를 드립니다.2008년 2월김 혜 란


국문초록필자가 요셉의 집에 부임한 것은 2004년 2월이었다. 당시 요셉의 집의 상황은10년간의 미인가 시설을 끝내고 인가를 받고 건축을 하여 생활동, 사무동, 강당 등이 완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교사 중심으로 운영되다보니 장애인들의 케어가 미인가 시설의 모습 그대로 였다. 장애인 중심의 시설을 위해 재활프로그램의 설치를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이웃을 섬기는 주님의 정신을 실천해 보고자 하였다.재활프로그램의 설치는 장애인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일로 주님이 성서를 통하여 가르치신 일이다. 교회는 섬김의 공동체이다. 교회공동체의 성서적 의미는 하나님의 인류 구속사업에의 섬김을 위해 부름 받은 예수 그리스도의 종말론적인 공동체로서 그의 가르침과 삶을 지금 여기에서 살고 실천하는 이들의 모임임을의미한다. 교회는 섬김의 공동체로서 바르트와 몰트만, 본 훼퍼도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구속사역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교회의 일로 규정하고 있고 우리의 교회의 역사는 그것을 증거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을 장애로 인하여 생활에 지장을 받는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나 장애개념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의 현황은 2007년 3월말 현재 2,010,595명에 이르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교회의 관심은 매우 미미한편이다. 예수님의 주변에는 항상 장애인들이 몰려들었으나 교회는 그렇지 못하다.정부는 장애인 정책에 발전을 하고 있으나 교회는 뒤떨어져 가고 있다. 중증장애인은 장애 등급 2급 이상의 장애인들을 일컽는 말인데 최근에는 중증장애인의 재활문제도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장애인의 재활은 장애인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하도록 재적응하는 것을 의미한다.재활계획에서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 재활서비스는 의료, 교육, 사회 ․ 심리, 직업재활이 있다. 재활서비스 방법은 사례관리, 일상생활 훈련, 사회적응훈련 등이다. 구조의 변화는 조직발전 이론에 근거하였다.이에 따라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먼저 직원들과 방향토의를 거쳐 생각을 모으고,장애인 시설평가 지표를 배포와 필독 도서독후감의 제출, 우수시설의 탐방, 설교을통해 재활의 내용을 알려주고 비젼을 공유하였다. 팀장회의를 구성하여 변화를 위한 교육과 훈련들을 담당하게 하고 년 간 계획을 세워 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조직을 정비하고, 후퇴하는 직원들이 없도록 요셉의 집 케어지침과 윤리강령을제정하였다. 결과는 생활인들의 많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시설평가에서도 미흡에서 양호로 좋은 결과가 나왔다. 배운 점은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시설은 운영하신다는 사실이고 약자의 최고의 후원자는 하나님이시라는 사실이었다.- ii -


차례표차례..............................................................................................................................................................................................................................................ⅰ국문초록......................................................................................................................................................................................................................................ⅱ차례.................................................................................................................................................................................................................................................ⅲⅠ. 상황과 도전.............................................................................................1A. 현재상황................................................................................................1B. 이상적 상황...........................................................................................5C. 장애요인................................................................................................7D. 도전.....................................................................................................10Ⅱ. 이론적 기초A. 섬김의 공동체로서의 교회....................................................................121. 성경적 기초.........................................................................................12a. 구약에서의 섬김의 공동체로서의 교회..............................................121) 율법서에서의 섬김..........................................................................142) 에언서에서의 섬김..........................................................................17b. 신약에서의 섬김의 공동체로서의 교회..............................................201) 복음서에서의 섬김..........................................................................212) 예수와 섬김.....................................................................................243) 바울서신과 섬김..............................................................................262. 신학적 기초 - 섬김의 교회론..............................................................283. 역사적 기초.........................................................................................33a. 초대교회............................................................................................33b. 20세기세기...............................................................................................35c. 한국교회............................................................................................37- iii -


4. 경험적 기초.......................................................................................38B. 단어 연구 - 장애인............................................................................401. 장애인의 정의....................................................................................40a. 장애인 호칭......................................................................................40b. 관련법에 따른 정의..........................................................................41c. 외국의 장애인의 정의......................................................................442. 장애인의 현황....................................................................................483. 장애인과 성서....................................................................................49a. 구약에서의 장애인...........................................................................49b. 신약에서의 장애인...........................................................................524. 한국교회의 장애인 선교 ...................................................................545. 장애인에 대한 교회의 의식................................................................566. 국가의 정책........................................................................................57C. 중증장애인...........................................................................................601. 중증장애인의 정의.............................................................................602. 중증장애인 요양시설과 재활..............................................................61Ⅲ. 변화이론A. 장애인 재활 프로그램........................................................................651. 장애인 재활의 이해..........................................................................652. 사정과 재활 프로그램의 계획...........................................................69a. 사정................................................................................................69b. 재활계획의 수립.............................................................................713. 장애인 재활 서비스의 종류..............................................................71a. 의료재활.........................................................................................71b. 교육재활.........................................................................................73c. 사회 ․ 심리재활..............................................................................74- iv -


d. 직업재활.........................................................................................764. 장애인 재활 프로그램의 방법...........................................................77a. 사례관리(CaseManagement).........................................................77b. 일상생활 훈련(Activitiesof Daily Living)....................................81c. 사회적응훈련...................................................................................83B. 구조변화 이론......................................................................................851. 해빙단계...........................................................................................872. 변화이론...........................................................................................873. 재결빙단계........................................................................................87Ⅳ. 타개책....................................................................................................89A. 비전 제시...........................................................................................891.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방향 토의.....................................................892. 장애인 생활시설 평가지표 배포.......................................................923. 기초도서 읽고 독후감 제출하기.......................................................934. 우수시설 탐방..................................................................................945. 설교.................................................................................................95B. 운영위원회 구성................................................................................98C. 재활프로그램 개발 및 강화...............................................................991. 재활프로그램을 위한 교육.............................................................1002.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생활재활팀 문서 작성 및 관리 훈련..........1043. 생활재활팀 조직정비......................................................................1104. 년간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112D. 규범 만들기.....................................................................................117Ⅴ. 평가.....................................................................................................122A. 평가.................................................................................................122- v -


B. 논문의 특징.....................................................................................123Ⅵ. 배운점..................................................................................................125참고문헌.........................................................................................................1부 록 ............................................................................................................61. 2004년 장애인시설평가지표..................................................................62. 사업평가..............................................................................................11ABSTRACT.................................................................................................25- vi -


ǀ. 상황과 도전본장에서는 필자가 섬기고 있는 중증장애인 요양시설 요셉의 집이 위치한 지역상황과 현재 시설의 상황, 본시설이 지향해 나가고자 하는 이상, 이 이상을 실현 시키는데 있어서 거침돌이 되는 장애요인, 그리고이런 장애요인들을제거하고 온전한 기독교 장애인 시설로 나가기위한 목회적 도전들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지역적 상황과 시설의 상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A. 현재의 상황1. 시설의 상황요셉의 집은 1985년 고황화자 전도사가 그동안 살펴오던 장애인들을 위한 장애인공동체 건축을 위해 모금운동을 시작함으로 그 단초를 열었다.1989년 4월5일 경기도 양주군 연곡리에 조립식 주택 1동을 지어 장애인과 그 가족들을 위한 ‘연곡 작은자의 집’을 열고 장애인 가정들이 입주함으로시작하였다.시설을 시작하자마자 한 달이 못되어 장애인 가족들이 입주하여 바로포화 상태가 되었다고 한다. 자원봉사 오신 한 집사님이 이를 보고 건축비를 흔쾌히 내시어 블록 2층 60평을 건축하고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 30명이 거주하는장애인 공동체로 출발을 하게 되었다.이때에 설립자인 황화자 전도사는 ‘작은자 선교회’도 있고 후원금을 마련하기 위해 외부에 계속 다녀야 하는 관계로 살고 있는 장애인들 중 능력이 되시는 분들이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보니 규율도 서지 않고 어려움이 많았다. 직원들의 고용이 없이는 운영이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직원의 고용은 엄두도 낼 수없는 상황이라 살면서 장애인들과 함께 지낼 봉사자들을 세워 장애인들을 돕도록 하고 약간의 사례비를 지불하며 근근이 버티어 나갔다.하지만 장애인 가족의 입주가 늘어나며 독지가의 후원금만으로는 운영이- 1 -


어려웠다.안정적인 생활비용이 공급되지 않고서는 많은 가족을 부양하는 것이불가능하고 장애인들을 잘 모시려고 시작한 시설이 오히려 생활고에 허덕이게될 수도 있었다.이의 타개를 위해서 사회복지법인을 창설하여 국가의 지원을 얻으려 하였으나 복지법인의 인가가 정책적으로 어렵게 되어 있어 늦어지게 됨에 따라 운영에 어려움이 많게 되었다. 이의 해결을 위해 총회에서 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대한 예수교장로회 총회 자선사업재단에 1995년 위탁으로 들어가게 되었다.법인 소속이 됨으로서 1998년 1월 21일 경기도 양주군으로부터 중증장애인요양시설로 30명 정원으로 인가를 받고 국가지원을 받게 되었다. 이로서 본시설은 1급 장애인들로 국가의 지원을 받는 수급자들이 들어올 수 있는 시설이되었다. 그리고 장애인 가족공동생활의 전통은 국가 규정에 따라 장애인만이 거주하는 중증장애인 시설로 변경됨에 따라 정리되었다.같은 해에 2대 원장인 김재신씨가 원장으로 임명되면서 이름을 ‘요셉의집’으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시설이 인가를 받게 되면서 국가의 지원도 받게 되었지만 명실상부 인가시설로서의 시설 확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조립식 건물 2채와 블록으로 지은 60평 건물이 시설이 쓰고 있는 건물이었는데 조립식과 블록이라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더웠다. 그리고, 30명이 쓰기에는 비좁았다. 또한, 바퀴벌레가다니는 등 위생상태가 별로 좋지 않았다. 이러한 시설 여건은 인가시설로서는 사실 최악의 조건을 가지고 있는 터여서 미인가 시설과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처음 목표처럼 장애인들의 온전한 터전을 마련하겠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여건 이었다.이러한 공간 부족의 해결은 2대 원장이었던 김재신씨에 의해 이루어졌다.건축은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일이어서 필요는 있었으나 다들 엄두를 내지 못하였는데 김재신 원장에 의해서 국비 지원을 받고 나머지는 열성적으로 모금하여2001년에 생활관 2층 200평, 사무동 2층 120평을 건축하였고 옛 건물을 허물고 넓은 잔디마당을 마련하여 경관을 좋게 하였다. 2002년 숙원이던 강당 70평도 건축하여 인가시설다운 기틀을 마련하였다. 2002년 4월 7일 정원도 40명으로 증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


현재(2007년 4월)는 지체장애인 19명, 정신지체인 20명 합 39명의 중증장애인과 27명의 교사들이 함께 하고 있다. 남여 비율은 장애인은 여자 14명,남자 25명으로 남자의 비율이 훨씬 높고, 교사들은 남자 10명, 여자 17명으로여성의 비율이 높다. 자격증 소지자는 21명, 없는 교사가 6명이다.본 시설은 그동안 미인가 시설로 9년을 지내오면서 가족과 같이 지내자는 슬로건에 맞게 따뜻하게 생활해 오기는 하였으나 인가시설로서의 전문성을갖춘 양질의 서비스와 이를 위한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었다.그리고 전원장이 사임하게 되면서 1년간의 공석이 생기게 되었는데 이기간 동안 시설은 그간의 규율이 약화되었고 그 여파는 교사들이 추천하는 사람을 원장으로 하여 달라는 연판장이 법인에 올려지고 직원들은 자신들이 시설의주인이라고 할 정도로 법인의 시설에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심각한 상황이 되었다.생활하는 장애인(이하 생활인)들은 교사들의 주도에 따라 먹고 자고 씻고배설하는 등의 기본적인 여건은 해결되나 한 인간으로서 자기의 삶을 살기 위한도움과 훈련, 기회 등을 가질 수 없는 상황이었다. 중증장애인들이기는 하지만한 인간으로서 최저욕구를 해결하는 것으로는 성서에서 말하는 약자에 대한 섬김을 다했다고 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더군다나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시설이이들의 가족이 되어주고 보호자가 되기 때문에 이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있을 때까지 이들을 지원하고 도와 스스로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해 주어야 그 책임을 다 했다고 할 것이다.그리고, 본 시설은 기독교 정신에 의해 기독교인들이 운영하는 장애인을섬기는 기관이다. 장애인들의 신앙의 문제도 함께 해야 하는 조금 더 포괄적인기관이고, 장애인의 섬김에 최선을 다해서 많은 장애인들이 온전한 삶을 살아가는 일에 도움을 주는 시설이 되어야 기독인의 소명을 다하고 선교의 목적도 달성 할 수 있을 것이다.여기에 3년마다 장애인 시설의 상향조정을 위하여 보건복지부에서 행하는 시설평가가 있는데 주요한 평가의 기준은 장애인들의 환경과 서비스의 수준과 운영인데 그 결과로 장애인들이 얼마나 자립상태가 좋아져서 다른 이의 도움을 덜 받는 상위시설로 전원 하였는가를 본다. 평가의 기준은 장애인들이 인간다- 3 -


운 삶을 살기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갖추고 있는지를 세밀한 평가 항목들을 통해보는 것이다. 여기에서 저조한 점수가 나올 경우 지원 지방자치단체에 연락이 되어 여러 가지 불이익을 감수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장애인 시설이 계속해서 혁신을 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려운 조건들을 정부가 만들어 내고 있었다.필자는 부임한 당년 2004년 10월에 2003년의 자료를 가지고 보건복지부의 시설평가를 받았는데 지난 3년 전의 평가보다도 매우 까다로와진 평가였다고 한다. 평가의 초점이 장애인의 재활 프로그램에 있었다. 결과는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것이었다. 주요한 감점요인은 2003년까지 중증장애인 시설로 주로 장애인들의 의식주의 케어에 집중해 있었기 때문에 시설의 재활 프로그램이 없었고 장애인들의 기물 자체가 개별화 되어 있지 않은 것들 때문이었다.필자가 본 시설에 부임한 상황으로는 정부에서 제시하는 수준에 턱도 없이 모자라는 상황이었다. 그것은 중증장애인이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는 교사들의 편견도 있었고이들을 훈련하는 일은 무조건 불가능하다고 믿는 직원들의사고에도 문제가 있었다. 직원들은 중증장애인들을 잘 먹이고 입히고 씻기는 일들 외에 다른 일을할 필요가 있는지 오히려 물었고 그 일을 자신들이 매우잘하고 있다는 오해들을 하고 있었다. 실제는 장애인들의 기물이 개별화 되어 있지도 않을 정도로 기본적인 케어의 조건들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이것은 섬기는 일에 전력을 다해오지 않은, 수혜적인 도움이나 주어온 기독교의 모습이기도 하고 본 시설의 현주소이기도 하였다. 이제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지원들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혁신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었다.이에 본 시설은 장애와 병으로 인해 사람들이 자신의 삶의 터전을 떠난사람들을 귀신을 내어 쫓고, 병과 장애를 고쳐 주시고 죄를 용서하여 자신의 집으로 돌려 보내셨던 예수님의 본을 따라 장애인들이 배척되었던 자신의 집으로,자신의 삶의 터전으로 돌아 갈 수 있도록 재활에 도움이 되는 중증장애인 시설재활서비스 구축을 위한 사역을 하기로 하였다.B. 이상적 상황- 4 -


예수님은 공생애 기간 동안 그의 옆에 모여들었던 많은 이들을 아무런 대가없이 사랑으로 보살펴 주셨다. 시각장애인들은 보게 되었고 지체장애인들은 걷게 되었다. 그리고 죄를 용서 받고 자신의 집으로 돌아 갈 수 있었다. 예수님은세상의 죄인으로 불리워졌던 사람들을 정죄하지 않으시고 온전히 고쳐서 그들의삶의 자리로 돌려보내 주셨다. 예수님의 이웃사랑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의 자리를 찾고 변화가 일어나는 실천에 충실한 것이었다. 그의 말씀은 그에 따르는 행동이 함께 하셨기에 권위가 있었다. 그렇기에 예수님의 복음은 사람들에게 힘있게 전달될 수 있었다.기독교 사회복지 기관인 본 시설의 소명도 여기에 있다고 할 것이다. 본시설의 이상은 다음과 같다.먼저는, 신체적인 건강의 회복이다. 세상에서 중증 장애인은 아무 일도할 수 없다고 인간으로서의 의지를 제한 당하는 이들이다. 재활 프로그램은 장애인들에게 장애로 인하여 느리기도 하고 제한이 많기는 하지만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들을 장애로 인하여 할 수 없다는 패배의식에서 점차로 자신을 이겨내도록도움을 줌으로 신체의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의 의지를 준다. 누워있던 사람들은 일어나고,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던 사람들은 무엇이나 할 수 있다고 믿게된다. 스스로 움직이고 훈련하여 할 수 있는 한 자신의 몸의 움직임을 유지하고자신의 신변처리를 스스로 처리 해냄으로 가능한 자립한다.둘째는, 생활영역에서의 자기결정권의 확대이다.시설 장애인으로 산다는 것은 보통사람들이 누리는 사회생활의 모든 것을 접고 시설이라는 작은 집단에 분리 수용됨을 의미한다. 재활 프로그램은 이러한 분리된 장애인들의 삶의 영역을 부수고 우리 사회 속에 함께 함이다. 생활인들은 시설이 가정으로서의 역할은 하나 자유롭게 인근지역의 시장과 영화관, 학교, 지역 사회와 교통함으로 자신의 삶의 반경을 스스로 결정한다.셋째는, 정신의 회복이다. 장애는 사람의 몸만이 아니라 척박한 삶의 조건으로 말미암아 그 마음도 다치게 마련이다. 스스로 만이 아니라 주변을 통해서중증장애인은 불쌍하고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사람으로 불리워진다. 그러나 재활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이 불쌍한 사람이 아니라 무엇이든 이룰 수 있는 사람임을작은 성공들을 통해 키워 나가고 느리고 제한적이라도 세상을 향한 도전을 시작- 5 -


하는 것이다. 그것이 사람들의 기준에서 볼 때 큰 것이 아니더라도 대단한 일이아니더라도 하나님을 믿고 담대히 나아가는 것이다. 이 과정들을 통해 각자에게복음이 들어가 그들 마음속의 상처와 죄들이 치유를 받아 새로운 마음, 새로운영으로 거듭나 장애를 오히려 소명으로 여기고 우리 사회의 한 사람으로 또한온전한 하나님의 사람으로 거듭남이다.이것을 사회복지 시설에서 구체화 하려면 사회복지 실천 과정을 거치게된다. 미국의 사회복지협의회는 1992년과 1994년 2회에 걸쳐 사회복지 실천의목적을 정리하고 있다. 이는 일반 사회복지실천 모델에 맞추어 사회복지대학 학부 학생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인데 다음의 4개 항목으로 정리 된다.(1) 개인, 가족, 집단, 조직 그리고 지역사회가 목적을 달성하고 고통을 완화 시키며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서 이들의 사회기능을 촉진, 회복, 유지, 향상 시키는 것이다.(2)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족시키고 인간이 갖고 있는 잠재력 및 가능성 개발을돕기 위해 필요한 사회정책, 서비스, 자원, 프로그램을 계획, 공식화, 시행하는 것이다.(3) 곤궁에 처한 집단에게 힘을 실어주고, 사회적, 경제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조직, 행정적 옹호와 사회정의적 운동을 통해 정책, 서비스, 자원, 그리고 프로그램을 추구하는 것이다.(4) 이러한 목적과 관련된 모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고 시험하는 것이다. 1)여기에서 말하는 사회복지 실천의 목적은 결국 인간 삶의 향상을 말하는것인데 사회정의를 위해 약자에게 변화 초래의 권한을 부여해 주는 적극적인 접근까지를 포함하고 있다.기독교사회복지는 예수님의 이웃 사랑의 정신과 실천을 가져올 수 있는전문적인 사회복지기관으로서 전문적인 가치와 과정들을 가지고 사회복지 실천1) 양옥경, 김정진, 서미경, 김미옥, 김소희, 『사회복지실천론』(경기: 나남출판사, 2005년) 32-33쪽- 6 -


의 목적인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계획적인 변화의 과정들을 가져올 수 있는 전문적인 기관이 되어야 한다.중증장애인 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자신들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들을 회복하고 자신의 삶을 변화할 수 있는 소망을 가짐으로 장애 아래에 있으나 한 인간으로서의 자신의 삶을 시작할 수 있어야 한다.그리고 이러한 일을 가능하게 하는 기독교적인 섬김의 정신과 사회복지전문가의 마인드를 가지고 헌신할 수 있는 인력들이 있고 이들이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씨스템이 있어야 장애인을 위해 전심으로 노력할 수 있다.요셉의 집의 이상은 직원들이 기독교 사회복지마인드에 무장하여 위의네 가지의 사회복지 실천 시스템이 실현되는 재활 프로그램이 가동되어 요셉의집에 들어오는 어떤 중증장애인들이든 예수님과 같이 그들이 스스로 설 수 있도록 변화가 일어나도록 돕는 역할을 충실히 하여 이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게하는 것에 있다.C. 장애요인1. 직원들의 신앙과 복지 마인드의 결여대다수의 교사들이 장애인들에 대한 헌신성이 없을 뿐아니라 사회복지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복지 마인드는 찾기 어려웠다. 단지 유일하게 할 수있는 돈벌이 마지막 장소라는 생각 외에는 장애인들에 관심이 없었다. 또한, 직장인으로서의 기본적인 자세와 윤리도 훈련되지 않아 윗사람 눈치나 보고 적당히 시간을 때우는 데만 관심이 있고 사회복지 기관의 기본 덕목인 헌신과 장애인에 대한 관심들은 말뿐이지 찾기 어려웠다.여기에, 원장의 1년간의 공석으로 인해 시설의 규율이 엉망인 점이다. 직원들이 대다수가 지각을 하였고 어떤 직원은 아예 출근시간 1시간 후에 오는 것이 습관화 되어 있었다. 근무시간 변경을 직원이 운영자의 재가 없이 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운영자의 업무명령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지 않았다. 직원들은 그- 7 -


동안 겪은 문제 상황 때문에 매사에 부정적이고 장애인들을 돌보는 일보다는 자신들끼리 몰려서서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나누는 일에 더 열중하고 있었다.모두가 교회를 다니는 교인들이었으나 기독교적인 영향을 시설에 주고 있지는 못하였다. 기독교적인 소명감에 의해 일하는 직원도 없었고, 장애인에 대한특별한 관심이나 이해도 적었다.2. 사회복지 실천과정에 대한 무지와 비공식 의사소통 채널로 인한혼란과 무질서교사들의 대다수가 사회복지 교육이 되어있지 않았다(2004년 자격증 소지자 5명). 이것은 미인가 시설처럼 장애인들의 케어는 거의 주먹구구식으로 교사들의 개인적인 판단과 방법에 맡겨져 있었고 교사의 통제에 따라서 장애인들의 하루 일정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인들의 자기 결정권이나 욕구 등은무시되기 쉬운 체제인 것이다. 장애인들이기 때문에 선생님이 모든 것을 판단해서 해주면 되는 것이지 잘 알지도 못하는 장애인들에게 뭐 하러 물어보는가라는장애인들의 능력에 대한 편견들이 심했다. 이상한 일은 그럼에도 교사들은 자신들이 매우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케어 방법의 통일성이 되 있지 않은 것에 대해서 지적하고 장애인의 케어가 사람마다 다른 것은 클라이언트중심인 케어가 아니란 것을 설명하니 알기는 알겠지만 현장에서의 자신들이 하고 있는 방법들이 현실적이란 생각들을 하며 변경하려 들지 않았다.그럼에도 사회복지를 기초로 하는 전문적인 케어를 들고 나왔을 때에 매우 난감해 하고 두려워하여 이유를 몰랐는데 필자가 말하는 용어조차 이해하지못하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직원들이 사회복지에 대하여 전혀 아는 바가없는 직원들이 많았고 전문대를 졸업한 직원들도 개념들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있는 등 훈련이 잘되어 있지는 않았다.그리고, 본 시설은 공식적인 채널 자체가 없어 왔는지 상하, 직원간의 업무 소통은 잘 되지 않아 업무의 효율성이 없고 공식화된 규칙도 없었다. 따라서공식적인 명령들이 비공식채널인 직원들끼리 개인적인 차원에서 하는 여러 의견들과 소식들을 통해 전달되어 공식적인 채널 밑으로 흐르며 꼬리에 꼬리를 물고- 8 -


확대 왜곡되어 운영에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어느 조직이든 효율성을 가지려면 공식적인 의사소통 채널이 잘 소통되고 있어야 상하 간에, 직원간의 쓸데없는 오해와 업무적인 혼선이 없이 업무를처리할 수 있다.공식적인 채널을 이용하라고 자리를 마련해 주어도 직원들은아무 말도 의견개진도 없지만 비공식 의사소통채널을 통해 넘쳐나는 소식들을듣기 위해 업무시간에도 이런 이야기를 하느라 업무에 방해가 심하였다. 이일은우선, 업무에 효율성을 해치고 둘째는, 모든 직원들의 의견이 음성화되는 등 부작용이 심하여 반드시 개진되지 않으면 안 되는 사안 이었다.3. 재활프로그램의 부재사실 기독교 사회복지 시설들은 기독교 정신 -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을 행하는 기관들로 사람들에게기독교의 구체적인 모습들을 보여주는 기관들이라고 생각한다. 이로 인해 사람들로 하여금 복음을 심을 수 있는 양질의 밭을 가는 선교의 소중한 기관들이라고본다. 따라서 기독교 사회복지 기관들은 사회복지에서 말하는 양질의 서비스와사람들의 재활을 위해 필요한 최고의 지원을 할 수 있는 조건들을 갖추고 장애인들이 장애를 딛고 자신의 삶을 살아가도록 지원하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것이 소명일 것이다.본 시설은 무엇보다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장애인들을 돌보고 헌신하기위해 이 시설을 시작하여 이제까지 왔으나 이제 그 맥이 끊길지도 모르는 위기에 처해 있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은 다시 처음의 정신을 살리는 일이었고무너진 질서를 회복하는 일이었다. 그리고 인가시설로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이었다.양자를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기독교 정신과 이에 근거한 사회복지 마인드를 강화하는 일이 우선이어야 하였다. 어떤 일이든 그 일에대한 자신의 이해와 생각이 없이는 자신의 일에 대한 헌신성은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은, 이것에 근거해 양질의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만드는 일이다.- 9 -


그동안 시설의 재활프로그램의 설치가 어려웠던 점은 1. 교사들이 사회복지를 공부한 인원이 적어 사회복지실천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없었고 -2004년자격증 소지자 5명,2. 운영자들도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가 적어 하고자 하는열의는 있었으나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적인 역량 자체에 모자랐던 것으로 보여지며, 3. 이제까지 공간 마련 등 기본적인 조건의 마련을 위해 동분서주 하다보니 실제적인 서비스에 있어서는 미인가 시설의 형태로 해왔던 관습들을 극복할 여력이 없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그것은 사회복지 역량의 전문적인 축척의 취약으로 나타나고 그 결과는 시설운영이 원장의 공석기간 동안 파행으로 가는 일을 겪게 되었던 것으로 본다.재활서비스의 구축의 시급성은 3년마다 있는 시설 평가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것이 사회복지 시설이 장애인들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질의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느냐와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에 근거한 케어가 이루어지고 있는가가 주요한 평가의 기준이었고, 평가의 결과는 앞으로 국가의 시설지원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많아 시설 시스템의 변화는 선택의 사항이 아니라 사활이 걸린 문제였다.D. 도전이러한 장애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시설은 ‘중증장애인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의 설치’라는 프로젝트를 계획하였다.이를 위해 구체적인 계획들은 우선은 이를 추진할 중간간부들인 팀장들의 ‘팀장회의’를 만들어 이들이 우리 시설에 적절한 프로그램들을 조사하고 연구하여 계획을 만들기로 하였다. 또한 이들이 리더가 되어 교사들을 훈련하고 지도하며, 재활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수립하고 평가하여 계속적인피드백이 이루어지게 하였다.구체적인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1. 앞으로 다시 있을 평가에 대비하여 3년에 걸쳐 중증장애인 재활프로그램을 본 시설에 설치하는 것을 운영 목표로 하여 이를 위한 중단기 계획을 기획한다.- 10 -


2. 직원 교육 강화 : 직원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교육에 중점을 두기로 한다. 팀장을 통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생활재활교사들이 재활프로그램에 대해 지식이 부족한 관계로 이를 위한 일체의 교육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재활프로그램을 위해 필요한 지식 습득을 위한 필독도서 선정과 프로그램 시행에필요한 서류작성 훈련과 프로그램 운영 및 계획 방법 훈련, 직원들의 기본적인사회복지 이해를 위해 사이버 대학을 통한 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독려, 마인드강화를 위해 직원 예배 강화와 사회복지사 윤리 강령 등에 대한 숙지 등을 실시하기로 하였다.3. 효율성과 의사소통에 원활을 위한 조직 재정비 : 장애인들에 대한 교사들의 업무 책임과 효율성을 위한 반 재배치 등과 공식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조직을 재정비 하기로 한다.4.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공간 마련 및 환경 정비 : 숙소 외에는 공간이없는 현재의 상황을 3년간의 회기 안에 재활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여보다 전문화된 여건을 마련하고, 환경도 장애인의 생활 활성화와 자립을 위한 환경으로 정비한다.5. 재정적인 지원은 도에서 주고 있는 재활사업 프로그램비를 사용한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직원들을 훈련하고 중증장애인을 위한 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중증장애인들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찾아가고 자신의 삶을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 일은 더 나아가서는 세상을 향해 일하시는 하나님 선교이고 이를 통해 교회의 하나님 사랑의 구체적인 모습을 사람들에게 인식시키므로 선교의 문도 열어갈 것이라 믿고 실천하기로 하였다.- 11 -


Ⅱ. 이론적 기초A. 섬김 공동체1. 성경적 기초a. 구약에서의 섬김의 공동체교회를 의미하는 에클레시아는ָ 히브리어 의‏(קָחלֶַ)‏카알 번역으로서 70인역에서는 거의 100번 가량 사용하고 있다. 2) 이 단어의 기본적인 의미는 "부른다“라는 말에서 만들어진 말로서 ”의논하기 위해 소집된 공동체“라는 뜻이다. 구약에서 카알이 가장 중요하게 사용된 것은 하나님과 이스라엘이 계약을 맺을 때호렙산 위에서 하나님 앞에 모인 이스라엘 회중을 말한 경우일 것이다.(신 4 :10, 9 : 10, 10 : 4, 18 : 10) 이들은 하나님의 율법을 듣고 그를 예배하기 위하여 모이며 거기에서 그들은 야훼 하나님이 그들의 하나님이요 자기들은 그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계약 관계에 있음을 알게 된다. 3)‘카알’은 이와 같이 부름받은 회중들을 의미하는 말이나 좁은 의미에서는 이스라엘인 중에서 특히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특정 무리를 말하고, 넓은 의미에서는 야훼 하나님의 인류를 위한 구속사역에 있어서 이스라엘 민족을 인류의 대표로 뽑아 그들과 계약을 맺어 그들이 야훼 하나님의 구속사역을 맡게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4)‘카알’은 하나님의 인류를 위한 구속사역을 위해 부름을 받은 하나님의계약 백성 곧 이스라엘 민족을 의미했다. ‘이종성’은 “구약성서 기자는 야웨 하나님이 인류를 구원함에 있어서 이스라엘 민족을 세우시고 그 민족을 인류의 대표로 뽑으시고 그들과의 계약관계를 맺음으로서 그들을 통해 인류구원의 대 성업2) “교회”, P.S. Minear, 기독교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역편,『기독교대백과사전』제2권, (서울 : 기독교문사, 1990년), 19쪽.3) 위의 책, 19쪽 참조.4) 이종성, 『교회론 1』(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9), 30-31쪽.- 12 -


을 성취하셨다고 본다.” 5) 인류구속의 대 성업은 먼저 노아에게 주셨고, 아브라함에게는 더욱 분명하게 표명하셨고, 다윗과는 영원한 계약을 맺음으로 이스라엘민족이 전 인류를 위한 구속사적 위치에 서있게 되었다고 확신하는 강한 구속사적 소명의식을 가지게 되었다고 6) 하였다. 이와 같이 이스라엘 민족의 특별한 의미는 그 역할에 있었다. 하나님의 인류 구속사역을 위한 섬기는 자로서의 이스라엘 민족을 말한다. 그러면 이스라엘 민족에 있어서 ‘섬김의 의미’는 무엇인지 단어의 의미로 살펴보겠다.이스라엘 민족에 있어서 ‘섬김’을 의미하는 단어는 히브리어 ‘아바드’이다. 단어의 뜻은 ‘봉사하다’, ‘섬기다’, ‘일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구약성경에 1000차례 이상 등장하는 단어인데(창 24 : 40, 출 28 : 1, 삼상 2 : 18, 왕하 32 : 14 등) 하나님 섬김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말이다. 7) 단어의 용례대로의 의미를 보면, 첫째는, 야곱이 두 아내를 얻기 위하여 삼촌 라반에게 봉사한경우(창 30 : 26 - 29), 요셉이 애굽의 총리대신이 되어 바로 왕을 섬긴 경우(창 41 : 46), 이스라엘 백성들을 노예로 삼아 고역으로 그들을 괴롭힌 바로 왕같이(출 1 : 14) 8) 종이 주인을 섬기는 것과 같이 절대적이고 온전한 섬김을 의미한다. 둘째는, 제사장들의 하나님 앞에서의 성전과 성막과 제단에서 드리는 일들을 이 단어로 쓰고 있는데, 이것은 모세에 의하여 시작된 회막의 봉사를 레위자손들로 하여금 이 일에 헌신하게 한 일(출 32 : 29)과 관계되어 있다고 한다.이들 레위지파로부터 제사장 제도가 시작되었으며, ‘여호와 전에서 수종드는’ 책임을 맡게 되었고(대상 23 : 32, 민 8 : 11, 15) ‘회막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대신하여 봉사하게’ 되었다. 9) 여기서의 섬김은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사람들을 대신한 전적이고도 책임있는 섬김을 말한다.이와 같이 하나님의 이스라엘 민족의 부름은 하나님의 인류을 향한 구5) 위의 책, 21쪽.6) 위의 책, 21-22쪽.7) 이금만,“디아코니아(δικονία)영성교육방법 연구,” 『기독교논총』제8권 (기독학교 2002), 219쪽.8) “봉사,“ 성서백과대사전편집위원회 역편,『성서대백과사전』, 제4권(서울 : 성서교재간행사, 1982년), 117쪽.9) 위의 책. 117쪽- 13 -


속사역에 온전하고도 절대적인 섬김, 전적이며 책임 있는 대표성이 있는 섬김을위한 것이라 하겠다.하나님의 인류 구속사역에의 섬김을 자신의 역할로 하는이스라엘 민족의 이러한 독특성은 모세와 이스라엘 민족이 시내광야에서 맺었던십계명으로 대표되는 계약법(출 20 : 24 - 23 : 12)에 그 구체적인 모습들이 잘나타나 있다.1) 율법서에서의 섬김계약법의 주요한 내용은 첫째는, 이스라엘 민족 전체가 하나님 야훼 신외에 어떤 다른 신도 섬길 수 없다는 것이고, 둘째는, 이웃에 관한 법으로 특별히 사회적인 약자들 - 종과 여자들과 과부와 고아, 가난한 이들과 떠돌이 나그네 - 에 대한 보호와 그들의 권리 보장에 관한 사항들이다.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법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종들의 경우를 규정하고 있는데 종이 된 히브리인들의 경우 일곱 해가 되는 해에 몸값을 치름이 없이 다시 자유를 얻을 수 있게 해 준 규정이나, 종이 아내와 자녀를 데리고 왔으면 함께 자유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자신을 팔아종이 된 히브리인들이라도 자유인으로서의 권리를 다시 복권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여종의 경우도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 여종을 샀을 경우 아내에게 해야 하는 의무를 지도록 하여 함부로 대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출 21 : 1 - 11) 10)또한 그 주인이 때려 눈을 멀게 하거나 이를 부러뜨리면 그 댓가로 자유를 주게 하였다.계약법은 가진 것이 없어 자신을 팔아야 할 정도로 가난한 이들이 가난으로 인해 자유인의 지위까지를 영원히 박탈당하지 않도록 일곱 해 후에 대가없이 다시 자유인의 지위를 회복하게 함으로서 가난한 이들의 인간으로서의 권리들을 보장하고 있다.10) Martin Noth, 『출애굽기』, 국제성서주석 2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1993년) 212쪽 참조. 남종에 관한 규정은 남종은 6년 후에 해방되지만 여종은 해방되지않는다. 이러한 차이점의 근거는 남자만이 인격이고 여자는 소유물이라는 관점에 있는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나중에 신명기 율법은 이러한 차이점을 제거 하고 있다(신명기15, 120- 14 -


또한, 약자인 이스라엘 사회에 몸 붙여 사는 나그네와 과부, 고아에 대하여서도 특별히 규정하고 있다. 나그네의 경우 너희도 이집트 땅에서 몸 붙여살던 나그네였던 것을 기억하여 이들을 학대하고 억압하지 말라고 규정하고 있다.(출22:21-22) 11) 과부와 고아는 이들을 괴롭히면 안된다는 전제하에 매우 강력한 규정을 하고 있는데, 그것은 그들이 나에게 부르짖으면 나는 반듯이 그 부르짖음을 들어 주겠다고 하며 나는 분노를 터뜨려서 너희를 칼로 죽이겠다 그러면 너희 아내는 과부가 될 것이요, 너희 자식은 고아가 될 것이라 하였다.(출22: 23-24) 12)가난한 자들에 대해서도 여러 곳에서 이들에 대한 보호규정들이 있다.22장 25-27절에 “너희 가운데서 가난하게 사는 나의 백성에게 돈을 꾸어 주었으면 너희는 그들에게 빚쟁이처럼 재촉해서도 안되고 , 이자를 받아서도 안된다.너희가 정녕 너희 이웃에게서 겉옷을 담보로 잡았거든 해가 지기 전에 그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그가 덮을 것이라고는 오직 그것뿐이다. 몸을 가릴 것이라고는 그것 밖에 없는데 그가 무엇을 덮고 자겠는냐 그가 나에게 부르짖으면 자애로운 나는 들어줄 수밖에 없다.” 13)레위기 25:35-37에도 가난한 이웃에 대하여, “ 네 동족이 빈한하게 되어내 곁에 있거든 너는 그를 도와.....(중략), 너는 그에게 이식을 위하여 돈을 꾸이지 말고 이익을 위하여 식물을 꾸이지 말라.” 14)11) 위의 책, 223쪽. 몸 붙여 사는 사람이란 자기 혈족과 종족을 떠나서 어떤 개인이나 공동체의 보호에 의존되어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여기서의 학대는 경제적인 착취를 의미하는 것 같다.12) 위의 책 223쪽. 이방인과 더불어 과부와 고아도 이 정언법의 보호를 받는다.그들은 남편이나 아버지의 보호를 받을 수 없는 까닭에 그들의 노동력이 무자비하게 착취를 당하든지 하는 억압에 맡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13) 위의 책 223 - 224쪽. 고대 근동 사회에서 교역과 상업에 있어서 이자를 받는 것은 통례였으나 가난한 동포와의 거래에서는 이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이웃으로부터외투를 담보 잡는 것도 제한되어 있었다. 여기에서도 가난한 자가 고려되었다. 외투는 저녁의 잠잘 때에 그의 이불의 구실을 하는 것이므로 저녁이 되기 전까지 돌려주어야 했다.14) Martin Noth, 『레위기』, 국제성서주석 3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 235쪽, 옹색하게 된 동족에 대한 배려에 관한 본 단락의 내용은 특히 경작지를 소- 15 -


출23장 6절 에는 “ 너희는 가난한 사람의 송사라고 해서 그에게 불리한판결을 해서는 안된다.”하나님은 가난한 이들이 그들의 생존권인 마지막 물건까지 빼앗는 것을매우 좋지 않게 여기셨고 고아와 과부들의 울부짖음에 매우 민감한 분으로 말씀하시고 있다. 이들이 하나님께 괴로움으로 부르짖을 때에 하나님께서 친히 치시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시고 있다.(출 22 : 21 - 27)(23 : 9)이스라엘 공동체가 제정한 땅을 담보로 잡았던 자가 원래의 주인에게 땅을 돌려주어야 하는 희년법이나, 생존의 수단이 결여되어 경제적으로 약자인 나그네와 과부와 고아들을 위한 십일조(신14:28-29, 26: 12-15) 15) 등도 하나님이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 공동체에게 원하시는 일들이 사회적 약자를 섬기는일이란 것을 알 수 있다.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계약법의 상당량은 사회적인 약자들의 관한규정들로 되어 있고 율법서의 다른 기록들도 이러한 계약법의 규약들을 지켜가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이스라엘 민족에게 있어서 하나님을 잘 섬기는가장 근본이 되는 규약들로 이스라엘 사회가 약자들의 관한 문제를 얼마나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김옥순’은 구약성서의 섬김은 그 강조점이 일반적으로 인간들 사이의 관계의 규율에 놓여 있기보다는 주로 종교의식적인 의미와 관련해서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그 비중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때의 하나님을 섬기는일로서 하나님 앞에서의 종교 의식적인 행위는 특히 계약법에서는 약자를 위한보호와 정의실천과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 16) 고 하였다.유하지 못한 손님이나 식객을 생각한 것이다. 어떤 것을 꾸어 주든지 이자를 받는 것은금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자, 부가물’은 돈을 꾸어 준것에 관계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양식을 꾸어 준 것에 관련된다.15) 장일선, 『신명기』,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5권, (서울 : 기독교서회,1993년), 270쪽, 제3년의 십일조는 중앙성소에 바치지 않고 가까운 성읍에 비치했다가자선용품으로 쓸 수 있게 했다. 이 경우는 예배자가 먹는 것도 아니요 성직자를 위해 봉헌하는 것도 아닌 완전히 구제사업을 위해 바쳐지는 것이다. G. V. Rad, 『레위기』, 국제성서주석 3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 104 - 105 쪽.16) 김옥순, “ 교회와 섬김 : 교회의 본질로서의 섬김,”『기독교 사상』제489호(1999. 9): 20쪽- 16 -


하나님의 인류의 구속사역은 약자들의 권리가 인간들 사이에서 침해되지않으며 그들이 하나님의 공동체 내에서 또 하나님의 피조물인 인간 사회 안에서차별되거나 가난에 허덕이지 않는 삶을 유지하게 하는 일이 반드시 있어야 함을알 수 있다. 레스리 호프(hope)는 가난한 자들에 관한 하나님의 관심을 두 가지로 언급하고 있다. 첫째는 가난한 자들에게 돌아 갈 이익을 부자들이 탈취하지못하게 하는 것이며, 둘째는, 부자들이 그들의 재산을 가난한 자들과 나눌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17)이스라엘 민족에 있어서 사회적 약자들을 섬기는일은 곧 하나님의 일이며 하나님을 섬기는 일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힘없고 가난한 이들이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서 그들의 권리가 침해 받거나 학대당하지 않는소극적인 일 뿐만이 아니라 이들의 가난과 힘에 의하여 그들의 생존권가 권리가유린되지 않는 보다 적극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고 하겠다.2) 예언서에서의 섬김이사야서 58 : 6-7에서 이사야는,“나의 기뻐하는 금식은 흉악의 결박을 풀어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주며 압제 당하는 자를 자유케 하며 모든 멍에를 꺽는 것이 아니겠느냐, 또 주린 자에게 네 식물을 나눠주며 유리하는 빈민을 제집에 들이며 벗은 자를 보면 입히고 또 네 골육을 스스로 피하여 스스로 숨지 아니하는 것이 아니겠느냐” 하였다. 18)하나님을 섬기는 일이 일상생활에서 성경의 가르침대로 사회적인 약자를17) 레스리 호프, 나요섭 역, 『성서에 나타난 가난, (서울 : 나눔사, 1992) 17쪽18) C. Westerman, 『이사야 Ⅲ』국제성서주석 3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1992년) ,58장에서는 민족을 향한 구원의 메시지의 일부인 것이 여기서는 이스라엘 사람 개개인을 향한 권고로 되어 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약속하고 이스라엘이 경험한 것은 우리가 자유라고 부르는 새로운 가치로의 실현이다. 이제는 자유를 얻도롣 도와주는 것이 하나님의 마음에 드는 일이다. 여기서부터 인도주의가 제사보다도 중요한 것인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천명하는 대변화가 시작된다. 385쪽.- 17 -


외면하지 아니하고 이들을 돕는 것임을 말하고 있다. 이사야는 참된 일상생활이뒤따르는 예배야 말로 참된 예배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스라엘의 예배를 예배되게 하는 이스라엘 사회 안의 ‘섬김’은 한 마디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섬김이라고 할 수 있다.여기서 사회적 약자들이란 고아와 과부 이스라엘 사회에 몸 붙여 사는이방인들을 말한다. 이사야는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너희가 정의와공의를 행하여 탈취 당한 자를 압박하는 자의 손에서 건지고 이방인과 고아와과부를 압제하거나 학대하지 말며 이곳에서 무죄한 피를 흘리지 말라(1 :23)” 19) ,"선행을 배우며 정의를 구하며 학대 받는 자를 도와 주며 고아를 위하여 신원하며 과부를 위하여 변호하라 하셨느니라(1 : 17) 20) ", 와 같이 하나님의 정의와 공의를 행하는 일, 선행을 행하는 일은 이방인과 과부와 고아를 돕는 일과 관계되어 있다.또한 이 일을 행치 아니한 자들이 하나님 앞에서 화를 면치 못할 것도함께 말하고 있다. "가난한 자를 불공평하게 판결하여 가난한 내 백성의 권리를박탈하며 과부에게 토색하고 고아의 것을 약탈하는 자는 화 있을진저( 10 : 2)","네 고관들은 패역하여 도둑과 짝하며 다 뇌물을 사랑하며 예물을 구하며 고아를 위하여 신원하지 아니하며 과부의 송사를 수리하지 아니하는도다 (1 : 23)"예레미야도 이방인과 고아와 과부의 압제와 불공평한 송사를 하지 않는것이 하나님 앞에서 화를 자초하지 않는 일임을 말하고 있다. “이방인과 고아와과부를 압제하지 아니하며 무죄한 자의 피를 이곳에서 흘리지 아니하며 다른 신들 뒤를 따라 화를 자초하지 아니하면(7 : 6) 21) ”, “살지고 윤택하며 또 행위가19) Otto Kaiser, 『이사야 1』, 국제성서주석 20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1993년), 법과 규정을 관장해야 할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이익에만 염두를 두었다. 도둑들을 재판해야 할 사람들이 도둑과 한 패가 되었고 규정을 수호해야 할 사람들은 규정의무덤이 되었다. 영향력이 없고 재산이 없는 주빈계층들 특히 다른 법률수호자들에게 의존해야 하는 과부와 고아들은 그들의 소송사겅들을 올바로 변호해 줄 사람을 찾지 못했다. 52쪽.20) 위의 책, 이사야는 이스라엘 백성의 율법준수를 하나님이 요구하는 선행의본보기로 언급한다. 이러한 태도는 가장 약한 자들과 과부와 고아들을 보호하는 데에서실증된다. 49쪽.21) J. Bright. 『이사야 1』, 국제성서주석 21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 ,201쪽. 하나의 금령. J. A 톰슨, 『예례미야』상, 반즈 신구약성경주석, (서울 : 크리- 18 -


심히 악하여 자기 이익을 얻으려고 송사 곧 고아의 송사를 공정하게 하지 아니하며 빈민의 재판을 공정하게 판결하지 아니하니(5 : 28)” 22)아모스 역시 힘 없는 자를 학대하며 가난한 자를 압제하는 자에게 이를하나님의 화를 예언하고 있다.사마리야의 산에 있는 바산의 암소들아 이 말을 들으라 너희는 힘 없는 자를 학대하며 가난한 자를 압제하며 가장에게 이르기를 술을 가져다가 우리로 마시게 하라 하는도다 주 여호와께서 자기의 거룩함을 두고 맹세하시되 때가 너희에게 이를지라 사람이갈고리로 너희를 끌어 가며 낚시로 너희의 남은 자들도 그리하리라 (암모스 4 : 1) 23)아모스에 의하면 사마리아는 부자가 가난한자를 짓밟고 압제하는 곳이었다. 하나님은 이들이 가난한자들을 압제했은즉 그의 집과 포도원에서 거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씀하신다.(5 :11) 하나님의 정의는 힘없고 가난한 자가 힘을 가진자들과 부자들에게 유린되거나 이들이 기본적인 생존권을 유린당하지 않게 하는것에 있었다. 가난한 자와 힘없는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은 특별하여 이들의울부짖음은 이스라엘에 심판을 가져오게 하는 일이었다.예언자들은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보호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주신명령이며 규약임을 다시 한 번 확인 하고 있다. ‘박동현’은 “한 사회 안에서 하나님의 평화, 곧 ‘ 모든 이지럼이 없는 상태’를 가리키는 샬롬(shalom)〉이 이루어지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스스로 자신을 지킬 힘이 없거나 약한 사람들을 섬기고그들의 약함을 도와주어야 함을 뜻한다.” 24) 하였다. 하나님을 따르는 사람들은스찬 서적, 1992년) 383쪽, 첫 번째 조건문은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고 다른 4개의조건문들은 주요한 도덕적, 윤리적, 종교적 원리들의 강조점이 두어지고 있다. 이 모든것들은 언약 요구사항의 전체적인 내용에 대한 본질적인 요소들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22) 위의 책, 343쪽. 26-31절 까지는 아갱의 내용들이 기록됨. 악행의 한계의예가 R아의 송사를 거절한 일이다.23) 박철우, 아모스, 오바댜,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1) 158-160 쪽 ,바산의 암소란 사마리야의 부유한 여인들을 말한다. 이들에 의해 저질러진 가난한 사람에 대한 억압과 착취의 죄가 선포된다.24) 박동현, “ 구약성서에서의 사회봉사”, 이삼열 엮음, 사회봉사와 신학과 실천,(서울 숭실대 기독교 사회연구소, 한울, 1992), 123-124쪽- 19 -


사회적 약자를 도와 그 사회가 온전한 상태가 되도록 기여해야 하는 것이 바로하나님을 섬기는 일임을 말한다.b) 신약에서의 섬김의 공동체로서의 교회신약에서의 교회를 의미하는 단어는, “에클레시아(έκκλησία)” 25) 이다.‘이종성’에 의하면, ‘에클레시아’는 ‘카알’을번역한 말이나 본래는 일반적인 모임을 의미하는 말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행전 5: 11, 8:13에 의하면 율법대신에 예수 그리스도의 죄와 회개, 세례, 성령, 약속, 패역한 세대로 부터의 구원 등 새로운 가르침을 받아들여 세례를 받은 사람들의 모임을 교회라 부르게되었다. 이와 같이 “에클레시아”의 성서적인 뜻은, 예수님 자신에 의하여 시작된공동체를 의미한다.그런데 이 교회는 첫째, 어떤 고정적인 규칙에 구속되어 조직된 정적 단체가 아니라 언제든지 삼위일체 하나님과 생동적인 관계를 가질 때 교회가 거기에서 그 사람들과 함께 교회가 형성된다. 둘째는, 교회는 전적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의 소유이로되 어떤 지상국의 권위에 소속되고 존중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이 예수님의 공동체는 종말론적인 공동체를 의미하는데, 롬6:3, 5, 골로새서 2:12을 들어 그리스도의 ‘에클레시아’는 그리스도와 함께 죽음과 부활을 동시에 체험하고 살며, 성령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임재를 재확인하고 그의 재림을보장해 줌으로서 지금은 투쟁을 계속하나 그가 재림하실 때에는 승리의 에클레시아가 된다는 희망 속에서 사는 공동체임을 말한다 하였다. 26)‘이종성’에 의하면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말론적인 공동체로서 그의가르침과 삶을 지금 여기에서 살고 실천하는 이들의 모임임을 의미한다. ‘바울’도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비유하였는데 (골로새서 1:24, 18, 에베소서 1 :22,25) “교회”, P.S. Minear, 기독교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역편,『기독교대백과사전 』제2권, (서울 : 기독교문사, 1990년), 19쪽.26) 이종성, 『 교회론 』Ⅰ,(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 1989) 37쪽 - 42쪽 요약 정리.- 20 -


5:23) 교회가 그리스도와 하나임을 강조하여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이들에게 삶의 잣대가 되는 것은 복음서를 통해 전해진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삶이며 성령을 통해 시간과 시대를 넘어 다시 확증되는 그리스도의 현존이다.이것은 하나님의 성육신 사건과 연계된 교회의 생명력이며 본질이다.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목적은 세상을 향한 섬김에 있었다. 하나님의인류 구원의 사역을 위해 죄의 대속자로서 하나님의 어린양으로 세상을 섬기는종으로서 자신을 십자가에 죽이기까지 온전한 섬김으로 인류의 구원을 위한 새나라를 예비할 수 있었다.성서를 통해 교회의 머리 되시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살펴보겠다.1) 복음서에서의 섬김예수님의 복음전파의 핵심은 ‘하나님의 나라’에 있었다. 마가복음에 의하면 예수님의 첫 선포는, “때가 찼다. 하나님의 나라가 너희에게 이르렀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막 1:15, 마 4:12-17, 눈 4 :14-15) 27) 로서 그의 복음이 시작은 하나님의 나라의 선포에 있었다. 제자들로 하여금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의를 구하라”(마 6 : 33) 28) 고 하신 것이나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도록 기도하게하신 것이나 (6 : 10) 누가복음 8: 1에 예수께서 각 성과 촌을 두루 다니시며하나님의 나라를 전하셨다는 기록이나 예수님이 가르쳐주신 기도에서도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기를 기도하는 기도문을 보아도 예수님의 복음선포의 핵심에는하나님의 나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그러면 이 하나님의 나라의 증거는 무엇인가? 마태복음 11장5절에 보면27) 박수암, 『마가복음』, 창립100주면 기념 성서주석,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1993년),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통치를 말한다. 회개는 전인적인 전향을 의미한다.복음은 일반적으로 초대교회의 설교의 내용을 의미하나 여기에서는 예수님이 전한 기쁜소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146쪽28) E. Schqeizer, 『마태오 복음』국제성서주석 29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1993년),175쪽, 이 단락 전체는 그의 삶 전체의 실행과 더불어 하나님나라를 향해 전념하라는 부르심으로 인관되어 있다. 마태가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언급할 때 그 언젠가모든 일의 끝에 궁극적으로 계시되는 것과 같은 하나님의 법의 지배를 생각하고 있는 것같다.- 21 -


감옥에 갇힌 세례 요한이 제자들에게 예수께서 예언된 그 분인지를 물어보고 오라는 물음에 대답하신 말씀이 5절인데, “ 눈먼 사람이 보고, 저는 사람이 걷고,나병 환자가 깨끗해지고, 귀먹은 사람이 듣고, 죽은 사람이 살아나고, 가난한 사람이 복음을 듣는다.” 29) 였다.하나님의 나라의 도래의 증거는 당시의 사회에서소외된 이들이 고침을 받고 그들에게 복음이 전파되는 것을 세례요한이 요구한그리스도의 표지로 삼았다.예수께서 12제자를 택하여 첫 번째 전도여행을 보내시며 하신 당부 말씀은 " 이스라엘 집의 잃은 양 떼에게로 가거라. 다니면서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고 선포하여라. 앓는 사람을 고쳐 주며, 죽은 사람을 살리며, 나병 환자를 깨끗하게 하며, 귀신을 내쫓아라.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마 10: 6 - 8) 하였다.예수님이 회당에 가셔서 읽은 이사야의 성경귀절은 ,주의 영이 내게 내리셨다. 주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셔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게 하셨다. 주께서 나를 보내셔서, 포로 된 사람들에게 자유를, 눈먼 사람들에게 다시 보게 함을 선포하고, 억눌린 사람들을 풀어 주고, 주의 은혜의 해를 선포하게 하셨다. (눅 4: 18절, 이사야 61 : 1-2)하나님의 나라는 힘없고 병들고 가난한 이들에게 치유와 회복, 하나님의 복음이 전해지는 일이며 억눌리고 포로 된 이들이 풀려나는 것을 말한다. 이일과 함께 주의 은혜의 해가 선포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 나라의 표징은 힘없고 병들고 가난한이들에게 치유와 회복, 하나님의 복음이 전해지는 일이며 억눌리고 포로 된 이들이 풀려나는 것을 말한다.이것은 예수님의 하나님의 나라는 힘들고 가난하고 병들고 억압받고 포로된 이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이들과 분리되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성경에 의하면 예수님의 하나님의 나라은 오히려 이들과 함께 시작한다.예수님의 공생애의 시작의 초두에는, 마가복음 - 더러운 귀신과 많은 사람을 고29) 위의 책, 270쪽, 나병환자의 치유와 죽은자의 부활은 예언자적인 약속과 유다의 대망을 넘어서고 있다. 예수르 통하여 온 가장 위대한 것, 즉 가난한자들을 위한 기쁨의 선포가 강조된 것은 전례가 없던 일이다.- 22 -


치심, 마태복음 - 가난한 지역인 갈릴리에서 복음전도를 시작, 누가복음 - 갈릴리에서 활동 시작, 더러운 귀신들린 사람과 많은 사람을 고치심으로 시작한다.그리고 각성에서 예수님 주변에 몰려들었던 사람들도 이들이다. 예수님이가는 곳마다 이들은 아픈 사람들을 데려오고 예수님을 쫓아다녔다.(마8 ; 1 -13, 9 : 1 - 7, 18 - 34, 12 : 9 - 14, 14 :13-21, 15 :21-39, 17 : 14 -20, 20 : 29 - 34) 예수님의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을 받아들이고 예수님을 메시야로 믿었던 이들도 이들이었다. 예수님은 이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하시며 그들을 고치시고 다시 자신의 집으로 돌려보내셨다.흔히 예수님의 복음은 하나님의 나라의 선포에만 촛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예수님의 복음은 단순한 영혼의 구원이 아니다.‘김지철’은 “이사야 61장에 나타난 인간의 구원이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인간의 전인적, 전체적, 자유와 해방을 의미한다. 인간이 당면한 영적, 육적, 사회적 삶의 총체적 구원이다.” 30) 라고 하였다. 예수님의 복음은 가난하고 힘없고병든 사람들, 귀신들린 이들의 단순한 문제 해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하나님 나라의 성원(마 5 : 3)이며 예수님의 형제, 자매(마 25)로의 부름을의미한다.예수님의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인류구원의 사역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알게 한다.그것은 첫째, 예수님의 첫 복음선포에서 말씀 하신 것과 같이 (막 1: 14- 15) 이제 모든 인간들이 회개하고 하나님의 주권 곧 하나님의 나라의 질서 안으로 들어오는 일이다. 하나님의 나라는 종교적인 한계 안에 있는 나라가 아니다. 인간 삶의 모든 영역, 모든 것이 하나님 앞에 서야 하는 곧 역사의 주재자이신 하나님 앞에 서 있는 것을 말한다.둘째는, 병과 귀신들에 의해 눌림을 받아 고통 아래 놓여 있던 자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만남으로 그 병과 문제를 치유 받았을 뿐만 아니라 죄의 용서를받아 온전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것을 말하다. (막 2 : 1-12) 31) 그것은30) 김지철, “신학성서에서의 사회봉사”, 이삼열편,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서울 : 숭실대기독교사회문제연구소), 137쪽31) J. Gnilka, 『마르코복음 Ⅰ』, 국제성서주석 30-1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 126-127쪽. 이 말씀과 다른 말씀의 차이는 예수의 전권이 직접 선포된다- 23 -


가난한 이들을 억압하고 병든 이들과 귀신들린 이들이 치유함을 받지 못하는 세속적인 질서와 가치관의 삶과는 구별된 것으로 가난한 이들에게도 복음과 치유와 복귀가 일어나며 의무 밖에 없었던 그들의 권리가 존중되는 것을 의미한다.셋째는, 하나님의 나라의 이 모든 일 자체가 거짓된 사탄의 세력들에 의하여 하나님의 질서에 반하는것이 잘 살 수 있는 길이라고 믿으며 하나님의죄악아래 고통 받던 인간들을 위한 하나님의 사랑을 알려 주시는 사건이며, 하나님의 형상이 파괴된 자들을 긍휼히 여기시고 용서하시는하나님의 형상으로의 인간회복 사건이다.하나님 나라의 사역은 곧 교회의 사역이다. 따라서 교회는 이 모두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교회는 예수님께서 그의 제자들에게 위임하신 하나님 나라의 구원 사역을 위한 기관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예수님이 하신 것과 같이 세상을 위한 섬김의 기관이기 때문이다.2) 예수와 섬김예수님은 예수님의 영광 받으실 때에 그 오른쪽과 왼쪽 자리를 탐하는야고보와 요한 형제로 인하여 자리다툼을 하는 제자들에게 대답한 말은 마가복음 10장 42 - 45절이었다.예수께서 불러다가 이르시되 이방인의 집권자들이 그들을 임의로 주관하고 그 고관들이 그들에게 권세를 부리는 줄을 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중에는 그렇지 않을지니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모든 사람의 종이 되어야 하리라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예수님은 이 땅에서의 스스로의 삶의 목적을‘섬김’으로 보았다. 자신의목숨까지도 다른 이들을 위한 대속물로 주기까지 그의 섬김은 온전한 섬김에 있는 점이다. 이 전권의 근거는 지상적 예수의 요구와 그의 죽음이다. 지상의 예수는 하나님 나라를 고지하였으며 죄인들과의 사귐에서 하나님의 사죄를 입증하였다.- 24 -


었다. 그의 삶 전체가 하나님의 인류 구원을 위한 섬김의 삶이었다. 그의 성육신사건과 사역,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고난 모든 것이 인류를 위한 섬김이었다. 그렇기에 그는 제자들이 영광 시에 자기들이 나눌 자리를 가지고 다툼을 하는 것을 보시고 그들이 감당해야 할 역할이 세상 집권자들과 같은 임의로 사람들을주관하고 권세를 부리는 일이 아님을 말씀하시고 있다.(43절)예수님은 스스로를 섬기는 자 곧 종으로서 이 땅에 오신 것을 분명히하시고 있다. (45절) 그리고, 그를 따르는 제자들도 이러한 섬김의 소명의식을갖기를 원하셨다.(43-44절) 이금만은 “예수의 권력은 섬김과 자유이다. 이 섬김은 선교교육자 러셀이 논술한 것처럼 굴종하는 소명이 아니라, 하나님을 돕는 도구가 되기 위한 소명이다.” 32)제자들에게 가르치신 섬김의 말씀은,막 9 : 35절, “ 예수께서 앉으사열두 제자를 불러서 이르시되 누구든지 첫째가 되고자 하면 뭇 사람의 끝이 되며 뭇 사람을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하리라 하시고 ” 예수님은 첫째와 으뜸이 되고 싶은 사람은 뭇사람을 섬기는 사람이 되거나 모든 사람의 종이 되어야 한다고 하셨다.(10 : 44절)‘노영상’은 마가복음의 9 : 33 - 10 : 45을 들어,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섬김의 리더쉽’으로서의 제자도에 대해 설명하셨다. 이 본문에서 예수께서는줄곧 약한 자들로서의 어린아이, 여성, 가난한 자들에게 겸허히 대할 것을 강조하셨다.” 33)그는 “ ‘섬김의 리더쉽’은 소자를 배려하는 리더쉽이라 한다. 힘있고 유력한 이들을 대하는 것과 같이 소자들을 대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적 약자인 어린아이를 진심으로 섬길 수 있는 사람이 진정한 리더가 될 수 있다” 34) 고 한다.그는 섬김의 리더쉽의 특징을 그린리프의 책 『리더는 머슴이다』에서 인용하여,“섬김받는 사람들이 점점 인간다와지는가? 섬김을 받는 동안 더 건강해지고 더자유로워지며 그들도 머슴으로 변하려고 하는가?”라고 하며 섬김이란 마음의 태도만이 아니라 물질이 따르는 섬김이라고 한다. 부자 청년과 같이 가난한 자와32) 이금만, 위의 책, 222쪽.33) 노영상, “섬김의 리더쉽으로서의 제자도”, 『새가정사』(서울 : 새가정사,2006. 12월. 584호), 36쪽34) 위의 책, 38쪽.- 25 -


재물을 나누지 않는 자는 거짓된 섬김이라고 말한다. 35)예수님은 세상에 섬기는 자로 오셨고 그렇게 사셨다. 그리고 그를 따르는사람들에게도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약한 사람들을 섬기는 자로 살라고 가르치셨다.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그리스도인들의 삶은 섬기는 자로 종으로서의 삶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교회의 자의식이기도 하다. 바울도 교회의 본질로서의 서의교회를 머리에 붙어 있는 지체로서 설명하고 있다.3) 바울 서신과 섬김‘오성춘’은 “사도 바울은 성육신한 사건의 핵심을 인간들 가운데 오셔서인간을 섬김으로 , 인간을 구속하여 참된 인간으로 회복시키려는 것이었다고 천명한다.” 36) 고 하며 예수님의 성육신의 주제를 윤리적인 측면에서 6가지를 들어설명하고 있다.1) 예수님은 자기의 본체이신 하나님의 영광의 자리를 포기하고 종이 본체를 입으시고 인간들 사이에 들어오신 분이시다. 2) 예수님은 자기를 비우신 분으로 인간의 모습을 입어 인간들과 하나가 되신 분, 이다. 3) 예수님의 세상에서의 정체성은 종으로 섬기는 삶을 사셨다는 것이다. 4) 예수님의 십자가의 삶은 섬기는 삶의 완성이다. 5) 인간들 가운데서 인간을 섬기는 삶을 통하여 타락한 인간의 참형상을 회복하신 분이다. 6)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는 이 예수님의 삶을 자기의 삶의 모델로 삼아야 한다. 37)‘오성춘’에 의하면 사도 바울은 예수님의 성육신을 ‘인간에 대한 섬김’으로 보고 있다.이것은 사도 바울이 말하고 있는 교회의 개념인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교회’는 인간을 위한 섬기는 자로서 교회 개념으로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사도 바울은 교회의 존재가 그리스도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우리에게는35) 위의 책, 39쪽36) 오성춘, “다원화 사회와 사회선교와 성경적 주제”, 유의웅편저, 『현대교회와사회봉사』(서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91년), 69쪽37) 위의 책, 69쪽- 26 -


한 하나님 곧 아버지가 계시니 만물이 그에게서 났고 우리도 그를 위하여 있고또한 한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계시니 만물이 그로 말미암고 우리도 그로 말미암아 있느니라” (고전 8 : 6절)모든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을 아는 새로운 존재로 변화한다. 그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 되어 서로 지체가 되는 일이다.(로마서12:5)(고린도전서 12:12),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 (고린도전서 12:27) 사도 바울은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터 위에 지어진 예수 그리스도의 몸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 본다. 이 몸으로의 연합은, “우리가 한 몸에많은 지체를 가졌으나 모든 지체가 같은 기능을 가진 것이 아니고” (로마서12:4) 함과 같이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것으로서 몸에 기여 할 것이있으며 그것으로 자라가며 스스로를 사랑 안에서 세울 수 있게 된다.(에베소서4:16)고 하였다.바울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교회의 근본이시고 머리되신 그리스도와 한 몸이 되어 그의 구원의 경륜에 참여하는 섬기는 종으로서의 교회를의미한다.‘정하권’은, 몸으로서의 교회는 머리이신 그리스도에게서 모든 영양분을 받아 성장하며, 그리스도는 교회에 필요한 모든 은사들을 주시고 성령을 가득히 부어주시어 교회로 하여금 믿음과 인식에 있어서 일치하고 성숙하고 사랑 안에서 완성되어 하나님께나아가 영광을 받게 하신다. 이리하여 그리스도는 당신의 몸인 교회를 통하여 보편적인구원의 경륜을 펴시고 만물을 다스리신다. 38)바울은 자신을 고린도후서 11 : 23절에서 ‘그리스도의 일꾼’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여기서 ‘일꾼’은 ‘디아코노이(diakonoι Χριστοϋ) 39) ’로 ‘섬기는 자’, ‘봉사자’를 의미한다. 이 말은 순수한 봉사라는 뜻으로도 사용되고 ‘섬기는’ 뜻으로도 사용되고 봉사직을 나타내기도 했다(눅10:40, 히 1:14, 고후 8:4, 9:1, 9:12).복음을 전하는 위임에도(행1:17, 27), 복음을 전하는 직무(롬 12:17, 고전 12:년) 67쪽.38) 정하권 저, 『교회론』제1편 교회에 관한 실증신학, (서울:분도출판사, 198439) Deutche Bibelstiftung Stuttgart,『Novem Testamentum Graece』, 1981.- 27 -


5, 골 4: 17, 딤후 4: 5)로도 이 말을 사용하였다. 바울 자신도 복음을 위해 섬기는 봉사자로서 의식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사도 바울은 교회를 그리스도와 같이 세상을 위한 섬기는 종으로서 인식하고 스스로 섬기는 자로서 살았음을 알 수 있다.‘이상훈’은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으로 교회 안에서 역사 하시는 하나님은 인간을 구원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성취하기 까지 쉬지 않으신다. 바울 신학에 의하면 그러한지상명령 때문에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며 성도는 그 지체이다. 교회 구성의 분야, 즉사도, 선지자, 전도자, 목사, 교사의 기구적 분할은 봉사의 역할을 활성화 하며 그러한봉사의 성실한 진행에서 성육신한 그리스도의 분량의 충만한 데까지 도달 하여야 한다.‘ 40)2. 신학적 기초- 섬김의 교회론교회의 시작은 마가의 다락방에서 일어났던 성령의 역사를 통해 통회 자복하고 그리스도께로 돌아선 사람들을 통해서였다. 이들은 성령의 체험 이후 잠갔던 문을 열고 자신들을 잡으려고 기다리는 거리로 나가 예수님의 복음을 전하였고 자신의 것으로 다른 이들과 함께 나누는 새 공동체, 교회를 형성하였다. 이들의 삶의 자세는 섬김 그 자체였다. 이들의 이러한 모습은 ‘이금만’은 그리스도인의 본래적인 양태에 근거한다고 한다.하나님이 부탁하시는 섬김은 예배의식에만 국한되지 않고, 일상의 삶으로 연장된다. 하나님의 말씀이 내면화되면 말씀이 마음속에만 머물지 않고 나눔의 생활로 투척된다. 말씀이 내면화하면 하나님께 생명과 사랑을 받아 열매를 맺고 그 열매를 세상에내놓으면서 봉사한다. 기독인의 봉사의 목표는 봉사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교제하는데 있다 41) 하였다.40) 이상훈, “섬김의 신학수립을 제창하여”Ⅱ, 『월간목회』(서울 : 월간목회사,1989년 2월 150호), 74쪽.41) 이금만, 위의 책, 219쪽- 28 -


그는 그리스도인의 삶이 본질적으로 섬김의 삶을 살 수밖에 없다는 것을말하며, 그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하나님과의 교제에 있다고 함으로서 일반적인세속적인 섬김과는 구별하고 있다.그는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순환양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예배를 통해 봉사의 힘을 얻고, 하나님께서 점화시켜 주시는 봉사의 힘으로 이웃에게봉사한다. 봉사 속에 하나님은 기쁨의 영성을 주신다.” 42)그리스도인의 이러한 삶의 순환방식은 예수님에게서 기인한다. 예수님이마태복음 22 : 35 - 40절에서 예수님이 율법과 예언자들의 가르침을, “네 마음을 다하고 네 목숨을 다하고 네 뜻을 다하여서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둘째계명으로 주신 바와 같이 네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말씀으로 요약하신 것과 같이 성육신 사건을 통해 우리에게 오시고 십자가에 돌아가심으로이말씀을 완성하시고 우리에게 구원의 길을 열어주셨기 때문이다. 예수님의 삶은온전한 섬김의 삶이었다.‘사도 바울’이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머리되신 예수님의 지체라는 비유를통해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그리스도와 한 몸으로 표현한 것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로 인하여 과거의 사람이 아니라 새로운 사람으로 거듭남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삶의 양식과 목표라는 하나의 양식을 함께 가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바르트’도 교회의 개념을 ‘그리스도의 몸’으로 정의하고 유기적으로 성장하는 하나님의 나라의 공동체로 이해했다. 그는 교회는 오로지 그리스도와 관련됨으로서 존재한다고 한다. 43) 뿐만 아니라 교회의 형태, 질서도 그리스도 안에정초되어 있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직무(Amt)’의 개념 대신에 '봉사'(Dienst)의 개념을 교회질서의 본질적 개념과 내용으로 부각시키려 했다는 사실이다. “그는 철저히 한 분 주 그리스도의 통치만을 강조했고, 그 분의 통치도 오로지 섬김의 통치임을 주장했다. 교회는 오직 형제적 사랑에 의해 결속된 그리스도 통치적 형태만을 가질 뿐 그 어떤 역사적, 심리적 전제조건에 의해 형성될 수없다.” 44) “철저한 그리스도 통치적 사고방식은 ‘봉사’만을 교회의 본질적 표지로42) 이금만, 위의 책, 219쪽43) T. F. 토렌스 저, 최영 옮김, 『칼 바르트』, (서울 : 도서출판 한들. 1997년), 41쪽.- 29 -


이해하도록 만들었다.1913년 3월 10일의 설교에서 그는 섬김과 고난이 그리스도 교회에서 그리스도인의 특권임을 역설했다.” 45)‘바르트’의 몸으로서의 교회개념은 그리스도론과 밀접한 관계 속에 있으며 ‘봉사’ 곧 ‘섬김’을 강조한다. 그의 인간학은 모든 일반적 인간들 가운데 한인간 예수가 있다 라는 명제를 전제로 한다. 인간의 존재론적인 규정이다. 따라서 모든 인간은 그 자체로 예수의 이웃사람이며 모든 인간은 예수 안에서 그의이웃, 동지, 형제가 된다. 46)바르트는 교회가 오직 그리스도의 통치 안에 있어야 할 것을 강조했고, 그자세로서 섬김과 이를 위한 고난을 말하고 있다. 여기에서 섬김은 단순한 내면적인 자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 시대사를 위한 섬김을 포함한다.교회의 섬김에 대한 보다 구체화된 입장을 보이는 것은 '몰트만(J.moltman)'이다.'몰트만'은 개혁주의 전통적인 교회관에 입각하여 새로운 교회론을 전개하는데 바로 메시야적 교회관이다.교회는 의롭게 인정받은 죄인들의 공동체로서 그리스도에 의하여 해방받은 자,구원을 경험한 자, 그리고 감사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공동체로서 그리스도의 역사의 의미를 성취하는 도중에 있다. 전적으로 그리스도에게로 향하여 교회는 성령 안에 산다. 그리고 그 점에 있어서 새 창조의 미래의 시작과 보증이다. 교회는 그리스도만을 믿는다. 그러나 그리스도만을 믿는다는 것은 이미 희망의 표시이다. 47) 하였다.김영한은 몰트만의 교회론을 “교회는 성령 안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다가오는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할 뿐만 아니라, 교회가 그 선포에 있어서 하나님 미래의 도래이며 그리스도의 신앙 안에서 희망의 표시”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의보내심에 참여함으로서 교회는 예수의 숙명에 들어가 그의 고난과의 연합 속에44) 이신건, 『칼 바르트의 교회론』, (서울 : 성광문화사, 1989년), 279쪽45) 위의 책, 280쪽.46) 김영한,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년.) 53쪽.47) Jurgen moltmann, die kirche in der kraft des geistes, 49 p위의책, 373쪽에서 재인용.- 30 -


서 그의 부활의 능력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48)몰트만의 교회론은 교회가 세상을 향한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에의 동참을 통하여 부활의 능력을 얻을 수 있고, 교회가 그리스도께서 하셨듯 말씀과 함께 하나님의 나라의 미래로 선다는 것은 교회가 세상을 섬기는 자로서 그리스도의 이웃사랑 공동체로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본다.몰트만은 이 메시야적 교회론은 네 가지로 나누고 있는데 그것은 “ 예수그리스도의 교회, 선교적 교회, 에큐메니칼 교회, 정치적 교회이다. 몰트만은 교회를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로 말한다. ”그리스도는 그의 교회의 근거요, 능력이요, 희망이다.“ 고 하였다. 그것은 그의 교회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유일한 통치에 대한 고백은 하나님의 이 말씀 밖과 옆에 선포의 다른 원천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49)그리스도는 몰트만에게 있어서 교회의 기초요 힘과 희망이다. 그리스도만이 지배하고 그의 음성을 듣는 곳에서만 교회는 진리 속에 있고 자유하게 되고 세상에 있어서 해방하는 힘이 된다 50)선교적 교회는,교회는 선교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그리스도의 선교가 교회를 창조한다. 교회로부터 선교가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선교에서부터 교회가 이해되어야 한다. 전교회와 교회 안의 각 사람은 모든 능력들과 가능성들을 갖고 하나님의 나라의 선교속에있다.”고 하며 “ 선교는 다가오는 하나님의 현재 속에서 보편적 재난에서 하나님의 떠남에 이르기까지 노예 됨에서 인간의 해방을 시도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한다 51) 하였다.몰트만의 선교적 교회는 교회 중심의 선교가 아니라 인간을 어떤 억압에서든지 해방하는 활동 모두를 말한다 하였다. 인간 해방은 부당한 억압과 편견으48) 위의 책, 373쪽.49) 위의 책, 374쪽.50) J. Moltmann, 김균진역,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34쪽.51) 위의 책, 21-22쪽.- 31 -


로부터의 자유를 말한다.나치에 저항하여 1943년 육군형무소에 갇혀 있으면서 “옥중서간”을 쓴‘본 회퍼(Dietrich Bonhoffer,)’는 교회 갱신을 위한 새로운 교회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옥중에서 체험한 삶은 “ 하나님의 결핍” 이었다. 그것은 하나님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는 오늘날의 인간은 모든 중요한 문제에있어서 신이라는 작업가설의 도움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 처리하는 자율의 시대속에 살고 있다고 하면서 이런 세상을 ‘성인된 세계’ 혹은 ‘성숙한 세계’라고 한다. 52)그는 이러한 무종교의 세계에서 교회는 어떤 교회여야 하고 그리스도인은 어떤 것일까에 대하여 질문한다. 그리고 주장하는 것이 “남들을 위한 교회”이다.교회는 오직 남을 위해 존재할 때에만 교회이다. 새롭게 시작하기 위해서 교회는 모든 소유물들을 고난 받는 자들에게 주어져야 한다. 교회는 세상적 공동 생활의 세상적 과업들에 참여하되, 지배해서는 안되며 돕고 섬겨야 한다. 교회는 모든 사람들에게그리스도와 함께 사는 것이 무엇인지, 남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말해야 한다. 특히 우리들의 교회는 오만의 죄, 권력숭배의 죄, 시기와 환상주의의 죄에 대하여 그것을 모든 악의 근거로 보고 저항해야 한다. 교회의 말은 개념을 통해서가 아니라‘모범’을 통해서 권위와 힘을 얻는다. 53)그는 ‘모범’으로 보여 지는 교회를 말한다. 자신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남을 위해 존재하는 교회이다. 본회퍼는 기성교회를 자기 보전만을 위해 싸우는데급급한 교회라고 비판하며 이런 교회는 인간과 세계를 위한 화해와 구원의 말씀을 담당하는 자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다. 54)본회퍼는 성숙한 세계에서 교회가 종교적인 하나님의 자리를 확보하기위해서는 인간의 한계와 죄와 죽음, 약함에 집착하는 것을 거부하고 삶의 한복판52) Dietrich Bonhoffer, Widerstand und Ergebung, 고범서 역, 『옥중서간』,(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65) 166쪽.53) 위의 책, 242-243쪽.54) 위의 책, 192쪽.- 32 -


에서, 생명과 선에서 하나님을 말하려고 한다. 55) 이것이 ‘남들을 위한 교회’이다.성숙한 세계 속에서 교회는 사람들의 삶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고 그들의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는 교회로 존재해야 한다. 이렇게 모범으로 보여지는 교회가 될때를 본회퍼는 교회가 계속 하나님의 나라 확장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보았다.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회는 그리스도로 인해 탄생하였고 그로 인해 존재하고 살아 있다. 바울이 그리스도인들을 머리되신 그리스도의 지체로 표현한 것은 교회가 이 시대와 삶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역할을 감당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회의 소명은 몰트만이 말한 바와 같이 그리스도의 고난에의 계승과 참여 곧 약자와 가난한자들의 고난에의 동참을 의미하며, 본회퍼의 주장과같이 타자를 위한 교회가 되어야 한다.3. 역사적 기초a. 초대교회사도행전에 나타나는 초대교회의 모습은 첫째,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나누어 주고, 둘째, 날마다 마음을 같이하며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며, 셋째, 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넷째, 하나님을 찬미하였다.(행 2: 43 - 46) 사도행전 4장에도“믿는 사람들이 다 함께 있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또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나눠 줄 뿐만 아니라 제 재물을 자기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었고, 핍절한 사람이 없었다”고 하였다.여기서 나오는 “물건을 통용하고”는 모든 것을 공용으로 소유한다는 뜻으로 초대교회가 재산을 공유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재산공유는 자발적이었다. 재산공유에 있어서는 에세네파 공동체에서도 있었지만 초대교회에서와 같이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의무사항이었다는 점에서 초대교회의 경우는55) 위의 책, 170쪽.- 33 -


매우 독특한 경우라고 하겠다.들고 있다.‘블로흐’는 초대교회 예루살렘 공동체의 재산공유의 요인을 다음과 같이첫째, 예루살렘 공동체의 재산공유가 그들에게 미친 종말에 대한 강한 기대감 때문이라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즉 부활한 그리스도가 승천한 후 그들의 주로 곧 다시오실 것을 기대하였다. 초대교회에서는 사도요한이 죽기 전에 예수의 재림이 있을 것이라는 풍문이 돌았다.둘째는, 이 사랑의 공동생활의 자발성과 임의성을 강조한다. 즉 이것은 조직되어진 것도 아니며 외적 강제에 의하여 종속되지도 않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이 아니라 코이노이아 였다.셋째는, 불의한 재물과 재물에 대한 근심을 비판했던 예수님의 설교를 참조하였다. 즉 예수님의 메시지와 삶의 방식이 예루살렘 교회에 와서도 계속 기억되었다는 것이다. 56)블로흐에 의하면 초대교회의 재산공유는 임박한 종말에 임한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양식이었다는 것을 말한다. 성령의 감동으로 그리스도의 새 공동체의일원이 된 이들은 예수님의 가르침에 충실한 코이노이아로 자발적으로 물건을통용하고 재산을 나누었다. 이 결과로 핍절한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뿐만 아니라 초대교회는 서로 남을 낫게 여기고 공궤하며(행 6:2), 10장4절에 고넬료의 기도와 구제가 하나님 앞에 상달되었고, 11장 28-30절에 제자들이 그 힘 닿는데로 유대에 사는 형제들에게 부조를 보내기로 작정하며 바나바와 바울을 통해 장로들에게 보냈던 것을 알 수 있다. 구제에 있어서 고아와 과부를 중히 여겼다.(행6:1)초대교회 공동체의 모습은 예수님의 가르침의 원형적인 모습을 가지고있다 할 수 있는데 그리스도와 함께 하는 삶은 ‘섬김’ 그 자체이었다. 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성령의 역사였다. 그들은 성령님의 감동의 결과로 믿음과 사랑을56) Martin Hengel 저, Property and Riches in the early church, 이정희 역,『초대교회의 사회경제사상』,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2), 58 -61쪽. 전민호, “성서에 나타난 가난과 교회”(서울 : 성공회대 신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년)41-42쪽에서 재인용.- 34 -


원동력으로 한 모범적인 교제생활을 할 수 있었다. 믿는 이들에게 성령의 외형적표현은 ‘섬김’ 이다.이러한 초대교회의 모습의 결과는 사람들에게 칭송을 받고, 구원받는 사람들을 더하게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행 2: 47) 초대교회는 그리스도인들의섬김의 양식을 통하여 사람들을 설득하고 공동체로 들어오게 만들었고 성장하였다. 교회를 일으킨 것은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성령의 역사를 따라 나누고 섬기는일이었다.b. 20세기20세기에 있어서 교회들의 대전환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각성이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1921년에 에딘버러 선교대회의 취지에 공감하는 선교회들이 조직한 국제선교협의회(The International Universtinary Council)와 1948년에 창설한 세계교회협의회(W.C.C)를 중심으로 토론되었다. 57)1928년에 열린 예루살렘 대회에서의 주제는 개인과 사회와 국가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와 같은 성품을 갖도록 하는 것을 선교의 목표로 보았다.교회의 선교는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개인문제뿐 아니라 산업사회나 농촌 지역까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사역의 수행을 촉구 하였다. 예루살렘 대회는 복음은 개인영혼뿐 아니라 개인들이 살고 있는 사회 구조나 경제관계 같은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으며,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 우리로 생명을 얻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충족한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함이었다고 주장하였다.이 대회는 선교에 있어서 복음선포와 봉사가 서로 연관성을 가져야 하며 사랑의행위가 수반되지 않는 복음의 선포는 무의미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58)이러한 예루살렘대회의 경향은 1952년에 열린 ‘빌링엔 대회’에서 대진전을 맞이하게 된다. 이 전전을 주도한 것은 ‘호켄다이크’였다.57) 한국복음주의선교학회편역위원 전재옥외 3인 편역, 『에큐메닉스』(서울 :성광문화사, 1988년), 254-275쪽 참조.58) 서정운, “사회선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이해”, 유의웅 편, 위의 책, 84쪽.- 35 -


‘호켄다이크’는 전통적인 개신교의 선교신학이 교리 선전과 교회개척 등에 치우쳐성경적 선교관을 고수해오지 못했다고 지적하였다. 선교는 유대인들이 메시야에 건 기대와 메시야 자신이 의도했고 남긴 사역을 수행하는 것이라는 뜻에서 선교의 메시야적 개념수립을 주장하였다.메시야가 주체인 선교는 샬롬의 건설이었고, 샬롬은 인간 구원 이상의 내용을 품고 있다. 선교는 메시야적 희망의 실현이며 그 사역에는 샬롬의 선포, 샬롬의 삶으로서의친교 및 샬롬의 나타냄으로서의 봉사가 포함될 때만 선교가 정당화 될 수 있다고 하였다.교회가 사도적이라는 것은 선교적이라는 뜻이며, 교회가 선교적인 의도로 자신의경계를 넘어가서 사역을 해야 교회답다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선교가 예수 부활과 승천사이에 진행되는 하나님의 종말적 사역이기 때문에 교회는 온전하고도 완전하게 다가오는 하나님의 나라 지향적이라야 한다는 주장이다. 하나님의 나라 지향적인 존재방식은구원의 대상인 세계 지향적 외에는 정당한 방식이 없으며교회 중심성은 교회의 벽이구원의 대상인 세상을 향한 시야를 차단시키고 사역을 축소시키기 때문에 교회를 비선교적으로 침체시킨다고 생각하였다. 59)빌링엔 대회의 선교관을 흔히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라고 하는데 여기서의 강조점은 교회 중심에서 세계 중심으로, 삼위일체이신 하나님 중심으로,하나님의 선교로의 관점의 전환이었다.1968년의 웁살라 대회는 빈곤, 차별, 착취, 소외 및 억압 등의 핵심문제로 비인간화를 주제로 잡고 중심을 인간화에 두었다. 관심의 핵은 세상에 오신예수와 사회정의에 대한 관심이었다.구원은 죄와 그 결과들로부터 예수 그리스도에 의한 인간해방이다. 진정한 선교는 교회로 하여금 가난한자, 자기 자신을 방어할 수 없는 자, 착취당하는 자, 망각된 자들의 편이 되게 하는가, 교회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며 그들의 문제와 구조에 개입하도록 하는가, 시대의 징조를 가장 잘 식별하며 새 인간성의 실현을향한 역사를 향하여 앞서서 나가는가 60) 를 충족해야 한다고 보았다.59) 위의책, 86쪽.60) 위의 책, 87쪽.- 36 -


교회가 지배계급, 인종, 국가들의 이해에 포로가 된 상태에서 해방 받지않고는 구원적인 교회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예수 그리스도 - 세상의 생명“으로 모인 벤쿠버 대회는 국가안보, 이데올로기, 군사주의, 핵무기, 과학기술의 오용 등에 의하여 인류의 평화적 생존의불안을 고발하며 정의와 인간의 존엄성의 회복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였다.이상과 같이 에큐메니칼 교회들의 논의는 복음을 희박하게 만든다는 지적이 있으나 현존하는 세계의 문제들에 대하여 교회로 하여금 진지하게 고민하고 이에 참여할 수 있는 신학적 실천적인 근거를 만들고 있다 하겠다. 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자각은 본회퍼의 주장과 같이 무종교화 하는 자율성의 시대에서 복음의 빛을 사람들에게 계속적으로 밝혀 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될 수도있기 때문이다.C. 한국교회한국교회는 20세기를 앞에 두면서 앞으로의 교회의 방향성에 대한 토론들을 많이 했었다. 교회성장이 둔화된 상태에서 교회는 이제까지와는 다른 방향성을 갖아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문제의식들이었다. 당시에 문제로 떠올랐던 주제가 교회의 개교회주의로 대변되는 지나친 물량 위주의 성장에만 몰두하는 세상과 약자에 관심이 없는 교회였다. 우리교단 사회부에서 정리한 교회의 사회봉사에 대한 관심의 불균형은,1) 사회구원 보다 개인구원 성격을 강조했고, 2) 수직적인 하나님 사랑에 집착하여 수평적인 이웃사랑에 대한 실천이 부족했으며, 3) 선교 중심의 복음화 추구는 인간화에 대한 결여를 가져왔고, 4) 인적 물적 자원이 교회성장에 집중 투입되었으며, 5) 목회자의 사회봉사에 대한 인식부족을 가져왔다고 보았다. 61)61)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회사회봉사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교회사회봉사총람』(1994) : 232-249쪽. 황필규, “한국교회와 사회봉사, ‘인식에서 행동으로,’ 『기독교사상』통권 제489호(1999. 9) : 33쪽에서 재인용- 37 -


이에 대한 반성으로 대두되었던 주제가 교회의 사회 속으로의 실천을강조하는 ‘사회봉사’ 개념이었다. ‘사회봉사’란 말은 ‘섬김’의 의미가 너무나도 교회내적으로 해석되면서 세상을 향한 교회, 세상의 약자를 섬기는 교회라는 개념을 강조하기 위해 새로이 해석된 섬김의 단어이다. 더불어 교회가 사회복지에 대하여 관심을 갖은 일은 자연스러운 결과라 하겠다.이후 2007년 현재까지 10여 년간 통합 측 교회들은 교회가 세상의 약자들을 섬기는 사회복지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많은 사회복지 기관들을 설립하고 운영, 지원하면서 과거에 비하여 질, 양적인 발전을 가져왔다.하지만 아직도 교회가 세상 섬김을 교회의 본질로 이해하고 우리사회에서 교회가 자기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대다수의 교인들은아직도 교회가 세상을 섬기는 일이 꼭 해야 하는 일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는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앞으로 한국교회의 과제는말씀과 행동이 일치하여 사람들에게 권위를가졌던 예수 그리스도와 같이 사람들을 섬기고이웃사랑을 실천함으로 사람들에게 복음이 증거가 되는 일이라 보여진다.4. 경험적 기초필자는 여성안수가 통과되지 않아 여러 교회에서 다양한 직책의 부교역자로 일한 경험이 있다. 어느 교회에서나 마찬가지이지만 목회자들이 교인들과함께 지낼 때 어려워하는 일들은 말로 모든 것을 해결하며 협력을 별로 하지 않으면서도 비판적인 교인일 것이다.우리들의 교회는 수없이 말씀을 들어서인지 교인들은 무엇이 주님의 말씀인지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는 잘 알지만 실제로의 삶은 자신의 이기적인 추구인 세속적인 것이 현실이기는 하다. 흔한 이웃사랑이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핵심인줄은 아나 이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구체화 되어 있지 않은 것이 우리들의 교인들이다. 그것은 이들에게 개념으로만 그리스도의 사랑을 말하는 교회와목회자들의 잘못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38 -


그런 의미에서 도림교회에서의 경험은 필자에게 매우 유익하였다. 필자는 도림교회에서 운영하는 교회기관인 지역사회개발원에서 5년이 넘게 일했었다. ‘지역사회개발원’은 지역사회 프로그램이 12개가 되는 상당히 큰 규모의 일이었다. 이 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지역의 노인, 주부와 어린이, 문맹자들, 청소년들과 지역주민들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과 가난한 사람들과 마땅이 소일을할 수 있는 갈 곳이 없는 이들이었다.교회는 이들을 위하여 노인학교, 경노식당, 방과 후 학교, 한글학교, 주부교실, 알뜰 장터, 지역신문, 어린이 집, 신협, 청소년 농구교실, 도서실 등 이들의 필요를 따라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접기도 하였다.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구제와 다른 점은 대부분이 무료로 진행된다고하여도 이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않으면 오지 않는다는 사실이고 그들이 만족을 느꼈을 때에 교회의 여러 봉사를 하나님의 사랑으로 느낀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노인학교에 오시는 할머니들은 대부분 경로식당에 오시는 분들이 많은데 아무런 말을 하지 않아도 한 2년쯤 되면 예쁘게 차려 입고 자랑스럽게 헌금천원을 내면서 교회에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오는 이유를 물으니 자녀들도나에게 이렇게 하지 않는데 자신에게 잘하는 것은 예수님 때문이니 나도 그 좋은 예수를 믿어보겠다는 말씀을 하신다. 할머니들에게 10년 전의 헌금 천원은큰돈이다. 그것이 아깝지 않을 정도로 마음을 열고 계셨다. 할머니들의 마음을연 것은 교사들의 따뜻한 섬김의 마음이었다. 글자를 잘 읽지 못하는 할머니들에게는 교사들이 바로 예수님이며 기독교가 되었다. 교인들에게 복음은 귀로 듣기만 하므로 개념이 될 지도 모르겠으나 세상 사람들은 교인들을 기독교의 표상으로 보고 있었다.교회가 지역사회 프로그램으로 지역주민들을 섬길수록 교회는 지역사회에서 우리 교회로 자리 잡아 가는 것을 보았다. 도림동에서는 도림교회를 좋은교회로 여기고 외부의 손님들이 교회를 찾으면 주민들은 매우 친절하게 안내하고 좋은 교회, 훌륭한 교회라는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섬김은 사람들의 마음을 사고 사람들 사이에 화해와 신뢰의 다리를 놓는것을 보아왔다.그러면 섬기는 자는 어떠한가?운영하는 프로그램이 학교가 많아 교인- 39 -


들 중에 능력이 되는 사람들이 봉사로 교사로 일했었다. 대부분은 여유가 있는주부들이 맡았었다. 처음에는 불쌍한 사람을 돕는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만만하지 않은 일임을 바로 알게 되는데 고집부리고 떼를 쓰는 노인들과 의견 충돌이 있을 때도 있고 꼬박꼬박 출근을 해야 하는 일도 작은 일이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그러나 기적은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 일어나는데 처음은 다른 사람을 사랑 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알게 되고 그동안 알지 못했던 하나님의사랑에 대한 깨달음이 일어나는 일이고, 다음은 학생들의 고난에서 헤치고 온 삶의 나눔을 통해 교사는자기 삶에 대한 새로운 각성이 싹트고 감사의 마음이우러남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많이 보아왔다.사랑은 지식으로 배워지는 것이 아니라 섬김의 경험에서 알아지는 것이라는 것을 그곳에서 알게 되었다. 우리에게 정말 부족한 것은 사랑의 지식이 아니라 실천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다. 다음을 담은 섬김은 사람을 변화시키고자라게 하는 원천이다. 교회가 해야 하는 일은 그리스도가 하신대로 아는대로 마음을 담아 사는 일이다.B. 단어연구 - 장애인1. 장애인의 정의장애 개념에 대한 탐색과 장애에 대한 표준적인 정의를 시도하려는 노력은 장애인이라는 소수자에 대하여 우리 사회가 어떠한 관점에서 인식할 것인가,그리고 어떠한 정책적 수단을 강구 할 것인가,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맥락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해야할 것이다.a. 장애인 호칭- 40 -


장애인이라는 말은 우리 사회에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그 명칭이 변하여왔다. 장애에 대한 인식이 없었던 예전에는 장애인을 ‘병신’ ( 病 身 ) 62) , 혹은 ‘불구자’ 63) 로 표현하였는데 주요한 의미는 몸이 온전하지 못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대개의 경우 비하적인 의미이거나 무능의 의미로 사용되었다.1981년 ‘세계장애자의 해’ 이 후부터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제정되면서장애자라는 단어가 일반화 되었으나 다시 ‘놈 자’가아니라 ‘사람 인’으로 장애인들에 대한 비하의 의미를 소거한 장애인으로 결정되어 1990년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장애인복지법’으로 개정되면서 ‘장애인’으로 개칭되었다. 장애인의 말뜻은 일반적으로 신체 또는 정신적으로 장애를 갖음으로 생활에 불편을 갖는 사람을 일컫는다.흔히들 정상인과 비정상인이라는 분류적인 명칭을 쓰기도 하는데 이 말은 장애인은 국가와 사회의 유지에 불필요하거나 부담을 주는 존재로 장애인에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는 말이다. 반면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단순한 의학적인 사실 구별로서 인격에 있어서는 상호대등한 말이다.여기에 1987년에 ‘장애인 권익문제연구소’가 설립되면서 장애인들을 보다 가까이 친밀감을 느끼자는 의견에서 ‘장애우’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지만 법적인 의미가 있는 말은 아니다. 64)현재는 ‘장애인’ 이라는 말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법에서도장애인의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b. 관련법에 따른 정의우리나라의 장애인에 대한 정의는 관련법에 따라 상이하다. 장애와 관련62) 한컴사전에 의하면 단어의 뜻은, 1. 몸의 어느 부분이 온전하지 못하거나 기형인 상태. 또는 그런 사람. 불구자. 2. 병든 몸. 3. 온전한 형태를 갖추지 못하거나 제구실을 못하는 물건. 4. 지력( 智 力 )·재능이 변변치 못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고이 말에서 파생된 의미는 “남을 얕잡아 일컫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한국사회에서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낮았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63) 한컴사전에 의하면 불구자는 몸의 한 부분이 온전하지 못한 사람을 뜻한다.불구는 손상이나 무능의 의미이다.64) 오경독, “장애우와 사회적 관계망”(석사논문, 명지대학교, 2001) 25-26쪽.- 41 -


된 법으로는 장애인복지법,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특수교육진흥법, 편의증진에관한 법률 등의 주요법과 함께 산업재해보상법, 국민연금법, 국가유공자 예우 등에 관한법 등을 합하여 약 13가지의 관련법이 있다. 65) 여기에서는 장애인복지법등 장애인 복지에 주요한 법들을 근간으로 장애인의 정의를 살펴보겠다.장애인복지법 제2조 1항에서는 “장애인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하여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 66)1항에서는 장애를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나누고 있는데, 제2항에서는 신체적 장애를 다시 주요 외부 신체기능 장애와 주요 내부 신체 기능 장애로 나눈다. 이것을 제2조에서 말하는 대통령령에 의한 장애인의 규율과 기준에 맞추어분류해 보면 ‘신체적 장애’라 함은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는 지체 장애, 뇌병변 장애, 시각 장애, 청각 장애, 언어 장애, 안면 장애를 의미하고, 내부 기관의장애는 신장 장애, 심장 장애, 간 장애, 호흡기 장애, 장루 ․ 요루 장애, 간질 자애 등을 말한다.정신적인 장애라 함은 정신지체 또는 정신적 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 발달장애를 말한다. 67)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는 제2조에서 “장애인이라 함은 신체 또는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직업생활에 상단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고 하였다. 여기서 대통령령에 정한기준이란2003년 5월 1일에 개정한 제2조와 관련된 장애인의 종류와 기준을의미한다. 대통령령에서 정하는 기준에 의하면 장애인은 15종류로 분류되어 있는데 장애의 종류에 따른 장애의 기준을 정의하고 있다.장애인의 종류 및 기준(제2조관련) -장애인복지시행령 대통령령 제17976호1. 지체장애인( 肢 體 障 碍 人 )가. 한 팔, 한 다리 또는 몸통의 기능에 영속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65) 김미옥, 『장애인복지실천론』,(서울 : 나남출판, 2003년 9월), 80쪽.66) 장애인 복지법 제2조 1항67) 장애인 복지법 제2조 2항으로 이 법의 적용을 받는 장애인은 제 1항의 규정에 의한 장애인 중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장애를 가진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장애의 종류 및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대통령에 의한 장애의 분류와 기준은 제2조 관련 장애인의 종류와 기준을 참조.- 42 -


나.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지골관절( 指 骨 關 節 )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또는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한 2 이상의 손가락을 모두 제1지골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다. 한 다리를 리스프랑(Lisfranc)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라.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잃은 사람마.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또는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한 2 이상의 손가락을 기능을 잃은 사람바. 왜소증으로 인하여 키가 심하게 작거나 척추에 현저한 변형 또는 기형이 있는 사람사. 지체( 肢 體 )에 위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장애정도 이상의 장애가 있다고인정 되는 사람2. 뇌병변장애인( 腦 病 變 障 碍 人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腦 卒 中 ) 등 뇌의 기질적 병변에 기인한 신체적 장애로 보행 또는 일상생활의 동작 등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3. 시각장애인( 視 覺 障 碍 人 )가. 나쁜 눈의 시력(만국식시력표에 따라 측정된 교정시력을 말한다. 이하같다)이 0.02 이하인 사람나. 좋은 눈의 시력이 0.2 이하인 사람다.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주시점에서 10도 이하로 남은 사람라. 두 눈의 시야의 2분의 1 이상을 잃은 사람4. 청각장애인( 聽 覺 障 碍 人 )가.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60데시벨(dB) 이상인 사람나. 한 귀의 청력 손실이 80데시벨(dB)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데시벨(dB) 이상인 사람다.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라. 평형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5. 언어장애인( 言 語 障 碍 人 )음성 기능 또는 언어 기능에 영속적으로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6. 정신지체인( 精 神 遲 滯 人 )정신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고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의 적응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7. 발달장애인( 發 達 障 碍 人 )소아기 자폐증, 비전형적 자폐증에 의한 언어·신체표현·자기조절·사회적응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43 -


8. 정신장애인( 精 神 障 碍 人 )지속적인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 情 動 障 碍 ), 양극성 정동장애 및 반복성 우울장애에 의한 감정조절·행동·사고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9. 신장장애인( 腎 臟 障 碍 人 )신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하여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지속적으로 받아야하거나 신장기능의 영속적인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10. 심장장애인( 心 臟 障 碍 人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11. 호흡기장애인( 呼 吸 器 障 碍 人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 기능부전으로 인한 호흡기능의 장애로인하여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12. 간장애인( 肝 障 碍 人 )간의 만성적 기능부전과 그에 따른 합병증 등으로 인한 간기능의 장애로인하여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13. 안면장애인( 顔 面 障 碍 人 )안면부위의 변형 또는 기형으로 인하여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14. 장루·요루장애인( 腸 瘻 · 尿 瘻 障 碍 人 )배변기능 또는 배뇨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장루( 腸 瘻 ) 또는 요루( 尿 瘻 )를 시술하여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15. 간질장애인( 癎 疾 障 碍 人 )간질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c. 외국의 장애인의 정의일본에서는 1933년에 제정된 장애인기본법에서 장애인을 “신체장애, 정신박약 또는 정신장애가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상당한 제한을 받는자 68) ”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와 대동소의하다.- 44 -


1990년에 제정된 미국의 장애인법(ADA:Americanwith DisabilitiesAct)에는 “사람의 주요 일상활동의 한 가지 또는그 이상에 실질적 제약을 갖는 신체적 혹은 정신적 손상과 그러한 손상의 기록, 그리고 그러한 손상이 있는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69) 로 정의한다. 여기서 주요 일상활동이란 자기보호관리,보기, 듣기, 말하기, 걷기, 숨쉬기, 손으로 하는 작업의 수행, 배우기, 일하기 등의 기능을 뜻한다. 신체적 혹은 정신적 손상의 기록과 간주되는 경우도 넣어 현재 뿐 아니라 잠재적인 장애의 가능성도 장애영역에 포함시킴으로 장애인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정의라 하겠다.1980년에 세계보건기구는 장애인 분류체계(ICIDH : InternationalClassicfication of Infairment, Disability, Handicap)를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개인에게 발생한 병이나 질병은 신체적 차원의 손상 곧 기능상 제약인 장애를가져오는데, 이러한 기능적인 장애는 사회적 측변보다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장애를 의미한다. 이 기능적인 장애가 진정한 장애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불리(handicap)로 연결될 때 일반적으로 사회에서 말하여지는 장애가 된다고 하여장애의 사회적 차원을 강조한다. 70) 그러나 이 분류법은 손상에 따른 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이것에 따라 사회적 장애가 발생한다는 인과론적 모델이라는 점에서, 또한 장애의 경우 질병의 결과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회환경의 문제이기 때문에 사회 환경에 대한 고려가 약한 장애분류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71) 이것을 도식화하면 와 같다. ICIDH의 장애인 개념질병⇒ 손상⇒ 기능적장애⇒ 사회적불리(Disease) (Impairment) (disability) (handicap)68) 김익규 외 3인 공저, 『장애인복지론』, (서울 : 교문사, 2004), 4쪽69) 이천수, 『장애인에 대한 신학생의 윤리의식 조사연구 : 엘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통해』, ( 서울 : 연세대연합신학원, 2006년 2월), 11쪽70) 김용득, 유동철 공저, 『한국장애인복지의 이해』, (서울 : 인간과 복지,1999) 88-89쪽.쪽.71) 김종인, 우주형, 이준우, 『재활복지개론』,(서울 : 인간과 복지, 2004), 99- 45 -


1997년세계보건기구가 새로이 제안하는 ICIDH-2는 분류체계 내에 환경적 요소와 개인적 요소를 구분하여 명시함으로 장애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의환경을 보다 강조하고 있다.‘손상’은 신체기능 혹은 신체구조나 심리적 기능상의 상실이나 비정상성을 말한다. 손상은 크게 신체구조적 손상과 신체기능적 손상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기능이나 구조가 통합되는 경우에는긍정적으로 기능하나 구조가 통합되지않는 경우 부정적인 결과로서 손상이 발생한다고 본다.‘활동/활동제한’은 개인적인 수준에서 기능의 범위와 본질로서 활동의 차원은 일상생활과 관계된 개인의 활동을 다룬다. ‘참여/참여억제’는 손상, 할동, 상황요인과 관련된 생활상황에서의 개인의 연관성 정도이다. 따라서 참여의 차원은 사회적 현상을 다루며 개인의 참여 정도 , 참여를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사회적 반응을 의미한다.다양한영역에 참여하는 것이 사회적 건강의 중요성을 말하는 것이며, 이는 물리적, 사회적, 태도적 세계의 환경적 요인을 포함하는 것이다. ICIDH-2의 다양한 차원의 따른 장애의 개념 72)기능의 수준특징긍정적 측면부정적 측면손상유형 활동 참여 상황요인신체 개인 사회 환경적 요인(신체의 부분) (전체로서의 개 (사회와의 관 (기능상의 외부적 영향)인)계)개인적 요인(기능상의 내부적 영양)신체기능 개인의 일상활 상황에서의 관 신체적, 사회적, 태도적동련세계의 형태신체구조 활동 참여 촉진자기능적, 구조적 활동제한통합,손상참여제한 장벽 어려움ICIDH-2의 장애 개념은 한 개인이 접하게 되는 장애를 손상, 활동, 참여라는 3가지의 축으로 설명하면서 손상과 활동을 개별적 모델의 개념으로, 상황재인용.72) WHO, ICIDH-2. 1997년. 김종인, 우주형, 이준우, 위의 책, 102쪽에서- 46 -


요인과 더불어 참여는 사회적 모델에서의 환경으로 제시하고 있다. ICIDH-2는사실상 모든 개인에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모든 사람의 건강간련 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 보편적인 틀 73) 이 됨으로서 과거의 장애인의 틀을 무너뜨리고 있다.이상에서와 같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인 정의는 점차로 그 벽을 무너뜨려 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세계보건기구의 기준에 미흡하지만 앞으로 장애영역을 넓혀 장애로 인하여 도움이 필요로 한 사람들에게 도움이 갈 수있도록 노력하고 있다.장애인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사고나 병으로 인하여 후천적인 장애를가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이다.보다 적극적인 예방책과 이들을 위한 대책들이 필요하다.2. 장애인의 현황우리나라의 현재(2007년 3월) 등록 장애인수는 2,010,595명으로 남자가2,010,595명이고 여자가 765,768명으로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훨씬 더 많다.신체장애인 중 외부장애인은 1,686,649명, 내부장애인은 97,883명, 정신적 장애인 중 정신지체는 137,102명, 정신장애는 88,961명이다. 제일 많은 장애인구는신체 외부장애이고 다음이 정신지체, 그리고 내부장애, 정신장애의 순이다.1980년부터 5년 주기로 실시해 온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장애인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장애원인 비율로 보면 후천적인 장애의 비율이 1985년 81.2%에서 2000년의 경우 89.4%로 증가되어 나타나는데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 사고에 의해 장애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말해준다. 에 의하면 지체장애인이 1,070,450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어 이를 반증하고 있다.그리고 주목해 보아야 할 점은 인구의 노령화로 인한 노령 장애인의 비율이 1990년에서 1995년의 경우 전체장애인에서 노령 장애인의 비율이 10%가 늘어 노령 장애인의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시설장애인 현황은 1995년에서 2000년 사이는 1.2% 늘었지만 2005년에73) 김미옥, 위의 책, 72-77 쪽 참조.- 47 -


전국장애인 유형별 등록 현황구분 계 남자 여자계지체장애뇌병변장애시각장애청각장애언어장애정신지체발달장애정신장애신장장애심장장애호흡기장애간장애안면장애장루요루장애간질장애2,010,5951,070,450200,062209,968189,34814,885137,10211,26177,70045,48514,01713,3996,0831,93610,7238,1762,010,595679,614117,543130,877108,29510,85983,8239,34542,61925,5698,62610,5234,6631,1426,7384,591(2007년 3월말 현재 보건복지부 장애인 정책팀 자료)765,768390,83682,51979,09181,0534,02653,2791,91635,08119,9165,3912,8761,4207943,9853,585 장애인구의 추이 74)구분 1985 1990 1995 2000출현율2.272.232.353.09장애인수915,000956,0001,053,0001.449.500후천적 장애인 비율81.285.288.189.4노령장애인(60+) 비율28.834.644.039.6장애등급별 장애인 현황구분 계 남자 여자1급2급3급4급5급6급192,772347,059352,891280,763377,947459,163112,765204,731229,224163,336219,734315,03780,007142,328123,667117,427158,213144,1267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 실태조사』각연도. 변용찬 외 11명『장애인자립을 위한 장애인 복지정책의 현황과 중장기 발전 방안』(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연구보고서 2002-20) 46쪽에서 재인용.- 48 -


자료 ; 보건복지부 2007년 3월 장애인 등록상황에서 추출.시설장애인비율구분계재가장애인수(구성비)시설장애인수(구성비)출현율1995년 1,053,4681,028,837(97.7)24,631(2.3)2.352000년 1,449,4961,382,177(96.5)51.319(3.5)3.092005년 2,148,6862,101,057(97.8)47.629(2.2)4.59는 1.5%가 오히려 줄고 있다. 장애등급별 현황을 보면 다른 사람들의 절대적 인도움이 필요한 1, 2급 장애인의 경우도 주거보호시설에서 지원을 받기 어려운것이 현실이다.장애인 출현율은 2000년 3.09%인데 1995년 2.35%인데 호주 1987년15.6%, 독일 1991년 8.4%, 일본 1991년 3.5%와 비교를 해도 우리의 경우 매우 낮은 편이다. 오혜경은 이것을 고령인구 비율의 차이와 우리나라의 장애의 범주가 매우 좁기 때문인 것 75) 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2005년의 경우 장애범주가 늘면서 장애인의 출연율이 1.5% 높아졌다.현재(2007년 10월) 우리나라의 장애는 15종류를 인정하고 있으나 장애범주 밖에 있으나 국가의 지원이 필요로 한 장애종류들도 많아 장애범주의 확대가 필요하다. 향후 확대예상 범주는 ‘알코올 중독과 약물중독, 치매, 혈우병, 에이즈 피부질환 장애, 소화기 장애, 비뇨기 장애, 기질성 뇌 증후군과 기타의 발달, 정신장애 등이다.3. 장애인과 성서75) 오혜경, 『장애인 복지학 입문』, (서울 : 아시아미디어리서치, 1988년), 26쪽. 장애인 각국 출현율은 UN. Disability Statistics Database. 1992 : 후생성. 후생백서 자료임. 호주에서는 신체적, 지적, 심리적, 정신적, 감각적, 신경적 손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제한을 받는 경우를 모두 장애인으로 규정하여 장애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49 -


a. 구약에서의 장애인구약에서 장애인의 기록은 구약 89회, 신약 74회로 총 163회 등장한다.그 중 구약의 내용을 살펴보면 시각장애가 47회, 지체장애가 27회, 청각장애가15회이며 신약에서는 시각장애가 33회, 지체장애가 32회, 청각장애가 9회 등장한다. 76)그러나 성서에서는 장애인들에 대한 언급은 하나의 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시각들과 사건, 약속들이 그 안에 어우러져 있다.‘박정세’는 이것을 세 가지로분류하였는데 첫째는, 장애를 죄의 결과와하나님의 징벌에 의한 것으로 둘째는, 소외되고 무능력한 불쌍한 존재로 보는 시각이고, 셋째는, 장애를 하나님의 구속 사역과 관계하여 장애인도 하나님의 은혜에 참여하는 자로 보는 시각이다. 77) 첫 번째 시각은 오랫동안 인류가 가져왔던장애인에 대한 시각들로 아직도 많은 이들이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 속에 있다.두 번째는 장애인을 사회적 약자로 보아 이들을 돌보아 주어야 할 것을 명령하고 있는 것이다. 신 27 : 18, 레19: 13-14, 잠 31: 8, 욥 29 : 15 등이 대표적인 구절들로 인권을 존중하는 시각이다. 셋째는, 하나님의 은혜의 수혜자로서의시각이다. 예레미아 31 : 8, 사 29:18, 사35:5-6, 미 4:6-7, 습3:19 등이다.구약성서에서는 약자와 가난한 자의 보호를 율법을 통해 강조하고 있다.여기에서 사회적 약자와 가난한자의 대표로 나오는 것은 과부와 고아, 나그네들인데 장애인도 이 법의 범주에 적용되어야 한다.레위기 19 : 13-14에 “너는 네 이웃을 압제하지 말며, 늑탈하지 말며,품꾼의 삯을 아침까지 밤새도록 네게 두지 말며, 너는 귀먹은 자를 저주하지 말며, 소경 앞에 장애물을 놓지 말고 네 하나님을 경외하라 나는 여호와니라.” 하였다.‘귀먹은 자를 저주하지 말라’에서 ‘저주하다’는 말은 ‘가벼이 여기다’나‘가볍게 대하다’로 ‘아무렇게나 대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말이다. 잘 알아듣지 못한다고 함부로 대하여서는 안된다는 것이 본문의 의미이다. 또한, ‘소경 앞76) 이계윤, 장애인 선교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한국특수요육연구소, 1996),56-57쪽.77) 박정세, “장애인 선교서설-장애인에 대한 성서 및 신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현대와 신학』제22집, (서울 : 연세대출판부, 1997년 6월),153-154쪽.- 50 -


에 장애물을 놓지 말고’는 그 사람이 보지 못한다고 해서 피해를 줄 목적으로 조롱의 의도를 가지고 사람에게 해가 되는 일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말한다.본문은 힘 있는 자들이 사회적 약자와 가난한 자들인 이웃들에게 행하는압제와 늑탈을 금지하고 있는데 귀먹은 자와 소경에게 금지한 것들은 그들이 장애를 갖고 있는 부분을 이용한 덫을 놓지 말라는 내용이다. 그것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 장애로 인하여 불편함이나 불이익이나 재난을 안기는 일을 하지 말라는 금지 사항이다.레위기 19장 13-14절은 이웃에 대한 의무규정 안에 들어 있는데 78) 앞절에 나와 있는 품꾼의 삯을 아침까지 두지 말라는 규정은 가난한 자들에 대한최소한의 삶을 위한 규정으로 장애인들도 장애로 인해 사회적으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는 것을 말하는 규정들이다.성경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들을 위해 이스라엘 사회가 배려해야할 것을 말하고 있다.신명기 27장 18절은 ‘소경으로 길을 잃게 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이에 아멘 할지니라’ 하고 있다. 소경으로 길을 잃지 않게 하려면 사람들의 적극적인 도움이 있어야 한다. 신명기는 이러한 도움이 필요한 것을 보고도 도와주지 않아 소경이 길을 잃으면 그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고말한다. 그리고 이것을 백성들에게 인지시키고 동의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에도장애인에 대한 처우는 사회적인 장애인의 인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 사회안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성경은 장애인이장애로 인하여 곤란을 당하고 있을 때에 장애인을 돕는 일이 하나님의명령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잠언 31장 8절에도 ‘너는 벙어리와 고독한 자의 송사를 위하여 입을 열지니라’하여 송사를 사회적 신분과 장애와 상관없이 공평하게재판 79) 해야 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성서는 이스라엘 사회에서 특별히 다루고 있는 가난한 자와 약자들의 범주에 종들과 더불어 장애인도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장애로 인하여 불이익과 피해를 당하지 않을 수 있도록 사회 전체가 배려하도록 하나님은 율법을78) 오픈성경, (서울 : 아가페출판사, 1990년), 175쪽. 이웃에 대한 의무 규정은11-18절.79) 위의 책, 945쪽.- 51 -


통해 규정하고 계신다.그리고, 성경은 장애인들이 하나님의 백성이며 메시야 시대의 하나님의백성으로서의 지위를 누리게 될 것이라고 증언한다. 하나님의 나라의 증표는 장애인의 회복과 건강이라고 말하고 있다. 80) 성경은 장애인이 하나님의 나라의 구속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것은 신약시대에와서 더 분명하게 증거되고 있다.b. 신약에서의 장애인4복음서에 보면 예수님은 장애인들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사랑을 가지고그들을 만나시고 도우셨음을 알 수 있다.요한복음 9장 1-12절에는 예수님의 소경치유이야기가 나오는데, 제자들이 예수님께 소경된 사람의 원인이 누구의 죄 때문인 것을 물었다. 제자들은 장애는 죄로 인해 그렇게 되었다고 믿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당시 사람들의 보편적인 사고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예수님의 대답은 의외의 것이었다. 이 사람이나 그의 부모가 죄를 범한 것이 아니라 그에게서 하나님의 하시는일을 나타내고자 함이라 하시며 진흙을 침으로 개어 눈에 발라 실로암에 가서씻음으로 보게 해 주었다. 예수님은 당시 사람들이 장애를 죄의 결과로 보는 것과는 달리 하나님께서 하시고자 하는 일을 나타내기 위한 구속의 도구로서 장애를 보시고 계셨다.예수님에 의하면 장애인들은 하나님나라의 증표로서의 역할을 위한 하나님나라의 훌륭한 일꾼인 것이다.80) 예레미아 31 : 8 “나는 그들을 북쪽 땅에서 인도하며 땅 끝에서부터 모으리라 그들 중에는 맹인과 다리 저는 사람과 잉태한 여인과 해산하는 여인이 함께 있으며큰 무리를 이루어 이 곳으로 돌아오리라” , 사 29:18, “그 날에 못 듣는 사람이 책의 말을 들을 것이며 어둡고 캄캄한 데에서 맹인의 눈이 볼 것이며”, 사35:5-6, “그 때에 맹인의 눈이 밝을 것이며 못 듣는 사람의 귀가 열릴 것이며 그 때에 저는 자는 사슴 같이뛸 것이며 말 못하는 자의 혀는 노래하리니 이는 광야에서 물이 솟겠고 사막에서 시내가흐를 것임이라,” 미 4:6-7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그 날에는 내가 저는 자를 모으며 쫓겨난 자와 내가 환난 받게 한 자를 모아 발을 저는 자는 남은 백성이 되게 하며 멀리 쫓겨났던 자들이 강한 나라가 되게 하고 나 여호와가 시온 산에서 이제부터 영원까지 그들을 다스리리라 하셨나니“ 위에서와 같이 예정 된 날에 대한 예언에서 장애인들은 그 날에 대한 표적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하나님의 남은 백성으로 남아 있다.- 52 -


이것은 2000년대를 바라보며 교회의 대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토론들이많이 있었는데 이 때 많이 비판되었던 것이 교회물량주의와 이기주의로 지역사회에 하는 일이 없어서 지역사회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는지적들이 많아서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사회복지였다. 그 영향으로 교회에서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을 운영(도림교회, )하는 곳도 생기고, 장애인부의 설치도 늘어나고 있고 장애인 교회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그러나, 우리나라의 장애인 선교는 아직은 교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조명을 받아오지 못하였다. 아직 교회는 장애인을 위하여 휠체어가 다니는 계단을 만들어 놓은 교회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배려가 적다.‘이계윤’은 “교회가 장애인선교를 한다는 것은 당위의 문제이지 선택의문제는 아니다”라고 하며 “장애인 선교는 장애인을 향한 복음화, 장애인 양육,그리스도 안에서의 장애인과 일반성도의 교제, 장애 지원 전문 사회복지서비스와구제, 봉사를 포괄하는 사회봉사, 사회행동이 동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88)고 하였다.장애인 선교는 특수선교가 아니라 함께 살아야 할 사람들을 교회 문 밖으로 몰고 있는 교회가 문을 열고 이들을 하나님의 형제와 자매로 받아들이고함께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장애인은 하나님의 아끼시는 백성으로 교회를 장애인들이 쉽게 올 수 있도록 교회 문턱을 낮추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예배를 드리며 서로 도와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일하도록 하는 것이 장애인선교일 것이다.5. 장애인에 대한 교회의 의식우리 사회에서 장애인으로 살아가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장애인에 대한 우리 사회의 편견은 지역 안에 장애인 시설이 들어오는 것을 반대하고 장애인들을 혐오의 대상으로 보는 것에서 잘 드러난다. 장애인들은 특별히 장애인으로 분류되어 우리 사회의 다른 종류의 사람들로 치부되는 듯이 보인다.2002), 153쪽.88) 이계윤, 『재활복지실천 프로그램의 실제』(서울 : 한국밀알선교단출판부,- 56 -


한국장애인복지협회가 1993년에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약 60%의 사람들이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동정적으로 대한다는 사람도 약 25%가 되었다. 장애인을 차별 없이 대한다는 사람은 불과 약5%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89)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 의식구조는 일반적으로 장애인을 동정의 대상으로 생각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거부하고 비호의적인 경향이 강한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자신은 장애인이 되지 않았다는 자기만족감과 더불어 자신의 삶이 더욱 가치가 높다는 비교가치관이 전제되어 있다. 장애인을 불우 이웃으로 생각해 동정과 구호의 대상으로만 생각하고, 우리 사회의 2등 시민으로만 생각한다면 장애인들에 대한 관념은 사회적인 짐이나 부담으로 여기게 되고 이들의 인간다운 삶은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문제는 교회도 이와 비슷한 부정적인 장애인관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다.장애인을 불쌍한 사람으로 여겨 동정은 하나 장애인들이 교회로 올 수 있게 교회건축에 배려가 거의 없는 것이 한국교회이다. 교회에 여러 부서가 있지만 장애인 부서는 몇 교회를 제외하고는 없다. 총회 산하에도 장애인을 위한 선교부는없다. 2007년 3월 현재 등록 장애인수가 2,010,595명이고 이 중 불신자 비율이약 95-97% 90) 라고 하니 장애인 선교는 매우 중요한 일임에도 교회들의 관심은미미한편이다.교회의 장애인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잘못된 이해,인식 때문일 것이다. 그것은 장애인들에게 교회로 오는 문턱을 더 높게 만들고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하나님의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교회가 스스로 장님이 되어 장애인들을 영적인 장애인으로 만들고 있다는 말이다.교회는 장애인이건 아니건 하나님께서 준비하시는 분량대로 누구나 쓰임을 받을 수 있도록 교회의 세속적인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잘못된 이해, 인식을극복하여야 할 것이다.6. 국가의 정책89) 한국장애인복지연구회, 『한국의 장애인』,(한국장애인복지연구회, 1993년)158-159쪽.90) 이계윤, 『장애자 선교의 이론과 실제』, (경기 : 예영, 1996) 3쪽.- 57 -


정부가 2003년 2월 19일자로 발표한「제2차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에 의하면 장애인복지발전의 핵심은 재활에 있다. 이 5개년 계획의 추진목표는,장애인이 대등한 시민으로서 참여하는 통합사회의 실현을 위하여 장애인에 대하여 생애주기별로 특화된 복지서비스의 개발, 제공을 대전제로 하여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책무성을 공유한 통합교육의 확대를 지향하고 복지와 성장의 조화를 통한 안정적인장애인 고용이라는 직업재활을 실현함은 물론 신체적 여건에 구애됨이 없이 정보화의 혜택을 누리는 디지털 복지사회의 구현과 더불어 장애인에게 편리하고 안정한 이동편의 체계를 구축함으로서 명실공히 의료 ․ 교육 ․ 직업 ․ 사회의 통합재활의 달성을 목표로 하고있다. 91) 정부에서 장애인복지 추진방향의 목표는 재활이념에 근거한 장애인의 사회통합의 실현을 대전제로 한의료 ․ 교육 ․ 직업 ․ 사회의 통합재활의 달성에모아져 있다.실천방안에서 이러한 방향들은 구체화 하여 정리하고 있는데 그내용은 아래와 같다.정부는 이상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방안으로,1 선천적 후천적 장애발생요인의 제거 등 장애발생의 사전 예방 강화,2 장애인의 출생에서 생의 마감까지 연령별, 장애종류 및 정도, 성별 등에 따른필요한 서비스의 적시 제공,3 기존의 시혜적 시책에서 탈피, 지식정보사회의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 자원 활용 차원에서 장애인과 가족의 생산적 근로활동을 조장하고 장애관련 사업의증진을 통해 국가경제 발전에의 기여 유도,4 공동체적 삶에 대한 인식 공유 등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정보접근 보장 등을통한 장애인의 사회참여 기회의 보장,5 장애인 관련 정보 ․ 통계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과 중앙 ․ 지방 ․ 민간(지역사회 등)이 연계된 복지전달체계의 수립,쪽91) 정순민, 『장애인의 재활 ․ 복지』, (서울 : 중앙경제, 2003년 개정 4판) 107- 58 -


6 국제적 기준 및 선진국의 사례 등을 벤치마킹, 우리 현실에 맞는 복지체계의구축 및 7 장애인 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재정규모 등을 고려, 우선순위에 따라 단계적 ․ 전략적 접근 등 7가지 큰 방향으로 추진한다는 것이다. 92)김종인은 우리나라가 선진화된 복지사회를 추구하고 있음을 들어 장애인복지가 복지사회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장애인 복지의 기본적인구도를 다음의 6가지로 들었다.그것은 첫째, 모든 장애인 복지정책은 재활의 이념의 바탕에 서서 시책의 체계가 재인식돼야 하며 둘째, 장애인이 가정이나 지역사회로부터 나아가 국가사회에서 자립생활을 가능케 하는 장애인 복지의 체계화가 필요하며, 셋째 장애인을 막연히 보호해야하는 객체로서가 아니라 자립, 자조할 수 있는 주체로서 인식하여 복지정책을 재구축해야 하며 넷째, 심시장애로 인한 사회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관련시책을 종합적으로추진해야 하겠으며, 다섯째, 장애인의 욕구를 생애주기에 따라 충족시킬 수 있는 시책이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할 것이며, 여섯째, 재활공학을 지식정보사회에 부응하는 첨단테크놀로지와 함께 연계시켜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고용을 촉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93)정부의 장애인 정책은 앞으로 장애인들이 사회의 2등 국민으로 보호 차원에서의 접근이 아니라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의 사회 참여를 통한 사회통합에이바지하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실천 방안에서도 장애인의 생산 활동에의 참여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이를 위한 정보 인프라의 구축 등 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리고 장애인의 장애 정도와 종류 성별에 따른 서비스의 즉시 제공을 두 번째 항목으로 넣고 있어 장애인들의서비스 지원에도 한층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김종인이 제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아직은 실천적인 면에서 부족한 면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앞으로 장애인을 위한 선교들은 정부의 이러한 장애인 정책들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본다.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장애인의 복귀와 사회 참여를 통한 장애인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 정부의 입장보다 훨씬 처진 구제 차원에서의 구시대적인 방법으로서는 장애인 선교가 더욱 어려워 질 것이기 때문이92) 위의 책, 108쪽93) 김종인, 위의 책, 361-362쪽- 59 -


다. 교회가 장애인의 재활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이를 위한 서비스의 제공을통하여 장애인의 재활에 참여하고 교회의 문을 열어 장애인들이 교회의 일원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세상의 빛으로서의 구체적인 자신의 모습들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시대와 환경에 따른 선교방법의 변화는 복음전도에 있어서 꼭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C. 중증장애인1. 중증장애인의 정의우리나라 중증장애인의 법적 기준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시행령」제4조 제1호에서 “장애인 복지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기준에 해당하는장애인 중 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장애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자” 94) 를 말한다. 여기서 "노동부령이 정하는 장애등급"이라 함은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별표1의 규정에 의한 장애인의 장애등급 중 제2급 95) 이상을 말한다. 이 말은 국가에서 정하고 있는 15가지의 장애유형에서 제2급 이상의 장애인을 우리나라에서는중증장애인으로 규정하고 있다.다른 규정들에 의하면, 장애인 복지법 제6조에는 중증장애인의 보호 규정이 있는데 여기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정도가 심하여 자립하기가 매우 곤란한 장애인(이하 중증장애인)”으로 규정하고 있어 ‘자립이 어려운 장애인’이, 「장애인 고용촉진법 직업재활법」에는 “장애인 중 근로능력이 현저하게 상실된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로 ‘근로능력이 현저하게 상실된 장애인’을 중증 장애인으로 보고 있다.정리하면, 우리나라 법에서 중증장애인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한 15가지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2급 이상의 근로능력이 현저하게 상실된 자립이 어려운94)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95)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규칙, [일부개정 2006.3.3 노동부령 제246호].- 60 -


장애인’을 말한다.여기에서의 규정들에 의하면 중증장애인은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자립이불가능한 사람들로 보여진다. 실제로 중증 장애인에 대해서는 최근까지도 재활보다는 보호에 치우친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장애인에 대한 정의가 진화를 거친것과 같이 누구나 사고나 병으로 장애인이 될 수 있음으로 장애 개념은 장애라는 특수한 영역에서 사람이라는 보편적인 개념으로 정의되면서 장애인의 재활이보다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에 힘입어 중증장애인들의 재활도 이제는 중요한 관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2. 중증장애인 요양 시설과 재활장애인생활시설은 크게 장애인 재활시설과 요양시설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재활시설은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지체 등 동일 또는유사한 장애를 가진 장애인을 입소 또는 통원하게 하여 그 재활에 필요한 상담,치료 또는 훈련을 행하는 시설이며 요양시설은 장애인으로서 항상 돌보아 주어야 할 자를 입소하게 하여 장기간 요양을 행하는 시설이다.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반적인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은 “장애정도가 심하여 항상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입소하게 하여 상담, 치료 또는 요양서비스를제공하는 시설 96) 이다. 아직까지 우리 법은 중증장애인요양시설은 치료와 요양을주 업무로 하는 곳으로 규정하고 있다.시설에 대한 일반인들의 부정적인 시각도 많으나 장애인들의 경우는 시설보호에 대한 서비스의 욕구는 높은 편 97) 이다.우리나라와 같이 장애인을 불쌍한 사람 정도로 아는 이해도가 낮고 지역 안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없는 상태에서는 시설보호의 의미가 더 크다고 할 것이다.그러나 우리나라의 장애인 시설은 수요에 비하여 공급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장애인 1인당 입소 가능 시설 수는 일본의 1/5 수준이며, 요양시설이나기타 근로시설을 합할 경우 그 격차는 더욱 큰 것을 알 수 있다. 시설 직원 1인96)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별표.97) 2000년의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시설에 입소하기를 희망하는 장애인의 욕구는 전체의 15.5%로 나타나고 있다.- 61 -


당 장애인 수에 있어서는 우리가 평균 3.8명인데 비해 일본은 1.6명으로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입소시설 수용현황 비교(1998년) 98)(단위 : 명, 개소수)재활시설요양시설근로시설시설정원112 12,1356085,889532한 국장애인1만명당직원1인당시설수 장애인수1.1 4.20.60.13.34.2시설1,798442425정원105,90031,41226,199일 본장애인1만명당직원1인당시설수 장애인수5.5 1.6전체 180 18,566 1.8 3.8 2,665 163,511 8.2 1.61.41.31.12.3시설이란 장애인들이 생활의 모든 부분들을 24시간 도움을 받을 수 있는곳이다. 한 때 서구에서는 큰 규모의 시설들을 통하여 장애인 문제를 해결하였는데 이때의 문제는 장애인들이 시설에 입소하며 사회적인 관계망이 끊어짐으로말미암아 다시 사회로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고 시설의 체제에 적응하여 평생을 시설에서 사는 사회의 둠섬과 같은 곳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래서 조정된 것이 사회적인 관계망이 끊어지지 않도록 지역사회에 살면서 시설이 주는 도움을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재가복지였다. 서구에서는 현재 재가복지 중심의 지원이 있고 더불어 시설을 작게 만들어 지역사회에 시설이 존재하면서 집중적인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중요하게 다뤄진 개념이 바로 재활문제이다.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도 장애인시설 정책에서 재활의 문제를 매우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시설들도 장애인들이 재활하는 시설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보건복지부의 정책이다. 최근 들어서 정부가 장애인 시설들의 상향 조정을 위하여실시하고 있는 3년마다의 평가에서는 중증장애인 시설도 재활프로그램이 있어야한다는 전제 하에 재활프로그램의 항목들을 꼼꼼이 만들어 평가하고 있다. 99)98) 자료 :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사업지침』, 1998년 일본 후생성, 『후생백서』, 1998년, 권선진, 『장애인 복지』, 199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에서 재인용.- 62 -


최근 들어 재활의 최종 과정인 직업재활이 중증장애인에게도 적용되어 이에 대한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어서 앞으로는 중증장애인들의 직업재활 문제도 주요한과제로 떠오르리라 생각한다. 재활은 이제 장애인 시설 모두의 주요한 과제들이되고 있다.그런데 재활의 문제는 기독교 장애인시설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개신교가 유독 약한 부문이 장애인 선교인데 현재(2007년 3월) 우리나라의 장애인수는 201만 명이고 그 중 중증장애인수는 54만 명가량 될 정도로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니다. 그리고, 산업화로 인하여 사고와 병으로중도 장애인이 장애인의 대다수를 이룰 정도로 늘어가고 있고, 장애인의 범위도과거와 달리 영역이 넓어지고 있어서 장애 문제는 이제 특수한 사람들의 문제가아니라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문제가 되고 있다.또한, 개신교에서 장애인 시설을운영하고 있는 곳도 사실 적지 않다.법인 에서 운영하는 시설 이상의 장애인 단체인 한국장애인 시설협의회에 소속된 400여개의 시설들 중 최근 들어 들어오고 있는 불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몇몇기관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은 개신교와 카톨릭 그리고 개신교 관계자들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다. 이들이 장애인 시설들을 운영하는 목적은 선교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봉사에 있고 1980년도에 장애인 선교회로 시작한 단체들은 이제 산하에 정신지체 시설, 요양시설, 직업재활시설과 학교를 함께 어우르는 큰 시설들로자리하고 장애인 시설 전체를 이끌어 가고 있다.그러나 아직 장애인들을 위한 신학적인 접근이 많지 않아서인지 시설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기독교적인 접근은 예배와 말씀선포 정도이지 장애인의 요양과 재활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에서나 의료적인 접근에 따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치료나 재활의 방법들은 기독교적인 방법이 따로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재활의 운영에 있어서는 예수님이 가르쳐주신 이웃사랑의 정신들을 충분히적용해 볼 수 있는 여지들이 많이 있다고 보여진다. 기독교적인 신앙의 정신들이재활에서 매우 주요하게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재활의 문제는 사람들을 고쳐서 자신의 집으로 돌려보내시는 예수님이 하시던 일들이다. 카톨릭이 최근 들어 교세가 늘어난 것은 카톨릭 사회복99) 2004년도의 평가의 초점은 재활서비스였다. 2007년에는 장애인의 인권문제에 대한 새로운 항목들이 들어와 시설이 이 문제들에 대한 배려를 얼마나 하고 있는지를- 63 -


지 기관들을 통해서 보여진 카톨릭의 약자에 대한 헌신의 모습들이 우리 사회에설득력 있었기 때문이다. 장애인 선교에 있어서 좋은 시설, 곧 장애인들이 재활하는 시설들이 있어 장애인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여겨진다. 기독교 정신으로 장애인시설들이 의해 운영되는 것은 사람들을 복음으로 설득할 수 있는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고 기독교 정신이 무엇인지를 보여줄 수 있는 기관이 되기 때문이다.- 64 -


Ⅲ. 변화이론A. 장애인 재활 프로그램.1. 장애인 재활의 이해재활」이란 영어의 Rehabilitation의 번역으로 원래의 어원은 Re(다시),habile(적응하다)라는 라틴어의 복합어로 “재적응 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100) 영어적 의미로는 habilit(적합한)에 접미사 ation(- 으로 하는 것)으로 적합하게 하는 것 즉 ‘다시 적합하게 하는 것’으로 ‘사람답게 될 권리와 자격과 존엄이 어떤 원인에 의해서 손상된 사람이 그것들을 다시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101) 사회복지적 의미에서의 재활은, 1944년 미국 국가평의회에서 「재활」을‘장애인으로 하여금 가능한 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경제적으로 최고도의 유용성을 획득 할 수 있도록 회복시켜 주는 것’ 102) 이라고 정의 하였다.1969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이와 비슷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재활이란 “ 의학적, 사회적, 교육적, 직업적 수단을 동원하고 이를 상호 조정하여 훈련또는 재훈련을 통하여 장애인의 능력을 가능한 한 최고 수준에 도달하도록 하는것”이라고 하였다. 103)양자가 비슷하나 후자가 훈련의 의미를 더 강조하고 있다고 보여진다.학자들의 견해도 대체로 비슷하다. ‘Krusen’는 “ 재활이란 환자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및 직업적으로 정상의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회복시켜주는 치료 훈련을 말한다”고 하여 회복을 목표로 한 치료 훈련과정으로 보았고, ‘김종인’100) 정순민, 『 장애인의 재활 ․ 복지 』, (서울 : 중앙경제, 2003년, 개정 4판),27쪽.101) 김종인, 우주형, 이준우, 『 재활복지개론 』,(서울 : 인간과 복지, 2004년),19쪽.102) 보건복지부, 『농촌 재가장애인의 가정방문재활서비스 욕구도 분석』, 과천: 보건복지부, 2000년 제1차년도. 5쪽.103) 위의 책, 5쪽.- 65 -


도 “재활복지란 장애를 지닌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경제적 가용능력을 최대한 회복시키기 위해 계획된 목표 지향적이고 개별화된 일련의 연속적 과정으로서의 체계적인 서비스를 말한다” 104) 하여 연속적인 과정으로서의서비스 체계로 보았다.재활이란 장애인이 우리 사회에서 정상적인 삶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한회복을 위한 치료 및 훈련과정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련의 체계적인 서비스체계임은 말할 나위 없다.그러나 재활이 단순한 치료 및 훈련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재활은장애인의 온전한 사회복귀와 통합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그 기본적인 이념은 전인적인 접근을 전제로 한다. 학자들의 재활의 기본 이념들을 살펴보면 ‘박옥희’는,첫째, 기회균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으로서 장애인에게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취업과 함께 국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참여를 준비하게끔 하는것이다. 둘째는, 인간은 전인격적인 존재로서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 직업적․ 경제적 부문으로 나누어 질 수 없는 하나의 완전한 개인이며, 인간의 각 부문은 전체를 형성하는 다른 부분들과 상호 작용하는 것이다. 셋째는 모든 인간은독특한 존재라는 것이다. 따라서 장애에 대한 심리적 ․ 개인적인 반응은 개인마다 다르고 누구도 똑같은 잠재능력을 갖지 않으며 개인마다 독특한 요소와 소질, 대처방법과 목표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재활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협력에 기반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의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즉, 재활은 장애인 개개인의 욕구에 대응 하여 그들의잠재능력을 최대한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의학, 심리학, 교육학, 기타 여러 전문분야의 협조를 필요로 한다. 105) 하였다.그러나 재활은 의료분야, 교육분야, 직업분야, 심리분야의 재활 등이 서로유기적 연계 하에 상호보완적인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종합적 성격을 가지며, 장애인이 하나의 인격체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전인적 접근방법을 취해야 한다.104) 김종인, 우주형, 이준우, 위의 책, 19쪽.105) 이현주외 4인 공저, 『재가산재장애인의 재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2 년, 40-41쪽에서 박옥희의 정의 재인용.- 66 -


즉, 완전한 재활을 위해서는 의료재활을 통하여 장애를 입기 이전의 신체상태의회복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다. 재활의 과정개념도 106)장애인→→→장애인복지관병원시설취업알선기관→ 상담평가판→검사 정교육재활,진단 → 회심리재활,→→ 상담평가의→→시설 → 재활서비스재가→의료재활,사회재활,직업재활사회복귀‘김종인’은 재활복지의 이념을 궁극적으로 인간의 자기실현에 둔다고 하며, 모든 사람들에 있어서 기회균등이 권리로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과, 인간은적인 단편부분으로 나눌 수 없는 전인격적인 존재이며, 모든 인간은 요구와 잠재력의 면에서 독특한 존재라는 것에 기초를 둔다 107) 고 하였다.재활의 이념은 한 인간으로서의 장애인에 대한 기회균등과 인격, 한 인간으로 갖는 독특성에 대한 부분까지 존중받고 배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것은 재활이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장애인이 하나의 인격체이고 하나의 사회인으로 복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김종인’은 재활복지의 철학과 이념 그리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목표를크게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하고 있는데, 첫째, 정상화(Normalization)이고, 둘째,독립생활(Independent Living), 셋째, 고용 및 사회통합(Employment and socialinclution) 108) 이다.이것은 요즈음탈시설화, 탈의료화, 소비자 주권, 지역사회중심재활이라106) 위의 책, 41쪽.107) 김종인,우주형, 이준우, 위의 책, 21쪽108) 위의 책, 158쪽- 67 -


는 장애인 스스로나 그 가족과 공동체가 함께 권익을 증진하는 운동이 세계적으로는 확산되어 가는 추세여서 장애인문제에 있어서 재활의 문제는 보다 더 구체화 할 것으로 보인다.김종인은 우리나라의 재활복지프로그램을 시설보호 및 수용중심에서 재가 혹은 독립생활 중심으로 변해야 하는 것이 시대적 요청이라는 전제하에 보강되어야 할 과제들을 다음의 8 가지로 정리하고 있다.첫째, 재활을 전제한 장애인의 범위와 개념의 재정립.둘째, 개별화된 교육 및 각종 재활 프로그램 마련에 대한 법적, 제도적 보완과정비셋째, 독립생활을 위한 등 시설복지의 보완적, 대안적 모델 개발넷째, 현행 복지시설 프로그램의 전문화 및 지역사회와 직업환경과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다섯째, 장애인 스스로 재활과 인권의 주체로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법적 보장과 프로그램의 확대의 필요.여섯째,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념의정착과 편위시설의 확충일곱째, 최근 미국 부시대통령이 발표한 뉴 프리덤 이니셔티브(New FreedomInitiative)정책의 핵심인 정보화 교육과 고용안정에 대한 한국적 모델개발 가능성을 타진해 볼 필요성의 제기여덟째, 21세기 지식정보 사회에 부응하는 재활복지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해야할 것이다. 109)현재 장애인 시설도 재활시설이건 요양시설이건 장애인의 장기간의 시설거주보다는 시설이 재활을 위한 제한적인 거주시설로 변환하는 것을 시설 평가의 항목에서나 각종세미나를 통하여 가야 할 장애인 시설의 장래의 방향점으로제시 되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정상화, 독립생활, 고용 및 사회통합이라는 재활의 이념적 목표와 함께하는 것으로 장애인 시설에 있어서 재활의 문제는 장애인선교에 있어서 핵심적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109) 김종인, 우주형, 이준우, 위의 책, 165쪽.- 68 -


2. 사정과 재활프로그램의 계획a. 사정(assessment)사정은 아직도 진단이란 말과 혼용되어져 있는데 사정은 한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는방향으로 장애를 사정하고재활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 이 일은 아무리 노련한 전문가라 할지라도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기에 사정의 윤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김미옥은 사정의 주요 윤리적 기준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들고 있다.그것은 첫째, 모든 인간은 유일한 존재라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다. 둘째는, 각 개인에게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셋째는, 정학한 진단과 사정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도구 자체의 제한성이 있고 이것을 다루는 사람에게도 제한점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넷째는, 진단과 사정은 인간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고 발견해야 함을 잊어서는 안된다. 다섯째는, 진단과 사정은 전문적인 지침서와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어야만한다. 110) 김미옥이 사정의 윤리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사정이 잘못하면 장애인에게 오히려 부담과 해가 될 수 있기에 섣부른 사정을 경계하기 위한 것이다. 사정은 반드시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1) 사정과정어진다. 111)사정과정은 1예약 및 접수 → 2초기면접 → 3종합사정의 순으로 이루1 예약 및 접수과정 : 상담을 통하여 필요한 클라이언트의 연령, 성별,110) 김미옥, 102-103쪽.111) 정순민은 기능, 형태장애의 진단과 능력장애의 진단을 나누어, 전자는 병원에서의 정보와 같은 관련 정보의 활용, 기족병력의 참고, 직업력의 고려 등을 들고 있고,후자는 생활관련 동작들을 평가하는 것으로 이동, 가사동작, 언어의 세 영역으로 요약 될수 있다.- 69 -


사정 영역 등에 대한 간략한 정보 등을 수집한다.2 초기면접 ; 클라이언트와 가족의 기본욕구 파악과 함께 치료력과 진단명, 가족사항 등 기초 자료를 수집한다. 초기면접에는 신체적, 심리사회적, 경제적, 교육-직업기술 발달 요소 등에 대한 기본 정보수집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개별화된 특성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3 종합사정 : 재활전문 인력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사회진단,의료진단, 교육진단, 언어진단, 심리진단, 직업진단 등에 필요한 면접, 관찰, 검사등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의료진료, 교육진단, 언어진단, 심리진단은관련전문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각 진단에 대한 기초적인이해를 해두면 된다. 직업진단은 직업상담사의 숫자가 늘어나는 추세인데 보다조기에 시행하여 클라이언트의 개별능력 향상을 위한 개입 필요성이 있다.2) 강점 사정기본전제는클라이언트의 강점을 구체화하고 인장하며, 환경과 자원을충분히 활용한다면 클라이언트가 더 나아질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강점 사정은해결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강점사정은 문제중심 사정이 전문가 중심인데반해 상대적으로 클라이언트 중심이다.클라이언트와의 파트너 쉽을 강조하며클라이언트의 과거력 보다는 현재의 잠재력, 자원 및 강점을 강조한다. 이것은사정의 방향을 전환하게 하는데 문제가 무엇인가를 보는 과거의 사정으로부터강점자원이 무엇인가로 전환시키고 개입의 방향도 강점의 강화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강점사정을 위한 첫 단계는 시각을 넓히는 것인데 생물학적, 심리학적,사회적, 영적 차원의 영향을 고려한 것이다.장애가족의 강점요인은 파워(Power)는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1 경청능력, 2 현실에 대한 공유되고 공통된 인지, 3 장애와 관련된 문제에 책임지는능력 , 4 가족의 문제해결 협상 능력, 5 스스로를 돌보는 적극성, 6 현재에 초점을 두는 능력, 7 서로에게 강화를 제공하는 능력, 8 관심사를 토론하는 능력,9 소속감을 제공하는 능력, 10 일상의 경험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능력, 11변화- 70 -


가능성에 대한 인정과 희망을 가지는 능력 112)b. 재활계획의 수립사정에 참여한 전문인력들이 모여서 사례회의를 하면서 수립된다. 사정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재활의 방향과 계획을 결정하며 동시에 사정기관에의서비스의 제공 혹은 타기간의 의뢰를 결정한다. 가능하다면 보호자와 클라이언트의 참여 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3. 장애인 재활 서비스의 종류장애인의 재활서비스는 크게 다음의 5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것은의료재활, 교육재활, 심리재활, 사회재활, 직업재활이다. 다음에서 살펴보겠다.a. 의료재활재가 장애인의 재활서비스의 제일의 욕구는 의료재활이다. 113) 의학적 재활은 ILO의 정의에 의하면 “ 개체의 기능적 또는 심리적 능력을 필요한 경우 대상기능을 활용함으로서 발달시키는 일련의 의료이고, 그에 따라 장애인이 자립하고 활동하는 생활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114)장애인은 그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뿐만 아니라 체계적재활서비스의 부재에 의해서도 사회 환경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112) Power, 1988년 7-10쪽, 김미옥, 121-122쪽에서 재인용.113) 보건복지부, 『농촌재가장애인의 가정방문 재활서비스 요구도 분석』, 제1차년도 , (과천 : 보건복지부) 2000년, 46쪽. 733명의 응답자 중, 의료재활 198명(27%),사회보장 142명(19.4%), 종합진단 91명(12.4%), 의사의 가정방문 진단 85명(11.6%),사회심리재활 68명(9.3%), 직업재활 56명(7.6%), 재활공학 44명(6.0%), 교육재활24명(3.3%), 가사서비스 24명(3.3%)이다.114) 정순진, 126쪽.- 71 -


나아가서는 인간다운 삶의 보장에 위협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인간군이다. 어떤원인으로든지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장애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또는 직업적으로 사회에서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기능을 회복시켜주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의료재활서비스는 여러 과정 중에서 첫 단계에해당하는 가장 필수적이며 기초적인 과정이며 장애의 예방, 조기 발견, 조기 치료 및 추후관리까지의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장애인의 재활인 의학적 재활의 체계는 비교적 일찍부터 정비되어 있어의사를 중심으로 각 재활팀의 사고방향도 각 치료사 사이에서 잘 인지되어 있다.의료재활은 예방의학, 치료의학, 재활의학으로 장래에 남게 될 기능장애를 상정, 그에 따르는 장애를 최소화시켜 사회복귀를 하도록 하는 의학 즉 장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재활분야에서 의학의 한 가지 더 큰 역할은 건강관리이다. 115) 의료재활의 영역은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1 기능회복 훈련은 물리치료, 운동치료, 작업치료, 일상생활 운동(ADL), 직업전 평가 ․ 훈련을 말한다. 2청능 ․ 언어 훈련, 3 사회적응 훈련이다.의료재활은 장애인의 재활에 있어서 기초적이고 필수적임에도 장애인에게보편적인 혜택을 주고 있지는 못하다. 의료재활의 문제를 오혜경은 다음의 세 가지로 들고 있다.첫째, 재활의학 전문의의 수가 1993년 현재 149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대도시에편중 되어 있어 2차 및 3차 의료기관에서 장애인과 만성질환자에 대한 효율적인 의료재활서비스의 제공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둘째는, 의료전달체계 확보의 문제이다. 의료의지상 목표는 양질의 의료를 모든 사람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인데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의료인과 의료시설이 가까운 곳에 있어서 환자가 쉽게 찾아 갈 수 있어야 한다. 장애인에게는 장애를 정확히 평가하고 의료재활의 방향의 안내를 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위한 기관들이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는 장애의 발생 원인에 따른 예방대책이 있어야할 것이다. 116)115) 정순민, 위의 책, 40쪽.116) 오혜경, 『장애인 복지학 입문』, (서울 : 아시아미디어리서치, 1998년)257-258쪽 요약 정리.- 72 -


오혜경이 지적하고 있는 세 가지의 사항은 2007년 현재에도 나아진 것이없어 보인다. 양주시에서도 재활의학과는 거의 없고 장애인시설들의 재활을 위한도움을 받을 만한 의료기관이나 시설이 없기 때문이다.제2차 장애인5개년 계획에 의하면 발전적 계획으로 정부는 장애발생의 예방, 의료보장의 확대, 재활보조기구의 개발, 보급, 장애범주의 확대 및 등록관리체계의 개선, 장애의 개념 정립 등을 들고 있는데 2007년 현재 장애인 차별법을제정하고 위의 항목들의 투자들은 나아지는 것으로 보인다.b. 교육재활장애인 문제는 대부분 우리 사회의 잘못된 인간관계에서 생긴 것이며, 사회의 불평등한 관행 때문에 부당한 조치를 받아 온 것이다. 교육의 기회균등은시민의 기본 권리이다. 그런 의미에서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특수교육은 인지적, 정의적 또는 운동적 상태나 발달이상 혹은 낮은 발달률, 감각결손, 조기학교교육의 결여, 잘못된 조기의 교육, 교육에 개입된 인간적,환경적 조건 등을 조절하기 위한 기술, 절차, 교수 자료와 시설을 개별화 하여적응하는 교육이다.우리나라 특수교육진흥법 제2장에서는 특수교육을 특수교육대상자에게점자, 구화, 보장구를 사용하여 교육, 교정 및 직업보도를 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특수교육이란 정신지체, 정서장애, 신체장애, 언어장애, 청각장애, 시각장애중에서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소질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을 말한다. 117)특수교육의 목표는 대략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는, 아동의 가능한 독립, 자립능력 개발을 위한 아동생활의 지식과 상상적 이해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둘째는, 아동의 가능한 독립, 자립능력 개발을 위한 직업을 발견하도록 하고 자기 자신의 생활을 스스로 관리 조정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117) 김종인, 우주형, 이준우, 184쪽.- 73 -


장애아동의 특수교육의 환경은 현재 가능하면 비장애아동과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세계적인 방향과 함께 변화하고 있다.우리나라의 특수학교의 현황은 2001년 현재 134개의 특구학교에24,380명의 장애학생들이 재학 중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설립주체별로 보면 사립이 87개교(64.9%), 공립 42개교(31.3%), 국립 5개교(3.7%)이고 장애영역별로보면, 정신지체가 79개교(59%), 청각장애 17개교(12.7%), 지체장애 17개교(12.7%), 시각장애 13개교(9.7%), 정서장애 6개교(4.5%) 순이다. 118)c. 사회 ․ 심리재활사회재활은 각 영역의 재활과정에서 출발점이며 도착점이라 할 수 있는성격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사회재활은 의료, 교육, 직업 등의 각 재활분야의공통 분모적이며 핵심적인 요소로서 각 영역이 추구하고 지향하고 있는 궁극적인 가치나 목표가 되는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이다.오혜경은 사회재활을 다음과 같이 정의 하고 있다.사회적 재활이란 전 재활과정에 방해가 되는 모든 경제적, 사회적 곤란을 감소시켜 장애인으로 하여금 가정이나 지역사회 또는 직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원조하고 사회통합 내지는 재결합하는 것을 목표로 재활 운영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 ․ 심리재활은 장애인을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지닌 전인격적으로서 인식하고 장애인의 사회적생존을 보장하는 것을 지향한다. 따라서 사회 ․ 심리재활은 사회관학의 지식과 기술체계를 이용하여 장애를 가지면서도 사회에 참여하는 인간이 어떻게 해야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삶의 보람을 가지고 살 수 있는가에 중요한 관점을 두고 있다. 119)WHO의 사회 ․ 심리재활의 정의는 “ 재활 과정에 방해가 되는 모든 경제118) 교육인적 자원부, 2001년 통계자료.119) 오혜경, 263-264쪽. 요약 정리. 사회재활의 목표는 장애인의 자립내지는사회적응이다. 장애인들이 가정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기능, 그들이가지고 있는 심리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해 주는 초점을 유지하는 것이 바로사회적 재활이다. 그리하여 사회재활은 개인과 한경, 양쪽 모두에서 변화가 일어 날 수있도록 원조하여 장애인의 심리적 능력을 강화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환경적 반응을 증가시켜 그들의 사회적 통합을 꾀하는 것이다.- 74 -


적 ․ 사회적 곤란을 감소시켜 장애인으로 하여금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적응할 수있도록 원조함으로서 사회에 통합 혹은 재결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재활적 운영의 부분”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120)사회재활은 장애인의 재활욕구를 향상시켜 적응을 저해하는 개인의 내외적인 요인들을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찾도록 도와줌으로서 궁극적으로 장애인의 완전참여와 평등의 이념에 입각하여 아무런 차별과 불편을 느끼지 않고 그가 속한 사회의 주류문화를 공유하면서 가정, 학교, 직장 등 사회생활을 충분히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사회재활은 장애가 있는 자신의 사회생활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하지만 사회생활을 높이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함과 동시에 사회사업가의개별 지원인 복지서비스의 활용, 대상자와 환경간의 조정, 서비스간의 조정, 즉재활팀의 조정자 역할이 사회재활의 관련 업무가 된다.사용하고 있는 도구는 지능검사, 성격검사 등 심리적 평가 기술들은 체게적으로 확립되어 있으나 장애에 따른 심리적 지도의 구체적인 지표가 없어서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음으로 ‘재활팀’을 꾸려 사회재활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예는 과 같다.사회 ․ 심리재활 프로그램의 예 121)영역놀이영역스포츠 영역프로그램-창작놀이, 미술놀이, 점토놀이, 물놀이, 만들기 놀이, 모형놀이,+신체적 발달, 치료적 , 교육적, 창조적, 사회적, 도덕적 통찰력의 가치-구기종목, 볼게임, 씨름, 수영, 육상, 리듬체조, 기계체조,평균대+기능훈련, 의지와 단련, 잠재적 가능성 개발, 심신의 조화120) 정순민, 47쪽.121) 오혜경, 273-274쪽- 75 -


영역휴식영역(여가선용)견학과 여행영역사회적응을 위한사회생활기초영역프로그램-TV시청, 계획된 비디오 감상, 영화감상, 라듸오 청취, 음악감상, 독서, 산보,+에어지 축척, 여가 선용, 정신적 육체적 휴식- 마을, 시장, 관청, 공공기관, 공원, 공장, 박물관, 동물원,자연관찰, 캠핑, 등산, 타지역의 여행,+사회접촉의 확대, 실제생활의 경험, 지역사회의 이해, 생활에의 자신감-대화방법, 악수, 소년소녀 상호 에절, 도움 청하기, 자세와표정, 몸짓, 전화 사용의 예절 및 방법, 식사, 식당의 예절,화폐의 식별과 사용, 물건 사기, 교통기관의 이용+ 사회환경에의 적응, 사회생활 기능, 품위 있고 안전한 사회인의 생활d. 직업재활「케슬러」에 의하면 “ 직업재활이란 장애인에 대하여 가급적 최대한도로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경제적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회복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ILO의 정의에 의하면 “직업재활이란 장애인이 직업을 갖고 이를 유지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업상의 제원조 예를 들면, 직업보도, 직업훈련, 취업알선을 포함한 계속적인 종합적 재활과정이다.” 하고 있다.또, 국제장애인재활협회의 직업재활위원회는 직업재활의 장래 지침 속에직업재활의 포괄한 서비스의 내용으로 직능평가, 직업보도, 직업 전 훈련, 직업훈련, 취업알선, 보호고용, 에프터 ․ 케어(after - care)가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 122) ILO가 제시한 직업재활의 원칙을 다음과 같다. 장애인이 갖는 모든 문제에 조직적 전면적으로 착수하여야 한다. 적적한 시기에 신속하게 해당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모든 서비스가 전문가에 의하여 제공되어야 한다. 장애인이 갖는 직업적 재활의 욕구가 무122) 정순민, 245쪽.- 76 -


엇인가를 정확하게 파악되어야 한다. 의료적 조언은 직업적 단계에 상관없이 주어져야한다. 직업적 재활은 되도록 빠른 시기부터 개시되어야 한다. 재취업의 가능성이 있는대로 가능한 속히 다음 단계로 진행시켜야 한다. 123)우리나라의 장애인 직업재활 형태는 일반기업에 고용되는 ‘일반고용’, 보호작업장이나 복지공장 등과 같은 복지적인 배려를 가한 취로기관에의 취로인‘보호고용’, 생산성 보다는 취로를 통한 체력유지, 사회성의 육성 및 지역조직화의 추진이라는 의의를 살리고자 한 ‘공동작업소’의 취로 등이 있다. 세 경우 모두취업을 우선하기 때문에 임금수준은 보호고용의 경우도 50만원 선을 넘지 못할정도로 열악한 편이다. 여기에 취업도 용이하지 않은 편이라 취업률도 매우 낮은것이 현실이다.장애유형별 장애인 취업률은 지체장애 전체인구 중 60%의 응답자 중26.8%가 실업자이고, 뇌병변장애 18,8%의 응답자 중 61. 6%가 실업자이고, 정신지체는 37. 3% 중 41.7%가 실업자, 발달장애인은 14.8%의 참여자 중 100%가 실업자였다 124) .4. 장애인 재활 프로그램의 방법a. 사례관리 (Case Management)사례관리는 1980년대 이후 사회복지방법론에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 방법론이 대두하게 된 배경은 포괄적인 서비스의 욕구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파편적으로 대응함으로서 서비스의 일관성이 약해지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것이었다. 125)123) 오혜경, 276쪽.124) 한국사회복지연구원, 『2000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 : 한국사회복지연구원, 2000년).125) 윤덕찬, “장애인생활시설에서의 사례관리의 실제”, 『2006장애인복지시설전문요원교육 사례관리반』(서울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2006년), 80쪽.- 77 -


사례관리의 개념은 대상자의 욕구, 서비스의 목적 및 서비스의 제공자의역할에 따라 다양하고 포괄적으로 적용되어 왔기 때문에 합의 된 개념으로 단정짓기는 어렵다. 소개하면, 서비스 체계 중심의 개념으로의 정의는 랩(Rapp) “사례관리란 탈시설화의 영향으로 서비스 전달체계에 나타난 서비스의 단편성, 분산성, 불연속성, 비접근성, 중복성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이다” 126) , 라고 정의 하였다.클라이언트 중심의 개념 정의는 램(Lamb)은 ‘치료자 - 사례관리자’의 개념을 사용하여 고도의 전문적, 치료적 개입을 통하여 정확한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사정, 평가하고 클라이언트가 사례관리 과정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촉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사례관리에서 치료적, 직접적 서비스 부분을 간강조했다. ‘상황속에서의 인간’을 강조한정의는 무어(Moore)로 단순한 서비스 중개로부터 클라이언트에 대한 직접적, 치료적 기능을 강조한 임상사례관리에 이르기까지 그 개념의 변화과정을 지적하면서 사례관리의기본 영역을 가능케 하는 영역과 촉진시키는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를 사회복지 실천으로규정하고 있다. 127)사례관리의 목적은,사례관리란 복합적인 요구를 가진 사람들의 기능화와 복지를 위한 공식적, 비공식적 지원과 활동의 네트워크를 조직, 조정, 유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사례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1 서비스와 자원들을 이용하고 접근할 때 가능한 한 클라이언트 자신의 생활기술을 증진시킨다. 2 클라이언트의 복지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망과 관련된 대인복지 서비스 제공자들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3 가능한 가장 효율적 방법으로 서비스 및 자원을 전달하며, 서비스의 효과성을향상시킨다. 128)1) 사례관리의 개입과정126) Rapp. C. A & Chamberain, R,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theChronically mentallyⅢ, 「Socail Worker」, 1985년, 김미옥, 139쪽에서 재인용.127) 김미옥, 140쪽.128) Moxley. D. P, The Practice of Case Management, Sage Publications,1989년 21쪽. 김미옥 143쪽에서 재인용.- 78 -


사례관리의 개입과정은 클라이언트나 기관의 성격, 사례관리자의 역할에따라 달라질 수 있다 129) . 그러나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단계는 다음의 사정, 계획, 개입, 점검, 평가의 5가지 과정이다.1) 사정사례관리에서 사정은 클라이언트의 주위환경을 포함한 그의 정황을 이해하는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이다. 이것은 적합성의 결정,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능력, 잠재력의 확인, 클라이언트의 진행과정을 평가하는 방법을 구체화 하기에 매우 유용하다.사정은 욕구 및 문제점 사정, 자원 사정, 장애물 사정의 분야에서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욕구 및 문제점 사정 : 문제에 대한 정확성은 사례관리의 출발점이 되며 개입의 근거를 제시한다. 목적 달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클라이언트와함께 욕구 및 문제 목록을 만들어 우선순위를 정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자원 사정 :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공시적, 비공식적 자원을 클라이언트와 함께 사정해야 한다. 이 때 자원목록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자원목록은 자원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만든 것으로 이용성, 적정성, 적절성, 수용성,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만들어야 한다.- 장애물 사정 : 1 외부 장애물 : 자원이 없거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부적절한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접근이 어려운 경우를129) 학자에 따라서 사례관리의 과정을 달리 표현하고 있는데, Moxley(1989)는사정(assesment) → 계획(planning) → 연결(linking) → 점검(monitoring) → 권익옹호(advocacy)의 5가지를 드는 이도 있다. Steinberg & cater(1983)는 사례발굴 → 사정→ 목표달성과 서비스 계획 → 보호계획 실행 → 점검, Weil(1985)은 클라이언트 획인과접근 → 사정과 진단 → 서비스 계획과 발굴 → 서비스와 클라이언트 연결 → 서비스 실행과 조정 → 서비스 전달체계 점검 →옹호, Doll(1991)은 홍보 → 사정의 결정수준(사전심사) → 욕구 사정 → 보호계획 실행 → 점검 → 재평가 등이다. 김미옥, 145쪽.사례관리로 유명한 장애인 생활시설인 교남소망의 집의 경우는 접수 → 사정 →사례 목표의 설정과 케어계획의 실시 → 장애인 및 케어 제공 상황에 대한 감시 및fellow up → 재사정 → 종결의 과정으로 이것을 시설에 적용하여, 접수 → 상담 → 입소결정 → 배치→ 사정→ 계획 수립→ 서비스 진행→ 점검→ 재사정→ 퇴소의 과정을가지고 있다. 윤덕찬, 85 - 86쪽.- 79 -


말한다. 2 선천적 무능력 3 내부 장애물 : 잘못된 신념이나 비관주의와 같은도움을 받아 들이는데 장애가 되는 심념, 가치, 태도 등을 말한다.2) 계획사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 되는 일련의 활동으로전화하는 과정이다. 계획은 사정을 자세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례관리 활동을 위한 합리적 기초가 된다. 계획은 다음의 5단계로 이루어진다.1단계 - 상호간의 목적 수립하기 : 욕구, 요구사항, 능력 및 자원에 대한충분한 사정을 통한 클라이언트의 현재에 대한 파악이 충분해야 한다.2단계 - 우선순위 정하기 : 클라이언트의 중요한 욕구를 명확히 하고 문제를 파악하여 목적들 중에서 우선순위를 정한다. 기준이 되는 사항은 클라이언트에게 중요한 것, 위험의 가능성이 있는 것, 달성하기 쉬운 것, 실행 가능성, 자원의 유용성과 적합성 등이다.3단계 - 전략 수립하기 : 클라이언트와 함께 하는 것이 좋다.4단계 - 최선의 전략 선택하기 : 현실과 실행 가능성을 고려 해야 한다.5단계 - 전략 실행하기3) 개입내부자원의 획득을 위한 이행자 안내자, 교육자, 정보제공자 지원자로서의 직접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하는 경우와 외부자원 획득을 위한 중재자, 연결자옹호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간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로 나뉘어진다.4) 점검클라이언트의 완성된 계획에서 정해진 서비스와 지원의 전달과정을 추적하는 방법으로 사례관리자에 의해 행해지는 활동적이고 유동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서비스의 계획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정도, 클라이언트에 대한서비스와 지원계획의 목표에 대한 성취 정도, 서비스와 사회적 지지의 산출 정도, 클라이언트의 욕구변화를 점검하여 서비스 계획의 변화여부를 검토 한다.5) 평가사례관리자에 의해 형성되고 조정되는 서비스의 계획, 구성요소, 활동 등이 과연 시간을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과정이다. 130)점검이 정해진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80 -


라면 평가는 사례관리자의 활동이 클라이언트의 삶에 어떤 차이점을 만들어 가고 있는가를 보는 것이다.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와 개입계획에 대한 평가,목적 달성에 대한 평가, 사례관리서비스의 전반적 효과성에 대한 평가, 클라이언트의 만족도에 대한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131)b. 일상생활 훈련(Activitiesof Daily Living)1) ADL의 정의 및 분류ADL이란 “한 사람의 인간이 독립하여 생활하기 위해 행하는 기본적으로누구나 똑같이 매일 반복하는 일련의 신체적 동작군을 말한다.” 132) 즉 ADL은일상생활 훈련이기 때문에 이의 가부에 따라 그 사람의 사회적 및 직업적인 재활의 성패가 좌우 된다. ADL이 재활에 있어서 중요한 이유는 일상생활의 자립이 생활에 있어서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스스로 재기하는데 있어서 정신적인활력소로 작용하는데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ADL의 평가와 훈련은 사람이 생활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매일 반복되는일련의 동작 하나하나를 체크하여 어떤 방식으로 행하고 있는가, 아니면 할 수없는 항목에 하여 대하여는 그 원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해서 문제점을 적출 그해결 방도를 검토한다.그리고 ADL은 일련의 신체적 동작군을 말하는데 식사와 배설 등의 목적을 지닌 각 작업으로 분류되고 다시 이 목적을 위한 세목동작으로 분류된다.예> 의복착탈 동작․ 지퍼나 단추를 잠그거나 푼다.․ 앞, 뒤를 구분하여 입거나 벗을 수 있다.․ 옷고름, 끈 등을 맨다.․ 브래지어의 탈착130) 권진숙, 전석균 공역, 『사례관리』, (서울 : 하나의학사, 1999년), 125쪽131) 김미옥, 150쪽132) 정순민, 217쪽- 81 -


․ 넥타이를 맨다.2) ADL의 평가ADL의 평가는 1 재활의 경과 파악, 2 목표의 설정, 3 환자의 가정생활을 위한 자료의 하나로서 행하여진다. ADL 평가의 방법은 ADL의 세목활동에대하여 동작을 시켜보고 각 동작이 가능한 가 불가능한 가 또는 정상인가 아닌가, 혹은 환경, 설비를 고안하는 것에서부터 동작의 가 ․ 불가능 등을 체크하여문제점을 적출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말한다. 이 결과들을 가지고 치료 프로그램을 수립한다.3) ADL의 훈련환자 각자의 기능상황에 부합하게 보다 유효하게 기능을 유지하고 기능향상을 기하는 훈련을 행하는 것이며 현시점에서 환자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이없도록 보다 효과성을 발휘할 수 있게 환경측면에서의 검토가 필요하다.각 질환별 ADL의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뇌졸증후유증에 의한 편마비 : 성한 손 한쪽에 ADL을 수행하므로 편마비 환자의 저해인자를 개선하는 것 외에 환자의 기능 수준에 따른 올바른 지도나 편수동작에 이한 ADL의 요령을 터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손상 : 잔존능력과 수반 증상, 합병증, 잔존기초체력 등을 사전에파악하여 필용하거나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의 대체 및 개호에 의하여 ADL의 실천에 보다 숙달되게 자립도를 높여가는 것이다.․ 성인뇌성마비 : 기능의 대폭적인 향상은 어려운 일이나 기능의 유지와향상을 위해서는 ADL을 생활리듬으로 계속적으로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인의 의욕과 지적능력이 필요하다.․ 퇴행성근위요양증 : ADL도 쇠퇴해 가는데 대체기구나 보조구를 이용하여 ADL의 자립을 원조해 주어 삶의 보람을 찾을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82 -


c. 사회적응프로그램사회적응이란 한 개인이 대인 관계에 있어서 조화 있는 행동을 통해 주어진 환경과 상호 만족할 만한 관계를 맺고 사회적 욕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을 환경에 맞추거나 환경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장애인에 있어서 적응이란 크게 상실된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잔존기능및 보장구를 활용한 최대한의 일상생활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기능의확보라는 문제와 가족 내의 역할 재조정이라는 문제로 나뉘어진다.중증장애인의 경우 사회적응프로그램의 기초는 개인의 신변처리, 일상생활의 참가, 사회적 역할 수행, 타인에 대한 의존성에 대한 4가지 영역의 자립생활 프로그램으로서 개인의 의사결정과 그의 일상생활에서 타인에 대한 의존을최소화 하고 자신이 결정할 수 있는 선택에 기반하여 자신의 생활을 합리적으로고려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33)중증장애인은 기초 자립생활이 어려울 뿐 아니라 대인관계를 형성하고유지하는데 자신감이 결여 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과 사회생활 적응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여 지역사회 복귀를 도모하기 위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자립을목표로 자기 관리 능력 및 지역사회 적응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증증장애인들에게 기초적인 사회생활 경험을 제공하거나, 대인관계를 증진하도록 도움이 되는 직접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하거나 에서 제시하는여러 프로그램들을 실시하는 방법들이 있다.133) 이현주 외 5인,『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접근방안』,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4년) , 10쪽.- 83 -


사회적응 프로그램의 예 134)목표활동내역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구민회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지역사회 기관 안내지를 통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본다.들을 찾아보고 소집단으로 나누어 기관에 대하여 알아보고 관심있는 프로그램에시설 이용하기 대해 알아본다자신의 경험이나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를 가지고 의견을 나눈다.사고 싶은 물품을 기입해 본다기입한 물건들을 구매하여 직접 돈을 지불한다.현금 및 카드 및 지불 방법을 적절히 활용한다.일상생활에 필시장을 둘러보고 물가의 흐름을 익힌다.요한 물품을돈을 지불하고 영수증을 받아 돈 게산을 정확하게 한다.구매한다에스컬레이터 등 편의시설을 이용하고 도움도 요청할 수 있다.편의시설이 되어 있지 않은 곳은 비장애인에게 도움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을 익힌다.대중교통 이용 조별로 체험하고 싶은 시설이나 기관을 파악한다.및 편의시설을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갈 수 있도록 한다. 버시나체험한다. 지하철을 탈 때 보행시에 활동보조를 해 줄 사람이 있다면 보조를버스, 지하철 부탁한다.이용 및 도움 동사무소, 구청을 이용해 본다.요청 훈련. 조별로 소감발표 및 개선방안에 대해 토의 한다.장애인 작업장 적극적인 경제활동을 위해 장애인 작업장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을 견학하여 작업현장을 견학하고 함께 토론의 시간을 갖는다.재활현장을 경 향후 경제활동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 사회참여에 적극적으로 대험한다. 처 할 수 있도록 한다.스포츠 및 레스포츠 및 레저 등 체육활동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저활동을 즐기행사에서 극기훈련과 문제해결을 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다.며 도전하는새로운 도전의 정신을 배울 수 있음을 토론한다.힘을 기른다.134) 박경혜, “중증장애인 사회적응훈련”, 『재활의 샘』,통권 제15호, 2002- 84 -


B. 구조변화 이론인간의 조직은 크든 작든 변화를 거듭하며 진화해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직은 변화보다는 과거의 해오던 일들을 그대로 고수하며일상성을 유지하기를 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직이 변화를 두려워하는 이유는불안 때문이다.도종해는 “ 변화는 흔히 일어나는 것이다. 변화는 사무 상의 지위나 안정성을 위협 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화는 불안을 야기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대개 미래에 대한예칙가능성 때문에 우리는 거래를 걱정하게 된다. 만약 변화란 것이 장차 조직 속의 역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안다면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공포는 최소한으로 줄 것이다”고 말하고 있다. 135)미래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할 때에 사람들이 불안해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렇지만 변화하지 않고 사는 사람도 없다. 오늘날의 세계는 오히려너무나 빠른 환경의 변화 속에서 스스로 혁신을 기하지 않고는 살아남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른 변화 속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교회도 조직적으로 계획된 혁신을 기하지 않고서는 앞으로의 인류의 삶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하게 될 지도 모른다. 그러한 의미에서 조직발전 이론은 교회와 선교조직에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 되리라고 본다.조직발전이론은 계획된 변동이론이고, 조직발전의 노력은 전체조직에 걸쳐 행해지고, 조직의최고 관리층에서 부터 시작하여 조직구성원 전체가 참여하여 조직의 효율성과건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안된 절차이기 때문이다.조직발전의 목적을 Robert T. Golembiewski는,1) 조직 내에 개방적이며 문제해결을 위한 분위기를 조장한다.2) 조직 내의 지위와 역할에 대하여 지식과 능력을 부여함으로서 관련되는 하위체계의 권한을 신장한다.3) 정책결정과 문제해결의 책임이 정보원과 가까이 존재하게 된다.135) 도종해, 『현대조직관리』, (서울 : 박영사, 1978), 235쪽- 85 -


4) 조직 내의 개인이나 집단 사이의 신뢰감을 조성한다.5)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경쟁을 조장하고 협동적 노력을 극대화 시킨다.6) 조직의 과업과 조직의 발전을 성취하는 데에 필요한 보상제도를 개발한다.7)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를 깊이 인식하여 그들이 스스로 조직의 관리자라는 인식을 불어넣어 준다.8) 조직의 관리진이 관련있는 목적에 따라 조직을 관리하게 된다,9)조직의 구성원이 자제(self-control)와 자기관리( self-direction)를 할 수 있게된다. 136) 프렌치(Wendell French)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말하고 있다.1) 조직구성원 사이의 신뢰와 지지를 증대시킨다.2)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이 당면한 문제들에 가급적 가까이 접할 수 있다.3) 조직 내에서 우선 받은 역할을 행사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권한의 행사는 온전한 지식과 기술에 입각하여 행해지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4) 조직 내의 의사소통은 상하좌우로 개방하도록 한다.5) 조직내의 개인적 열성과 만족도를 향상 시킨다.6) 문제해결에 synergistic 해결방법을 사용하게 한다. 137)조직의 발전은 이와 같이 조직을 건강하게 환원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기독교기관들도 조직의 발전을 꾀할 필요성이 있다.조직 발전의 과정은 문제의 인지 → 조직의 진단 → 개입의 세 단계이다.이 세단계가 끝나면 측정 및 평가를 하게 된다. 138)드보라 캡(Debora Kapp)은 교회조직의 발전과정을 해빙단계 → 변화단계 → 재결빙 단계로 나누었는데, 해빙단계는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단계이고, 변화단계는 비젼을 만드는 것이고, 재결빙 단계는 변화를 제도화하는 것이라136) Robert T. Golembiewski, "Organization Development in PublicAgenci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volⅩⅩⅣ, No.4 1969, p160. 도종해180쪽에서 재인용.137) 도종해, 180쪽에서 재인용.138) 위의 책, 185쪽.- 86 -


고 하였다. 139)교회조직에서는 조직발전의 과정을 변화단계에서 적용하여 해빙과 재결빙의 과정을 가는 것이 좋을 듯하다.a. 문제의 인지 단계문제의 인지 단계에서는 조직 내에서 무엇이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가를알아보는 것으로서 조직의 문화 ․ 작업집단의 규범 ․ 가치관 ․ 태도 등이 주요 대상이 된다. 즉, 실제로 사람들이 조직에 대하여 느끼고 있는 감정들을 알아보는것이다.이 단계에서는 문제에 대한 자료 수집이 동시에 일어나며 자료 수집은그 자체가 조직의 평가, 측정에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 층에서 얻어진 자료는 조직구조의 통합을 손쉽게 한다. 자료의 입수 방법은 면접,질문지, 관찰에 의한 방법들이 있다. 자료의 모집에는 필요한 시간, 비용, 편의성, 모집방법과 대상조직과의 일치여부, 조사대상자의 협조여부 등이 잘 검토되어야 한다.b. 조직의 진단다음 단계인 개입을 위한 준비단게이다. 효과적인 개입은 정확한 자료분석에 의한 진단과정에 달려 있다. 진단은 조직 내부의 인사가 할 수도 있고 외부의 전문가가 할 수도 있다. 조직의 진단은 개인적인 편견, 나타난 결과에 대한눈에 보이지 않은 원인 등이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c. 개입139) 박유신, 『항존직 리더쉽 강화를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 뉴 라이프 교회를 중심으로』, 목회신학박사 학위논문,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07년, 94쪽.- 87 -


개입은 가장 행동 지향적인 과정이며 변화과정의 핵심을 이룬다. 개입의방법은 기술적인 개입과 행정적인 개입, 사회적 개입이 있다. 기술적인 개입은조직의 시설물, 구조, 이사전달과정 등을 개선하는 것으로 조직의 운영을 도와주기 위한 기술적인 문제를 말한다. 행정적인 개입은 조직의 정책이나 절차와 관련된다. 예) 인사제도, 보수체계의 변경. 사회적인 개입은 주로 인사관계에 대한 문제의 개입이다. 주요하게 다루는 것은 구성원의 협동, 신뢰성, 관리방식 등이 된다.- 88 -


Ⅳ. 타개책기독교에서 운영하는 시설은 사람들에게 기독교를 직접적으로 전하지는않지만 그 운영행태가 그대로 기독교의 이미지로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기독교 시설의 충실한 운영은 복음전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특별히 중증장애인 시설의 경우 약자를 돌보시는 그리스도의 이미지와 일치되는면이 많아 이들에 대한 충실한 돌봄과 재활은 복음전도와 같은 비중으로 다루어야 하는 문제이다.위에서 다루었던 이론적인 근거를 기준으로 하여 재활프로그램을 통한요셉의 집의 활성화 문제를 다음에서 시도해 보려 한다.A. 비전 제시1. 재활프로그램을 위한 방향토의재활프로그램에 대한 첫 시도는 필자가 시설에 부임한 첫해인 2004년 여름수련회를 통해서였다.3교대를 하는 시설의 특성상 전교사가 한 자리에 모일수 있는 기회는 분기마다 갖는 평가 및 직원수련회가 유일한기회인지라 이때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한 토의를 시작으로 후반기 동안 준비를 하여 2005년부터는 재활프로그램을 시작하자는 전제하에 토의를 시작하였다.새로운 일을 시작하려면 먼저 직원들의 이해가 우선해야 하기 때문에 필자의 입장에서 바라다보는 시설에 대한 평가와 생각들을 직원들과 나누고 직원들과 함께 앞으로의 시설의 발전을 위한 방안들을 나누기로 하였다. 그 과정은필자가 우선 2005년도의 방향성에 대한 발제를 하고 직원들의 의견 수렴 후 앞으로 3년간의 중장기 계획을 세워 일을 추진해 가기로 하였다. 그 당시 발제한내용은 아래와 같다.그 주요한 내용은 우리 시설의 앞으로의 일정은 첫째, 기독교 정신에 근거한 사회복지 마인드의 확립, 둘째는 사회복지 이론에 근거한 케어와 케어방법- 89 -


론의 정비와 교육, 셋째는 현재의 교사 중심의 케어에서 장애인 중심체계로의 케어 체계의 변혁, 이를 위한 서류 및 조직체계 정비 등을 통하여 우리 시설의 장애인들이 건강하게 되고 자립을 되찾으며 보다 장애를 딛고 보람있는 삶을 살게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자는 것으로 시설 전반의 개혁에 관한 사항이었다.이 모임을 통하여 얻었던 성과는 직원들이 앞으로의 운영방침에 대한 내용들의 개괄을 알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고 직원들이 막연한 공포로만 여겼던변화 내용들을 알게 되면서 오히려 안심하는 부분들도 있었다. 그동안 직원들도그 필요를 공감하는 부분들도 있었다. 문제점들도 노출 되었는데 발제에 나온 내용들을 제대로 이해 못할 정도로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낮은 직원들의숫자도 적지 않은 점과 전반적인 사회복지 과정에 대한 경험들이 없어서 이에대한 이해가 부족한 점 등이었다.이 토론을 통해서 직원들에게 하려고 하는 재활프로그램 설치에 대한 내용의 교육을 통해 자신감의 획득이 제일 먼저 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았고 그를 위해서는 과정상의 친절한 안내가 필요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그리고 직원들이 요셉의 집이 사회복지 시설 첫 직장인 경우가 대다수여서(27명 중 25명) 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안목이 없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또한직원들이 오해하는 부분들도 알게 되었는데 이러한 변화가 원장의 특별한 욕심에 의한 개혁으로 알고 있는 직원들이 많았다. 그래서 그해 10월에 평가가 예정되어 있었는데 평가 지표들을 직원들에게 나누어 주어 사회복지 환경이 어떻게변화해 가는지에 대한 정보도 주기로 하였다.시설발전방향을 위한 토의 안1. 사전평가 :강점 : 생활인들의 기본적인 욕구가 잘 충족되는 편이다.시설 조건이 좋다- 거실 중심구조.최근 신축 건물이어서 깨끗하다. 케어 기술이 높다.선생님들이 충분히 건강하고 쉴 수 있는 근무 조건을 갖추고 있다.보안이 필요한 점 : 생활인들의 자주성과 자립이 부족하다.케어 기술에 대한 공유와 원칙이 규정되어 있지 않다.케어에 대한 목표, 계획과 자기 평가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다.(선생님들이 생활인들의 케어에 대한 구조화된 운영 경험이 없다.)- 90 -


2. 2005년을 위한 방향1) 요셉의 집 정신“장애인 소명은 나의 마음과 머리와 손으로부터 시작된다.”- 나와 장애인은 존중하고 존중받아야 하는 같은 인격이다.- 나와 장애인을 이어주는 끈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이다.- 나와 장애인은 대등한 입장에서 교류하고 나눈다.- 나와 장애인은 행복하고 보람있는 생활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2) 2005년도 목표건강,자립,정상화2005년도에는 어느 수준까지를 할 것인지 구체적인 수치와 수준을 정한다.예) 신용천 : 배변훈련 및 기본적인 생리적인 처리의 자활까지라면 배변훈련 방법 등을 정해서 통일되게 한다.3) 운영방향시설이 요양시설인 만큼 케어에 중점을 두어 전문화, 구조화 할 방침이다.케어의 수준을 생리적 장애 지원, 의사소통 장애 지원, 생활 장애 지원, 가사 장애 지원 등 4단계로 구분하여 생활인의 장애정도에 따라 서비스의 종류와질을 구분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한다.이를 위해 요셉의 집, 운영방침, 각 파트의 모든 일들이 교사들 사이에서공유되어 전체 구도를 생각하여 자기 파트의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1 생활지도팀1. 케어를 위한 이론적 접근을 위한 연구-이제 시작하는 분야여서 자기 이론은 많지 않아 보인다. 교사들이 필요한지식의 교육을 위한 기획위원회가 있었으면 좋겠다.-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교육도 적절히 했으면 좋겠다.2. 케어의 기술과 방법을 통일하고 케어 기술을 위한 웤솦을 일정한 기간별로 했으면 한다.- 일단 요셉의 집 케어방법록(케이스 별)을 만들어 각 경우마다의 통일된방법을 정리하고 우리가 하는 방법에 대한 전문가들의 검증과 조언을 구해 수정할 부분은 정리하여 일정한 방법에 의한 케어가 이루어지고,- 새롭게 수정을 필요로 할 때에는 웤솦을 통해 새로운 방법의 교육과 평가 연구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91 -


3. 생활인들에 대한 케어의 수준이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생활인에 대한 선생님마다의 적용하는 기준이 달라 생활인이 겪는 혼란을 피하고 케어의 항상성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별 케어일지가 필요.4. 위의 일을 위해 보완해야 하는 기록이나 일지들을 점검 보완 한다.5. 케이스 웍 발표회 년 1인 1회2 재활지도팀생활지도팀이 1차적인 생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케어에 치중하게 됨으로생활인의 커뮤니케이션 지원이나 생활지원, 가사지원 등에는 여력이 없어져 조직적인 케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향이어서 재활 팀이 이의 지원을 위한 1차적 훈련과 프로그램, 일과표 등을 담당하고 물리치료, 영양, 의료 등의 지원을개인별 케어 일지로 집약 관리하여 생활인들의 케어를 보다 구조화, 다양화 한다.1. 생활인들의 생활자립을 위한 교육,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1차적 개별 훈련.2. 생활의 활력을 위한 체육 프로그램3. 건강한 삶을 위한 일과표 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운영4. 생활인 가사노동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4) 2004년도 준비사항1. 필요한 책 독서. -케어, 케이스 윜2. 기록 정비3. 조직 정비2. 장애인 생활시설평가지표의 배포먼저는 직원들이 재활의 구체적인 내용을 잘 모르고 있었다. 직원들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 외에는 관심들이 없어서 시설의 전반적인 운영에 대하여 아는 것이 없었다. 사실 시설 평가는 장애인시설에 있어서 그 결과들이 미치는 영향이 많기 때문에 시설 전체가 관심의 대상인 것이 일반적인데 비하여 관심들이거의 없는 셈이었다. 장애인시설평가지표에는 변화를 위한 기준들이 자세히 항목별로 나와 있어서 국가에게 장애인 시설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직원들이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이고 직원들의 인식의 변화를 위하여 좋은 내용- 92 -


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리고, 평가는 직원들이 준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직원들이평가의 내용을 인식하는 것은 앞으로의 시설의 발전을 위해서 중요한 문제라고생각하였다. 그것은 재활프로그램의 설치가 왜 당면한 문제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고 이를 위한 생각들도 보다 구체화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복사하여 전 직원들에게 읽어 보고 이를 위한 준비를 하도록 하였다.직원들의 반응은 평가의 내용 자체를 처음 접한다고 하면서 생각보다도내용이 자세하여 이렇게까지 여러 부분에서 자세히 평가하리라고 생각하지 못했다고 하며 우리 시설이 부족한 부분들을 짚어보고 특별히 재활프로그램이 없어서 준비를 위해 걱정하는 이들도 생겼다. 그리고 10월에 평가가 있었는데 시설에 분규도 생겨서 별로 준비를 하지 못했기도 했지만 기존의 시설에서 해야 할프로그램들이 실시된 것이 없어서 2003년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그 기준에 맞추어 있는 자료들을 찾으며 직원들이 시설의 장애인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들을 새로이 하는데 일조 하였다. 그 내용은 부록과 같다.3. 기초도서 읽고 독후감 제출하기요양시설인 관계로 재활을 생활재활로 맞추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직원들의 기본적인 인식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나와 있는 최근 도서인 케어기술론과케어복지론(나눔의 집, 2004년)을 출판사로부터 9월경에 직원 수 만큼 구입하여2달간에 걸쳐 읽고 11월 말까지 독후감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케어에 관한 사회복지학 교과서로는 두 권의 책이 케어에 관한 여러 가지를 다루고 있어서 직원들에게 생활재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알게 하는 데에는 매우 좋은가이드가 되어 줄 수 있는 책이었다.독후감을 통해 직원들이 재활에 대해 몰랐던 정보를 많이 알게 되었고그동안 습관적으로만 하던 케어가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니고 구조화 되어 있는일련의 세밀한 과정이란 것과 주의해야 하는 것이 많고 의학이나 간호학, 물리치료 등의 인접학문들의 도움과 상식들이 많이 필요한 작업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93 -


직원들이 독서를 통해 달라진 것이 있다면 사회복지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 한 일이다. 일지에 케어기술론에 있던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록을 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자신들의 업무에 책의 가르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사회복지 공부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4. 우수시설의 탐방직원들이 다른 시설을 경험 한 적이 없어서 시야 자체가 매우 좁아 우수한 다른 시설들을 보고 우리가 배워야 할 것들이 무엇이고 그 시설들이 역점을두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다른 시설을 가서 봄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우선은 가까이 있는 시설부터 가보기로 하여 근무가 끝난 생활재활교사들과 각 팀장들이 팀을 짜서 함께 첫째는, 10월 6일 파주에 있는 ‘가없이 좋은곳’을, 둘째는 부천 ‘혜림원’을 10월 20일에 다녀왔고 10월 27일에는 ‘장봉혜림원’을 다녀왔다.탐방지에서는 전체 시설에 대한 연혁과 이제까지의 일정들과 조직들을브리핑하고 각자 자기 팀별로 담당선생님들과 만나 그 시설은 어떻게 업무를 처리하는지 브리핑을 듣고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분야별로 다른시설에서 일하는 다른 선생님들과의 만남이 우리 교사들은 매우 신선하였고 우리와 다른 여러 프로그램과 장애인들의 케어방법들에 도전을 많이 느끼며 그래이렇게 해야 하는데 하며 우리 시설의 부족한 점들 - 가장 많이 나온 것이 시설의 공간 조건과 설치가 장애인에게 적합하지 않고 여러 가지 재활을 할 수 있는필요공간이 부족하며 시설조건이 많이 부족한 점과 장애인들이 우리 보다 경증이어서 너무 좋겠다는 그리고 우리가 너무 훈련이 되어 있지 않다는 것 등 - 을많이 지적하며 개선책을 모색하기도 하였다.탐방은 직원들에게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도전을 주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고 우리 시설의 경험에만 갇혀있던 직원들의 의식을 열어 주었다. 교사 위주로무작정의 케어에만 익숙해 있던 교사들은 다른 시설이 장애인들 중심의 케어를하고 있고 계획과 사회복지 과정을 통해 장애인들에게 접근해 가는 실제를 보며매우 놀라와 하였다. 한 편으로는 재활프로그램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을까라는- 94 -


두려움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서 이러한 부분들은 설교를 통해 보강하였다.5. 설교사회복지사 선서에 보면 ‘나는 언제나 소외되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편에서서 저들의 인권과 권익을 지키고 사회의 불의와 부정을 거부하고 개인 이익보다 공공이익을 앞세운다’ 는 말이 있다. 직원들에게 필요한 부분은 기독교인으로서 기독교 정신을 직장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와 사회복지에 대한 헌신할수 있는 마인드의 확립이 중요한 일이었다. 이웃을 위한 헌신의 기독교 정신과약자들의 권리와 인권을 위한 사회복지학은 서로를 강화 할 수 있는 두 거대한정신축임에도 기독교인이며 사회복지 현장에 있는 교사들임에도 장애인들에게성의가 없었다. 매주 수요일마다 있었던 직원 예배에서 직원들의 마인드 강화를위해 마가복음을 가지고 2004년 후반기(8월-12월) 동안 총 19회 설교를 하였고, 수련회 등 기타 행사 시 마다 마인드 강화를 위한 설교를 하였다.설교의 제목은 ‘신실하고 슬기로운 종’, ‘열리라’,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사는 보통사람들’, ‘생활 속의 하나님’ ‘더러운 귀신이 들린 사람을 고치시다’등이다. 몇 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a. 신실하고 슬기로운 종(마태복음24장 45-51절)오늘 본문은 종말론적인 실체가 요구하는 삶의 스타일을 밝히는 본문이다. 종말론적이란 말은 세상의 끝을 말한다. 세상의 끝날을 기다리며 사는 기독인들의 삶의 자세를 말하고 있다. 이 본문에서 중요한 말은 “ 신실하고 슬기로운”이란 종을 수식하는 두 가지의 형용사이다. ‘신실함’이란 책임성을 전제로 한다. 자기가 맡고 있는 일들에 대해 주인이 지켜보건 보지 않건 스스로 최선을 다해 자발적인 성실함으로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모습을 우리는 신실함으로 표현한다. 이 말은 뒷 절에 나오는 주인이 늦게 온다고 믿고 동료를 때리고 술친구와 어울려 먹고 마시며 무책임하게 일하고 다른 사람을 억압하고 자기 욕심에만빠져 있는사람과 구별되어 있는 표현이다. 신실함이란 자발적인 책임성 있는태도를 의미한다. 또 하나는, ‘슬기로움’인데 슬기롭다는 것은 결과를 내다보고,- 95 -


에견하고 할 수 있는 적절한 선택을 의미한다. 슬기로움은 현재 있는 조그마한이익을 버리고 돌아 올 결정적인 결과를 위해 지금 손해를 볼 수 있는 결단을필요로 한다. 상황을 잘 읽을 수 있는 눈이 있어야 하고, 정확하고 바른 현재를볼 수 있어야 얻어질 수 있는 덕목들이라 하겠다.성경은 신실하고 슬기로운 종이 한 선택은 도래할 날들에 대한 자발적이고 책임적으로 모든 맡겨진 일들을 성실하게 수행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우리모두는 하나님 앞에 서있는 종들이다. 외부적인 환경에서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골몰하기 보다는 내안에서 내가 서있는 기준과 가치가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신실하고 슬기로운 종들은 하나님 앞에서 맡겨진 일들에 스스로 성실하고 책임성 있게 서려고 최선을 다하는 이들이다. 우리가두려워하고 힘겨워 하는 것이 무엇이든 내 안에 있는 그 분과 씨름하고 그 분으로부터 힘을 얻으며 그 분과 함께 하는 삶을 살 때 진정한 삶의 보람을 함께 할수 있는 것이다.우리 모두 신실하고 슬기로운 하나님의 자발적인 심부름꾼이 되어 우리의 삶을 보람과 기쁨으로 엮는 요셉의 집 교사들이 되자.b. 더러운 귀신이 들린 사람을 고치시다 (마가복음1: 21-28, 2004년 8월 4일 설교)마가복음에서 예수님의 사람들과의 첫 사역은 더러운 귀신들린 사람을고치신 일이었다. 예수님이 선포하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복음을 믿으라”는 말씀의 구체적인 일들이 귀신들린 사람을 고치신 일이었다. 귀신은 사람에게 붙어서 사람을 해하게 하는 악한 영을 말한다. 예수님의 시작은사람들이 어떻게 할 수 없는 그래서 그 해를 그대로 받아야 하는 사람들을 해롭게 하는 악한 영을 쫓아내는 일이셨다.예수님의 시대는 악한 것이 사람들로부터 떠나가는, 악한 세력들이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복종하게 되는 새 질서의 시대인 것이다. 이 질서의 중심이 예수 그리스도이고 그로 인하여 하나님의 새 질서는 이 땅위에서 시작되었다. 본래그 질서는 우리의 것이었으나 우리의 타락으로 죄로 인해 우리가 잊고 있던 것- 96 -


인데 예수님이 십자가의 속죄를 통해 우리에게 다시 회복시켜 주신 일이다.예수님이 우리를 구하신 이유는 사람에 대한 그의 넘치는 사랑이었다. 예수님은 사탄을 이기는 것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예수님이 관심 있어 하신 것은바로 우리들 사람들이었다. 그는 특별하기 보다는 사람들을 사랑하는 일을 위해모든 것을 버리셨다. 자신의 목숨까지도.우리들은 그의 제자들이다. 제자란 선생의 일을 대를 이어 해나가는 사람들이다. 우리의 일은 사람들을 사랑하고 사람들에게 유익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삶을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이다. 우리가 맡고 있는 장애인들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보내신 이웃들로 성실한 청지기와 같이 최선을 다하여 그들을 돌보아야 할것이다. 직장이 우리의 소명임을 명심하자. 그래서 세상을 비추는 하나님의 빛이되도록 하자. 우리의 일은 장애인들이 우리를 보고 하나님께 감사할 수 있는 그곳에 있음을 잊지 말자.c. 열리라 (막 7:31-37, 10월 13일)사람들은 몸에 문제가 있는 일로 인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구분한다. 그러나 더 어려운 일은 마음에 병을 얻는 일일 것이다. 오늘 본문은 예수님이 귀먹고 어눌한 자를 고치신 이야기이다. 예수님은 귀먹고 어눌한 자를 앞에 두시고하늘을 쳐다보시고 “ 열리라”고 하셨다. “고침을 받으라!”고 하지 않으셨다. 에수님이 먼저 보신 것은 마음속의 귀가 닫혀있고 말하는 것이 맺혀있는 것을 보신 것이다. 그 마음에 아픔과 맺혀있는 것을 보시고 탄식하셨다. 그의 말씀은 “열리라” 는 것이었다. 그러자 귀가 열리고 혀의 맺힌 것이 풀렸다.장애인을 살핌에 있어서 장애를 가지고 있으나 장애인이 되어서는 안되게 해야 한다. 장애로 인해 마음에 맺혀지는 것, 닫혀지는 것이 있도록 허용해서는 안된다. 마음과 귀를 열고 말하는 것에 맺힘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말하고싶은 것을 말하고 다른 이들과 같이 기쁨도 어려움도 나누고 함께 용감히 겪어나갈 수 있는 열린 마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이 일을주심은 우리가 장애인들에게 이렇게 하라고 명령하심이다. 우리의 손을 통해 장애인들의 마음이 열리고 맺힌 것이 풀어지는 일이 일어나도록 하나님을 의지하고 최선을 다하자.- 97 -


B. 운영위원회 구성시설의 변화를 주도해 가려면 이것을 잘 이해하고 추진해 가는 집단이필요하다. 이를 위해 조직을 재활사업팀과 기획행정팀으로 크게 양분하고 재활사업팀 안에 생활재활, 영양 ․ 급식, 사회재활, 의료재활팀을 두어 재활을 위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게 하고, 기획행정팀은 이를 지원, 조정하기로 하였다. 꼭 필요하나 인원 부족으로 팀별로 하기 어려운 부분들은 교육, 후원, 자원봉사위원회를 별도로 조직하여 이를 담당하도록 하였다.여기에 팀장회의를 재활 프로그램의 추진을 위한 핵심 기구로 두고 주 1회씩 월요일에 팀잔회의를 하여 재활프로그램의 설치를 위한 작업들을 추진해나가기로 하였다.문제는 2004년 9월 사무실 직원들의 대거 이직으로 10월에 새로 들어온팀장(사회재활, 의료재활)들이 아직 자리가 잡히지 않아 실제적인 힘을 발휘하기어려웠고 생팀장, 영양팀장들은 훈련이 매우 부족한 부분이었다. 새로 들어온 직원들에게 시설의 현재 상황을 설명하고 먼저 팀장들과 시설의 비젼들을 함께 나누고 이를 구체화할 사안들을 함께 풀어 가는 과정들을 통하여 시설을 이해 할수 있게 하고 훈련되지 않은 팀장들은 사무국장과 함께 훈련을 시켜가며 일을진행하기로 하였다.우선은 필요한 ‘케이스 웤’이나 ‘사회적응 훈련’, ‘개별화 훈련’ 등을 위해외부교육을 팀장및 생팀교사들을 보내 교육을 받게 하고 이들이 직원들에게 전달교육을 하는 방식으로 팀장들의 교육을 하였고 탐방 시 팀장들은 의무적으로참여하게 하였다. 그리고 업무분장표를 만들어 수시로 활용하여 업무 분담을 명확히 하고 책임소재도 확실히 하였다.2004년 후반에는 다소 어수한 분위기였고 일이 제대로 처리되기 어려운상황이고 재활프로그램은 6개월의 준비기간을 갖기로 한지라 점차로 자리가 잡혀가면서 년 말에 2005년도 계획을 짜면서 재활프로그램을 위한 준비와 교육,계획 등을 감당할 수 있었다. 직원 조직표는 아래와 같다.- 98 -


직원조직표재단본부(법 인)법인 이사회 원 장 운영위원회사무국장행정팀사회재활팀의료재활팀영양급식팀생활재활팀행정 ․ 회계․예산 집행․서무, 회계․회계전산업무․인사관련업무․행사 지원 등세탁 ․ 위생․생활인 의복세탁 및 관리․의복 수선 및침구류 제작시설 관리차량운행․건 물 안 전 점검․소방, 전기,수도, 가스관리 등․실 외 환 경 조성및 관리․차량 관리․소방교육 및훈련 실시자원개발위원회․ 시 설 홍보, 인적. 물적자원 개발 및 관리 업무담당․ 사 회 재 활 서비스 제공․행사 P/G 기획·실시․생활인 상담․IPP 총관리․사례관리․프로포잘 기획 등․교육․훈련 담당․질병예방 및관리․촉탁의 진료․간호 및 외래진료․처치 및 정기투약․의료기초교육․치과실 관리․물리치료․원예활동 등․영양 급식․특별식, 간식식 이 요 법 제공․ 기 호 도 / 만족도조사 실시․시장조사․식재료 관리 등․생활인 일상생활 CARE 및훈련․IPP 훈련․CASE WORK 준비 및 실행․생활인 및 보호자 상담․사회적응훈련․CARE 관련 자료 수집 및 자료화 등C. 재활프로그램 계획 및 설치.위의 준비과정들을 거쳤지만 재활 프로그램을 설치를 위한 직원들의 역량은 단기간에 준비되는 것이 아니어서 교육과 더불어 초보적인 형태로 프로그- 99 -


램을 운영하면서 훈련, 강화 시켜가기로 하였다. 교육, 훈련의 주요한 내용은 재활의 핵심인 생활재활팀의 훈련에 맞춰져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1. 재활프로그램을 위한 교육2005년의 교육은 재활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하여 생활재활교사들을 훈련시키는 것이 관건이었다. 우선은 꼭 필요한 케이스 웤이나 개별화 교육 등 교육 후 바로 생활인들에 적용하여 실행 할 수 있는 것들을 교육하여 실전에서 쓰면서 배우는 훈련을 겸하였다. 그 내용은 ‘개별화 교육(IPP)’, 상담기법 중 하나인 현실치료 기법, 위급 시의 대비를 위해 응급처치 요령, 사회복지는 기록과의싸움이나 직원들의 기록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없어서 기록 관리를 위한 교육,직원들의 의사소통 과정들을 바로잡기 위한 의사소통 교육 등 당장 필요한 내용의 교육이었다. 먼저 직원들을 외부 교육을 보내어 훈련을 받게 한 후 내용물을만들어 배포하고 전달교육을 하도록 하였다. 2005년의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05년도요셉의 집 직원교육일자교육명담당자11. 191. 24 개별화 교육 사 채 정 ( 사무국장)21. 26현실치료(R/T) 기법김혜란-27(원장)3 2. 15 응급처치 요령정복자(간호사)4 3. 23장애인 재활서비스 기록 관리사채정5 8. 24효율적인 업무수행을위한 의사소통사채정6 10.267 11.02응급처치, 구강관리장애인주거시설에서의 사례관리 실제정복자차 재 영 , 장경자(생팀)장소자 원 봉사자실자 원 봉사자실자 원 봉사자실자 원 봉사자실자 원 봉사자실자 원 봉사자실자 원 봉사자실비고2005년 장애인복지시설 평과과정 교육2005년 국립재활원간호사 교육교남소망의 집 워크샆 참가- 100 -


2005년도의 교육의 결과는 1차적인 교육을 거치고 실전을 통하여 훈련을 진행하였는데 직원들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교육 계획서를 짜고 결재를 올리고 수정에 수정을 거듭하면서 혈전 가운데 진행되었는데 이과정 속에서 직원들이 어렵기는 하였지만 재활프로그램을 이해하고 가능하게는해주었다. 중요한 진전은 직원들이 앞으로 재활 프로그램을 하지 않고는 장애인시설의 운영이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한 일이다.2006년에는 2005년의 교육들이 있었으나 재활프로그램의 확립에 있어서꼭 필요하나 직원들의 이해가 아직 미진한 부분들을 - 개별화 교육, 케이스 웤등 - 보강하고 직원들이 재활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 아직도 눈치나 보고 적당주의로 일괄하는 부분을 시정하기 위한 직원의 자세에 관한 교육과 근무 시생활인들에게 함부로 대하고 반말하는 일들과 직원 간에도 생활인들이 있는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반말을 쓰고, 젊은 교사들에게 함부로 대하는 등 문제들을 수정하기 위한 예절교육 등을 시행 하였다.그리고, 생활인의 성문제 등이 재활 실시 이후 조금씩 생기기 시작하여성문제에 대한 대처를 위해서 성교육을 시행하였고, 직원 간에 또한 생활인들과의 생활에서 성격차이에 의한 다름을 이해하는 것이 서로간의 관계형성에 있어서 도움이 될 것 같고 필자가 전문 강사 인지라 MBTI 워샆도 시행하였다.200615>2006년도요셉의 집 직원교육일자참석인원교육명교육담당자장소비고인간중심개별화교 이 혜 진 ( 사 자원봉사1 2. 14 18명육 프로그램 계획 회제활) 자실2 3. 06 18명 관찰법의 이론 사채정 〃사회복지시설 직 정학수 가없이3 4. 14 17명원의 자세 좋은 곳 원장강당이태희, 이 자원봉사 상반기 경장협4 5. 23 18명 사례관리현훈 자실 직무개발교육인간중심개별화교 김 윤 주 ( 사5 6. 15 17명〃육 프로그램 계획 회재활)6 7. 04 26명 MBTI 워크샆 김혜란 파인밸리 수련회중7 8. 16 18명 직원예절 김윤주 강당8 11.14 17명 성교육, 친절교육 정복자, 김하반기 경장협강당수찬직무개발교육사례관리의 이해 김수찬 박장봉혜림원 연9 12.15 18명강당와 실제민규수- 101 -


2006년부터 교육 후 직원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는데직원들은 전체적으로는 교육에 대하여 보통이상의 만족도 분포가 높은 것으로보아만족하는 편이고, 내부 강사보다는 외부 강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내부 강사의 경우 필자에 의해 성격유형을 강의하였는데 자신의 성격이 드러나는 것을 매우 꺼려하여 많이 부담스러워 하는 이들이 있었는데 이를 반영시킨 면도 있다고 보여진다.외부 강사에 의한 경우와 내부 강사에 의한 교육의 만족도를 각 1개씩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사회복지시설 직원의 자세’는 총 17명이 참석하였는데 5척도 만족도 조사에서 교육의 전체적인 운영적인 면에서 1) 교육시기는, 매우 만족 2명(11%),만족 14명 (82%), 보통이 1명(5%), 2) 교육장소는, 만족 11명(64%), 보통 4명(23%), 불만족 2명(11%), 3) 교육시간 배정은, 만족 13명(76%), 보통 4명(23%), 4) 교육내용은, 매우 만족 3(17%), 만족10명(58%), 보통 3명(17%), 불만족 1명(5%)이었다.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내용 면에서, 5) 교육내용은 적절했는가? 만족 15명(88%), 보통 2명(11%), 6) 교육의 실제업무에 있어서의 예상활용도는? 매우만족 3명(17%), 만족 14명(82%), 7) 강사의 교육방법은 적절했는가? 만족 12명(70%), 보통 2명(11%), 불만족 3명(17%), 8) 교재의 내용은? 매우 만족 1명(5%), 만족 14명(82%), 보통 2명(11%)이었다.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에서 나온 의견은, 9) 교육내용이나 교육방법 중좋았던 점과 이유는? 시설병에 대한 진단을 할 수 있어 졸았다. 직원들의 생각을다시 정리하는 교육이었던 것 같다. 10) 교육 운영상의 개선점은? 교육이 자주있었으면 좋겠다. 11) 교육 후 소감은? 생각의 전환을 가지는 좋은 기회였다. 정학수 원장의 산지식을 배우는 자리여서 더욱 유익했다. 좋은 사회복지사가 되도록 다짐하게 하는 시간이 였다. 항상 배우는 자세를 가져야 겠다 등이었다.내부강사 교육으로는 ‘MBTI 워크샆’인데 직원교육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1. 교육의 전체적인 운영- 102 -


만족도구분 항목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1 교육시기 13명(50%) 10명(38%) 3명(11%)2 교육장소 2명(7%) 12명(46%) 12명(46%)3 교육시간5명(19%) 21명(80%)배정4 교육내용 3명(11%) 14명(53%) 9명(34%)매우불만족2.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내용구분항목5 교육내용은 적절했는가?교육의 실제업6 무에서의 예상활용도는?강사의 교육방7 법은 적절했는가?교재는 내용이8적절한가?만족도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2명(7%) 10명(38%) 12명(46%) 2명(7%)3명(11%) 18명(69%) 5명(19%)9명(34%) 16명(61%) 1명(3%)3명(11%) 13명(50%) 10명(38%)매우불만족3. 교육의 발전을 위한 제언9) 교육내용이나 교육방법 중 좋았던 점과 이유는?나 자신의 성격에 대해 이해 할 수 있어 좋았다. 직원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이었던 것 같다.10) 교육의 운영상의 개선점은? 수련회에 모든 직원이 참여하여 함께 하였으면좋겠다.11) 교육 후 소감? 나 자신도 모르고 있던 성격을 알게 된 것 같다. 여러 사람의다양하면서도 비슷한 성격유형을 알아보는 것이 재미있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였다.- 103 -


2.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생활재활팀 문서 작성 및 관리 훈련재활 프로그램의 설치를 위해 가장 어려웠던 부분이 문서 작성에 관한부분이었다. 교사들이 작성해야 하는 문서는 4가지 정도가 되는데 그 종류는 매일 쓰는 케어 일지, 프로그램 활동기록서, 프로그램 계획서, 프로그램 보고서, 생활인 개별화 일지, 개별화 계획서, 개별화 보고서, 케이스 웤, 케이스 웤 계획서,보고서 등이다.문제는 교사들이 문서 작성을 제대로 해 본적이 없어서 특히 각 활동의계획서와 보고서를 제대로 내지 못하는 부분과 그동안 문서에 대하여 시설에서신경을 쓰지 않았는지 체제가 잡히지 않은 부분이었다.문서 체계가 잡히지 않은 부분은 2005년 1-2월 동안 문서에 있어서 선진 시설인 케이스 웤으로 유명한 교남의 집의 문서 양식과 장봉 혜림원의 양식을 구해 우리 시설에 맞게 고쳐서 사용하였다.일단 양식을 비치하고 양식에 맞춰 내용을 넣은 샘플을 하나씩 교사들에게 주고 참고하여 필요한 문서들을 기록해 가지고 오라고 하였으나 교사들은 내용을 넣는 것도 어려워하여 2005년 3월 23일 기록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교육에 대한 결과로 많이 나아지기는 했어도 나오는 문서는 기본적인 기록들이빠져있는 경우가 많았다. 결제 라인을 가지고 교사 개개인들이 해 온 문서들을들고 교육에서 했던 내용들이 어떻게 자신들이 내는 문서에서 적용이 되는지를일일이 가르쳐 주어가며 반려와 반려를 통해 새빨갛게 수정 문귀들을 지적해 주며 문서 훈련을 진행 하였다.2005년 1년을 거의 이렇게 지내면서 직원들이 매우 힘들어 하기도 하였지만 처음으로 컴퓨터를 배우기도 하고 구입하는 등 그동안 문서는 젊은 사람들시켜서 하고 자신들은 잘 못해도 된다고 생각하던 나이 많은 직원들까지 문서에대한 중요성과 이의 기록을 위해 양식을 이해하기 위해 집에까지 가져가는 등노력하게 되었다.이 과정들의 슈퍼바이져를 해 줄 사람이 사무국장과 필자 밖에는 없었는데 문서의 작성은 사회복지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기초적인 작업인지라 이문제는 직원들에게 매우 엄격하게 다루었다. 덕분에 밤 12시까지 직원들이 내는- 104 -


문서를 그 때 그 때 봐주느라 힘이 많이 들기는 하였고 직원들을 닦달하기도 많이 하였는데 오래 지루한 시간을 보내면서 힘이 많이 들기는 하였어도 문서 작성의 기본들은 하나씩 하나씩 정비되어져 갔다. 이 과정에서 문서에 대한 두려움때문에 시설을 그만두고 나가는 직원들도 있었고 새로 오는 직원들은 문서에 대하여 초기부터 다시 개별교육을 시키느라 매우 힘든 과정들을 거쳐야 하였다.2006년에 와서는 직원들이 필요한 일들을 문서로 낼 줄은 알게 되었다.하지만 평가 결과를 평가의 기준들을 계획서에 넣어 놓았음에도 개인의 관찰기록들과 같은 에세이를 넣어 놓는 것과 같이 자신이 작성한 문서의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고, 관찰기록이 6하 원칙을 무시하고 에세이처럼 교사의 입장에서 주절이 주절이 기록되는 등 내용이 부실한 면도 많았다.2006년도의 문서지도의 주 초점은 이 부분을 수정하는 일이었다. 일단관찰기록은 먼저 시간과 생활인, 교사의 이름을 반드시 적고, 4개의 단계별로 기록하게 하였는데 내용은 1) 당시의 상황, 2) 환경, 3) 교사개입, 4) 개입 후 교사의 생각을 단계별로 나누어 적도록 하였다.그리고 문서 작성에 있어서 아직도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직원들은 개별적으로 불러서 지도를 하였다. 그러나 1년이 넘도록 문서지도를 하였으나 진전이 없는 직원들도 있었다. 내용에 따른 새로운 조직 체계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다. 그래서 2006년 조직을 개편하여 서류 작성이 안되는 직원들은 서류작성을하지 않아도 되도록 반장, 부반장제도를 만들고 이 반장들을 따로 집중 지도하여문서 체제에 대한 정비를 어느 정도 마칠 수 있었다. 문서 샘플은 아래와 같다.닛시반 프로그램 활동계획서▷ 활동영역 :여가 활동결 담 당 사무국장 원 장▷ 담당교사 :박필례재프로그실시장소 양주시내 근린공원공원 나들이와 드라이브2007년 7월 셋째 주부터램명시간매주 일요일 오후14시-주말 오후 차를 타고 원 밖으로 나가 풍경이 아름다운 공원에서 신선한공기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고 편안한 가운데 육체적 정신적 휴식하는 시간을프로그갖는다.램 개요-외부 활동을 통해 관내의 크고 작은 공원을 산책 하며 지역사회주민들과의교류를 활성화 한다.- 105 -


프로그-즐거운 주말 오후편안하고 즐거운 휴식을 통하여 일상생활의 만족도를높인다.램 목표 -한주간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며 몸과 마음의 휴식을 취하고 지역주민들과 자연스럽게 교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대상자 닛시반 8명.준비물 스타렉스,편안한 복장,모자,용돈,키미테활동방법평가방법-13:40:외출준비 하여 차량 탑승.-13:45:출발.-13:45~15:40:드라이브,공원도착,야외 활동.-15:40 :출발.-16:10 :도착*매주 양주 시내의 공원과 산책로를 찾아가1)가능한 한 양주 시내에 있는 크고 작은 여러 곳의 공원과 산책로를찾아가 본다.2)지역 주민들과의 자연스러운 교류 내용을 기록 한다.3)프로그램 후 대상자 만족도와 욕구 사항을 기록 한다.기대효과-공원산책 및 산림욕을 통해 건강한 몸과 마음의 휴식을 도모 한다.-대중교통을 이용하여 공원 찾아 가기 프로그램으로 발전을 도모 한다.-외출 시 용돈을 효과적으로 적절하게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중증장애인요양시설 요셉의 집개별화교육프로그램계획결반 장사회재활재사무국장 원 장대 상 자 0 0 0( 49세, 여, 언어/정신지체 1급) 소 속 보금자리 3호방, 오렌지 반작 성 일 2006. 8. 02 작 성 자 이 0 0목 적 스스로 생리대를 착용할 수 있다.목 표 대상자는 3개월 안에 스스로 교사의 도움 없이 생리대를 착용할 수 있다.현재수준대상자는 생리대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구별이 어려우며 착용방법이 서툴러 교사의 도움으로생리대를 착용한다. (아랫부분이 위쪽으로 올라오게 착용하는 경향이 높음.) * 생리기간 3~4일힘필요성1 양손을 사용할 수 있다.2 사물을 구분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 있다.3 반복적인 학습에 의한 기억력이 있다.4 자신의 소유물에 대한 소유욕이 강하다.실 시 자 생활재활교사 : 이 복 희 외 오렌지 반 교사실시기간 2006년 8/7 ~ 10/31일 까지 (매일 1회 실시)대상자는 여성으로서 생리대를 바르게 착용 할필요성이 있다.- 106 -


실시방법실시단계1.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1 훈련 자는 대상자가 직접 확인하고 알 수 있는 훈련용 견본 팬티와 생리대를준비하기로 선택 한다2 대상자가 훈련용 견본 팬티와 생리대를 통해 생리대를 올바로 착용할 수 있는방법을 선택 한다(구체적인 반복학습 방법).3 교육 방법은 후행연쇄의 방법을 선택 한다4 목표에 근거하여 3개월간의 훈련 프로그램을 작성 한다5 훈련시간은 매일 오전 11시30분부터 10분간. 단 보건소 가는 날은 저녁 4시 30분부터10분간하기로 한다(시간).6 훈련 장소는 싱글벙글 화장실로 한다.1. 과제의 단계1 팬티에서 제거한 생리대를 신문지에 싸서 휴지통에 넣는다.2 접착재를 뜯어낸 생리대를 생리 팬티 중앙에 부착시킨다.3 팬티를 중앙으로 올려 입고 옷을 올바로 착용한다.※과제를 수행할 때 사회적 강화(칭찬)를 사용한다.2. 과제 제시 기법: 선행연쇄(교사가 훈련용 견본을 통해 인지시키는 시범을 보인다)3. 훈련자의 도움5점 : 침묵 속에 관찰4점 : 언어적 지시 3점 : 시범2점 : 부분적인 촉진 자극1점 : 전반적인 촉진 자극 0점 : 전혀 수행하지 못함.세부 과제에 따른 훈련자의 도움 정도를 체크리스트에 기입한다.모든 수행 과정은 훈련용 견본 팬티와 생리대를 확인하여 수행하도록 한다.4. 훈련자의 도움《예비단계》예비 검사의 단계에서는 본인 스스로 하되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최소한의도움만을 준다.5. 준거대상자가 생리 기간일 때 하루에 3번 수행 중 3일 연속 실패 없이 수행하면 성공 으로 평가 한다.대상자일자9/9 9 월 개별화프로그램 체크리스트목 적 스스로 생리대를 착용할 수 있다.0대상자는 3개월 안에 스스로 교사의 도움 없이 생리대를 착용할목 표수 있다.01 팬티에서 제거한 생리대를 신문지에 싸서 휴지통에 넣는다.0 세부과제 2 접착재를 뜯어낸 생리대를 생리 팬티 중앙에 부착시킨다.3 팬티를 중앙으로 올려 입고 옷을 올바로 착용한다.프로그램관찰 및 평가기록자시간 세부 훈련자의과제 도 움11시 1 5 교사가 지켜보는 상황에서 스스로 수행함. 조영애30분~40분2 5 접착제를 뜯어 생리대 앞뒤를 구분하여 팬티에 부착 조영애3 5 교사의 침묵아래 스스로 팬티를 중앙에 입음. 조영애- 107 -


11시9/10 30분~40분11시9/11 30분~40분11시9/15 30분~40분16시9/16 30분~40분1 4 교사의 언어적 지시 후 신문지에 생리대 싸서 버림. 이복희2 5 팬티 중앙에 생리대를 착용함. 이복희3 5 스스로 팬티를 올려 입음. 이복희1 4 교사의 언어적 지시로 수행함. 이복희2 4팬티 중앙에 부착시키지 못하여 교사의 지시 후 수행이복희함.3 5 스스로 올려 입음. 이복희1 5교사의 눈치를 살피며 천천히 생리대를 신문지에 싸조영애서 버림.2 5 생리대의 접착이 양호 하도록 팬티에 부착시킴. 조영애3 5 팬티를 중앙으로 잘 올려 입음. 조영애1 4교사의 언어적 지시로 지도하자 본인이 신문지에 싸조영애서 버림.2 5 스스로 생리대를 중앙에 부착시킴. 조영애3 4 교사의 지시 후 수행함. 조영애〈훈련자의도움〉 5점 : 침묵 속에 관찰 4점 :언어적 지시3점 : 시범2점 : 부분적 촉진 자극1점 : 전반적 촉진 자극사 례 회 의 록요셉의 집중중장애요양시설 요셉의결담 당 사무국장 원 장2006년 2월 16일 (1차)대상자회의안건사례개요CASE NO. 2006- 장애유형 및 등급 정신지체 1급성명(성별) 신효정(여) 반명 토마토반신효정님 사례관리 전 관찰 내용 분석 건- 신효정님은 2006년 1월 15일 포천 노아의 집의 의뢰로 요셉의 집에입소하였다.- 입소 당시 장애 특징은 행동이 다소 느린 편이며 눈 마주침이 거의재없고 상호 작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욕구 불만 시 얼굴과 살을 긁는행동을 하며 최근 1~2년간 문제 행동이 없었던 것으로 관찰 되었다- 요셉의 집에 입소 후부터 생활재활팀의“입소 전 2주간 관찰”과 그후의 일상생활을 관찰하였으나 여러 가지의 문제 행동이 발견되어 일상생활 훈련을 통하여 문제 행동을 수정하려 노력하였으나 수정되지않았고, 문제 행동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문제행동에 대해 점검하고 논의하여 문제를 해결 하도록 한다.- 108 -


회의내용향후계획기록자참석자※ 신 00님의 사례 관리 및 개별화 교육 의 필요성에 대해 회의 함▶ 입소 전 2주간 관찰 내용 참고- 행동이 느린 편이며, 눈 마주침이 거의 없고, 상호 작용에 어려움이있다.- 본인의 뜻에 맞지 않을 경우 밀거나, 때리는 공격 행동을 보인다.- 낮 시간 옷에 소변, 대변을 지리거나, 밤 시간에 자리에 앉은 채로소변을 본다.- 본인의 손등이나 다리를 뜯어 피를 나게 는 자해 행동을 한다.- 본인이 원치 않을 때는 한곳에 앉아 움직이지 않으며 교사의 지시에전혀 따르지 않는다.☛ 논의 결과 문제 행동을 다음과 같이 분류함⑴ 소, 대변 옷에 지리는 행동 ⑵자해 행동 ⑶폭력 행동⑷ 본인이 원치 않을 시 교사의 말을 무시하거나, 한곳에서 전혀 움직이지 않은 행동 등☛ 생활재활팀의 결정 사항1 생활재활팀 1차 관찰회의 결과 ⑴번 소, 대변 옷에 싸거나 지리는행동이 일상생활을 하는데 가장 시급하게 수정되어야 할 문제 행동이라고 판단되어 의료재활팀 간호사와 의논하여 비뇨기과 약을 1일1회투약하고 있으며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문제 행동이 일어나는 시간대를체크하기로 결정하였다.또한, 물리치료사가 러닝머신 활용을 계획하여 1일 30분씩 생활팀에서 진행하고 있다.2 대상자의 장점과 긍정적인 부분을 좀 더 관찰하기로 하였다.2월 21일, 2차 회의를 진행하기로 함.우 선 희안현숙, 장경자, 우선희, 조은빈(이상 생활재활팀), 정복자, 백인애(이상 의료재활팀)총 6 명요셉의 집- 109 -


이것의 부수 효과는 반장이 되려면 서류 처리를 해야 한다는 것과 진급이 되려면 서류 처리가 가능하여야 한다는 것이 직원들 사이에서 인식이 됨으로문서 처리는 서로의 실력을 비교하는 잣대가 되기도 하고객관적인 인사의 잣대가 되기도 하였다. 이를 위해 진급의 의욕이 있는 직원들은 개별적으로 노력하고 서로 경쟁하는 흐름을 만들기도 하였다.3. 생활재활팀 조직정비2004년에는 생활재활팀(이하 생팀)의 내부 조직이 없었다. 생팀은 16명의 직원이 배치되어 있고 생활인들의 일상생활 전반을 서비스 하는 시설의 가장중요한 그룹이나 가장 사회복지훈련이 되어 있지 않은 팀이었고 오래 된 직원들은 사회복지교육을 받아 본적이 없는 동네 분들(2004년 16명 중 사회복지자격증 소지자 3명)이어서 훈련을 시키는 일도 매우 힘이 들었다. 여기에 직원들이자신들이 한 업무에 대한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아 생활인들이 교사들의 근무태만으로 사고를 당하는 경우 서로 모른다고 미루기만 할 뿐 문제가 있고, 층별 운영이 되다보니 교사의 손길이 가지 않는 장애정도가 심한 정신지체 장애인들이혼자 떠돌아 다니면서 다른 생활인의 장을 휘져어 놓는다거나 원외로 이탈해 남의 주택에 무단으로 들어가 식사를 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2005년 1월부터 생팀을 생활인들의 장애 정도와 유형별로 분류하여 5개반을 만들고 교사들에게 반 이름을 공모하였는데 오렌지, 포도반, 토마토반, 사과반, 바나바반 등이 선정되어 반별로 케어를 진행하게 하고 책임도 지고 각 반별로 프로그램들도 계획하여 실시하도록 하였다. 각반은 3교대로 돌아가므로 반에반장을 두어 자기 반을 간수하도록 하였다. 반별로 편재가 되면서 반장이 자기반을 맡으니 책임소재가 확실하여 직원들도 생활인을 다루는데 다소 조심하였다.반별로 편재가 되면서 생활인들에게 상해를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상해를 당할경우 그 시간의 담당교사에게 책임을 물어 처벌을 하였다. 처음에는 처벌에 대하여 교사들이 연좌하여 원장실로 따지러 오는 등 반발이 심하였으나 생활인의 상해에 대하여 그냥 넘어 갈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교사들의 역할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설명하여 원칙을 고수하였다. 조직재편 및 생활인의 실수나 부주의에 의- 110 -


한 상해에 대한 처벌로 생활인들의 상해는 많이 줄었다. 하지만 자신의 업무에대한 책임성은 3교대에, 오전, 오후 근무 및 주말 근무 - 토요일 일요일을 쉬는조로 근무반이 돌아 감 - 를 2달별로 바꾸어 주던 근무 형태로 인하여 이 반 저반을 돌아다니게 되어 있어서 귀속성이 적었다.2006년은 반별로 3명씩 인원 배치를 위해 기존의 형태를 오전, 오후, 휴가와 상관없이 붙박이 근무로 바꾸고 당직제도를 부활시켜 모자라는 인력을 보강하였다. 주말휴가를 원하는 직원들이 많아 작은 원성은 샀지만 생활인들을 지원하는 데는 한 반에만 들어감에 따라 훨씬 안정되고 책임성도 있고 전문적이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반장이 자기반을 관리하는 제도는 이름뿐이지 잘되지가않았다.2007년은 좋은 서비스의 배출을 위해 노력하는 직원들이 오히려 질책이되는 생팀의 분위기를 깨우기 위해 반별 인원을 반장, 부반장, 순환교사제로 두어 반장은 문서 처리 및 반의 전체를 관리하게 하고 부반장은 장롱 및 용돈관리와 같은 부수적인 업무를 순환교사는 기타 반장과 부반장이 지시하는 내용을 하도록 하고 교육 및 대우 면에서 순환교사는 책임이 적은 대신 교육에서 제외되는 등 차등을 두었다. 그리고 반장 부반장을 이 원칙에 따라 재배치하여 오래되었으나 실력이 없이 열심히 일하는 신입교사들을 교묘히 곤경에 빠뜨리는 불성실한 오래된 교사들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었고 오래된 교사와 신입교사들을 따로 따로 한 반으로 모아 서로가 경쟁하도록 하였다. 반장들의 입지를 강화하기위해 생팀장과 더불어 반장회의 제도를 만들어 생팀의 운영을 하도록 하였고 월요일에 있는 팀장 회의 후 화요일에 반장회의를 하도록 하여 전체 흐름과도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결과는 생팀들이 실력이 없으면 경력과 상관없이 순환교사로 떨어진다는생각에 긴장하고 순환교사로 떨어져도 예전과 달리 교사 전체가 불만에 차있거나 하지 않았다. 반장이 되면 오히려 예전에 없던 팀장급의 교육의 기회와 자신의 반을 관리하며 어느 정도의 재량권을 발휘 할 수 있고 반장회의를 통하여 시설의 중심부와 의사소통의 기회가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 시설로서는 반장을 통하여 생팀교사 전체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효율적이었다. 생팀의 의견을편하게 반장회의로부터 전해 듣고 문제점들을 공식적인 통로를 통해 해결할 수- 111 -


있었다.4. 년간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2004년 시설에 와서 보니 월례회를 통하여 월간으로 계획을 세워 운영을 하고 있었다. 당해에 3년마다 있는 평가가 있었는데 년 간 계획표가 없어서많이 당황 하였다.2004년부터 12월 15일-16에 하계 수련회를 하여 년간 계획서를 서툴지만 각 팀에서 제출하게 하여 년 간 일정을 년 간 계획에 근거하여 진행하도록하였다. 전반기 평가는 7월에 하여 전반기에 했던 일들을 평가하여 후반기에 반영하도록 하였고 년 간 계획서를 묶어서 직원들에게 하나씩 나누어 주었다. 평가및 기타는 년 간 계획서에 근거하여 하도록 하였다.2005년의 경우 계획서는 월간 계획서를 벗어나지 못하는 수준이었으나계획서를 짜면서 한해를 교사들이 어떻게 보낼 지 생각도 정리하고 지난 일 년간의 자료도 찾으며 한해를 기획하면서 하반기 수련회에서 이에 대한 자신들의생각들을 말하기도 하였다.2005년의 재활프로그램은 전반기는1) ADL(기초생활훈련) - 개별화 훈련14명(140%), 사회적응훈련 7건, 사례연구 2회(회의 9건) 2) 사회재활 - 재활훈련(등산(3회), 에어로빅(9회), 산책(181회), 베드민턴(25회), 기초 학습(26회), 컴퓨터 교육(18주), 음악(52회), 지점토(52회) 3) 사회성 향상 - 예절교육 (2회),대중목욕탕 이용(6회), 마트 이용(2회), 지역사회 봉사(3회), 문화 활동 참여(2회)4) 적성개발 - 미술활동(26회), 공예활동(26주) 등을 시행 하였다.정신지체인들을 대상으로 한 2회의 평가를 통하여 얻은 총평은 17명의 대상자 중 12명이 1차 평가 시보다 2차 평가(9개월)에서 더 나은 점수를 얻었고 5명의 대상자는 1차에 비하여 점수가 낮게 나왔다. 총평은 변화가 없거나 경미한변화를 보이는 대상자들도 있으나 개별화 교육, 사회적응훈련 등 각종 훈련과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특정한 영역에서 큰 향상율을 보인 대상자들도 있었다. 또한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향상이 된 대상자들도 있어 각 영역별의 훈련이 대상자들의 생활에서 변화 된 결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112 -


2005년 하반기의 재활 프로그램은 1) ADL(기초생활훈련) - 개별화 훈련6명, 사례연구 5회 2) 사회재활 - 재활훈련(등산(3회), 수영(20회), 생활요가(20회), 산책(180회), 기초 학습(50회), 컴퓨터 교육(48주), 바느질 교실(20회) 3)사회성 향상 - 예절교육 (6회), 대중목욕탕 이용(6회), 마트 이용(6회), 지역사회봉사(15회), 문화 활동 참여(2회) 4) 적성개발 - 미술활동(18회), 공예활동(45주) 등을 시행 하였다. 하반기에는 지체장애인들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하자는 의견들이 있어서 지체장애인들도 평가하기로 하였다.결과는 지체장애인을 위한 일상생활 체크리스트로 3차에 걸친 평가에서14명 중 대부분이 중년 이상이 많아서 훈련의 효과는 좀처럼 나타나지 않으나꾸준히 향상되기를 바라며 노력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활기찬 원내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 같다. 특히 이 00님은 6월에 입소하여 개별화 교육을 통하여 보행 훈련에 큰 향상을 보이셨다. 정신지체인의 경우, 오렌지반의 대부분이 향상률을 보였으며 특별히 사회적응기술영역에서 가장 큰 향상을 보여 잦은 외부 활동을 통한 사회적응훈련이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개별화 교육을 통해 자립영역과 가사보조영역이 향상된 생활인들도 있어 한 해 동안 제공된 재활서비스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2006년은2006년, 2007년 전체 계획서는 점차로 자리를 잡아가며 각반의 케어 내용에 대한 분기별 계획들이 실제의 운영내용들을 담아가며 제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중간에 사회재활교사가 결혼으로 주거지가 지방으로 옳겨지면서 바뀌게 되어 혼란이 있었으나 새로운 사회재활교사가 와서 다시 재활 프로그램을 시행 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프로그램과 새 교사에 의해 시행된 프로그램들이 함께 진행되어 진행에 무리한 경우가 있었다. 진행된 재활프로그램은, 1)ADL(기초생활훈련) - 개별화 훈련 14명(140%), 사회적응훈련 32건, 사례연구4회 2) 사회재활 -2007년에는 생활인들의 자기 생활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동아리 활동을 만들었다. 동아리 활동은 등산, 독서, 볼링, 노래교실, 보치아, 게이트볼 등 6가지 였다. 재활훈련(등산(7회), 독서(13회), 영화감상(21회), 산책(181회), 볼링(28회), 노래교실(21회), 보치아(16회), 게이트볼(15회), 수영(5회), 기초학습(26회), 컴퓨터 교육(18주), 음악(52회), 지점토(52회) 3) 사회성 향상 - 예절교육 (26회), 대중목욕탕 이용(6회), 마트 이용(2회), 지역사회 봉사(3회), 문화- 113 -


활동 참여(2회) 4) 적성개발 - 공예활동(26주) 등을 시행 하였다. 이외에 반별로오전 오후 2시간씩 진행된 프로그램들이 있다.개인별적응행동성취도와 지체장애인 체크리스트에 의하면 자립영역의 식사, 의생활, 화장실 사용, 개인 위생부분과 사회적응기술에 있어 보행, 음식점 이용, 쇼핑, 예의, 여가활용 부분에 있어서 많은 향상을 보였다.2007년부터는 분기별의 계획을 짜고 월간 계획은 생략하기로 하여 년 간계획서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년 간 계획이 자리를 잡으며 월간에 처리되어야할 부분들이 직원들이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2007년이 되어서야 교사들이 반별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그 반의 장애 정도에 맞추어 진행이 되고 조직도 생활교사에 순환교사제도가 생기며 서로 경쟁하며 변화의 속도를 더하였다. 그러나 아직은 재활 프로그램의 기획이나 평가에 있어서 사회복지방법들과 기준에 의한 기획이나 평가는 사회재활 교사에 의해 제시된 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교사들이 수동적인 면들이 아쉬운 점이기는 해도 많은 발전이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다음은 생팀 년 간 계획서이다.2007년 오렌지 반 연간 계획서▷ 담당 교사 : 우 0 0결반 장 사무국장 원 장재활동원내, 지역 사회장소기간 2007년2월 ~ 2008년 1월오렌지 반 생활인들에게 주거생활 에서의 자립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사생활 등운영방향목표대상자다양한 일상 생활훈련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개별 독립생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더불어 외부활동을 통해 사회체험의 기회와 함께 사회성을 향상 시키는 기회를 갖고자한다.1. 일상생활 훈련을 통한 개별 자립생활 능력 향상.2. 다양한 사회체험과 훈련을 통한 사회성 향상 도모.3. 야채 재배 과정을 경험 하고, 수확물을 통해 성취감을 갖는다.(원내 텃밭 이용)오렌지반 8명- 114 -


주요서비스내용기대효과비고1) 일상 생활훈련 프로그램 제공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의식주 생활을 경험 할 수 있는 훈련을 통하여 스스로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훈련.- 식생활 : 자율 배식 및 바른 삭사 태도 기르기.- 의생활 : 손세탁하기(양말, 팬티 등), 세탁물 정리 하고 수납하기, 자신의 옷 바로입기, 바느질하기 (자신의 양말, 속옷 등에 숫자 표기하기작업을 통한 바느질훈련)- 가정생활 : 간단한 요리 해 보기, 가전제품 사용법 습득 등(청소기, 토스터기, 다리미등을 단계적으로 익히도록 함).2) 사회성 향상1 외부활동 전 준비 : 걷기 예절, 화장실 사용법, 견학, 관람 태도등, (자료를 이용한시범 교육)2 지역사회 시장 이용 : 대중교통을 이용한 지역 사회 내의 재래시장이나 중, 소형마트, 미용실 이용 훈련실시.3 학습 : 자신의 이름 찾기 쓰기, 수 비교하여 찾기 훈련을 통한 원내 자립 생활 및사회성 훈련에 도움이 되도록 훈련.4 여행, 관광 : 지역사회를 벗어나, 기차나 고속버스를 이용한 타지역관광하기(자원봉사자확보 동행)3) 텃밭 가꾸기 :계절에 따라 싱싱한 야채를 재배하여 원내에 제공하므로 공동체생활에 기여하는 자신의 역 활에 대해 인식 하고 자부심을 갖는다.4)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수준별로 계획 진행한다.- 1반 : 임재학, 변문철,- 2반 : 송성옥, 김연숙, 이명순- 3반 : 이종숙, 신효정, 김형범.4) IPP 훈련(오렌지 반 2 명): 신효정, 김형범5) case work (오렌지 반 2 명) : 이종숙, 변문철6) 프로그램 평가 척도- 5점 :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주어진 과제를 수행 한다.- 4점 : 언어적으로 과정을 제시하면 과제를 수행 할 수 있다.- 3점 : 과제 수행 중 3 ~ 5회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 반복 하면 수행 할 수 있다.- 2점 : 과제 수행을 처음부터 끝까지 10 회 이상 함께하고 반복한 후에 수행 할 수있다.- 1점 : 과제를 지속적으로 함께 수행 하면 수행 가능성이 있다.1) 가사생활 능력 향상을 통한자립생활 준비.2) 사회 적응 훈련을 통한 사회성 향상, 지역사회와의 교류.3) 웰 빙 야채 가꾸기와 교육 훈련을 통한 시설에 기여하는 만족감과 자신감 향상 .세부계획 및 프로그램계획서를 통하여 진행 평가 한다.2007년 오렌지 반 세부 서비스 및 훈련내용영역일세부사업명 일 정 목 표 량 대상기초주2회8명☓105일= 840회자8명세부 서비스 내용* 아침 기상하기* 침구 및 갈아입은 옷 정리 수납- 115 -


상생활훈련가정생활기술훈련자립생활훈련*세탁*바느질*전자제품사용하기*요리해보기소강당청소하기화,목주2회월,수주2회매주월,수요일주1회매주토요일(총 55주)2명☓95일=190회2명☓95일=190회1명☓95일=95회1명☓95일=95회1명☓95일=95회1명☓95일=95회(50주) 총=760회8명☓104일=832회(총 52주)8명☓47일= 376회(총 47주)8명8명8명* 세안 후 머리 빗기* 예배 참석하기* 아침 식사 후 양치하기* 맡은 구역 청소하기, 목욕 준비하기* 계절에 맞는 옷 골라 입기.▶정해진 일정에 따라 스스로 가사 활동.* 침구정리, 청소. 목욕준비.* 머리 빗기. 목욕 준비, 청소* 자립 생활 전 과정 훈련.* 세면, 청소.* 청소* 계절에 맞는 옷 골라 입기.* 속옷 손세탁하여 삶기, 양말 빨기* 세탁기 작동 법 배우기* 빨래 개기, 수납하기* 건조하기▶ 속옷으로부터 시작 하여 수건 , 겉옷까지 단계별로 확대, 자기장롱 스스 로관리.* 매주 토요일 오후 소강당 청소를 하여 주일 예배 준비를 한다.▶소강당 청소를 통해 책임감과 원내 소속감을 갖는다.사회성향상훈련웰 빙야채가꾸기주2회매주화,목2월~11월매월첫째목요일(등산)8명☓105일= 840회(총 55주)840회-12회(매월 1회 등산)= 828회8명* 농사 일지를 준비 한다* 월별로 심을 야채를 선정 한다.* 농사에 필요한 도구를 준비 한다.* 재배 방법을 미리 알아보고 기록한다.* 거름과 씨앗을 준비한다.* 2월 :농사 준비,(도구점검, 종류 선정)* 3 ~4월 : 봄 동, 시금치 심기, 김매기.* 4 ~5월 : 파, 상추, 아욱, 호박, 감자,파프리카 씨 뿌리고 모종하기* 6~ 8월 : 배추, 무 심기, 심은 야채가꾸기, 김매기. 수확하기.* 9~ 11월 : 김매기, 수확하기, 배추묶기* 주 2회 심을 야채를 관리 하며 기록한다.지역 월 8명☓12=96회 8명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116 -


사회성향상훈련사회문화체험 하기지역사회봉사여행1회1 주첫째수요일주1회매주토요일1년2회4월11월(총 12주)8명☓ 48=384회(총 48주)8명☓ 2회=168명8명* 재래시장, 5일장, 중, 소형 마트이용방법을 배운다.* 미용실을 이용해본다.* 매주 토요일오전 원에서 문예회관 까지.원에서 산책로까지의 주변 환경을 깨끗이 청소하여 지역 사회에 봉사 하는 자부심을 가진다.* 기차를 이용한 봄 여행.* 고속버스를 이용한 가을 여행.* 상반기 1박2일.* 하반기 1박2일.활동전준비단계숫자익히기이름익히기주1회매주금요일2,3,4주수요일8명☓52일=416회(총 52주)8명☓36일=228회(총 32주)8명8명ipp훈련 년1회 2명☓1회=2회 8명case work 년2회 2명☓1회=2회 8명* 같은 숫자 비교하여 찾기, 쓰기▶ 숫자 비교하여 찾기, 쓰기 훈련을통해 원내 자립 생활, 사회적응훈련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자기 이름 찾기, 쓰기 훈련을 통해원내 자립 생활, 사회적응훈련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낮 시간 소변지리는 행동, 밤 시간 소변싸는 행동 소거하기.* 도구를 바르게 사용하여 천천히 식사하기* 사례관리를 통해 문제 행동 소거 또는감소를 시킨다.* 각 팀 회의를 통하여 사례관리 목표 설정하기로 한다.D. 규범 만들기주마다 진행된 팀장회의를 통해 재활프로그램의 설치를 위한 방안토의및 교육에 대한 안들의 제공, 이를 가지고 각자 팀원들과의 토의들을 통해 문제점과 직원들의 문제 지적 및 의견 제안들이 있었다. 가장 크게 대두된 문제점은직원들의 훈련이 미흡하여 제기된 재활 프로그램을 통한 장애인들을 잘 섬기는- 117 -


시설이 되자는 것은 이해하나 그것을 구체화하는 작업들은 전달교육을 통해서는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었다. 그리고 직원들이 장애인을 대하는 태도나 방식이 중구난방이라 이를 정리할 필요가 있었고, 이를 핑계로 나태한 근무태도를유지하려는 직원들의 정신자세를 가다듬을 원칙이 필요 하였다.이의 대안으로는 기존의 관리규정들 중 장애인에게 해를 끼치는 경우 해고가 가능하도록 조항을 신설하고 - 제19조 직원면직 마. 생활인에게 고의로 상해를 입히거나 신체적 정신적 학대를 가했을 때. 사. 3번 이상의 견책을 당했을때- 인사위원회를 가동하여 인사 및 직원의 상벌에 관한 문제는 원장의 독단이 아닌 인사위원회를 통하여 처리되도록 하여 객관화 하였다.그리고 장애인들을 직접 케어 하는 일이 시설 업무의 주요한 사항인지라생활인들을 케어 하는 ‘생활재활팀 케어 및 서비스 제공지침’을 지정하였다.더불어, 직원들의 자세를 다듬을 기준들을 만들기 위해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을 유추하여 ‘요셉의 집 종사자 윤리강령’을 만들었다. 이로서 재활프로그램의 실시가 흐트러짐이나 중단됨이 없이 나아가도록 하였고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시행 지침들을 만듬으로생활재활팀 케어 및 서비스 제공 지침1. 생활인 권리 보호 서비스(자유권자유권, 권리협약 14조)1 본인이 원하는 호칭으로 부르고, 나이에 맞는 경어를 사용하도록 한다.2 본인이 원하는 머리모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3 본인이 자유롭게 전화나 편지, 통신이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4 국가에서 지원하는 생계급여 장애인 수당에 대한 정보와 지출은 기록, 관리하여 정기적으로 확인시켜 준다(사회보장권, 장애인 인권헌장 2조, 권리협약 28조).5 가족과 자유롭게 면회하고 교류할 수 있도록 한다(가족권, 세계인권선언 16조, 장애인 권리선언 9조, 장애인 헌장 1,12조, 권리협약 23조).7 생활인을 정기적으로 면담하여 욕구를 파악하고, 요청 시 원하는 교사와 면담할 수 있도록 한다(표현 및 정보의 자유, 권리협약 21조).8 투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정치권,권리협약 29조).9 지역사회 생활 속으로의 통합을 위해 지역사회봉사를 지원한다(외부와의 소통, 권리협약 19조).- 118 -


10 적절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사회보장권, 장애인인권헌장 2조, 권리협약 28조)2. 안전 보호 서비스1 매주 촉탁의 미팅에 참여하고 미 참여시에는 내용을 확인, 점검 한다.미팅 시 생활인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보고한다.2 의료팀의 처방에 따라 시간에 맞추어 투약하고 확인한다.3 의료팀에서 지원하는 보장구는 본인에게 필요를 설명하고, 동의를 받고 착용을 확인, 점검한다.4 응급상황이 생길 경우 간호사에게 연락하여 상황설명 후 지시에 따른다.5 와상생활인은 시간에 맞춰 2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을 한다.6 자신의 의료적 욕구를 표현하고, 자신의 의료적 상태에 대해 설명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3. 일상생활지원 서비스(의식주생활, 장애인 인권헌장 2조)1 숙소 이동 요구 시 본인이 원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2 의류(속옷, 신발, 겉옷, 소품 등) 필요시 본인의 선호도와 사이즈, 연령에 맞는 옷을 지원한다. 본인 요구 시 직접 구입(교사와 동행하여) 할 수 있도록 한다.3 본인이 선호하는 간식을 구입하여 먹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4. 위생관리 서비스(의료및 건강, 장애인 인권헌장 2조, 권리협약 25조)1 침구는 일정표에 따라 교체한다. 단 오염 시 즉시 교환한다.2 의복은 정기적으로 착탈의하고 더러우면 즉시 갈아입도록 한다.3 화장실을 청결히 관리하고, 비품(수건, 비누, 치약, 칫솔, 걸레 등) 을 점검 ․비치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한다.4 손, 발톱은 오물이 끼지 않도록 청결히 하고, 손, 발톱 정리기는 사용 후 소독한다.5 폴리를 착용하는 생활인의 소변이 200ml 가 넘지 않도록 자주 비워준다.6 일정표에 따라 목욕 서비스를 수행하고, 본인이 원할 시 수시로 할 수 있다.본인의 욕구에 의해서 외부의 대중목욕탕 이용을 지원한다.7 구강관리를 위해서 정기적인 치과진료를 지원한다.8 변비가 있는 생활인은 배변 일정표에 따라 배변 서비스를 지원하고, 유산균음료를 제공하여 변비가 완화될 수 있도록 한다.5. 여가생활 서비스(문화권문화권, 권리협약 30조, 세계 인권선언 27조, 장애인 인권헌장 7조)- 119 -


1 생활인 욕구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계획에 반영한다.2 생애주기 와 연령에 맞는 프로그램을 계획한다.3 서비스 장소, 시간을 생활인에게 알려준다.4 프로그램 진행 시 본인이 거부하면 강요하지 않는다.5 서비스 활동기록은 객관적으로 기록하여 보관한다.6 생일은 개별적으로 축하하고, 명절, 행사는 참여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한다.7 생활인의 욕구 해소를 위하여 다양한 외부 프로그램(나들이, 영화관람, 쇼핑등)을 계획하고 수행한다.6. 개별서비스1 생활인 장애특성과 욕구에 따라 프로그램을 계획한다.2 개별서비스 계획 시 본인에게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실행한다.3 생활인 개개인의 지원서비스 와 행동내용을 기록, 보관하여 다음 서비스 계획에 반영 하도록 한다.4 사례관리를 통하여 대상자의 장애특성에 맞는 포괄적이며 전문적 서비스(의료, 정서, 욕구)를 지원한다.요셉의 집 종사자 윤리강령자기 결정 : 나는 대상자 또는 대상자가 대리로 지정한 사람을 통해 서비스를 계획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대상자의 의사결정을 존중한다.옹호 : 나의 첫 번째 의무는 대상자에 대한 옹호이다. 나는 항상 이것이 기타의이익과 충돌하더라도 대상자의 최고 관심사에 의존하여 서비스를 제공할것이다. 나는 대상자의 보호자 역할을 하며, 권리를 옹호한다.대리판단 : 나는 대상자의 승인 없이 나의 판단을 대상자의 판단에 대신 하지 않을 것이다.비밀유지 : 나는 대상자의 대한 비밀을 지킬 것이며, 만약 이것이 대상자에게 해가 되는 상황이거나 또는 법에 의해 요구받을 경우에는 대상자의 허락을 구한 후,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타인에게 제공할 것이다.의뢰 ․ 노출 : 나는 대상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믿는 기관으로 의뢰할 것이다. 나는 내가 제안한 서비스를 가지고 비즈니스 관계를 대상자에게 충분히 설명 할 것이다. 그리고 대상자가 선택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며, 대상자 또는 대상자의 대리인에게 서비스를 거부하거나 수용하는 권한이 있음을 알려 준다.협력 : 나는 대상자를 보호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사람간의 협력을- 120 -


증진하도록 노력한다.자격 유지 : 나는 나의 직업에서 내가 맡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수교육을통해 충분한 자격을 유지한다. 나는 기술과 지식을 개발하는 전문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면허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한다.차별 불허 : 나는 어떠한 형태의 차별을 허용하지 않는다.- 121 -


Ⅴ. 평가A. 평가2005년부터 재활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매년 진전이 있었다. 교사들의자체 평가에 의하면, 2005년의 경우 전반기는 정신지체인들을 대상으로 한 2회의 평가를 통하여 얻은 총평은 17명의 대상자 중 12명이 1차 평가 시보다 2차평가(9개월)에서 더 나은 점수를 얻었고 5명의 대상자는 1차에 비하여 점수가낮게 나왔다. 총평은 변화가 없거나 경미한 변화를 보이는 대상자들도 있으나 개별화 교육, 사회적응훈련 등 각종 훈련과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특정한 영역에서큰 향상율을 보인 대상자들도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향상이 된대상자들도 있어 각 영역별의 훈련이 대상자들의 생활에서 변화 된 결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하반기에는 지체장애인들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하자는 의견들이 있어서 지체장애인들도 평가하기로 하였다.(부록 2. 사업평가 참조) 결과는 지체장애인을 위한 일상생활 체크리스트로 3차에 걸친 평가에서 14명 중 대부분이 중년 이상이 많아서 훈련의 효과는 좀처럼 나타나지 않으나 꾸준히 향상되기를 바라며 노력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활기찬 원내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 같다. 특히이 00님은 6월에 입소하여 개별화 교육을 통하여 보행 훈련에 큰 향상을 보이셨다. 정신지체인의 경우, 오렌지반의 대부분이 향상률을 보였으며 특별히 사회적응기술영역에서 가장 큰 향상을 보여 잦은 외부 활동을 통한 사회적응훈련이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개별화 교육을 통해 자립영역과 가사보조영역이 향상된 생활인들도 있어 한 해 동안 제공된 재활서비스의 효과가 있었던것으로 판단되어 진다.2006년의 경우 교사들의 자체 평가는 개인별적응행동성취도와 지체장애인체크리스트에 의하면 자립영역의 식사, 의생활, 화장실 사용, 개인 위생부분과 사회적응기술에 있어 보행, 음식점 이용, 쇼핑, 예의, 여가활용 부분에 있어서 많은향상을 보였다.(자료 부록 2. 사업평가 참조)- 122 -


2004년의 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보건복지부 평가를 받았었는데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질 부분에서 미흡(D이하)으로 판명 되었으나 재활 프로그램 실시 이후 2007년에 있었던 보건복지부 평가에서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질에서 양호(B)로 평가 받았다.3년간의 재활프로그램의 시행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는, 교사들의평가와 같이 생활인들의 생활 자립을 위한 변화가 있었다는 것인데 구체적으로사회적응 기술의 향상, 생활의 자립도가 나아진 점, 건강이 향상된 것과 심리적인 안정의 향상 등이다.둘째는, 교사들의 재활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지식과 방법이 많이 숙련되었고 생활인의 변화로 재활서비스에 대한 필요성과 공감대를 얻었다는 사실이다. 셋째는, 재활서비스가 시설에 정착하게 된 것이다. 넷째는, 교사들이 장애인의 재활서비스를 위한 교육이 정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다섯째는, 재활서비스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획득하였다는 것이다.부족한 점은 아직도 교사들이 재활프로그램의 시행에 있어서 자발성과적극성이 부족하고, 숙련도도 매우 초보적이라는 사실이다. 지속적인 교육과 전문성의 숙련이 필요하다. 내부에 훈련된 선진교사들이 부족한 점이다. 그동안은24시간 누워 계신 와상환자들이 많아 생활시설이라기 보다는 병원에 가까워 재활 프로그램의 실시가 어려웠던 한계가 있었다.위의 결과들은 앞으로 재활 프로그램을 시설이 지속적으로 보다 세밀하고 전문적으로 접근하게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B. 논문의 특징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첫째, 이 논문은 양주시 백석읍 연곡리에 위치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인요셉의 집에서 재활 프로그램을 통한 활성화라는 주제로 이루어진 일들을 바탕으로 하여 작성되었다. 따라서 중증장애인 시설 전체에 적용되는 보편성을 가지지 못하며 그에 따르는 한계가 있다.- 123 -


둘째, 요셉의 집은 10년이 넘는 미인가 시설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미인가시설의 경험이란 시설의 체계가 국가에서 요구하는 공식적이지 못하고 체계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직원들이 제대로 자격을 갖추고 있지 못했다는 것을 지칭하며 이러한 관습들이 일상화 되어 있는 체제를 말한다. 이것은 재활 프로그램의 설치가 기존의 체제에게는 매우 생소한 것이었고 이로 인해 시설은 많은 갈등을 겪었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2004년 원장이 바뀌면서 재활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이 논문에는 그러한 시설의 역사와 배경을 포함하고 있다.셋째, 여기에서 제시된 이론들은 사전에 적용된 것도 있으나 계획을 실천해 가면서 보강한 부분들과 나중에 정리한 부분들도 많이 있음으로 해서 논문의제시대로 순차적인 과정을 가지지는 못하였다.넷째, 요셉의 집의 재활프로그램의 설치를 통한 활성화는 완성된 것이 아니라 피드백되는 계속적인 과정이다. 여기에서는 그 중 일부분을 정리하였다.- 124 -


Ⅵ. 배운점요셉의 집에서 4년을 보내면서 장애인 시설에서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재활 프로그램을 설치하면서 장애인 기독교시설이 어떤 모습을 가져야 할것인가 고민도 많았고 사람들에게 장애인 시설 운영을 잘못하여 선교는 커녕 교회와교단에 누가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도 많았었다. 이 과정들을 겪어내며 배운 것은 다음과 같다.첫째는, 교회가 운영하는 사회복지 시설들은 선교기관으로서 우선은 양질의 서비스의 제공이 시설의 선교목적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는 것이다.말로 전하는 일은 교회를 통하여 전도하고 사회복지 기관에서는 그 복음의 실체를 실제로 양질의 서비스를 통하여 보여주는 것이 믿지 않는 이들을 설득하는일에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시설을 운영하면서 배웠다.둘째는, 하나님의 기관은 하나님이 운영하신다는 사실이다. 첫해는 하나님이 왜 나를 그곳에 불렀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그것은 필자의 강한 성격이 혼란에 빠져있는 시설을 재건하는 데에 적합하기 때문으로 보였다. 모든 일은하나님의 의지대로 이루어지고 필자는 그곳에서 적절한 역할을 통하여 그 일에쓰이는 한 도구일 뿐이라는 것을 확실히 보고 배웠다. 앞으로의 목회에 있어서도절대 필자가 모든 일을 한다는 오만을 부리지 않으려 한다.셋째, 성경의 가르침대로 하나님은 약자와 곤경에 처해 있는 자, 어려움에 있는 이웃들을 돕는 일을 매우 즐겨하시고 이 일에 적극적인 후원자이시며돕는 분이시라는 것이다. 요셉의 집은 사실 많은 어려움 속에 있었다. 돕는 든든한 후원자도 지역의 자원봉사도 별로 없었음에도 부족함 없이 적절한 도움의 손길을 통해 운영되어 왔다.넷째는, 사람 하나 하나가 얼마나 소중한지를 배웠다. 사람들에게 관심과열심 있는 직원 하나가 조직 내에서 얼마나 많은 영양을 발휘하는지 보았고 반대의 편에 서있는 직원들의 영향도 얼마나 파괴적으로 미칠 수 있는지를 보고배웠다. 논문을 정리하며 4년간의 과정이 사람들의 소중함을 알아가는 과정으로보인다.다섯째, 성서적인 원리가 삶을 살아가는 지혜로 우리 삶의 한복판에 있다- 125 -


는 사실을 배웠다. 앞에서 정리하고 있는 이론적인 근거는 이론이 아닌 우리들의삶의 지혜를 정리하는 과정이다.- 126 -


- 127 -


참고문헌1. 국내서적건강증진사업지원단 공편,『노인 및 장애인의 재활서비스 표준화를 위한 ICF활용방안』, 경기 : 분당서울대병원, 2006김용득, 유동철 공저, 『한국장애인복지의 이해』, 서울 : 인간과 복지, 1999김영한,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년.김익규 외 3인 공저, 『장애인복지론』, 서울 : 교문사, 2004김익균 외 7인 공저,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 교문사, 2006년 3월.김미옥, 『장애인복지실천론』, 서울 : 나남출판, 2003년 9월김만두, 한혜경 공저, 『현대사회복지개론』, 서울 : 홍익제 ,1995년김종인, 우주형, 이준우, 『재활복지개론』, 서울 : 인간과 복지, 2004년김종태 저,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 문광사, 2007년남세진, 『인간과 복지』,서울 : 한울 아카데미, 1992년남일재 외9인 공저, 『사회복지학 개론』, 경기도 : 공동체, 2006년도종해, 『현대조직관리』, 서울 : 박영사, 1978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년박수암, 『마가복음』, 창립100주면 기념 성서주석,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3년박철우, 『아모스, 오바댜』, 창립100주면 기념 성서주석,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1백낙준, 『한국개신교사』, 서울 : 연세대학교출판부, 1991백은경 외 4인 공저, 『 사회복지실천론 』, 서울 : 문광사, 2006년보건복지부, 『농촌 재가 장애인의 가정방문 재활서비스 욕구도 분석』, 과천 : 보건복지부,2000년변용찬 외 11명, 『장애인 자림을 위한 복지정책의 현황과 중장기발전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분석 2002 - 20송기태, 『장애인』, 서울 : 도서출판 두란노, 1991년양옥경 외4인, 『사회복지실천론』,경기: 나남출판사, 2005년엄명용 외 3인 공저,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서울 : 학지사, 2005년- 1 -


오혜경, 『장애인 복지학 입문』, 서울 : 아시아미디어리서치, 1998년오픈성경, 서울 : 아가페출판사, 1990년유의웅편저, 『현대교회와 사회봉사』서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91년이계윤, 『기독교를 중심으로 - 재활복지실천 프로그램의 실제』, 서울 : 한국밀알선교단출판부, 2002년_______, 『장애자 선교의 이론과 실제』, 경기 : 예영, 1996년이삼열편,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서울 : 숭실대기독교사회문제연구소, 1992년이신건, 『칼 바르트의 교회론』, 서울 : 성광문화사, 1989년이애제 저,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경기 : 양서원, 2006년이윤로 저, 『 최신 사회복지실천론 』, 서울 : 학지사, 2006년 4월.이종성, 『 교회론 』Ⅰ,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 1989______, 『교회론 』Ⅱ,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 1989이현주 외 5인,『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접근방안 』,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4년_________4인, 『재가산재장애인의 재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2년장일선, 『신명기』,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5권, 서울 : 기독교서회, 1993년.전남련 외 3인 공저,『사회복지실천기술론』, 경기 : 학헌사, 2007년 3월전재옥 외 3인 편역, 『에큐메닉스』, 서울 : 성광문화사, 1988년.전재일 외 공저, 『사회복지개론』, 서울 : 형설출판사, 2006년정덕환, 『절망이 나를 흔들어도』, 서울 : 도서출판 아가페, 1986정무성, 『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론 』, 경기 : 학헌사, 2006년 12월정순민, 『장애인의 재활 ․ 복지』, 서울 : 중앙경제, 2003년 개정 4판정하권 저, 『교회론』제1편 교회에 관한 실증신학, 서울 : 분도출판사, 1984년정양모 역주, 『루가복음서』, 경북 : 분도출판사, 1983년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사회복지개론』, 서울 : 도서출판 신정, 2006년한국장애인복지연구회, 『한국의 장애인』, 한국장애인복지연구회, 1993년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 기독교의 역사』Ⅰ, 서울 : 기독교문사, 1989년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 기독교의 역사』Ⅱ, 서울 : 기독교문사, 1990년- 2 -


2. 외국서적Deutche Bibelstiftung Stuttgart, Novem Testamentum Graece, 1981.D. M. Ballie, D. D, God was in christ, london : Faber and Faber Limitid, mcmxlix .3. 번역서적C. Westerman, 『이사야 Ⅲ』국제성서주석 3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2년Dietrich Bonhoffer, Widerstand und Ergebung, 고범서 역, 『옥중서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5)E. Schqeizer, 『마태오 복음』국제성서주석 29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레스리 호프, 나요섭 역, 『성서에 나타난 가난』, 서울 : 나눔사, 1992리처드 W. 브라이머 저, 김삼섭 옮김, 『중증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 실제와 전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년.Martin Hengel 저, Property and Riches in the early church, 이정희 역,『초대교회의 사회경제사상』,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2)Martin Noth, 『레위기』, 국제성서주석 3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Martin Noth, 『출애굽기』, 국제성서주석 2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유스토 L. 곤잘레스 저, 서영일 역, 『근대교회사』, 서울 : 은성 , 1989년Otto Kaiser, 『이사야 1』, 국제성서주석 20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J. A 톰슨, 『예례미야』상, 반즈 신구약성경주석, 서울 : 크리스찬 서적, 1992년J. Bright. 『이사야 1』, 국제성서주석 21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 ,201쪽.J. Gnilka, 『마르코복음 Ⅰ』, 국제성서주석 30-1권,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3년John R. W. Stott, 김명혁 역, 『현대기독교 선교』, 서울 : 성광문화사, 1981년.Jurgen moltmann 저,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박봉량 외 4인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0),________________,, 김균진역,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1982년.Karl. Barth 저, 전경연 편, 『휴매니즘과 문화』,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79년- 3 -


성서백과대사전편집위원회 역편,『성서대백과사전』, 제4권, 서울 : 성서교재간행사, 1982년기독교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역편,『기독교대백과사전 』제2권, 서울 : 기독교문사, 1990년T. F. 토렌스 저, 최영 옮김, 『칼 바르트』, 서울 : 도서출판 한들. 1997년.4. 논문김옥순, “ 교회와 섬김 : 교회의 본질로서의 섬김,”『기독교 사상』제489호, 1999.9월노영상, “섬김의 리더쉽으로서의 제자도”, 『새가정사』, 서울 : 새가정사, 2006.12월. 5호문형남, 문승권, “섬김리더쉽의 모델, 사례 및 적용 방안”, 『숙명리더쉽연구』,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 리더쉽 개발원, 창간호, 2005년 6월박경혜, “중증장애인 사회적응훈련”, 『재활의 샘』통권 제15호, 2002년박성민, “섬기는 리더쉽(Servant Leadership) -섬기는 리더쉽만이 진정한 리더쉽이다”, 『숙명 리더쉽 연구』,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리더쉽개발원, 제3집, 2006년 6월박정세, “장애인선교 서설 - 장애인에 대한 성서 및 신학적 이해를 중심으로”,『현대와 신학』, 서울 : 연세대출판부, 제22집, 1997년 6월이금만, “디아코니아(δίακονία)영성교육방법 연구,” 『기독교논총』제8권 기독학교2002년이상훈, “섬김의 신학수립을 제창하여”Ⅱ, 『월간목회』, 서울 : 월간목회사, 1989년 2월 150호황필규, “한국교회와 사회봉사, ‘인식에서 행동으로,” 『기독교사상』통권 제489호(1999. 9)5. 학위논문박유신, 『항존직 리더쉽 강화를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 뉴 라이프 교회를 중심으로』, 목회신학박사 학위논문,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07년오경독, 『장애우와 사회적 관계망』,석사논문, 명지대학교, 2001- 4 -


이천수, 『장애인에 대한 신학생의 윤리의식 조사연구 : 엘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통해』, 석사학위 논문, 서울 : 연세대연합신학원, 2006년 2월전민호, 『성서에 나타난 가난과 교회』, 서울 : 성공회대 신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년- 5 -


AbstractA study on consolidating a rehabilitation programfor heavily disabled- focused on House of JosephHye Ran KimMajor of Ministry & CounselingThe Graduate School of MinistryPresbyterian College & theological SeminaryIt was February 2004 when I started my career as the director of theHouse of Joseph. At that time, the House of Joseph was about to start anew era as a government licensed facility after 10 years of unauthorizedstatus having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the dormitary, office building,and main hall. The caring of the disabled, however, remained the same as itwas before it received the government authorization because it was stillbeing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as usual. I tried to solvethis problem and to realize the neighbor-serving-spirit of the Lord byestablishing a rehabilitation program in which the facilities were operated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themselves not of the teachers andstaffs.The initia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 aims at helping the disabledsustain their own lives, which our Lord has taught us through the Bible.Church is a community of serving. The Biblical meaning of the churchcommunity is that it is a community of living and practicing the teachingsand life of Jesus Christ now and here, as an eschatological communitygathered for the God's salvation activity. The fact that church is acommunity of serving has been supported by many theologians such as KarlBarth, Jürgen Moltmann, and Dietrich Bonhöffer who argued that- 6 -


participating in the God's salvation activity is one of the main tasks of thechurch, and the church history proves it.The term 'disabled' is defined as a person who has difficulty in ordinarylife because of the disabled conditions, but this definition is gradually beingwidened. The disabled population in our country is totaled to 2,010,595 asof March 2007, but the Korean church's attention to them is minimal. Manydisabled gathered around Jesus, but not around church present days. Thepolicies for the disabled are almost non-existant in church while governmenthas achieved a lot of progress in them. Recently, the rehabilitation of theheavily disabled, who have second and above degree disableness, becomesa hot issue.The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means to make them readjust so as forthem to maintain normal lives. The evaluation is very important in planningrehabilitation services. There are medical, educational, social, psychological,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area of rehabilitation service. Themethods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s are case study conference, trainingfor ordinary life, and social adjustment training. The change of the staffstructure was based on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eory.For the solving of the problems, first, I gathered ideas through discussionsabout how to get right direction with staffs, second, distributed the criteriafor the evaluation of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n made them submitthe reviews for some reading materials and visit outstanding institutions, andfinally, let them know the contents of the rehabilitation and shared thevision. I also established team leader conference so that they could carryout necessary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change, and executedrehabilit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yearly plan. I rearranged theorganizational structure, enacted caring guidance and ethical codes for thestaffs so that no one fell behind. The result was positive. The inmatesshowed meaningful progress and facility evaluation also showed progressfrom fair to good. What I learned is that God operates the facility, that thebest supporter is God.-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