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2.2013 Views

천현순 - 한국브레히트학회

천현순 - 한국브레히트학회

천현순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21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신과 더 이상 구분되지 않는 ‘새로운 인간 종’을 만들어 내려는 욕망을 실현하고자<br />

한다. 2) 이를 통해 제기되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이들 피조물들은 과연 인간에게<br />

있어서 어떤 존재인가라는 존재론적인 물음이다. 즉 인간에 의해 창조된 인간의 피조<br />

물은 인간인가, 혹은 인간이 아닌가? 역으로 이러한 피조물의 창조는 인간이란 무엇<br />

이고,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경계는 과연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br />

본고는 여기서 인간창조의 가장 오래된 형태에 속하는 골렘을 구체적인 실례로 들<br />

어 인간과 골렘 사이에서 제기되는 근본적인 문제를 성찰해 보고자 한다. 골렘창조에<br />

대한 논의는 중세 유대교 신비주의 전통에서 본격화되었으며, 이후 근대에는 민간전<br />

설로 유포되었다. 20세기 초 골렘은 문학이나 영화 등 대중매체에서 인기 있는 소재<br />

로 차용되어 널리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br />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독일의 영화감독 파울 베게너 Paul Wegener의 무성영<br />

화 (1920) 3)<br />

는 지금까지 크게 세 가지 시각으로 분석되어 왔다. 하나는 정치적인 시각인데, 지그<br />

프리트 크라카우어 Siegfried Kracauer는 그의 칼리가리에서 히틀러까지 Von<br />

Caligari zu Hitler(1947)에서 베게너의 영화를 정치적인 관점에서 황제와 랍비 뢰브,<br />

즉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의 갈등구조로 파악하고 있다. 4) 또 다른 시각은 표현주의<br />

적 예술로서의 시각인데, 로테 아이스너 Lotte H. Eisner는 그녀의 마적 스크린 Die<br />

dämonische Leinwand(1955/1975)에서 빛의 효과 및 독특한 건축양식을 통해 베게너<br />

의 영화를 표현주의 영화의 전통선상에서 보고 있다. 5) 베게너의 영화에 대한 세 번<br />

째 시각은 호러영화로서의 관점인데, 게오르크 제슬렌 Georg Seeßlen과 페르난트 융<br />

Fernand Jung은 그들의 저서 호러: 호러영화의 역사와 신화 Horror: Geschichte und<br />

Mythologie des Horrorfilms(2006)에서 베게너의 을 마법을 통해 생명을 얻은<br />

진흙덩어리가 인간에게 위협을 가하는 호러영화의 한 장르로서 파악하고 있다. 6)<br />

2) 현대 첨단 과학기술로 제작된 인공적 피조물과 생물학적 인간 사이의 유사성으로 인해 야기되는<br />

‘섬뜩한 감정’에 대해서는 다음 논문을 참조하기 바란다. 유현주: 두려운 낯설음 – 프로이트, 호프<br />

만, 키틀러 그리고 언캐니 밸리. 실린 곳: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3집(2010년 8월). 203-221쪽.<br />

3) 이하 (1920)으로 표기함.<br />

4) Kracauer, Siegfried: Von Caligari zu Hitler. Eine psychologische Geschichte des deutschen Films.<br />

Frankfurt/M.: Suhrkamp 1999. S. 121f.<br />

5) Eisner, Lotte H.: Die dämonische Leinwand. Frankfurt/M.: Kommunales Kino 1975. S. 50f.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