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Untitled - KRRI 전자도서관

library.krri.re.kr
from library.krri.re.kr More from this publisher
27.07.2013 Views

보안과제( ), 일반과제( ○ ) 과제번호 2010-0018158<br />

2010년도 기술료 사업<br />

나노기술 융합형 고효율 철도 집전시스템<br />

원천기초 기술 연구<br />

(A basic original study on nano-technology based on the high efficiency current collection<br />

system for railway)<br />

한국철도기술연구원<br />

교 육 과 학 기 술 부


교육과학기술부장관 귀하<br />

제 출 문<br />

이 보고서를 "나노기술 융합형 고효율 철도 집전시스템 원천기초 기술 연구"과<br />

제의 보고서로 제출합니다.<br />

2011. 5 .<br />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철도기술연구원<br />

주관연구책임자 : 박 영<br />

연 구 원 : 김형철<br />

" : 조용현<br />

" : 권삼영<br />

" : 이기원<br />

" : 정호성<br />

" : 서승일<br />

" : 오석용<br />

위탁연구기관명 : 한밭대학교<br />

위탁연구책임자 : 최원석<br />

연 구 원 : 고기한<br />

" : 서재근<br />

" : 김재광<br />

" : 이상준<br />

- i -


과제고유번호 2010-001<br />

8158<br />

연 구 사 업 명<br />

연 구 과 제 명<br />

연 구 책 임 자 박 영<br />

연구기관명<br />

및<br />

소 속 부 서 명<br />

해 당 단 계<br />

연 구 기 간<br />

보고서 요약서<br />

중 사 업 명 원천기술개발사업<br />

2010.5.20<br />

~2011.5.1<br />

세부사업명 국책연구개발사업(기타재원)<br />

대 과 제 명<br />

세부과제명<br />

9<br />

- ii -<br />

단 계<br />

구 분<br />

(1차년도)/<br />

(총 1 차 년 )<br />

나노기술 융합형 고효율 철도 집전시스템 원천기초 기술 연<br />

구<br />

해당단계<br />

참 여<br />

연구원수<br />

총연구기간<br />

참 여<br />

연구원수<br />

한국철도기술연구원<br />

고속철도 인터페이스<br />

연구실<br />

총 : 9명<br />

내부 : 8명<br />

외부 : 1명<br />

총 : 9명<br />

내부 : 8명<br />

외부 : 1명<br />

참여기업명<br />

해당단계<br />

연 구 비<br />

총연구비<br />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br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한밭대학교 연구책임자 : 최원석<br />

요약 보고서면수<br />

정부 : 150,000천원<br />

기업 : 천원<br />

계 : 150,000천원<br />

정부 : 150,000천원<br />

기업 : 천원<br />

계 : 150,000천원<br />

본 연구에의 최종 목표는 나노 Composite 및 나노기술을 전기철도 팬터그래<br />

프 집전판에 융합하는 기술개발을 통해서 철도시스템의 에너지전달을 위한 핵심<br />

설비인 집전시스템․전철설비의 성능․내구성․효율 향상을 위한 기초원천 연구하는<br />

것이다. 이를 위해 나노 Composite 및 나노기술을 적용한 철도 집전시스템인<br />

집전판 적용가능성 연구를 통해 관련 장비와 부품의 성능․내구성 향상 및 세계<br />

시장 선점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br />

색 인 어<br />

한 글 융합기술, 집전․전철, 집전판, 나노조성,<br />

영 어<br />

Convergence technology, Current collection․catenary, Contact<br />

strip, Nano-composite


Ⅰ. 제 목<br />

요 약 문<br />

나노기술 융합형 고효율 철도 집전시스템 원천기초 기술 연구<br />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br />

본 연구에의 최종 목표는 나노 Composite 및 나노기술을 전기철도 팬터<br />

그래프 집전판에 융합하는 기술개발을 통해서 철도시스템의 에너지전달을 위<br />

한 핵심설비인 집전시스템․전철설비의 성능․내구성․효율 향상을 위한 기초원천<br />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나노 Composite 및 나노기술을 적용한 철도 집<br />

전시스템인 집전판 적용가능성 연구를 통해 관련 장비와 부품의 성능․내구성<br />

향상 및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br />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br />

본 연구의 내용은 나노기술 기반의 고효율 철도 집전시스템 구현을 위해 필<br />

수적인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나노 기술 적용을 위한 기초기술 연구 및 성능검<br />

증․제조방안 도출이며 세부 범위는 다음과 같다.<br />

◦팬터그래프 집전판 나노기술 적용을 위한 요소기술 분석<br />

◦나노기술 적용한 집전판의 성능 검증 방안 연구<br />

◦탄소-금속 나노 복합체 효율적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br />

Ⅳ. 연구개발결과<br />

팬터그래프 집전판 나노기술 적용을 위해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기술의 국내<br />

외 연구동향 및 특허 조사를 수행하였다. 특히 일본등 기술 선진국의 특허기술<br />

과 복합체를 이용한 C/C composite에 동합금을 함침한 재료를 집전판에 적용<br />

하는 기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팬터그래프 집전판 금속계, 탄소계 및<br />

탄소․금속 합금계 분석하여 각 집전판의 제조기술과 각 단계별 결정질의 구조<br />

등 세부적인 기술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금속계 나노 입자와 탄소계 합<br />

성을 위한 복합재료 기술 조사에서는 복합체를 이용할 경우 기존 집전판 대비<br />

성능향상에 대하여 구체적인 기술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였다.<br />

나노기술 적용한 집전판의 성능 검증 방안 연구에서는 EN 및 국제 규격에 의<br />

- iii -


한 집전판 성능 검증 기술을 분석하였으며 프랑스, 일본등 기술 선진국 집전판<br />

성능 검증 방법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나노기술 적용된 팬터그래프 집전판<br />

성능검증 방안 세부사항 도출하였다.<br />

탄소-금속 나노 복합체 효율적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는 Sputtering법을 이<br />

용한 탄소-금속간 상관관계 기초 연구를 수행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나노<br />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른 탄소레이어 특성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텅스텐<br />

함량에 따른 W-doped Carbon 박막의 특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텅스텐 함량이<br />

증가함에 따라 표면 마찰계수는 증가하나 박막의 adhesion과 hardness가 증가<br />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Doping metal의 종류와 함량에 따른 전기적인<br />

특성 분석과 Cu-doped Carbon, pure Carbon 박막과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br />

한 NT-doped Carbon 층의 합성과 특성을 비교 하여 실용화를 위한 금속입자<br />

의 특성별 로드맵 제시 및 구현 가능성 연구를 수행하였다.<br />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br />

◦ 본 연구는 NT (Nano Technology)를 철도에 접목하기 위한 발아 탐색형 연<br />

구로 지속적으로 활용 범위가 넓혀지는 NT를 철도에 다양하게 접목하기 위<br />

한 기초기술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재 전량 수입되고 있는 집<br />

전판의 국산화 이외에 금속계와 탄소계의 장점을 복합한 전차선 마모, 아크가<br />

감소, 내구성/경도 및 통전효율 증가 외에 에너지 효율 증가로 400km/h이상<br />

급 고속화 집전기술의 핵심기술로 기대된다.<br />

- iv -


Ⅰ. Title<br />

SUMMARY<br />

A basic original study on nano-technology based on the high efficiency<br />

current collection system for railway<br />

Ⅱ. Purpose<br />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he improvement of railway element<br />

(collector plate of pantograph, railway insulator) in<br />

performance·durability·efficiency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no-coating<br />

and nano-technology to electrical railway and train system. The detail<br />

research purposes is 1st. foundational research about high efficiency<br />

pantograph collector by using nano-technology, 2nd. foundational<br />

research about nano-coated railway insulator.<br />

◦ Trough this research, develope of original technology about electrical<br />

railway collector system and dominate next-generation global electrical<br />

railway collector system market in advance. The purpose of this<br />

research is fundamental research that is core facility of railway system<br />

for effective energy delivery by developing energy collector system and<br />

railway equipment performance and durability and efficiency. That's<br />

used by technique of nanocomposite and nanotechnology convergence<br />

with the electric railway pantography contact strips. Trough this<br />

research, it is possible to develop original technology about electrical<br />

railway collector system and dominate next-generation global electrical<br />

railway collector system market in advance.<br />

- v -


Ⅲ. Contents<br />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is deriving pantograph contact strips basic<br />

technologies for nano-technology and performance evaluation·manufacturing<br />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a nanotechnology-based efficiency railway<br />

collector system.<br />

◦ Foundational technology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of pantograph<br />

contact strips with nanotechnology.<br />

◦ Research of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method of contact stirps with<br />

nanotechnogoly.<br />

◦ Basic research for the efficient manufacturing of carbon-metal<br />

Ⅳ. Result<br />

nano-composites.<br />

Internal and external research trend and patent survey were investigated<br />

about pantography contact stirps manufacturing technology apply for<br />

pantography contact stirps nanotechnology. Especially, that was investigated<br />

patented technology of technologically advanced countries(japan, etc.) and<br />

technique that is applied to C/C composite using copper alloy on pantography<br />

contact strips manufacturing. And pantography contact strips that was made<br />

by metallic and carbon based and carbon-metal complex material was<br />

analyzed. After then, manufacturing technique and detailed technical analysis<br />

was progressed. In previous research, concrete technology research and<br />

analysis was performed when using composites improved performance over<br />

existing contact strips. Performance verification of contact strips applied<br />

nanotechnology are analyzed by EN and international standards. Performance<br />

verification method was analyzed at technologically advanced countries.<br />

(France, Japan, etc.) Finally, its details were developed of contact strips<br />

applied to nanotechnology.<br />

- vi -


CONTENTS<br />

Chapter 1 Introduction ····································································································· 1<br />

Chapter 2 Research trends at home and abroad ···················································8<br />

Chapter 3 Results ···············································································································14<br />

Chapter 4 Achievement ·································································································103<br />

Chapter 5 Expected contribution ···············································································106<br />

Chapter 6 Scientific & Technological Information ··········································· 109<br />

Chapter 7 Facilities and Equipments list ······························································112<br />

Chapter 8 Reference ·······································································································114<br />

- viii -


목 차<br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br />

제 1절 연구개발의 목적 ··········································································································1<br />

제 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4<br />

1. 경제적․산업적 측면 ···········································································································4<br />

2. 국내연구개발의 필요성 ·······································································································5<br />

제 3절 연구개발의 범위 ··········································································································7<br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8<br />

제 1절 국내·외 관련분야에 대한 기술개발현황 ·································································8<br />

제 2절 연구 개발결과의 활용 및 기술 수준 ································································11<br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14<br />

제 1절 서론 ······························································································································14<br />

제 2절 팬터그래프 집전판 나노기술 적용을 위한 요소기술 분석 ······························16<br />

1.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및 특허 조사 ···························16<br />

2. 팬터그래프 집전판 금속계, 탄소계 및 탄소․금속 합금계 분석 ··························29<br />

3. 금속계 나노 입자와 탄소계 합성을 위한 복합재료 기술 조사 ·····························49<br />

제 3절 나노기술 적용한 집전판의 성능 검증 방안 연구 ··············································53<br />

1. EN 및 국제 규격에 의한 집전판 성능 검증 세부내용 분석 ·······························53<br />

2. 프랑스, 일본 등 기술 선진국 집전판 성능 검증 방법 조사 ··································62<br />

3. 나노기술 적용된 팬터그래프 집전판 성능검증 방안 세부사항 도출 ···················70<br />

제 4절 탄소-금속 나노 복합체 효율적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 ··································73<br />

1. Sputtering법을 이용한 탄소-금속 상관관계 기초 연구 ··········································73<br />

2.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른 탄소레이어 특성 기초 연구 ·····························76<br />

3. 실용화를 위한 금속입자의 특성별 로드맵 제시 및 구현 가능성 연구 ··············· 91<br />

제 5절 결론 ······························································································································96<br />

1. 카본-금속간 결합을 이용한 탄소구조체 성능향상 원천기술 연구 ·······················98<br />

2. 카본-금속간 결합 나노 코팅 원천기술 및 특성향상 개발 ···································100<br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03<br />

- ix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06<br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09<br />

제7장 연구시설ㆍ장비 현황 ···············································································112<br />

제8장 참고문헌 ·············································································································114<br />

- x -


표 차 례<br />

표 1.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내용 및 활용내용 ·······································10<br />

표 2. 도시철도 팬터그래프 규격 ·························································································23<br />

표 3. 주요관련 특허기술 문헌정보 및 기술요약 ·····························································27<br />

표 4. 주요 현용 소결합금 집전판・주조합금 집전판의 조성(組成) ····························34<br />

표 5. 대표적인 카본계 재료의 특성과 조성(組成) ··························································37<br />

표 6. 카본계 집전판의 개발 목표치 ···················································································37<br />

표 7. 집전판으로의 적용이 검토된 새로운 재료의 특성 ···············································49<br />

표 8. 집전판의 등급(모델)에 따른 평균 특성 ··································································49<br />

표 9. 강철재질의 고정판과 C/C composite 집전판의 팬터그래프 상단의 무개 비교<br />

····················································································································································50<br />

표 10. 집전판의 마모 정도 비교 (10,000 km 평균 마모 깊이) ···································52<br />

표 11 국제 규격에의한 팬터그래프 집전판 시험 내용 (EN50405) ···························55<br />

표 12. 집전판 재료의 특성 (‘JIS E6301 팬터그래프 집전판’에 의함) ························56<br />

표 13. 집전판 재료의 특성(JRS에 의함) ···········································································56<br />

표 14. 통전 마모 시험기에 의한 전차선 집전판 측정항목 ···········································68<br />

표 15. 팬터그래프 집전판 성능 검증 사항 ·······································································70<br />

표 16. 성능검증 내용과 세부 개발 목표사항 ···································································71<br />

표 17. 나노금속이 포한된 탄소레이어 증착공정변수 ·····················································76<br />

표 18. 연구개발 목표, 내용 및 연구범위의 달성도 ······················································103<br />

- xi -


그 림 차 례<br />

그림 1. 나노기술 융합형 철도 원천기초 기술개발 연구사업의 개요 ···························2<br />

그림 2. 나노-철도간 융합연구의 필요성 ···········································································4<br />

그림 3. 나노-철도간 융합 원천기술 개발 필요성 ·····························································6<br />

그림 4. 연구의 목표 및 세부 계획 ·····················································································7<br />

그림 5.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현재 기술 현황 ···································································8<br />

그림 6. 국내외 연구기관별 철도 집전시스템 연구 개발 현황 ·······································9<br />

그림 7. 나노와 철도기술간 융합기술 연구 개발 및 활용 방법 ···································12<br />

그림 8. 철도 분야의 NT기술 적용 개념 ···········································································13<br />

그림 9. 전기철도 전차선로와 팬터그래프 기술 내용 ·····················································16<br />

그림 10. 팬터그래프-집전판 이선아크 발생사진 및 전차선 손상 사진 ·····················17<br />

그림 11. 팬터그래프의 기본 구조 ·······················································································19<br />

그림 12. KTX 팬터그래프 사진 및 고속용 팬터그래프의 세부 구조(싱글 암형) · 19<br />

그림 13. 1.5kV용 팬터그래프 보우 ·····················································································20<br />

그림 14 25kV용 팬터그래프 보우 ·······················································································20<br />

그림 15. 열차 편성에 따른 25kV용 팬터그래프 사용 ··················································21<br />

그림 16. KTX 팬터그래프 집전 및 집전판 사진 ····························································23<br />

그림 17. CX 액티브 팬터그래프 ·························································································25<br />

그림 18. 소결합금 집전판의 제조 공정 ·············································································32<br />

그림 19. 소결합금 집전판, 카본계 집전판의 조직 ··························································33<br />

그림 20. 카본계 집전판(금속 함침형)의 제조공정 ··························································36<br />

그림 21. 집전판의 저항률과 전차선의 온도상승(집전판 하나당 100A 통전) ···········36<br />

그림 22. 팬터그래프 집전판 비교 표 ·················································································38<br />

그림 23. 도시철도와 고속철도의 집전판을 비교 ·····························································39<br />

그림 24. 도시철도와 고속철도의 집전판을 비교 ·····························································39<br />

그림 25. 순탄소계 집전판 제조공정에 따른 결정구조 분석 ·········································40<br />

그림 26. 용침탄소계 제조에 따른 결정 구조 변화 ·······················································40<br />

그림 27. KTX 운행 중 팬터그래프 집전판 현장 조사 사진 ········································44<br />

그림 28. KTX 팬터그래프 파단면 관찰 사진 ··································································45<br />

그림 29. KTX 팬터그래프 집전판 연마 표면 분석 SEM 이미지 (1) ························46<br />

그림 30. KTX 팬터그래프 집전판 연마 표면 분석 SEM 이미지 (2) ························47<br />

그림 31. KTX 팬터그래프 집전판 연마 표면 분석 IR 분석 결과 ······························48<br />

그림 32. C/C composite 집전판 단면과 나사산이 형성된 모습 ··································51<br />

- xii -


그림 66. Nanoindenter - Hardness ····················································································90<br />

그림 67. 나노기술 이용 철도시스템 에너지 효율 및 성능향상 향상 원천기술 개발<br />

로드맵 ······················································································································93<br />

그림 68. 나노 금속을 이용한 탄소 구조체 실용화 방향 ···············································94<br />

그림 69. 실용화를 위한 성능검증 내용과 세부 개발 목표사항 ···································95<br />

그림 70. 팬터그래프 나노기술 적용 연구 ·······································································102<br />

그림 71. 연구 주요 실적 및 내용 ·····················································································104<br />

그림 72. 철도시스템과 NT융합기술 확보 ·······································································107<br />

그림 73. NT 기술 철도 적용에 대한 연구개발결과 활용계획 ···································108<br />

- xiv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br />

제 1절 연구개발의 목적<br />

나노융합기술은 나노기술 발달과 함께 21세기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과학기술로서<br />

미세가공기술을 기반으로 나노 크기의 물질이 새로운 물리·화학적 기능을 갖도록 하<br />

는 기술이며, 의료산업, 정밀기계산업, 우주항공산업, 환경 및 에너지 등의 분야에서<br />

새로운 기술영역을 구축하고, 고도의 경제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필수적인 기술로 인식<br />

되고 있다, 특히 나노소재 기술은 기존 소재로는 얻을 수 없는 새로운 기능 및 특성<br />

을 나타낼 수 있어 다양한 분야 및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현대 과학의 최첨단 집적<br />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나노기술 중에서 나노 소재분야는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매우<br />

다양한 분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나노 소재의 응용은 분말(powder), 튜브<br />

(tube), 휘스커(whisker), 박막(thin film), 벌크(bulk) 등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그중<br />

에서 나노 금속 분야는 종류가 다양한 만큼 응용범위도 대단히 넓으며, 마이크로 크기<br />

의 입자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매우 특이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br />

금속 나노결정은 촉매로서 널리 이용되며, 최근에는 단일 전자 소자, 자기 조립단분<br />

자막(self-assembled monolayer) 및 박막 전구체로서 이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 중<br />

이다. 그러나 금속 나노결정을 산업용으로 적용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수준은 미비하고<br />

비실용적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나노 금속 입자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생체 물질<br />

의 분리, 진단 프로브(조영제), 자기 공명 영상법, 바이오 센서, 마이크로 유체계 센서,<br />

약물/유전자 전달 및 자성유 체온열 요법 등의 넓은 범위의 적용 분야에 유용하다. 다<br />

만,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수성 표면을 갖는 금속 나노 입자는 물에 대한<br />

감소된 용해도를 나타낼 수 있어 촉매 등에의 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br />

나노신소재 기술은 임계성능구현, 초고효율 에너지 산업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br />

필수 핵심소재이며 나노융합산업은 나노기술을 타산업에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br />

는 미래 유망 산업으로 속도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점진적으로 극복하고<br />

각 시스템의 기능 향상이 가능한 나노융합 기술을 적용한 전기철도 핵심 부품 성능향<br />

상 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1세기 철도 선진국으로의 성장동력과 새로운 비<br />

- 1 -


전을 포함한 철도와 신기술간의 융합기술 개발 필요하므로 철도시스템의 연구개발 모<br />

델도 그간의 ‘쫓아가기型(Catch-up model)’에서 ‘선도型(Trend-setter model)’로 바꾸기 위해 신<br />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연구개발 비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T(Nano Technology) 신기술<br />

의 철도 적용 선행 연구를 통해 전기철도에 적합하고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한 NT 기<br />

반 철도융복합원천기술의 가능성 타진하는 것이다. 특히 속도 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br />

의 한계를 극복하고 각 시스템의 기능 향상이 가능한 나노융합 기술을 적용한 전기철<br />

도 핵심 부품 성능향상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기철도에 NT를 적용하기 위해 철<br />

도 시스템 전반에 걸친 탐색 연구를 수행하고 개발 및 실현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선행<br />

하는 연구 수행의 목적이며 이러한 결과는 300km/h급의 집전시스템을 400km/h 이상<br />

으로 향상하는 기술의 조기 확보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br />

이와 같이 팬터그래프 집전판 나노 기술은 기존의 전기철도 집전기와 전철 시스템<br />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며, 기계적으로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나노코팅 및 DLC 소<br />

재에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탄소계 집전판은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상대적으로<br />

수준이 낮아 가격경쟁력으로 인해 활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효<br />

과적인 나노금속소자분야 활용을 위해서는 나노 금속 조성에 따른 팬터그래프 집전판<br />

에 탄소레이어를 합성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나노 금속에 따른 특성 평가, 나노<br />

파티클의 크기, 밀도, 후 열처리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여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평균<br />

수명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과 성능향상 등을 위한 나노기술 융합형 고효율 철<br />

도 집전시스템 원천기초 기술 연구가 본 과제의 목적이다.<br />

- 2 -


그림 1. 나노기술 융합형 철도 원천기초 기술개발 연구사업의 개요<br />

- 3 -


가치를 창출하는 미래 유망 산업.<br />

* 하이브리드차/항공기/풍력발전기(경량화 복합소재), 스마트 섬유의류(고기능 친<br />

환경 소재) 등.<br />

** 아키텍처 창출형 제품, 에너지절감 저장, 환경보전, 나노메디컬, 나노바이오 생<br />

활소재 등.<br />

ㅇ NT (Nano Technology) 신기술의 철도 적용 선행 연구를 통해 전기철도에 적합<br />

하고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한 NT 기반 철도융복한원천기술의 가능성 타진.<br />

ㅇ 속도 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각 시스템의 기능 향상이 가능<br />

한 나노융합 기술을 적용한 전기철도 핵심 부품 성능향상.<br />

ㅇ 전기철도에 NT를 적용하기 위해 철도 시스템 전반에 걸친 탐색 연구를 수행하고<br />

개발 및 실현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선행하는 연구 수행의 목적임.<br />

ㅇ 300km/h급의 집전시스템을 400km/h 이상으로 향상하는 기술의 조기 확보.<br />

그림 3. 나노-철도간 융합 원천기술 개발 필요성<br />

- 6 -


제 3절 연구개발의 범위<br />

본 연구에의 최종 목표는 나노 Composite 및 나노기술을 전기철도 팬터그래프 집전판<br />

에 융합하는 기술개발을 통해서 철도시스템의 에너지전달을 위한 핵심설비인 집전시스<br />

템․전철설비의 성능․내구성․효율 향상을 위한 기초원천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br />

나노 Composite 및 나노기술을 적용한 철도 집전기술과 전철용 애자 개발을 통해 관련<br />

장비(팬터그래프 집전판, 전철용 애자)의 성능․내구성 향상 및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연<br />

구를 수행하였다.<br />

세부연구 목표는 1. 팬터그래프 집전판 나노기술 적용을 위한 요소기술 분석, 2. 나노기<br />

술 적용한 집전판의 성능 검증 방안 연구, 3. 탄소-금속 나노 복합체 효율적 제조를 위한<br />

기초 연구로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는 현재의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표면 거칠기 및 기계<br />

적 강도 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전기철도 집전시스템 원천기술 및 次세대 세계<br />

전기철도 집전시스템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개발로 개발 성공 시에 세계 철도시장에서<br />

의 원천기술 등 다양한 기술 선점이 가능 할 것이다.<br />

그림 4. 연구의 목표 및 세부 계획<br />

- 7 -


나노신소재 기술은 임계성능구현, 초고효율 에너지 산업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 필<br />

수 핵심소재이며, 나노융합산업은 나노기술을 타산업에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br />

래 유망 산업으로 신소재․나노융합 분야 핵심기술 중 소재산업은 수출 15.3%, 고용 12.6%,<br />

생산 16.7%를 차지하고 나노융합산업은 ’14년 2조6천억불의 세계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br />

다. 철도시스템은 속도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점진적으로 극복하고 각 시스템<br />

의 기능 향상이 가능한 나노융합 기술을 적용한 전기철도 핵심 부품 성능향상을 위해 다<br />

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나노기술을 철도에 융합할 경우 현재까지의 철도시<br />

스템의 핵심 부품을 획기적으로 성능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br />

재까지의 연구개발 및 주요 성과는 나타나고 있지 않다.<br />

표 1에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별 연구개발 내용과 현황을 나타내었다. 표에서 보는 바와<br />

같이 국내의 경우 전차선로 설계기술, 유지보수기술, 애자 및 인증기술 등을 중점적으로<br />

개발 한 반면 일본의 경우 최적화를 통한 액티브 팬터그래프 등의 연계 기술을 개발하고<br />

있다. 프랑스의 경우 속도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지고 있으며 각 부품을 최<br />

적화 하는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이상과 같이 국내외 개발 현황은 현재까지는 나노기술<br />

등이 특별히 접목된 바 없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인 기초기술연구가 향후 실용화 및 시범적<br />

용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특히 실용화 될 경우 400km/h급 집전설비 등에<br />

시범 적용이 가능하다.<br />

그림 6. 국내외 연구기관별 철도 집전시스템 연구 개발 현황<br />

- 9 -


연구수행 기관 연구개발의 내용 연구개발성과의 활용현황<br />

한국철도기술<br />

연구원<br />

일본 RTRI<br />

프랑스 SNCF<br />

표 1.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내용 및 활용내용<br />

ㅇ집전설비 인증기술 개발<br />

ㅇ집전설비 및 부품 개발<br />

ㅇ전철용 애자<br />

- 10 -<br />

- 경부고속철도 집전설비 인증 및 법제정<br />

- 국내최초 인증시스템 기술 개발 완료<br />

- 전차선로 부품 개발 기술 개발<br />

- 300km/h급 팬터그래프 설계기술<br />

- 전차선로 설계 및 시뮬레이션 기술<br />

- 도시철도용 폴리머애자 개발 중<br />

- 고속철도용 폴리머애자 인증<br />

ㅇ전차선로 개발 - 350 km/h급 고속철도 설계, 집전기술<br />

ㅇ전철·전력 유지보수 기술<br />

ㅇ집전설비 해석기술<br />

◦팬터그래프 최적화 연구<br />

◦고속철도 집전성능 평가<br />

- 유지보수를 위한 자동화 장치 개발<br />

- 국내최초 국산화 등 다양한 기술 보유<br />

- 3차원 팬터그래프/전차선로 동역학시뮬레<br />

이션 프로그램 개발 중<br />

- 400 km/h급 집전시스템 개발을 위한 부품<br />

성능향상 기술 개발 중<br />

- 고속철도 집전성능 평가를 위한 텔레메트<br />

리 시스템 및 아크검출기의 개발<br />

◦전차선로 개발 - 360km/h급 전차선로 개발<br />

◦액티브 팬터그래프 연구 - 고속용 액티브 팬터그래프 연구 수행<br />

ㅇ집전시스템 상호 연계기술<br />

ㅇ집전설비 해석기술<br />

ㅇ집전설비 검측기술<br />

- 유럽철도의 Interoperability를 위한 집전성<br />

능 예측 및 평가를 위한 EUROPAC 사업<br />

을 프랑스가 중심이 되어 독일, 이탈리아<br />

등과 수행<br />

- 3차원 팬터그래프/전차선로 동역학시뮬레<br />

이션 프로그램 개발 완료<br />

- 전차선로 온라인 상태모니터링 시스템<br />

구축 및 팬터그래프 이상검지 기술개발<br />

ㅇ전차선로 개발 - 350km/h급 전차선로(East line) 개발 완료<br />

ㅇ집전설비 속도향상<br />

- 팬터그래프 압상력을 액티브 제어할 수<br />

있는 고속용 팬터그래프 개발 및 실용화


제 2절 연구 개발결과의 활용 및 기술 수준<br />

본 기술은 본 연구 이외에 국내 철도, NT등 기술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고 산학연 연<br />

계 및 정부 지원 하에 연구를 수행 되어야 하며 원천기술 개발의 경우 한국철도기술연구<br />

원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시작품 제작 및 시험 평가를 위해 나<br />

노기술에 다양한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와 개발된 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br />

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나노 및 신소재 기술을 적용한 철도시스템 기술적용<br />

및 부품 개발은 High-risk, High-return형 융합원천기술로 각 분야에 성공적인 모델을<br />

제시하여 각 분야에서 가능성을 타진하여 후속 실용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체적인<br />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 사업은 원천 기초 사업으로 향후 철도 시스템의<br />

나노기술 적용에 기초적인 역할을 분명이 할 것이므로 향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고<br />

하겠다.<br />

특히 속도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점진적으로 극복하고 각 시스템의 기능 향<br />

상이 가능한 나노융합 기술을 적용한 전기철도 핵심 부품 성능향상이 가능하며 현재까지<br />

의 철도시스템의 핵심 부품을 획기적으로 성능향상 시킬 수 있는 신기술 창출이 기대 되<br />

며 다음에 본 연구인 집전시스템 이외의 향후 연구될 경우 기대가 되는 내용을 기술 하<br />

였다.<br />

-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신소재 철도시스템 적용 시 약 40% 경량화 기대<br />

- 나노 내마모 기술 철도 적용 시에 수명향상 기대<br />

- 나노 자기세정 코팅 철도 적용 시에 유지보수 감소와 부품성능 향상 기대<br />

- 나노 소음저감 코팅을 이용한 철도 인터페이스 분야 소음 절감효과 기대<br />

- 11 -


그림 7. 나노와 철도기술간 융합기술 연구 개발 및 활용 방법<br />

연구개발의 기술 수준은 현재 전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철도의 운영이 점차적으<br />

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기기기 및 장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집전<br />

장치로 사용되는 팬터그래프 집전부의 역할은 상당한 중요성을 차지하고 있다. 전기 철도<br />

의 운영이 확대되면서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소모량이 증가되고 유지보수와 교체를 위한<br />

인력과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집전판의 특성 향상과 수명연장을 위한 나노 기술이 연구<br />

가 필요하다. 국내외 철도 집전시스템에 나노 기술을 적용한 내용은 보고되지 않고 있으<br />

나 집전부품의 성능향상과 수명연장을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추세이다.<br />

국내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탄소계 팬터그래프 집전판 개발을 위한 연구가 수행<br />

된 바 있으나 실용화 되지 않았으며, 나노 기술이 적용된 연구는 진행된 사례가 없다. 세<br />

계적으로 팬터그래프 집전판은 금속계와 탄소계로 나뉘어 있으며 국내의 경우 탄소계를<br />

수입하여 사용 중이며 일본, 프랑스 등은 자체 개발한 금속계와 탄소계를 사용 중이나 나<br />

노 기술을 적용한 연구는 보고된바 없다.<br />

- 12 -


그림 8. 철도 분야의 NT기술 적용 개념<br />

- 13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br />

제 1절 서론<br />

국내 전기철도의 고속화 및 속도향상으로 현재 고속선의 경우 속도 향상으로 350 km/h<br />

이상의 차량과 기존선로에서 180 km/h 속도향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중<br />

요성이 증대 하고 있으며 국가 계획에 따라 현재까지 기존선 및 신규철도노선의 70% 이<br />

상의 전철화를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전기철도에서 고속철도의 속도향상을 위하여 많은<br />

연구가 진행되어 지고 있고 현재까지 300 km/h의 속도를 넘어 350 km/h 이상의 증속 시<br />

험이 진행되고 있다. 전기철도에서 고속열차는 25 kV의 전원을 공급받아 운행되는데 열<br />

차의 집전장치인 팬터그래프와 전차선로 전차선과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팬<br />

터그래프의 성능향상이 필수적이다. 특히 열차속도가 400 km/h로 증가하게 되면 전차선<br />

진동과 파동전파반사가 격렬히 일어나고 공력에 의한 영향이 증대되어 집전성능 악화와<br />

사고 증가가 예상되므로 이를 극북하기 위한 핵심 설계 및 운영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또<br />

한 400 km/h급 팬터그래프 집전판은 300 km/h급에 비하여 경량화 및 더 큰 통전 용량을<br />

가져야 한다. 일본 및 유럽에서는 속도향상에 따라 전차선 및 집전판을 개발하기 위한 연<br />

구가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우리는 2004년에 300km/h급 경부고속철도를 건설하여 운영<br />

하고 있고, 350km/h급 전차선로를 호남고속철도에 적용하기 위해 새로운 재질의 전차선<br />

로 개발 및 고속용 팬터그래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br />

나노신소재 기술은 임계성능구현, 초고효율 에너지 산업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 필<br />

수 핵심소재이며 나노융합산업은 나노기술을 타산업에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br />

래 유망 산업으로 속도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점진적으로 극복하고 각 시스템<br />

의 기능 향상이 가능한 나노융합 기술을 적용한 전기철도 핵심 부품 성능향상 이 가능할<br />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1세기 철도 선진국으로의 성장동력과 새로운 비전을 포함한 철도<br />

와 신기술간의 융합기술 개발이 필요하므로 철도시스템의 연구개발 모델도 그간의 ‘쫓아가<br />

기型(Catch-up model)’에서 ‘선도型(Trend-setter model)’로 바꾸기 위해 신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연<br />

구개발 비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T(Nano Technology) 신기술의 철도 적용 선행 연<br />

구를 통해 전기철도에 적합하고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한 NT 기반 철도융복한원천기술의<br />

가능성 타진하는 것이다. 특히 속도 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각 시스<br />

- 14 -


제 2절 팬터그래프 집전판 나노기술 적용을 위한 요소기술 분석<br />

1.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및 특허 조사<br />

가. 전기철도 집전시스템 국내외 연구동향<br />

그림 9에 전기철도 전차선로 관련 기술을 나타내었다. 전차선로는 전기차량 집전장치와<br />

직접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철도의 핵심 설비로 현재 50% 정도인 전철화 구간<br />

이 2020년에는 72% 까지 증가 계획에 있다. 전기철도 차량용 팬터그래프는 전기 철도 차<br />

량 핵심부품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과 기계적 접촉으로 차량에 전기에너지를 공급<br />

한다. 그러나 이러한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기계적 접촉으로 인해 전차선의 마모, 전<br />

차선과 팬터그래프 사이에서 나타나는 이선아크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선은<br />

열차속도, 가선구성, 경점의 존재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이 이선과 동시에 전차선<br />

과 집전판 간에는, 강한 빛을 수반하는 아크방전이 발생한다. 이 아크방전의 내부는 전자<br />

및 금속 증기 등으로 채워져 있으며, 이들이 상호 충돌하여 에너지를 교환한다. 충돌 시<br />

원자 혹은 분자가 갖는 전자가 여기되고, 또 그 전자가 하준위(下準位) 또는 기저(基底)<br />

상태로 전위할 때, 어느 파장을 가진 광양자(光量子)가 방출된다. 이것이 아크광으로 관<br />

측되는 광(光)이며, 원자 혹은 분자가 갖는 전자의 에너지 준위(準位)가, 그 물질 특유인<br />

것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파장도 그 물질 특유가 된다.<br />

이러한 이선 아크는 집전상태와 성능을 평가하는 기술로 열차의 속도향상에 따라 확보<br />

해야할 중요한 지표이다. 특히 프랑스[2], 이탈리아[3] 등 유럽 등에서 아크 측정방법을<br />

사용하고 있으며, 유럽철도의 상호 운전성 확보를 위하여 아크 측정방법의 검증법을 유럽<br />

규격 EN 50317[4]에 정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열차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측정하<br />

는 모듈을 민간 회사에서 개발하여 전차선로의 유지보수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br />

- 16 -


나. 팬터그래프 일반 사항<br />

팬터그래프란 전기철도에서는 가공전차선을 접촉 접동하면서 수전하기 위한 중고속용<br />

집전장치를 팬터그래프라고 한다. 그림 11에 일반적인 팬터그래프의 구조를 제시하였다.<br />

일반적으로 팬터그래프를 구성부품은, pan head, pan head 지지대, 구조틀(枠組), 지지대<br />

(臺枠)의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pan head는 집전 head, 혹은 head라고도 부르며, 전차선<br />

과 직접 접동하는 중요한 장치이다. 그림 11에 제시한 것과 같이, pan head의 상면에는<br />

가선과 직접 접동하는 부재인 집전판이 설치된다. 집전판은 마모하는 소모부품이기 때문<br />

에, 쉽게 교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팬터그래프의 추종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br />

집전판과 pan head 본체 사이에 상하방향의 완충 기구를 갖는 팬터그래프도 있다. 이<br />

완충 요소는 통상, 미동 스프링이라고 부른다. pan head의 좌우 양측은, 혼(horn)이라 칭<br />

하는 만곡(彎曲)한 부재로 되어 있다. 혼(horn)은, 교차선 진입 시 합류측 전차선이 pan<br />

head 하면에 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단, 강체 가선의 교차선에서는 본<br />

선, 부선의 각 가선의 고저차가 작기 때문에, 강체 가선 전용의 팬터그래프에는 혼(horn)<br />

을 생략한 것도 있다. 혼(horn)을 포함한 pan head 외형 촌법은, 가선의 좌우 편위와 강<br />

풍시의 권동, 교차선의 구성, 차체 경사 장치의 유무, 등 충분 정합성을 유지하여 결정된<br />

다. 이 정합성이 불충분하면 주행 중에 할입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br />

검토가 필요하다. pan head의 구조는 집전전류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교류용 팬터그래<br />

프의 경우, 전류가 작기 때문에 집전판은 레일방향으로 2열 설치한다. 이것에 비해 큰 전<br />

류를 집전하는 직류 전차용 팬터그래프에서는 집전판은 4열, 직류기관차용 팬터그래프에<br />

서는 집전판이 8열 혹은 10열이 되어, pan head는 대형화 된다. 이와 같이 전류용량을 증<br />

가시키기 위해서는 집전판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중량의 증가에 따라 추수성능이<br />

저하되기 때문에, 설계상의 큰 제약이 된다.<br />

- 18 -


그림 11. 팬터그래프의 기본 구조<br />

그림 12. KTX 팬터그래프 사진 및 고속용 팬터그래프의 세부 구조(싱글 암형)<br />

팬터그래프의 세부구조와 사진을 그림 12에 나타내었다. 세부적으로는 프레임(Frame),<br />

캠슬링 스프링밸런스(cam-sling spring balance), 공기 실린더(Pneumatic cylinder), 쇽 업<br />

쇼버(Shock absorber), 푸시아암과 하부조인트장치(Push arm and lower joint<br />

mechanism), 하부 로드(Lower rod), 상부 아암과 중앙연결장치(Upper arm and lower<br />

joint mechanism). 안티버킹 로드(Anti-bucking rod), 크로스 바에 장착된 중앙스프링 박<br />

스(Larger central spring box), 두 개의 스프링 박스(Spring box), 마모판을 가지고 있는<br />

보우(Bow), 팬터그래프 상승높이 제한장치(한, 25kV 팬터그래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br />

- 19 -


1.5kV용 보우는 프레임, 2개의 구리 마모판, 2개의 강철 마모판, 4개의 연결 마모판, 2개<br />

의 절연 혼, 절연 혼속에 연결되어 있는 마모판 하부의 사고감지장치 및 강철 마모판은<br />

항상 구리 마모판 안쪽에 위치한다. 구리 마모판은 좋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br />

집전 효율이 좋다. 강철 마모판은 구리재질의 전차선과 구리 마모판 사이의 높은 접촉마<br />

찰계수로 인한 침식을 방지한다. 구리 마모판과 강철 마모판 사이의 공간에는 전차선에서<br />

보우가 부드럽게 미끄러지도록 그리스(Grease)를 채워준다.<br />

25kV보우는 2개의 F.R.P. 지지대, 2개의 카본 마모판, 4개의 연결 마모판과 마모판과 지<br />

지대를 통과하는 도관형태의 사고감지 장치로 구성되며 25kV용 보우는 2개의 카본 마모<br />

판을 가지고 있다. 카본은 윤활성이 좋기 때문에 보수 시 전차선에 윤활제를 칠하지 않아<br />

도 된다.<br />

그림 13. 1.5kV용 팬터그래프 보우<br />

그림 14 25kV용 팬터그래프 보우<br />

- 20 -


다. 팬터그래프 집전판 일반 사항<br />

그림 16에 전차선로 간 KTX 집전 및 집전판 사진을 보여준다. 팬터그래프 집전판은<br />

금속계와 탄소계로 일반적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고속선에 사용되는 팬터그래프 집전판의<br />

경우 매 200,000 km 마다 교체 하고 있으며 현재 전량 수입하여 국산화 등이 시급한 실<br />

정에 있다. 팬터그래프의 집전판은 일반적으로 높은 도전성(낮은 저항률), 차량부품으로<br />

서 필요한 높은 강도, 높은 내마모성과 전차선을 마모시키지 않은 특성 및 소모품으로서<br />

필요한 경제성을 갖추어야 하며 집전판의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절에 기술하였다.<br />

(a) KTX 운행 중 집전 사진<br />

- 22 -


판<br />

토<br />

그<br />

라<br />

프<br />

구 분 규 격<br />

전 차 선 방 식 지상 : 심플카티너리선, 지하 : 강체 가선<br />

전 차 선 전 압 DC 1,500 V 및 AC 25,000 V<br />

조 작 방 식 전 자 공 기 식<br />

동 작 방 식 하부 프레임 교차형, 공기 상승, 스프링 하강<br />

조 작 공 기 압 력 4 ~ 6 kgf / ㎠(표준 5 kgf / ㎠)<br />

압 상 력 6 kgf(표준치)<br />

형 식 YT88A<br />

주 습 판 재 질 동계소결합금<br />

높<br />

이<br />

접 은 높 이 280(0, -5) mm<br />

최 저 작 용 높 이 530 mm<br />

표 준 작 용 높 이 1000 mm<br />

최 고 작 용 높 이 1380 mm<br />

해 방 시 의 높 이 1480 mm<br />

(b) KTX 팬터그래프 Pan head<br />

그림 16. KTX 팬터그래프 집전 및 집전판 사진<br />

라. 팬터그래프 및 집전판 제조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br />

팬터그래프 집전판은 일반적으로 금속계와 탄소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현재 국내의 경<br />

우 탄소계 팬터그래프 집전판을 자체 제조하는 시스템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팬터그<br />

래프의 경우 프랑스, 독일 및 일본 등에서는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엑티브<br />

팬터그래프 등 다양한 연구가 개발되어 지고 있다.<br />

표 2. 도시철도 팬터그래프 규격<br />

중 량 약 180 ± 10 k<br />

- 23 -


정 격<br />

전 류<br />

정 차 시 연속 정격 : 약 500 A, 1분간 : 약1600<br />

주 행 시 전동기 정격 전류 : 약 800 A, 피이크 전류: 약 2000 A<br />

사 용 나 사 ISO나사 및 KS나사<br />

사 용 그 리 이 스 리듐(Lithium)계 그리이스<br />

주 위 온 도 -25 ℃ ~ 40 ℃<br />

현재의 카티너리시스템과 패시브 팬터그래프를 사용해서는 도달할 수 있는 속도에 한<br />

계가 있으므로 400km/h까지의 속도향상을 위해서는 카티너리시스템을 개량하거나 액티<br />

브 팬터그래프를 사용해야 한다. 두 가지 방법 중에서 더 경제적인 방법은 액티브 팬터그<br />

래프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고속화를 위한 집전 성능 확보를 위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br />

어 왔다. 프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 영국, 미국 등에서 일찍부터 액티브 팬터그래프에<br />

대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여 왔으며 프랑스에서는 액티브 팬터그래프를 사용하고 있으<br />

며, 독일, 일본, 이탈리아 등에서는 가까운 장래에 실용화할 것을 목표로 적극적인 연구를<br />

수행하고 있다.<br />

프랑스 Faiveley사는 액티브 팬터그래프인 CX팬터그래프를 개발하였다. 그림 17에 나<br />

와 있는 CX팬터그래프는 상업 운전 중인 고속열차 탈레스(Thalys) 및 듀블렉스(Duplex)<br />

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림 17의 앞에 보이는 팬터그래프는 직류 1.5 kV와 3kV를<br />

집전하는 것이고, 뒤에 보이는 팬터그래프는 교류 25kV를 집전하는 것이다.<br />

- 24 -


그림 17. CX 액티브 팬터그래프[1]<br />

국내의 경우 유진전기공업에서 제시한 300km/h급 시제 팬터그래프를 개발하여 노선의<br />

전차선로 주요 사양 조사/분석, 시제 팬터그래프에 대한 정적 특성 분석을 통한 동역학<br />

모델 수립 및 시제 팬터그래프에 대한 동적해석 모델 수립, 팬터그래프 공력 특성 분석<br />

등의 연구를 수행한 바가 있다.<br />

집전판의 경우 도시철도에서는 동계 및 소결 합금계가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br />

금속계 사용에 따라 전차선 마모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현재 탄소계 사용을<br />

적극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내었다. 특히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기존 팬터그래프<br />

의 형상에 맞게 제조 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고속철도의 경우 용침탄소계가<br />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집전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br />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400 km/h급 이상 시에 신규공정에 의한 집전판의 무게와<br />

두께 등을 줄이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br />

또한 KNR가선계에서 설계속도 350㎞/h의 고속주행 시 요구되는 운영요구 조건 및 기<br />

술적 성능사양에 적합하도록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저이선, 경량, 저소음형 팬터그래프<br />

구조 및 집전판의 설계, 제작 및 시험·평가기술을 확립하여 고유모델의 고속전철용 판토<br />

그라프의 개발 연구가 수행된 적이 있다. 이때 집전판은 용침탄소계를 자체적으로 제작하<br />

여 개발한 바 있으나 실용화 되지는 않았다. 또한 집전판으로서의 신소재 연구 동향은 소<br />

- 25 -


결합금이나 카본계 재료 이외에, 신소재라 불리는 세라믹스와 탄소계 복합재료를 집전판<br />

에 적용하는 검토가 일본에서 이루어 진 것으로 보고되었다.<br />

마. 팬터그래프 집전판 특허기술 조사<br />

나노코팅 기술이 적용된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국내외 특허 조사를 우리특허법률사무소<br />

에 의뢰하여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기술의 국내외 특허기술 및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br />

시 사용되는 나노금속 입자 적용기술에 관한 포괄적인 특허기술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br />

범위는 국제특허분류에 의거하여 B60L : 전기적 추진차량의 전기장치 또는 추진 장치,<br />

차량용 자기적 현가 또는 부양장치, 차량용 전기적 제동방식일반과 B60L5/24 : 팬터그래<br />

프(Pantographs), 마지막으로 B82B : 나노구조 또는 그의 취급 or 제조에 관하여 한국,<br />

미국, 일본, 유럽에 대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선행기술조사에 적용된 검색식은 한국과<br />

다른 나라도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한국의 기술조사는 검색식 1) {(철도*, 지하철*, 전철*,<br />

철차*, 전동차*, 열차*, 기관차*, 화차*, 고속철도*, 고속전철*, 궤도차*, 전기기관차*, 전<br />

차*) + (팬터*, 펜터*, 팬타*, 펜타*, 판토*, 집전*, 컬렉*, 콜렉*, pantograph*,<br />

pantograph*,collect*) +(습판*, 주습판*, 보조습판*, 접판*, 스트립*, 슬립판, 슬리퍼*, 슬<br />

라이더*, 스라이더*, 슬라이다*, 윤활*, 습윤*, 카본윤활*, 고체윤활*, 탄소윤활*,<br />

lubricat*, lubricant*, strip*, slipper*,slider*,((슬라이드*, 슬라이딩*, 스라이드*, 스라이딩<br />

*, 슬립*, 스립*, slid*, slip*) (보드*, 보오드*, 패널*, 판넬*, 플레이트*,플래이<br />

트*, board*, panel*, plate*)))}으로 457건의 특허가 검색되었고, 미국, 일본, 유럽, PCT는<br />

검색식 {(railway*, railroad*, railcar*, train*, traction*, locomotive*,coach*, ((dc, ac,<br />

direct current*, direct-current*)(railway*, railcar*, traction*, transit*)),<br />

(electric* (train, vehicle*, car)))@AB + (pantograph*, pantograph*,collect*,<br />

pentograph*)@ab + ((coat*, doping, metal*,composition)@ab, B22*, C09*, C22C*,<br />

B60L5*)}으로 검색하여 미국 : 562건, 일본 : 1065건, 유럽 : 234건, PCT : 198건의 특허<br />

가 검색되었다. 검색된 특허들 가운데 주요 관련특허들을 아래 표 3에 정리하였다.<br />

조사결과 나노코팅 기술이 적용된 집전판 관련 특허기술을 조사한 결과 Cu를 집전판<br />

1) 검색연산자 설명<br />

?, * : wildcard(중간절단자 또는 전방절단자)<br />

+ : AND<br />

, : OR<br />

: 전방에 입력한 키워드로부터, n에 지정된 빈칸의 개수만큼 전후로 후방단어가 존재하는 문서를 검색<br />

- 26 -


표면에 코팅하는 기술과 Cu 또는 Cu합금을 용침하는 동용침 Fe기 소결합금으로 구성되<br />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및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동용침 Fe기 소결합금제의 팬<br />

터그래프용 집전판으로써 금속을 도핑하거나 코팅하는 기술에 해당되는 특허 및 탄소 나<br />

노튜브를 복합재료로 사용한 팬터그래프용 집전판에 관한 특허가 조사 되었다. 기존 특허<br />

들은 기 제작된 집전판에 추가로 코팅을 하거나 제조공정에서 일부 첨가물을 추가하여<br />

집전판의 성능향상을 기대 했을 뿐 본 과제에서 시도하는 집전판 제작에 나노 입자의 금<br />

속 물질을 탄소와 결합시키는 제작 기술에 관한 기존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br />

순번 문헌번호 출원인/특허권자 명칭 및 기술요약<br />

1 미국공개특허<br />

2008-095694<br />

2 미국공개특허<br />

2006-071862<br />

3<br />

미국특허<br />

5,589,652<br />

4 일본공개특허<br />

2007-124789<br />

JAPAN SCIENCE &<br />

TECH AGENCY<br />

INTEGRAL<br />

TECHNOLOGIES<br />

INC.<br />

HITACHI LTD.<br />

BUSSAN<br />

NANOTECH<br />

RES INST INC.<br />

5 일본공개특허 RAILWAY<br />

TECHNICAL<br />

표 3. 주요관련 특허기술 문헌정보 및 기술요약<br />

[Carbon-Based Fine Structure Array, Aggregate<br />

of Carbon-Based Fine Structures, Use Thereof<br />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br />

탄소 나노 튜브와 같은 것과 집합체의 어레이와<br />

반데르발스력과 같은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함께<br />

홀딩되는 탄소-계 미시 구조를 사용한 판토그래프<br />

집전판<br />

[Low cost electrical power connectivity for<br />

railway systems manufactured from conductive<br />

loaded resinbased materials]<br />

전도성 수지기반의 재료는 베이스 수지 호스트에<br />

서 금속 섬유 또는 도금된 파이버 금속의 마이크<br />

론 도전성 분말, 전도성 섬유 또는 전도성 입자와<br />

전도성 섬유의 조합을 포함하는 철도시스템을 위<br />

한 전기 연결장치<br />

[Ceramic-particle-dispersed metallic member,<br />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and use of<br />

same]<br />

세라믹 초정밀 입자 및 고체 윤활제 입자 또는<br />

고체 윤활제 짧은 사이즈 파이버는 분산시키며, 여<br />

기에서 상기 세라믹 초정밀 입자의 평균 입자 크<br />

기가 200nm이하이고, 상기 짧은 사이즈 파이버의<br />

상기 고체 윤활제 입자 또는 중간 직경의 평균 입<br />

자 크기가 0.25에서 10.mu.m의 범위로 하는<br />

ceramic-particle dispersed 금속부재를 사용한 판<br />

토그래프 집전판<br />

[CONTACT STRIP FOR PANTOGRAPH ]<br />

동, 또는 동의 소결합금을 재료로 하는 금속과 카<br />

본 나노 튜브의 복합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팬터그<br />

래프용 집전판<br />

[CARBON-BASED CURRENT COLLECTING<br />

SLIDING MATERIAL AND<br />

- 27 -


2002-180105<br />

6 일본공개특허<br />

2000-281446<br />

7 일본공개특허<br />

평08-033110<br />

8 일본공개특허<br />

평08-308012<br />

9 일본공개특허<br />

평08-104960<br />

RES INST ;<br />

TEIKOKU<br />

CARBON IND.<br />

RAILWAY<br />

TECHNICAL<br />

RES INST ; NIPPON<br />

FUNMATSU GOKIN<br />

KK<br />

TOKAI RYOKAKU<br />

TETSUDO KK ;<br />

NIPPON KOGYO<br />

UNIV<br />

FURUKAWA<br />

ELECTRIC<br />

CO. LTD ; TOYO<br />

ELECTRIC MFG CO.<br />

LTD<br />

MITSUBISHI<br />

MATERIALS CORP<br />

MANUFACTURING METHOD]<br />

양도전성의 금속가루 및 소선경 0.05~0.3mm,길이<br />

2~10mm의 양도전성 금속 섬유의 총화가 중량비에<br />

서35~70%, 잔부를 탄소가루로 하는 재료로, 금속<br />

가루와 금속섬유의 총화에 대한 금속 섬유의 비율<br />

이 중량비로 5~20%로어느 재료를 혼합 후, 가압<br />

성형해, 그 성형체를 비산화성 분위기중에 있어 성<br />

형 체내로부터 금속이 용해되는 범위의 고온으로<br />

소결 하는 탄소계 집전판 제조방법<br />

[TITANIUM-COPPER-CARBON COMPOSITE<br />

MATERIAL AND ITS PRODUCTION]<br />

탄소기재에, 복합재료의 전중량에 대해 1~70 중<br />

량%의 비율이 되는 티탄과 복합재료의 전중량에<br />

대해 1~75 중량%의 동함유율이 되는 동 또는 구<br />

리합금이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판터그래프<br />

의 집전판<br />

[CURRENT COLLECTING PANTOGRAPH<br />

SLIDER MATERIAL OF<br />

COPPER-INFILTRATED FE-BASE SINTRED<br />

ALLOY WITH HIGH WEAR RESISTANCE<br />

AND ELECTRIC CONDUTIVITY]<br />

Cu:0.5~3중량%, Ni:2~6중량%, Mo:0.1~2중<br />

량%, 를 함유 해,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부터<br />

되는 조성을 가지는 기공율:10~30%의 Fe기소결<br />

합금에, Cu 또는 Cu합금을 용침하는 동용침 Fe기<br />

소결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br />

모성 및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동용침 Fe기 소결<br />

합금제의 팬터그래프용 집전판<br />

[CURRENT COLLECTING SHOE FOR<br />

PANTOGRAPH AND MANUFACTURE<br />

THEREOF]<br />

전철선에 접접한 집전판과 shoe를 일체형성하고<br />

집전판과 배의 모재를 공통의 도전부재로<br />

형성함과 함께、산화알미늄 등의 화재를<br />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br />

집전주<br />

[CONTACT STRIP MATERIAL OF<br />

PANTAGRAPH FOR CURRENT COLLECTING<br />

MADE OF IRON-BASE SINTERED ALLOY<br />

EXCELLENT IN ELECTRICAL<br />

CONDUCTIVITY AND WEAR RESISTANCE]<br />

분산상 형성 성분으로서 TiB2 and/or ZrB2중에<br />

서 1종 또는 2종 이상:5~20%, 분산상 형성 성분<br />

으로서 ZrN, MoSi2, TaC and WC중에서 1종 또<br />

는 2종 이상:5~20%, 분산상 형성 성분으로서<br />

BN, MnS, MnO2 가운데 1종 또는 2종이상:0.<br />

1~5%, 소지 형성 성분으로서 Ni, Cu, 및 Mn 가운<br />

데1종 또는 2종 이상:0. 1~7%,를 함유 해, 나머지<br />

가 같은 소지 형성 성분으로 서의 Fe와 불순물로<br />

부터 조성을 가지는 Fe기소결합금으로 구성한 것<br />

을 특징으로하는 Fe기 소결합금제의 팬터그래프용<br />

집전판<br />

- 28 -


2. 팬터그래프 집전판 금속계, 탄소계 및 탄소․금속 합금계 분석<br />

가. 금속계, 탄소계 및 용침탄소계 집전판 분석<br />

집전판 재료로는 크게 Carbon계와 소결합급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는 이 두 재료의<br />

장단점을 보완하여 Metallized Carbon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br />

집전판은 가선에 접촉하여 습동하면서 집전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특성 및 기계적인 특<br />

성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즉, 집전판은 도전성 및 집전 용량이 양호하고 상대마찰재인<br />

가선을 마모시키지 않아야 하며 집전판 자신도 마모가 적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br />

충격에 대한 기계적 강도도 커야하고 가선과 집전판의 이선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에 의<br />

해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료의 집전판이 개발되고 있다. 집전판은<br />

전기회로상의 1소자이므로, 보다 높은 도전성(낮은 저항률)이 요구되어진다. 실용상에서<br />

집전판의 저항률을 정하는 요인으로는, 집전판・전차선의 접촉점에서의 접촉저항에 의한<br />

줄열 발열과, 집전판 자체의 줄열 발열이 있다. 접촉점에서의 발열은, 차량이 정차 시 집<br />

전하는 경우에 문제가 된다. 정차 시 차상기기용 전원 전류를 집전할 때, 접촉점에서의<br />

접촉저항이 크면, 접촉점에서의 발열에 의해 전차선의 온도가 상승한다. 제6장에서 서술<br />

한 바와 같이 경동 전차선의 온도는 90℃를 초과할 수 없으므로, 접촉점에서의 발열에 의<br />

한 전차선의 온도를 그 이하로 제한할 수 있는 저항률로 할 필요가 있다. 기온과 일사(日<br />

射)의 영향을 고려하면, 전차선의 온도를 90℃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접촉점에서의<br />

온도 상승치는 약 47℃ 이하일 필요가 있다. 또한, 역행 시 등의 큰 전류를 집전할 때의<br />

집전판 자체의 발열도, 그것에 의해 팬터그래프 Pan head의 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br />

정도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br />

집전판에는, 전차선으로의 압부(押付)에 의한 접촉력, 전차선과의 접동에 의한 마찰력이<br />

작용한다. 이들 힘은 항상 변동하며, 변동주기가 짧고 진폭이 큰 것은, 이른바 충격력으로<br />

서 집전판에 작용한다. 집전판 재료로는 이들 힘이 반복 작용하여도 파손하지 않는 강도<br />

가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사용 중의 집전판에 어떠한 힘이 작용하는지는 차량의 주행조<br />

건, 가선 구조 등에 의해 다양하며, 기존부터 명확했던 것은 아니다. 집전판에 필요한 기<br />

계적 강도로서는 실용재로서 실적이 있는 재료의 강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단단함에 대<br />

해서도 실용재의 특성치를 참고로 하지만, 그 상한치에 대해서는, 경동제 전차선의 단단<br />

함을 상회하지 않는 값으로 한다.<br />

- 29 -


현용 집전판 재료의 내마모성은, 윤활유 등에 의한 윤활 없이 접동하는 재료로서는 최<br />

고의 부류에 들어가는데, 그래도 우선 고성능화의 요구는 강하다. 집전판의 사용조건은,<br />

통전할 것, 접촉력의 변동에 의해 쉽게 접촉이 없어져 아크 방전이 발생할 것, 빗물과 먼<br />

지가 접동면에 쉽게 들어가 개방계일 것 등이 일반 접동재료의 사용 조건과 크게 다른<br />

점이다. 집전판의 내마모성은 실제 차량에서의 사용 상황을 모의한 정치(定置) 마모시험<br />

기에 의해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최종적인 확인은 실제차량에서의 실용시험에 의지할 수<br />

밖에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br />

집전판 재료에는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는데, 시대에 따라 최우선되는 특성은 변천하고,<br />

그것에 따라 사용되는 재료도 변화하고 있다. 이하에 집전판 재료의 변천을 간단하게 정<br />

리하였다.<br />

나. 집전판 재료 분석<br />

전기철도 발명 당시 집전판에는 동판이 사용되었다. 그 후, 1880년대 미국의 Geroge<br />

Hobbes가 탄소전극을 집전판에 사용하는 것을 고안하여, 1920년대에는 카본(탄소)집전판<br />

이 보급되었다. 이후, 구미에서는 카본이 가장 일반적인 집전판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br />

일본에서도 전차 개업 당초 집전판은 동(銅)이었는데, 유럽과 마찬가지로 동에서 수입품<br />

카본으로 변화하였다. 전시(戰時)체제하, 동은 군수물자가 되어 입수가 어려워지고, 카본<br />

집전판의 수입도 불가능해져, 국산 카본 집전판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종전 직후, 전시<br />

중 물자 부족에 의하여 보수가 불충분했던 설비・차량에서 고장이 빈발하고, 전차선의 용<br />

단 사고도 발생하였다. 국산 카본 집전판의 성능도 양호하지는 않았고 갈라짐・깨짐이 적<br />

지 않게 발생하였다고 한다.<br />

이러한 상황 하에서 동계 소결합금 집전판이 개발되었다. 사쿠라기쵸(桜木町)역 구내에<br />

서의 전차 화재사고 이후 저항률이 낮은 소결합급 집전판으로 전환이 진행되어, 1950년경<br />

에는 국철의 모든 전차에서 동계 소결합금을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일본에서는 소결<br />

합금이 가장 일반적인 집전판 재료가 되어 그 후의 신칸센 개업과 속도 향상으로는 철계<br />

소결합금 집전판의 개발이 재래선의 한랭지 대책으로는 동계 소결합금 집전판의 개량이<br />

진행되어, 현재에 이르렀다.<br />

국철의 분할 민영화 이후는 전차선의 마모 저감에 의한 전차선 설비의 보수 경감이 요<br />

구되어, 카본 집전판을 사용하는 구미와 일부 민철에서 전차선의 마모가 매우 작다는 것<br />

- 30 -


이 알려져 팬터그래프 수가 적고 집전전류가 큰 직류전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항률이<br />

낮은 카본계(탄소계) 집전판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카본계 집전판은 1995년경부터 급속히<br />

보급되어, 최근에는 JR회사 전차의 2/3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다.<br />

다음으로 주요 집전판 재료의 諸특성에 대하여 서술하겠다.<br />

- 31 -


다. 금속계 팬터그래프 집전판<br />

철계는 가선 동선의 연마와 전기 전도도가 낮고 전차선의 급속히 마모되는 것으로 조<br />

사되었다. 구리의 경우 전도도가 높으나 전차선과의 접촉면에서 소음 등 미세한 영향이<br />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차선과 양호한 집전상태를 유지하며 일본의 경우 금<br />

속계 집전판을 주로 고속선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br />

금속계 재료에는 동(銅), 강(鋼) 등의 금속 외에, 소결합금, 주조합금이 있다. 동(銅), 강<br />

(鋼) 등이, 반드시 집전판용인 것은 아니므로, 윤활성이 부족하고, 사용할 때에는 어느 정<br />

도 윤활이 필수이며 최근 몇 년간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br />

그림 18. 소결합금 집전판의 제조 공정<br />

- 32 -


소결합금은, 다양한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성형(成形)하고,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달<br />

구어 금속분(金屬粉)을 결합시켜 제조하는 것이다(그림 18). 혼합하는 분말로는, 주체가<br />

되는 금속분(동 Cu, 철 Fe) 외에 윤활성의 화합물(2황화 몰리브덴 MoS₂, 흑연 C 등),<br />

단단함을 높이기 위한 경질 금속 입자(크롬 Cr, 페로몰리브덴 FeMo, 페로티탄 FeTi 등)<br />

가 있으며 혼합하는 분말의 종류와 양을 조정하여 얻을 수 있는 합금의 특성을 조절할<br />

수 있으므로 집전판 재료와 같이 복수의 특성이 요구되는 재료의 제조에는 적합하다. 일<br />

본에서는 전후(戰後) 집전판 재료의 개발은 소결합금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림<br />

19-(a)에 대표적인 소결합금 집전판의 금속 조직을 나타내었다. 그림의 둥글고 하얀 부분<br />

이 경질금속입자이다.<br />

주조합금은, 다양한 금속을 혼합, 용융하여 주조하는 것이다. 성분 조정에 의해 어느 정<br />

도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현재는 일부 민철에서 사용되고 있다.<br />

표 4에 대표적인 소결합금 집전판, 주조합금 집전판의 조성(組成)을 제시하였다.<br />

그림 19. 소결합금 집전판, 카본계 집전판의 조직<br />

- 33 -


용<br />

도<br />

재<br />

래<br />

선<br />

・<br />

민<br />

철<br />

신<br />

칸<br />

센<br />

표 4. 주요 현용 소결합금 집전판・주조합금 집전판의 조성(組成)<br />

상표<br />

소지(素地) (wt%) 경질성분 (wt%) 윤활성분 (wt%)<br />

Cu Sn Fe Ni Cr 기타 MoS₂ C Pb 기타<br />

BC 殘 8~10 10~1<br />

5<br />

- 34 -<br />

기사<br />

2~4 - - - 3~5 - - 3종동계<br />

TC103 殘 8~11 - - 3~5 P - 2~4 - - 1종 링동계<br />

CR1 殘 4~6 4~7 - - FeMo 1~3 - -<br />

FeS,<br />

CuS<br />

한랭지용 1종<br />

CR2 殘 5~7 - - 8~11 P 3~7.5 1 - - 한랭지용 2종<br />

IH 57~63 - - - -<br />

Zn(33~37)<br />

,<br />

A1<br />

- - 4~6 - 주조 황동계<br />

NK3 83 5 - 1 - - - 10 - 연청동계<br />

TF5A 0.1~3 - 殘 - 10~16 P 2~7 - 2~10 - 개량형철계<br />

BF31 - - 殘 1~3 -<br />

M54X 0.4~1.5 - 殘 0.5~2.<br />

5<br />

0.5~2.<br />

5<br />

FeTi, FeW,<br />

FeMo<br />

- - 5~15 - 개량형철계<br />

FeMo -


라. 탄소계 및 용침탄소계 팬터그래프 집전판<br />

탄소계 집전판은 전차선과의 집전영향이 거의 없으나 전도도가 구리 금속계 집전판보<br />

다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용침탄소계의 경우 전기전도도가 비교적 높고 가선에 영향<br />

이 없으며 비결정 탄소 및 동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25% 정도의<br />

동을 포함하여 집전성능을 향상시키며 ~200 bar, 1200℃로 충진 제작 되는 것으로 조사되<br />

었다.<br />

탄소계 재료는, 금속계 재료에서 주체가 되는 것이 동, 철 등의 금속인 것과 대조적으<br />

로 탄소를 주체로 하는 재료이다. 집전판으로 이용되는 탄소는, 코크스(cokes) 등의 탄소<br />

분말을 형성하고 1,000~1,500℃ 정도에서 달구어(소성(燒成)한다) 제조한다(그림 20). 탄소<br />

단체로서도 집전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최근 몇 년 동안 도전성, 기계적 강도를 높이<br />

기 위하여, 탄소분에 금속분, 금속섬유, 탄소섬유를 혼합하거나, 소성한 탄소에 녹은 금속<br />

을 함침(含浸)하거나 한 집전판(‘카본계 집전판’, ‘메탈라이즈드・카본’ 등으로 불림)이 개<br />

발되고 있다. 그림 19에 대표적인 카본계 집전판의 조직을 표 5에 조성(組成)을 나타내었<br />

다. 그림의 어두운 부분이 카본, 밝은 부분이 카본에 함침된 금속이다.<br />

카본계 재료는,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에 관해, 금속계 재료와는 완전히 다른 재료이<br />

며, 종래의 집전판의 규격치에서 모두 벗어나 있다. 이 중 도전성에 대해서는, 전차선의<br />

온도의 관점에서 필요 충분한 저항률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br />

- 35 -


그림 20. 카본계 집전판(금속 함침형)의<br />

제조공정<br />

- 36 -<br />

그림 21. 집전판의 저항률과 전차선의 온<br />

도상승(집전판 하나당 100A 통전)<br />

실험결과로부터 집전판 폭을 25~40mm, 통전전류를 100A로 한 경우에, 전차선의 온도<br />

상승치를 약 47℃ 이하로 하려면, 집전판의 저항률은 3μΩm 이하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br />

알 수 있다(그림 21). 한편, 기계적 특성에 대해서는 카본계 재료가 금속계 재료와는 다<br />

른 성질의 재료인 것, 카본계 재료가 유럽의 고속철도나 일본의 민철에서 특별히 지장 없<br />

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기존의 규격치의 적용은 적절하지 않다. 그래서 국철<br />

시대에 재래선 직류구간에 카본계 재료를 도입하는데 개발 목표치가 설정되었다(표 6).<br />

직류구간용으로 개발된 PC78, PC78A, PC58 등은 모두 이 목표치를 만족하는 특성을 갖<br />

는다.


종별 상표 밀도<br />

(g/cm³)<br />

휨 강도<br />

(MPa)<br />

충격치<br />

(KJ/m²)<br />

저항률<br />

(μΩm)<br />

- 37 -<br />

조성(組成) (wt%)<br />

C Cu 기타<br />

순 카본 SW 1.7 50 1.5 32 100 - - 국산, 일부 민철에서 사용<br />

카본계<br />

(메탈라<br />

이즈드・<br />

카본)<br />

표 5. 대표적인 카본계 재료의 특성과 조성(組成)<br />

MC15 2.9 90 3.2 7.0 殘 - Sn(18), Sb(26) 국산, 교류용, 금속함침<br />

MY7D 2.5 100 2.8 8.0 殘 28 Pb(12) 영국제, 교류용, 금속함침<br />

PC78 3.0 120 4.2 2.3 殘 39~50 Pb(4~6), Sn 국산, 금속함침<br />

PC78A 2.9 110 4.0 1.8 殘 50 - 국산, 금속함침<br />

PC58 3.7 120 4.2 1.0 殘 60 - 국산, 금속분혼합<br />

MY258 2.9 120 4.0 3.0 殘 32 Pb(14) 영국제, 금속함침<br />

종별<br />

표 6. 카본계 집전판의 개발 목표치<br />

저항률<br />

(μΩm)<br />

재래선 직류구간용 카본계 집전판 3 이하<br />

휨 강도<br />

(MPa)<br />

100<br />

이상<br />

기사<br />

샤르피(charpy)-충격치<br />

(KJ/m²)<br />

3.5 이상


그림 23. 도시철도와 고속철도의 집전판을 비교<br />

그림 24. 도시철도와 고속철도의 집전판을 비교<br />

팬터그래프로 제조상 비밀이 많고 특허 분석 결과 제조 방법에 대한 기술은 조사되지<br />

않았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수행한 팬터그래프 개발 보고서에<br />

그 내용이 나타나 있다. 본 연구에서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기존 제조 방법의 분석 내용은<br />

상기 보고서를 참조하여 나타냈다.<br />

일반적으로 순 탄소계는 탄소계 원소재 혼합, 성형, 예비열처리, 메소페이즈 처리, 소결,<br />

합침, 소결의 7단계로 조사되었으며 그림 25에 순탄소계 제조 공정별 결정구조 분석 사진<br />

을 나타내었다. 용침탄소계의 경우 혼합, 성형, 열처리, 함침의 순서로 제조를 수행하며<br />

세부 구성별 결정은 그림 26와 같다.<br />

- 39 -


그림 25. 순탄소계 집전판 제조공정에 따른 결정구조 분석<br />

그림 26. 용침탄소계 제조에 따른 결정 구조 변화<br />

탄소계 집전판 원소재로는 크게 탄소계 원소재와 바인더로 구분할 수 있는데 탄소계<br />

원소재로는 코크스, 인조흑연, 천연흑연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코크스를 필라로서 사<br />

용할 때는 괴상탄소로서의 품질뿐만 아니라, 점결재 피치와의 상호작용이 깊이 연구되어<br />

- 40 -


야 하는데, 코크 입괴의 분포, 입형, 세공구조, 젖음성이 중요한 변수이다.<br />

바인더 피치는 콜타르 피치 또는 석유피치로부터 제조되는데, 일본에서는 콜타르계의<br />

바인더 피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미국에서는 석유계 피치도 이용되고 있다.<br />

우수한 바인더는 ① 성형이 용이할 것, ② 성형탄소재가 고밀도로 고강도일 것, ③ 성<br />

형체의 치수제어가 용이할 것, ④ 성형탄소체의 열적 전기적 성질이 우수할 것 등을 만족<br />

시켜야 한다. 또 압출 및 프레스법으로 균일한 성형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용융한 바인더<br />

는 필라 탄소와 잘 섞이고, 필라의 균일 충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성형 시에 크지 않<br />

는 압력으로 성형되어야 하기 때문에 연화온도, 연화점도가 적당하지 않으면 안 된다. 동<br />

시에 필라의 침강 등의 편재를 제어하기 위해서 액상비중이 높은(필라 탄소에 가깝도록)<br />

것도 필요하다. 성형체(소성전)에도 상당한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접착제로서의 역할,<br />

필라 탄소표면을 잘 감싸 필라의 세공에도 균일하게 분포하여 충분한 막두께로 응집되어<br />

야 한다. 따라서 원료인 피치인 콜타르 피치는 주로 방향족 환과 알킬기로 구성되어 있음<br />

을 알 수 있다. 콜타르 피치의 미세구조를 SEM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flake 형상이지만<br />

매우 조대하다. 그러나 피치의 경우 탄소계 원소재인 코크와 혼합 시 피치의 연하점 이상<br />

이 150℃에서 수행되어 액상이 되므로 고상입자의 크기가 코크와 차이가 나더라도 균일<br />

하게 혼합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br />

메소페이즈 피치(mesophase pitch)는 등방성 피치의 용융액 속에서 원래의 피치보다 점<br />

도가 크며 비등방성 조직을 가졌으나 유동성을 가진 이방성 상(anisotropic phase)으로서<br />

초기형성은 lamellae nematic liquid crystal의 형성이며 일단 이러한 구조가 형성되면<br />

liquid crystal 내부에서 중합된 상이다.<br />

메조페이스 피치는 등방성 피치의 열처리(300℃~500℃)를 통해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br />

피치의 열처리 중에 일어나는 변화를 고려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 변화는 물리적, 화<br />

학적 현상을 포함하며 이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피치를 열처리하는 동<br />

안 다응축 방향성 탄화수소(poly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가 열분해 및 고분자화<br />

에 의해서 형성되고 특정의 방향성을 갖는 다응축 방향성 탄화수소가 형성된다. 계속적인<br />

열처리에 의해서 구형의 메조페이스는 벌크 메조페이스로 합쳐진다. 이런 벌크 메조페이<br />

스는 약 500℃까지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 변형이 가능하다. 메조페이스는 흑연화가 가능<br />

한 탄소 구조로써 판상구조를 갖는 매우 큰 다응축화된 방향족 분자들의 제한적인 집합<br />

체이다. 피치 속에 존재하는 작은 지방성(aliphatic)의 side chain들이 열적으로 분해되면<br />

서 방향족의 free radical들이 생기게 된다. 이런 방향족 free radical들의 결합으로부터 메<br />

조페이스 합성이 시작된다. 메조페이스 단계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물리적인 변화는<br />

- 41 -


낮은 온도에서 휘발할 수 있는 성분의 휘발과 가스의 방출이다. 이들 휘발분의 성분은 낮<br />

은 분자량의 방향족 물질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미처 반응되기 이전에 정류되<br />

어 빠져 나온 것이다. 휘발의 정도는 압력에 의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가스의 방출은 고<br />

온에서 탈수소 반응과, 분자의 side chain의 분열 등의 화학반응에 크게 관련되어 있다.<br />

따라서 피치의 열처리 시에는 적당한 온도와 가스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피치<br />

의 열처리와 관련된 주 화학 공정은 열적으로 유발된 고분자 중합(polymerization)이다.<br />

이 효과는 피치의 불용해 성분의 변화정도에 의해서 알 수 있다. 즉, 퀴놀린 불용성분과<br />

피리딘 불용성분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피치로부터 메조페이스로 변환되는 동안의<br />

중합도는 분자량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좀 더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br />

등방성 피치로부터 액정 즉, 메조페이스가 자라나는 방법은 분자들의 크기와 평면성, 평<br />

면 구조를 가진 큰 분자들의 유효농도, 처리온도, 그리고 계의 점도 등이 복합적으로 관<br />

계된 상황에 좌우되며 액정을 형성하는 분자들의 자세한 구조나 조성, 가열속도, 그리고<br />

탄화계의 물리적 상황은 메조페이스의 생성 자체에는 영향을 크게 미치지 못하나 메조페<br />

이스의 성장 단위체의 형태에는 영향을 미친다. 높은 점도는 생성되는 비등방성 탄소의<br />

편광학적 조직에 영향을 미쳐 mosaic들이 주로 형성되며 낮은 점도는 domain들을 형성<br />

하게 된다. 또한 고립된 메조페이스의 표면에너지를 최소로 하기 위해 등방성 피치에 구<br />

형으로 나타나고 처리온도나 시간이 임계점 이상이 되면 점차적으로 메조페이스 구형의<br />

입자가 합쳐지기 시작하여 유체 흐름(flow like) 모양처럼 바뀌는 bulk mesophase가 생성<br />

된다. 그러므로 여러 종류의 유기 화합물들에서 생성된 탄소들의 광학적 조직이 서로 다<br />

른 것은 메조페이스 상태의 점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이는 반응 혼합물 내에 존재하<br />

는 분자들의 화학적 반응성과 열처리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br />

탄소계 집전판의 바인더 요구특성은 비중(density)이 크고, 벤젠 불용분(B.I) 값이 크며<br />

퀴놀린 불용분(Q.I) 값이 작아야 하며 방향족 성분이 풍부하고 탄화율이 커야 한다. 이들<br />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바인더로서 본 연구에서는 페놀수지(phenolic resin)를<br />

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페놀수지의 특징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 치수안정성과 내<br />

열성이 좋으며 각종 용매와 그 밖의 화학약품에 대하여 안정하고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다<br />

는 것이며 결점으로는 알카리에 약하다는 점과 원래 적갈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변색<br />

하기 쉽고 착색에 제한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br />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페놀수지에는 두 가지의 유형이 있으며 기본적 구조에서 페놀알<br />

코올류와 디히드록시디 페닐메탄 유도체로 설명할 수 있다. 페놀에 대해 포름알데히드를<br />

과잉으로 하여 알칼리 촉매로 반응시키면 생성물은 페놀과 포름알데히드가 부가된 여러<br />

- 42 -


가지의 페놀알코올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며 이것은 보통 레졸(resol)이라 부른다. 한<br />

편, 포름알데히드에 대해 페놀을 과잉으로 하고 초산을 촉매로 하면 생성물은 페놀알코올<br />

에 다시금 페놀이 중합된 디히드록시페닐메탄류의 여러 종의 유도체로부터 이루어지며<br />

이것을 노블락(novolac)이라고 불리운다.<br />

레졸은 알코올,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에 가용이고 가열하든가 또는 산을 첨가하면 상온에<br />

서도 반응이 진행하며 결국 결화를 일으켜 불용불융의 고체가 된다. 한편 노블락은 보통<br />

그대로 가열해도 영구히 가용가융이지만 여기에 파라포름 알데히드를 첨가하여 가열하면<br />

경화한다.<br />

탄소계 집전판내 기공의 균일한 분포를 위해서는 탄소계 원소재인 코크와 바인더인 콜<br />

타르 피치, 메소페이즈 피치, 레졸 및 노블락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br />

불균일한 혼합으로 인해 성형 몇 열처리 공정에서의 균열이 발생하며 결국 경도 및 굽힘<br />

강도의 저하를 야기한다. 균일한 혼합을 위해서는 코크의 입도분포, 바인더의 상태와 함<br />

량, 혼합 온도, 혼합 시간, 혼합 기기 등의 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균일한 혼합을<br />

위해 고체와 고체의 혼합에는 Turbulent Mixer를 고체와 액체의 혼합에는 Kneader<br />

Mixer를 사용하였다. 즉, 코크와 메소페이즈 피치, 코크와 노볼락 수지의 혼합에는<br />

Turbulent Mixer를 사용하였으며 코크와 콜타르 피치, 코크와 레졸 수지의 혼합에는<br />

Kneader Mixer를 사용하였다.<br />

혼합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변수로는 Turbulent Mixer의 경우 혼합 분말들의 입도<br />

분포, 혼합비, 혼합시간 등이며, Kneader Mixer의 경우, 혼합비, 온도, 혼합시간 등을 고<br />

려할 수 있다.<br />

이상과 같이 순 탄소계 집전판과 용침탄소계의 집전판을 조사하여 나타내었다. 세부 공<br />

정은 제조상의 비밀 등 공개에는 부적합 하므로 세부내용 이외에 학술적인 내용만을 위<br />

와 같이 나타내었다.<br />

- 43 -


바. KTX 팬터그래프 집전판 분석<br />

그림 27에 KTX 운행 중 팬터그래프 집전판 현장 조사 사진을 나타내었다. 그림에서와<br />

같이 팬터그래프 집전판에 이선 아크로 인한 타흔의 흔적이 나타났으며 운행에 따른 마<br />

모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집전판은 가선에 접촉하여 습동하면서 집전하기 때문에 전기<br />

적인 특성 및 기계적인 특성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즉, 집전판은 도전성 및 집전 용량<br />

이 양호하고 상대마찰재인 가선을 마모시키지 않아야 하며 집전판 자신도 마모가 적고<br />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충격에 대한 기계적 강도도 커야하고 가선과 집전판의 이선<br />

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료의 집전판이<br />

개발되고 있다.<br />

그림 27. KTX 운행 중 팬터그래프 집전판 현장 조사 사진<br />

- 44 -


KTX 팬터그래프 집전판 분석 용 시편은 저속 다이아몬드 컷터로 절단하여 변형을 방<br />

지하였으며 분석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하였으며 IR을 이용하여<br />

미세상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집전판은 고속전철에 사용되는 집전판으로서 금속용침 카본<br />

계의 집전판이다. 집전부와 플레이트(plate)는 접합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집전부<br />

의 카본기지에 copper가 실처럼 들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28에서와 같이 노출된<br />

표면, 파단면A, 파단면B 모두 비슷한 상태로 확인되며 Cu/Graphite 복합체가 수십㎛ 이<br />

상의 macro 구조 나타났다. 특히 Graphite 소결 후 Cu 함침에 의한 제조 과정으로 판단<br />

된다. Cu 주변의 관찰해 보면 명암차이는 성분원소의 원자량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서<br />

연마 표면의 관찰 결과 macro pore의 관찰이 되지 않았다. 특히 Graphite의 소결이 매우<br />

치밀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큰 pore 부분에 Cu가 infiltration 된 것으로 사료되며<br />

Graphite의 소결 상태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Graphite의 경우 나노크기의 판상<br />

입자들이 배향성이 우수하게 잘 배열된 것으로 이는 graphite 생성 시에 잘 발달된 미세<br />

구조로 판단된다. 즉 잘 합성된 graphite 응집체 큰 입자를 이용하여 소결이 된 것으로<br />

판단되며 Cu는 연마 과정에서 생긴 무늬이며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IR 분석<br />

결과 특이한 피크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유기 성분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 제<br />

조 후 유기 성분의 함침 등은 전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br />

그림 28. KTX 팬터그래프 파단면 관찰 사진<br />

- 45 -


그림 29. KTX 팬터그래프 집전판 연마 표면 분석 SEM 이미지 (1)<br />

- 46 -


그림 30. KTX 팬터그래프 집전판 연마 표면 분석 SEM 이미지 (2)<br />

- 47 -


T%<br />

T%<br />

40<br />

30<br />

20<br />

10<br />

0<br />

40<br />

35<br />

30<br />

25<br />

20<br />

15<br />

10<br />

5<br />

0<br />

4000 3000 2000 1000 0<br />

wave number[cm-1]<br />

4000 3000 2000 1000 0<br />

wave number[cm-1]<br />

그림 31. KTX 팬터그래프 집전판 연마 표면 분석 IR 분석 결과<br />

- 48 -


3. 금속계 나노 입자와 탄소계 합성을 위한 복합재료 기술 조사<br />

집전판으로서의 신소재 연구 동향은 소결합금이나 카본계 재료 이외에, 신소재라 불리<br />

는 세라믹스와 탄소계 복합재료를 집전판에 적용하는 검토가 일본에서 이루어 진 것으로<br />

보고되었다. 탄소섬유로 짠 천을 성형하여 소성한 ‘탄소/탄소 복합재(C/C composite)‘는<br />

경량으로 내열성이 높고, 항공기의 브레이크재 등으로 실용되고 있다. C/C composite에<br />

동합금을 함침한 재료를 집전판에 적용하는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차량의 시험<br />

결과에서는 실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탄화 티탄(TiC) 등의 도전성 세라믹스는<br />

카본계 재료보다도 도전성, 기계적 강도에서 우수하여, 집전판으로 적용이 검토된 적이<br />

있다(표 7). 그러나 윤활성, 내 아크성 등이 부족하여 실용화되지는 않았다.<br />

표 7. 집전판으로의 적용이 검토된 새로운 재료의 특성<br />

함침 재료<br />

- 49 -<br />

밀도<br />

(g/cm³)<br />

휨 강도<br />

(MPa)<br />

저항률<br />

(μΩm)<br />

C/C composite + 동 티탄 합금 2.7 150 1.1<br />

탄화 티탄 + 흑연 (78TiC-22C) 3.8 272 1.36<br />

집전판의 성능향상을 위해서 복합재료를 사용한 기술을 조사하였다. 프랑스의 Carbon<br />

Lorraine Group의 경우 기존의 탄소계 재료에 금속 물질을 첨가하여 집전판의 강도 및<br />

저항을 감소시켜 집전성능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아래 표 8에서 금속 물질 성분 증<br />

가에 따른 복합재료의 평균적인 특성은 표 8에 정리 하였다.<br />

표 8. 집전판의 등급(모델)에 따른 평균 특성<br />

등 급 AR 129 P 5696 P 6252<br />

밀도 (g/㎤) 1.7 2.3 2.15<br />

면저항 (µΩ.㎝) 3,300 700 1,000<br />

휨 강도 (㎫) 40 85 60<br />

집전판 경도 85 90 85<br />

금속 함유율 (%) 0 20 25


1922년 JNR (Japanese National Railways)에서 완선한 팬터그래프 기술에서 중요한 요<br />

소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팬터그래프의 동적특성으로 전차선과의 접촉을 고속에서 유지<br />

하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전차선과 집전판의 마모 특성이다. 마모 특성의 경우 전차선<br />

과 집전판 모두의 마모를 줄임으로써 수명을 늘릴 수 있고 수명이 연장됨으로 유지보수<br />

비용을 절감 할 수 있게 된다. 일본의 JR East Group에서는 Carbon fiber reinforced<br />

carbon composite (C/C composite)물질로 집전판을 제작하여 실제 열차에 장착하여 기존<br />

의 집전판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2)[1] C/C composite 팬터그래프 집전판은 현재<br />

사용 중인 강철재질의 집전판 고정판을 사용하지 않고 집전판에 직접 볼트로 체결할 수<br />

있을 만큼의 강도를 가지고 있어서 표 9에서 보이다시피 팬터그래프 상단의 무게를 15%<br />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림 32는 C/C composite 집전판 구조 단면과 나사산이 형성된 모<br />

습의 이미지이다. 실제 팬터그래프에 장착한 모습은 아래 그림 33이다.<br />

표 9. 강철재질의 고정판과 C/C composite 집전판의 팬터그래프 상단의 무개 비교<br />

체결방법<br />

강정 고정판<br />

(현재 사용 중)<br />

Main strips<br />

(kg)<br />

- 50 -<br />

Auxiliary<br />

strips (kg)<br />

Pantograph<br />

head (kg)<br />

Total weight<br />

(kg)<br />

3.0 0.7 2.1 5.8<br />

볼트 체결 방식 2.0 1.2 1.8 5.0<br />

2) [Research and Development toward Wear Reduction of Current Collecting System]. JR EAST Technical<br />

Review-No.13, 50-54


그림 32. C/C composite 집전판 단면과 나사산이 형성된 모습<br />

그림 33. C/C composite로 제작된 집전판을 볼트 체결방식으로 팬터그래프에 장<br />

착한 사진<br />

C/C composite 집전판을 제작하여 기존 집전판과의 마모 특성을 실제 기차에 장착하<br />

여 마모정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10에서 보시다시피 두 기차에서 평균 10<br />

%이상의 마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집전판 대비 C/C<br />

composite 집전판 표면이 매끄럽다. 그림 34는 주행 테스트 후의 집전판 표면 이미지를<br />

나탄내었다.<br />

- 51 -


표 10. 집전판의 마모 정도 비교 (10,000 km 평균 마모 깊이)<br />

- 52 -<br />

A 기차 B 기차 set<br />

기존 집전판 (PC78) 0.93 mm 1.17 mm<br />

테스트 집전판<br />

(C/C composite)<br />

기존 집전판 대비 테스트<br />

집전판의 마모율<br />

0.86 mm 0.97 mm<br />

92.5 % 82.9 %<br />

전체 테스트 주행거리 65,380 km 57,390 km<br />

기존 집전판 (PC78) 테스트 집전판 (C/C composite)<br />

그림 34. 주행 테스트 후의 집전판 표면 이미지


그림 36. 집전판 온도 시험 (EN50405)<br />

1. carbon contact strip fixed, 2. vertical displacement, 3. change of length<br />

그림 37. 집전판 충격 시험 (EN50405)<br />

1. typical length of pendulum 1m, typical striking pin contact diameter 13 mm, 3.<br />

clamp, 4, carrier, 5. carbon<br />

- 54 -


시험 내용 (EN50405)<br />

Test for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br />

the carbon contact strip under rated<br />

current loading<br />

Test for deflection and extension of the<br />

carbon contact strip under extremes of<br />

temperature<br />

Test for flexural characteristic of the<br />

carbon contact strip<br />

Test of shear strength of the carbon<br />

aontact strip<br />

- 55 -<br />

Routine<br />

test<br />

Type test<br />

Sealing integrity ○ ○<br />

Temperature test ○<br />

Flow continuity ○ ○<br />

Impact function of the autodrop detection<br />

sensor<br />

Test of mechanical fatigue resistance of<br />

the carbon contact strip<br />

Test of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arbon<br />

contact strip<br />

표 11 국제 규격에의한 팬터그래프 집전판 시험 내용 (EN50405)<br />

○<br />

○<br />

○<br />

○<br />

○<br />

○<br />

○ ○


나. 집전판 성능검증 및 국외 기술 규격<br />

일반적으로 팬터그래프 집전판에는 전기회로소자로서 필요한 높은 도전성(낮은 저항률)<br />

팬터그래프가 전차선과 접촉 시에 필요한 높은 강도, 내마모성과 상대재(相手材: 전차선)<br />

를 마모시키지 않는 성질과 소모품으로서 필요한 경제성 표 12에 집전판 재료의 일본 규<br />

격사항을 나타내었다. 집전판 재료에 관한 일본 규격으로는, JIS E6301 '팬터그래프 집전<br />

판‘ 외에, JRS(일본국유철도규격)가 있었다. 이것은 이미 폐지되었으나, 내용의 많은 부분<br />

이 현재 JR 각 사의 집전판 사양서에도 실려있으며, 집전판에 요구되는 구체적 특성치를<br />

아는데 참고가 된다.<br />

표 12. 집전판 재료의 특성 (‘JIS E6301 팬터그래프 집전판’에 의함)<br />

종류 재료 단면형상<br />

- 56 -<br />

인장강도<br />

(MPa)<br />

샤르피(charpy)<br />

충격치 (J/cm²)<br />

저항률<br />

(μΩm)<br />

1종 소결합금 장방형(長方形) 150 이상 5 이상 0.4 이하<br />

2종 단체금속, 용해금속 장방형(長方形) 150 이상 5 이상 0.2 이하<br />

3종 탄소 삼각형, 대형 - - 40 이하<br />

용도 종별<br />

신칸센용<br />

1종(철계)<br />

2종(동계)<br />

인장강도<br />

(MPa)<br />

샤르피(charpy)<br />

충격치 (J/cm²)<br />

단단함<br />

(HB)<br />

저항률<br />

(μΩm)<br />

196 이상 9.8 이상 65~95 0.30 이하<br />

신칸센용(개량형) 철계, 동계 176 이상 9.8 이상 70~115 0.40 이하<br />

재래선용<br />

표 13. 집전판 재료의 특성(JRS에 의함)<br />

1종(동계) 196 이상 22.5 이상 50~60 0.23 이하<br />

1종(링동계) 176 이상 4.9 이상 60~75 0.30 이하<br />

2종(철계) 98 이상 1.9 이상 35~45 0.40 이하<br />

3종(동계) 215 이상 11.7 이상 55~65 0.34 이하<br />

재래선 한랭지용 1종, 2종 147 이상 6.9 이상 85 이하 0.30 이하


표13에 의하면, 재질에 따라서는, 인장강도, 샤르피(charpy) 충격치 등의 기계적 강도에<br />

서, 신칸센용 집전판보다도 재래선용 집전판의 규격치가 큰 것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배<br />

이상의 주행속도에서 사용되는 신칸센용 집전판 쪽이, 보통은 보다 큰 기계적 강도를 요<br />

구하는데 규격은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이것은 집전판의 규격이 집전판의 사용 조건에<br />

의한 것이 아니라 실용재로서 실적 있는 재료의 특성을 참고로 하였기 때문이다.<br />

다. KTX 고속용 팬터그래프 집전판 규격 분석<br />

팬터그래프 고속용 집전판은 300 km/h급으로 고속용에 적합하다. 국제 규격과 달리 국<br />

내 집전판 규격은 재질 등 다양한 면이 있다. 아래에 집전판 세부 내용을 나타내었다.<br />

(1). 적용 범위<br />

본 규격은 300km/h급 고속전철용 판토그라프 주습판(Main Strip)에 대하여 적용한다.<br />

(2). 필요 조건<br />

2.1. 재질<br />

주습판(Main Strip)의 재질은 카본을 주성분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만족하여야<br />

한다.<br />

2.1.1. 화학 성분<br />

2.1.2. 기계적 특성<br />

2.2. 형상<br />

재료 탄소(%) 구리(%)<br />

배합비율(%) 70 ~ 80 20 ~ 30<br />

구분 전기비저항(μΩm) 굴곡강도(MN/m 2 ) 겉보기밀도(g/cm 3 ) 경도(HS)<br />

성능 2 ∼ 12 40 ∼ 70 2.0 ∼ 2.75 75 ∼ 115<br />

형상은 승인된 도면에 따른다.<br />

2.3. 제조 및 가공<br />

주습판(Main Strip)은 품질이 균일하고 끝 마무리가 양호하며, 사용상 유해한 결함이<br />

- 57 -


없어야 한다.<br />

2.4. 성능<br />

주습판(Main Strip)은 사용장비에 장착하여 시험하였을 경우 성능 발휘 상 하자요인이<br />

없어야 하고, 기능 상 이상이 없어야 한다.<br />

(3). 검사 및 시험<br />

3.1. 검사<br />

3.1.1. 검사의 분류<br />

3.1.1.1. 외관 검사<br />

3.1.1.2. 치수 검사<br />

3.1.2. 검사 방법<br />

3.1.2.1. 외관 검사<br />

다.<br />

외관 검사는 육안 검사로 실시하고, 사용 상 해로운 흠, 녹, 오손 및 변형이 없어야 한<br />

3.1.2.2. 치수 검사<br />

치수 검사는 검사기준서에 의하여 각부의 치수를 측정하여 기준치에 적합하여야한다.<br />

3.2. 시험<br />

3.2.1. 시험의 분류<br />

3.2.1.1. 전기비저항 시험<br />

3.2.1.2. 굴곡강도 시험<br />

3.2.1.3. 겉보기 밀도 시험<br />

3.2.1.4. 경도 시험<br />

3.2.2. 시험 방법<br />

3.2.2.1. 전기비저항 시험<br />

제품자체를 가능한한 균일하게 하여 적당한 단자로 약 1㎏/㎠의 압력으로 길이 방향으<br />

로 물리고 약 1A/㎠ 전류밀도로 1AMP의 전류를 흘리고 잘 닦은 금속침으로 브러시 본<br />

체의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선상에 있어서 리드선부를 제외한전장의 50%이하(다만, 10㎝<br />

이상)에서 전압강하 V(Volt)를 내부저항 100Ω이상의 “미리 전압계”로 측정하여 전기비저<br />

항을 산출한다.<br />

3.2.2.2. 굴곡강도 시험<br />

성형기압의 방향이 두께 방향에 되도록 두께 10㎜, 폭 10㎜, 길이 60㎜의 시험편을 취<br />

- 58 -


(4). 품질 보증<br />

제작 상 결함으로 하자가 발생할 경우 신속히 조치하여야 한다. 단 소모품 교환 주기<br />

불이행 등 사용자의 취급 부주의에 의한 성능 저하는 제외된다.<br />

(5). 포장 및 표시<br />

5.1. 포장 재료<br />

1) 내부포장 : 비닐<br />

2) 겉포장 : 나무 상자<br />

5.2. 포장 방법<br />

취급이 편리하고 운반이나 보관 중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br />

5.3. 표시<br />

외부 포장의 잘 보이는 곳에 제작 회사명, 품명을 표시하여야 한다.<br />

- 60 -


(6). 검사 기준서<br />

[대 표 도]<br />

No 검사항목 검 사 기 준<br />

1 외관검사 사용 상 해로운 흠, 녹, 오손 및 변형이 없어야 한다.<br />

2 치수검사<br />

A 670(0,-1)mm<br />

B 35mm<br />

C 9mm<br />

D 30°<br />

E 15.6(+0.7,-0.3)mm<br />

3 재료시험 2.1항의 기준을 만족할 것.<br />

- 61 -


2. 프랑스, 일본 등 기술 선진국 집전판 성능 검증 방법 조사<br />

가. 마모에 따른 집전판 성능검증 기술과 메커니즘<br />

집전판의 성능검증에 대하여 일반적인 점검사항은 예상되는 사용 한도 및 교환 한도<br />

시점과 열악한 환경에서의 상태(예를 들면, 얼음, 눈, 비, 진눈깨비 등)이다. 그림 38에 집<br />

전판 마모 한도를 나타내었다. 양쪽 습판체의 마모는 평탄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만약 그<br />

렇지 않을 경우 평형 가이드바 조정상태 또는 집전헤드의 일부 품목 또는 평형 가이드<br />

바의 손상 여부를 점검 하여야 한다. 습판체의 마모가 아래 그림에서 표시된 두께 이하로<br />

내려갔을 경우 습판체는 교체되어야 한다.<br />

그림 38. 습판체 마모 한계선 표시도<br />

소모부품으로서의 집전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내마모성이다. 집전판의 마모 메카니즘<br />

은 전차선의 선종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상호 접촉에 따른 재료의 마모 요인으로 다<br />

음의 것들을 들 수 있다.<br />

① 재료의 조합<br />

② 압부(押付) 하중(접촉력) : 팬터그래프의 정적인 압상력 외에 주행 중의 동적 변동<br />

등<br />

- 62 -


③ 접동속도 : 차량의 주행속도에 해당<br />

④ 접동환경 : 빗물, 유지(油脂)와 진애 등의 접동면으로의 개재 등<br />

또한 전차선과 집전판의 집전에서는 통전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여기서는 트롤리선<br />

측을 동합금으로 한 경우의 집전판의 종류에 따른 마모기구를 정리하였다.<br />

(1) 금속계 집전판<br />

(가) 마모의 형태<br />

금속계 집전판에서는 응착마모(凝着磨耗)가 지배적이다. 트롤리선과 집전판의 접촉은,<br />

금속 상호의 접동에 통전이 가해진 것으로, 응착마모로의 통전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으로<br />

정리할 수 있다.<br />

(나) 마모의 요인<br />

압부(押付) 하중이 증가하면 마모는 증가하고, 접동 속도가 고속이 될수록 마모는 감소<br />

한다. 그림 39에 동계 소결합금 집전판(재래선용)과 철계 소결합금 집전판(신칸센용)의<br />

통전을 수반하지 않는 정치마모시험의 마모율의 속도 특성을 나타내었다.<br />

그림 39. 금속계 집전판 마모의 속도 특성<br />

- 63 -


(다) 통전의 영향<br />

통전의 영향은 접촉점에서의 접촉저항에 의한 줄 발열과 접촉이 떨어질 때(이선한 경<br />

우)의 아크 방전 발생으로 크게 나뉜다. 줄 발열에 의해 접촉점 부근에서는 온도가 상승<br />

하고 많은 경우 재료가 연화(軟化)하여 마모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한편 아크방<br />

전의 발생에서는 아크열에 의해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고 많은 경우 아크 근방의 재료는<br />

증발, 용융, 연화한다. 이것에 의해 마모는 증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br />

정치마모시험의 결과로부터 이선 아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과 같은 조건에서 접동한<br />

경우 집전판의 마모율은 아크 방전의 전기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통전의 영향으로서<br />

는 아크 방전의 발생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라 할 수 있다.<br />

(2) 카본계(탄소계) 집전판<br />

(가) 마모의 형태<br />

카본계 집전판에서는 카본이 주체이고, 카본 자체의 윤활성이 높고 동과의 사이에서 응<br />

착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금속계 집전판과 비교해 마모가 매우 적다. 카본의 마모에<br />

대해서는 전부터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명확히 말 할 수는 없지만 마찰열 등에<br />

의해 카본이 산화 소모하는 산화 마모와 트롤리선의 접동면의 미소한 거침에 의한 어브<br />

레시브 마모로 생각할 수 있다.<br />

(나) 마모의 요인<br />

카본은 압부(押付) 하중의 증가, 접동 속도의 고속화에 따라 마모가 증가한다. 금속을<br />

포함하는 카본계 집전판에서는 금속계 집전판과 마찬가지로 접동 속도가 낮아지면 마모<br />

가 커지는 경향도 볼 수 있다. 그림 40에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순 카본 집전판과 동합금<br />

을 함침한 카본계 집전판의 통전을 수반하지 않는 정치마모시험의 마모율의 속도 특성을<br />

나타내었다.<br />

- 64 -


(다) 통전의 영향<br />

그림 40. 카본계 집전판 마모의 속도 특성<br />

(통전 無, 정치마모시험에 의함)<br />

통전의 영향은 금속계 집전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촉점의 줄 열과 이선시의 아크열<br />

로 크게 나뉜다. 카본계 집전판에서는 열에 의해 카본의 산화 소모가 촉진되므로 통전에<br />

의한 줄 열, 아크열에 의해 마모는 증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금속을 포함하는 카본계<br />

집전판에서는 아크열에 의한 급격한 온도 상승에 의해 집전판 내부의 금속 입자의 증발,<br />

용융, 탈락과 카본의 급격한 산화 소모가 진행하여 마모는 증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br />

금속계 집전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치마모시험의 결과로는 이선 아크가 빈번히 발생<br />

하는 것과 같은 조건에서 접동한 경우 집전판의 마모율은 아크 방전의 전기량에 비례하<br />

여 증가하므로 통전의 영향으로는 아크방전의 발생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라 할 수 있<br />

다.<br />

(3) 집전판의 보수와 마모저감대책<br />

(가) 집전판의 마모 형상<br />

트롤리선에는 집전판의 일부분만이 마모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편위가 있는데, 집전판<br />

의 마모형상은 이 트롤리선의 편위의 분포에 대응하여, 트롤리선과의 접동 빈도가 높은<br />

부분만큼 마모량이 커진다.<br />

- 65 -


트롤리선의 편위는 궤도 중심에서 좌우 약 20cm 이내로 되어 있으며, 많은 팬터그래프<br />

panhead에서는 길이 27cm의 집전판을 2장 사용하여 주 집전판으로 하므로 트롤리선의<br />

접동은 주 집전판의 범위내로 제한된다. 그러나, 곡선 구간과 선구에 따라서는 트롤리선<br />

이 정상적으로 주 집전판의 범위를 일탈하여 보조 집전판을 접동하는 경우가 있다. 보조<br />

집전판에는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또 알루미늄 합금의 내마모성은 소결<br />

합금 집전판과 카본계 집전판의 수십분의 1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제 보조<br />

집전판이 비정상적으로 마모하는 경우가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panhead 절단 사고에<br />

이르는 경우도 있다.<br />

(나) 외부 윤활<br />

금속계 집전판에서는 응착 마모를 방지함에 따라 집전판・트롤리선의 마모를 저감할<br />

수 있다. 응착 마모 방지에는 글리스와 고형 윤활제(왁스)가 효과가 있다. 글리스는 충전<br />

(充塡)한 장소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트롤리선으로의 부착양이 감소하고 효과가 있는 것<br />

은 기지(基地)로부터 약 20km정도의 범위 내라 할 수 있으며 1970년대부터는 보다 효과<br />

적인 거리가 긴 고형 윤활제가 사용되고 있다. 고형 윤활제는 그림 41에 제시한 바와 같<br />

이 소결합금 집전판 사이에 끼워 사용된다.<br />

고형 윤활제의 사용에 따라 집전판과 트롤리선의 마모는 약1/2로 감소하였다고 보고되<br />

었는데, 한편 집전판 간격 폭 파장의 트롤리선 파상 마모의 원인이라 여겨진다.<br />

(다) 집전판 재질의 개량과 마모저감대책<br />

차량의 고속화와 보수 경비 저감을 위해 집전판 재료에는 더욱 내마모성 향상이 요구되<br />

어진다. 차량의 고속화와 팬터그래프 삭감에 따라, 집전 전류 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br />

선 아크에 의한 집전판의 손모(損耗)도 심해지고 있다. 때문에, 현재 집전판 재질의 개량<br />

에서는 내 아크성 향상이 중요해졌다. 한편 트롤리선의 마모 저감을 위해 집전판의 윤활<br />

성 향상도 중요한 과제이며, 카본계 집전판의 사용도 그 해결책 중 하나이다.<br />

또, 앞으로는 신칸센에서의 접동음과 아크음 등 소음과 전파 잡음의 저감 등 환경에의<br />

배려도 재질 개량을 하는데 고려할 필요가 있다.<br />

- 66 -


표 14. 통전 마모 시험기에 의한 전차선 집전판 측정항목<br />

측정항목<br />

전차선<br />

디스크<br />

- 68 -<br />

집전판<br />

이송속도 접촉력<br />

DAQ<br />

회전수(속도) ○ ○ ○<br />

온도 ○ ○ ○<br />

접촉력 ○ ○<br />

전압 ○ ○<br />

전류 ○ ○<br />

시험시간 ○<br />

그림 42. 전차선 집전 마모 시험 결과 예


그림 43. 통전마모시험기 형상 및 세부 사진 (a) 마모시험기 전체형상,<br />

(b) 전차선 설치 디스크(전면), (c) 집전판 조립체(강압력 인가장치 부<br />

분), (d) 통전 마모 시험기 사진<br />

그림 44. 집전판-전차선간 통전마모시험 개념도<br />

- 69 -


3. 나노기술 적용된 팬터그래프 집전판 성능검증 방안 세부사항 도출<br />

본 연구의 최대 핵심은 기존의 철도재료기술에 NT를 접목하여 열차 운행의 효율향상<br />

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시도로 판단된다. 특히 본 연구를 수행하는 한국철<br />

도기술연구원이 자체적으로 재료의 물리적,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평가할 수 lT는 체계<br />

를 갖추고 있으며, 실용화를 위한 운행 중 시험도 가능하므로 연구수행 주체로서 역량이<br />

크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재료의 합성과 실용화를 대비해 Metal-doped Carbon의 후보<br />

금속으로 좀더 다양한 금속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전기적 특성에 대한 시험 분석도 추<br />

가 연구 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추후 실용화 추진 시 bulk재료의 제작 및 특성<br />

평가를 위해 국내 관련 연구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표 15에 팬터그래<br />

프 집전판 성능검증 방안 세부사항을 도출 하였다.<br />

성능검증사항 세부내용 관련규격<br />

Type Test, Routine<br />

Test<br />

재료 분석<br />

전기적 특성<br />

기계적 특성<br />

통전 마모시험<br />

표 15. 팬터그래프 집전판 성능 검증 사항<br />

온도변화에 따른<br />

재료의 성질, 치수,<br />

팽창, 편향 등<br />

제질, 재료의<br />

화학적량 등<br />

전기비저항 및<br />

누설전류<br />

굴곡강도, 겉보기<br />

밀도, 경도시험<br />

전차선과의 접촉시<br />

마모 기구 및<br />

온도변화에 대한<br />

시험<br />

- 70 -<br />

EN50405<br />

국제 및 국내규격<br />

국제 및 국내규격<br />

국제 및 국내규격<br />

일본규격<br />

연구 실용적 기술은 실제 사용가능한 Full scale모델을 제작하여 실제 차량에서 상승<br />

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습판의 경우 전


기 집전성능뿐만 아니라 중량을 줄이는 부분이 집전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하므로 본 연구<br />

에서 획득한 결과를 이용하여 실용화 하는 기술은 중량가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br />

다. 실선에서 특성 시험 시에는 별도의 EN 50317 및 국내규격에 의거 성능검증을 수행하<br />

여야 하며 한국 철도기술연구원이 보유한 전차선로 시험기를 이용 아크 및 동특성 등을<br />

평가할 필요가 있겠다. 표 16에 실용화를 위한 성능검증 내용과 세부 개발 목표사항을 나<br />

타내었다. 표에서와 같이 EN50405등 국제 규격에 따른 시험이 필요하며 실용화를 위해<br />

400km/h급에서 다양한 평가 시험이 필요하겠다. 실용화 특성은 세부적으로 Resistivity<br />

(uΩm) : 1-2 , Temperature rise of contact wire : 50℃ 이하, Maximum speed : 400<br />

km/h, Wear rate : 3.5 – 5 [mm/104km] 및 20% downsizing 이다.<br />

표 16. 성능검증 내용과 세부 개발 목표사항<br />

특성항목 요구특성<br />

경도 75 ∼ 115 HS<br />

3점 굽힘강도 85~120<br />

전기비저항 1 ∼ 2 μΩm<br />

굴곡강도 40 ∼ 70 MN/m2<br />

겉보기밀도 2.0 ∼ 2.75 g/cm3<br />

단위 접촉 길이당 집전량 17.2~19 A/mm<br />

플레이트 재질 알루미늄 합금<br />

- 71 -


그림 45. 전차선로 시험기 사진 및 형상<br />

- 72 -


제 4절 탄소-금속 나노 복합체 효율적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br />

1. Sputtering법을 이용한 탄소-금속 상관관계 기초 연구<br />

가. 스퍼터링 방식으로 나노금속 밀도를 조절한 탄소레이어 시편 제작<br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나노금속을 도핑한 탄소레이어를 팬터그래프 집전판에 적용하기<br />

위한 다양한 공정 변수에 따른 제작 기법 연구<br />

그림 46. 나노코팅을 적용한 팬터그래프 개략도<br />

나. 제작 공정 변수 계획수립 및 자료수집<br />

나노금속 조성법에 관한 연구 자료를 충분히 조사하여 나노금속 조성이 탄소레이어의<br />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한다. 또한 나노금속이 조성된 탄소레이어의 선행기<br />

술을 조사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방향을 유도한다. 기초 자<br />

료 수집을 통하여 합리적인 연구 계획을 도출하도록 한다.<br />

다. 나노금속 종류에 따른 탄소레이어 제작 변수 기초 연구<br />

집전판에 나노금속(W, Ni, Cr, Mo)을 조성한 탄소레이어의 나노 Composite 기법을 유<br />

- 73 -


도하여 나노금속을 함유한 탄소레이어 제작을 위한 기초 기술을 확보하도록 한다. 기본적<br />

으로 RF magnetron sputtering 장비를 사용한 나노 코팅 기술을 바탕으로 나노 금속 함<br />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실험 조건을 확보하도록 한다. 탄소레이어에 금속 함유량을 달리한<br />

제작의 다양한 변수 기초 연구.<br />

라. 나노 금속의 종류, 밀도에 따른 제작 변수 기초 연구<br />

각각의 공정 조건으로 나노금속의 함유량을 달리한 샘플을 제작하고, 나노금속 즉, 나노<br />

파티클의 크기 차이를 가지는 탄소레이어 제작기법을 연구한다. 또한 나노 파티클의 종류<br />

변화와 함께 밀도의 차이를 갖도록 제작기법을 연구하도록 한다.<br />

그림 47. 금속의 종류와 밀도에 따른 영향 조사<br />

마. 나노금속이 포함된 탄소레이어의 재료적 분석 방법 제시<br />

탄소레이어에 함유시킨 나노금속의 크기 및 밀도에 따른 특성 조사를 위하여 탄소레이<br />

어 분석 방법을 재료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본 과제에 제시하도록 한다. 탄소레이어의<br />

특성 분석을 위해 FE-SEM 미세이미지 분석, Nano-indenter, adhesion test 등의 기계적<br />

특성 분석, XRD, XPS 등의 광학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탄소레이어의 특성 분석을 한다.<br />

바. 실험방법<br />

- 74 -


본 논문에서 사용한 RF magnetron Sputtering 시스템은 그림 5와 같이 co-sputter가<br />

가능하도록 두 개의 전극이 있고, 각 전극에 고주파 발생 전원부가 있어 13.56 ㎒의 주파<br />

수를 가진 고주파 전원이 매칭 네트워크를 통해 전극에 고정된 타겟에 공급된다. 챔버 내<br />

부에 주입된 Ar 가스 분위기와 전극에 주입된 전원으로 인해 플라즈마가 발생하여 타겟<br />

의 물질이 기판(Si wafer) 위에 증착하게 된다.<br />

시편 제작을 위해 (100) 방향의 P형 실리콘(Si) 웨이퍼를 TCE -> Acenton -> Methyl<br />

Alcohol -> DI Water 순으로 각 10분간 초음파 세척을 하였으며, Si 웨이퍼 위에 생긴<br />

자연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HF용액과 DI Water를 1:10 비율로 희석한 DHF에서 45초<br />

간 식각한 후 DI Water로 N2 가스로 건조하여 시편 제작을 위한 샘플을 준비하였다. 실<br />

험한 증착공정변수의 범위는 표 과 같은 범위에서 실험을 하였다.<br />

(a)<br />

- 75 -<br />

(b)<br />

그림 48. RF magnetron sputtering 장비 개략도


(a) (b)<br />

Target<br />

Carbon(C)+Metal<br />

Metal=W,Mo,Cr,N<br />

i<br />

- 76 -<br />

Target<br />

Carbon(C)+Metal<br />

Metal=W<br />

Substrate Si wafer Substrate Si wafer<br />

T-S distance (cm) 9 T-S distance (cm) 9<br />

RF power (W)<br />

Carbon:150,<br />

Metal:40<br />

RF power (W)<br />

Carbon:150,<br />

Metal:20~50<br />

Ar gas (sccm) 40 Ar gas (sccm) 40<br />

Rotation (rpm) 28.3 Rotation (rpm) 28.3<br />

Based pressure<br />

(Torr)<br />

Working pressure<br />

(Torr)<br />

Film Thickness<br />

(nm)<br />

표 17. 나노금속이 포한된 탄소레이어 증착공정변수<br />

1x10 -5<br />

10 m<br />

100<br />

Based pressure<br />

(Torr)<br />

Working pressure<br />

(Torr)<br />

Film Thickness<br />

(nm)<br />

2.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른 탄소레이어 특성 기초 연구<br />

가. 나노금속의 크기에 따른 탄소레이어의 특성분석<br />

1x10 -5<br />

10 m<br />

100 nm 두께로 증착된 나노금속이 함유된 탄소레이어의 미세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해<br />

FE-SEM 분석장비로 단면/표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림 47에 (d) Ni-C의 표면 입자가<br />

상대적으로 다른 물질에 비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br />

제작한 시편의 탄소레이어에 함유된 나노금속의 성분량을 측정하기 위해 EDS 분석을<br />

실시하였으며 같은 공정으로 증착하였으나 그림 50과 같이 각 물질별로 성분량이 다르며<br />

100


(d) Ni-C의 성분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다.<br />

그림 49. 금속 종류에 따른 SEM Image 단면/표면<br />

(a) Mo-C, (b) Cr-C, (c) W-C, (d) Ni-C<br />

- 77 -


그림 50. EDS analysis (a) Mo-C, (b) Cr-C, (c) W-C, (d) Ni-C<br />

그림 51은 XPS depth profile 데이터로 제작된 시편의 표면으로부터 식각하며 각 시간<br />

별로 증착된 물질의 성분량을 검출하였다. Ni-C경우에는 금속의 함량이 80%정도로 많은<br />

금속이 함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br />

제작된 시편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기 위해 AFM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그림<br />

52와 같이 전반적으로 surface roughness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Ni-C의 박막이 가<br />

장 낮은 surface roughness 값을 나타내었다.<br />

- 78 -


그림 51. XPS analysis - depth profile<br />

- 79 -


그림 52. AFM analysis<br />

그림 53. AFM analysis - surface roughness<br />

- 80 -


그림 54는 AFM 분석 장비의 FFM mode로 측정한 데이터로 박막의 표면 마찰계수를<br />

측정한 결과 W-C 박막이 가장 낮은 표면 마찰계수를 나타내었다.<br />

Scratch test 결과 나노금속이 함유된 탄소레이어중 그림 55-56과 같이 W-C 박막이<br />

9.9 N의 Critical load로 접착강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br />

그림 54 . FFM analysis - friction coefficient<br />

- 81 -


그림 55. Scratch test- adhesion<br />

그림 56. Scratch test- Critical load<br />

- 82 -


각 박막의 경도의 세기의 결과에서는 그림 57에 나타난 바와 같이 Ni-C 박막이 가장<br />

높은 것으로 나오나 SEM Image와 EDS, XPS 분석결과에서 나타내듯이 Ni 금속의 많은<br />

함량으로 인해 금속에 가까운 박막이 형성된 것으로 보아 경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추측<br />

된다. W-C 박막 또한 상대적으로 큰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br />

함유된 나노금속의 종류에 따른 탄소레이어 박막의 특성 분석 결과 Hardness는 Ni-C<br />

박막이 우수하였지만 전반적으로 W-C 박막의 경우 가장 우수한 기계적인 특성을 나타<br />

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텅스텐 함량에 따른 W-C 박막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br />

다.<br />

Hardness (GPa)<br />

22<br />

20<br />

18<br />

16<br />

14<br />

12<br />

Mo-C Cr-C Ni-C W-C<br />

그림 57. Nanoindenter - Hardness<br />

- 83 -


나. 나노금속의 밀도에 따른 탄소레이어의 특성분석<br />

나노금속 종류에 따른 실험과 마찬가지로 100 nm 두께로 고정하고 텅스텐의 전압 값<br />

을 변화해가며 함량을 조절하였다. 그림 58에 미세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해 FE-SEM 분<br />

석장비로 단면/표면 분석을 실시하였다.<br />

그림 58. Tungsten Power 변화에 따른 SEM Image 단면/표면<br />

(a) 20 W, (b) 30 W, (c) 40 W, (d) 50 W<br />

제작한 시편의 탄소레이어에 함유된 텅스텐의 성분량을 측정하기 위해 EDS 분석을 실<br />

시하였으며 텅스텐의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그림 59와 같이 텅스텐의 함량이 증가하는<br />

것을 알 수 있다.<br />

- 84 -


그림 60. XPS analysis - depth profile<br />

그림 61과 62에 AFM 분석 결과 텅스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W-C 박막의 surface<br />

roughness 값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br />

FFM mode로 마찰계수를 측정한 결과 그림 63과 같이 텅스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br />

마찰계수도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br />

- 86 -


그림 61 AFM analysis<br />

그림 62 AFM analysis - surface roughness<br />

- 87 -


그림 63. FFM analysis - friction coefficient<br />

Scratch test를 통한 접착강도 측정의 경우 그림 64-65와 같이 텅스텐 함량이 증가함에<br />

따라 강도가 강해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50 W에서 10.1 N Critical load로 가장 높은 값<br />

을 나타내었다.<br />

경도도 그림 66과 같이 텅스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가 강해짐을 알 수 있다.<br />

- 88 -


텅스텐 함량에 따른 W-C 박막의 특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텅스텐 함량이 증가함에 따<br />

라 표면 마찰계수는 증가하나 박막의 adhesion과 hardness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br />

다.<br />

그림 64. Scratch test- adhesion<br />

- 89 -


Hardness (GPa)<br />

그림 65. Scratch test- Critical load<br />

22<br />

20<br />

18<br />

16<br />

14<br />

12<br />

10<br />

8<br />

6<br />

20 30 40 50<br />

RF Power of Tungsten Target (W)<br />

그림 66. Nanoindenter - Hardness<br />

- 90 -


3. 실용화를 위한 금속입자의 특성별 로드맵 제시 및 구현 가능성 연구<br />

팬터그래프 집전판에 나노 금속을 이용한 집전성능 향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br />

Sputtering법을 이용한 탄소-금속 상관관계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br />

시험은 집전판에 나노금속(W, Ni, Cr, Mo)을 조성한 탄소레이어의 나노 Composite 기<br />

법을 유도하여 나노금속을 함유한 탄소레이어 제작을 위한 기초 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br />

기본적으로 RF magnetron sputtering 장비를 사용한 나노 코팅 기술을 바탕으로 나노<br />

금속 함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실험 조건을 확보하였다. 특히 탄소레이어에 금속 함유량을<br />

달리한 제작의 다양한 변수 기초 연구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나노금속<br />

이 함유된 탄소레이어의 박막을 100 nm 두께로 고정하여 실험하였다. 나노금속의 종류에<br />

따른 탄소레이어의 특성분석 결과 W-C 박막이 가장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AFM<br />

surface roughness 값은 1.42 nm, 마찰계수는 0.475, 접착강도는 9.9 N, 경도는 18.41 GPa<br />

로 다른 금속에 비해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Ni 금속의 함량이 많아 Ni-C 박막의 경도<br />

특성이 높게 나오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텅스텐 함량에 따른 W-C<br />

박막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텅스텐의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EDS, XPS의 텅스텐의<br />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마찰계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접착강도와 경도 특성이<br />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텅스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AFM surface roughness 값은<br />

감소하였다.<br />

이상을 정리하여 보면 Scratch test를 통한 접착강도 측정의 경우 W, Ni, Cr, Mo 중<br />

텅스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강해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10.1 N Critical load로<br />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경도도 텅스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가 강해짐을 알 수<br />

있었으며 텅스텐 함량에 따른 W-C 박막의 특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텅스텐 함량이 증<br />

가함에 따라 표면 마찰계수는 증가하나 박막의 adhesion과 hardness가 증가하는 경향을<br />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W-doped Carbon 박막의 특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텅스텐 함량이<br />

증가함에 따라 표면 마찰계수는 증가하나 박막의 adhesion과 hardness가 증가하는 경향<br />

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 기술은 텅스텐을 이<br />

용하여 구현 하여야 하나 기술 분석 결과 함침소재가 Cu 금속 이므로 추가 시험을 통해<br />

Cu와 W간의 기술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과제에서는 이를 위하여 추가 시험을<br />

수행하였으나 박막 상태에서 Cu금속 자체의 성질을 잘 나타내지 못하므로 벌크 형태로<br />

W를 비교 평가하는 역순이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u는 연성(ductility)이<br />

우수하므로 후속 과제가 수행된다면 W와의 비교를 통해 내구성, 내충격성등을 비교 검<br />

- 91 -


토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탄소 벌크체등에 Mo, Cr, W, Ni 등의 금속첨가제의 클러스터<br />

사이즈가 몇 nm인지 등 사이즈 파악 및 제시가 필요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벌크형식의<br />

집전판 샘플제작이 필요하므로 후속과제 수행 시에는 이를 구현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br />

한 본 연구에서 획득한 W를 이용한 탄소결합 기술을 실용화 시에 W금속은 WC로 증착<br />

시 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Melting Point가 높아 함침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적용의 측<br />

면에서는 더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막 상태의 표면처리 수준에서 사용<br />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나노 기술 적용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br />

아이디어 도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br />

그림 67에 나노기술 이용 철도시스템 에너지 효율 및 성능향상 향상 원천기술 개발 로<br />

드맵을 나타내었다. 먼저 탄소-나노간 합성기술을 W와 Cu를 이용하여 확보한 이유 탄소<br />

세라믹 제조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겠다. 이후 Micro size에서 복합화 및 혼<br />

합동시 소결 등 나노 금속 입자가 도핑된 탄소세라믹 제조 기술 확보가 필요하며 실질적<br />

인 벌크사이즈의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가 필요하다. 이후 국제 규격 등에 따른 특성 평<br />

가를 거쳐 실용화 기술을 확보하고 나노-철도간 타 분야 융합을 위한 카본-금속간 결합<br />

복합체, 코팅 원천기술, 나노 도료, anti-dust, self-cleaning, 차량 경량화 나노<br />

Composite, 고기능, 경량성 부품 및 진동감소 원천기술 등 다양한 융합기술 확보가 필요<br />

하겠다.<br />

- 92 -


그림 67. 나노기술 이용 철도시스템 에너지 효율 및 성능향상 향상 원천기술 개발 로드맵<br />

- 93 -


그림 68에 나노 금속을 이용한 탄소 구조체 실용화 방향을 나타내었다. 그림에서와 같<br />

이 Micro size에서 복합화를 시도하고 세라믹 혼합 동시에 소결을 시도 하는 것이 좋겠<br />

다. 또한 Graphite 판상의 나노 배열 제어와 CNT, Multi-layer 구조 적용 등 다양한 기<br />

술 실현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그림 69에 실용화를 위한 성능검증 내용과 세부 개발 목<br />

표사항을 나타내었다. 그림에서와 같이 EN50405등 국제 규격에 따른 시험이 필요하며 실<br />

용화를 위해 400km/h급에서 다양한 평가 시험이 필요하겠다. 실용화 특성은 세부적으로<br />

Resistivity (uΩm) : 1-2 , Temperature rise of contact wire : 50℃ 이하, Maximum<br />

speed : 400 km/h, Wear rate : 3.5 – 5 [mm/104km] 및 20% downsizing 이다.<br />

그림 68. 나노 금속을 이용한 탄소 구조체 실용화 방향<br />

- 94 -


제 5절 결론<br />

나노융합기술은 나노기술 발달과 함께 21세기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과학기술로서 미<br />

세가공기술을 기반으로 나노 크기의 물질이 새로운 물리·화학적 기능을 갖도록 하는 기<br />

술이며, 의료산업, 정밀기계산업, 우주항공산업, 환경 및 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기<br />

술영역을 구축하고, 고도의 경제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필수적인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br />

또한 나노신소재 기술은 임계성능구현, 초고효율 에너지 산업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br />

필수 핵심소재이며, 나노융합산업은 나노기술을 타산업에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br />

미래 유망 산업이다.<br />

최근 철도기술은 속도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점진적으로 극복하고 각 시스<br />

템의 기능 향상이 가능한 나노융합 기술을 적용한 전기철도 핵심 부품 성능향상 이 가능<br />

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1세기 철도 선진국으로의 성장동력과 새로운 비전을 포함한<br />

철도와 신기술간의 융합기술 개발 필요하므로 철도시스템의 연구개발 모델을 바꾸기 위<br />

해 신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연구개발 비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T (Nano<br />

Technology) 신기술의 철도 적용 선행 연구를 통해 전기철도에 적합하고 세계시장 선점<br />

이 가능한 NT 기반 철도융복한원천기술의 가능성 타진하는 것이다. 특히 속도 향상에<br />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각 시스템의 기능 향상이 가능한 나노융합 기술을<br />

적용한 전기철도 핵심 부품 성능향상 하는 것이다.<br />

철도기술은 녹색 원천 기술로 현재 연구 연구개발과 설비구축 및 고속철도 건설과 운<br />

영 등 세계적으로 확대 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철도시스템은 지속적인 속도향상을 위해<br />

연구개발 중에 있고 이에 따른 다양한 한계 기술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나노기술을 철<br />

도시스템에 접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고 본 연구를 통하<br />

여 나노기술의 철도시스템 접목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고 사료된다. 또한 철도시<br />

스템은 건설, 역사, 궤도, 토목, 전기, 전자, 통신 등 다양한 시스템의 기술이 복합된 융합<br />

기술로 본 기술은 상기 각 시스템 간의 새로운 접목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 하였으며<br />

향후 나노기술이 철도시스템의 각 분야에 적극 활용되고 연구될 것으로 기대된다.<br />

본 연구는 나노 코팅 및 나노기술을 전기철도 집전기와 전철 시스템의 적용을 통해 관<br />

련 부품(팬터그래프 집전판 등)의 성능․내구성․효율 향상 및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원<br />

천 기초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연구로 1. 팬터그래프 집전판 나노기술 적용을 위한 요<br />

소기술 분석, 2. 나노기술 적용한 집전판의 성능 검증 방안 연구 및 3. 탄소-금속 나노<br />

- 96 -


복합체 효율적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를 100% 달성하였으며 현재의 기회요인인 나노와<br />

철도간의 융합으로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결론을 얻었다.<br />

팬터그래프 집전판 나노기술 적용을 위한 요소기술 분석은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기<br />

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및 특허 조사를 수행하였다. 특히 일본 등 기술 선진국의 특허기술<br />

과 복합체를 이용한 C/C composite에 동합금을 함침한 재료를 집전판에 적용하는 기술<br />

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팬터그래프 집전판 금속계, 탄소계 및 탄소․금속 합금계 분<br />

석하여 각 집전판의 제조기술과 각 단계별 결정질의 구조 등 세부적인 기술을 조사하고<br />

이를 분석하였다. 금속계 나노 입자와 탄소계 합성을 위한 복합재료 기술 조사에서는 복<br />

합체를 이용할 경우 기존 집전판 대비 성능향상에 대하여 구체적인 기술 조사와 분석을<br />

수행하였다. 나노기술 적용한 집전판의 성능 검증 방안 연구에서는 EN 및 국제 규격에<br />

의한 집전판 성능 검증 기술을 분석하였으며 프랑스, 일본 등 기술 선진국 집전판 성능<br />

검증 방법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나노기술 적용된 팬터그래프 집전판 성능검증 방안<br />

세부사항 도출하였다. 탄소-금속 나노 복합체 효율적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는<br />

Sputtering법을 이용한 탄소-금속 상관관계 기초 연구를 수행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br />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른 탄소레이어 특성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텅스텐 함량<br />

에 따른 W-doped Carbon 박막의 특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텅스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br />

표면 마찰계수는 증가하나 박막의 adhesion과 hardness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br />

또한 Doping metal의 종류와 함량에 따른 전기적인 특성 분석과 Cu-doped Carbon, pure<br />

Carbon 박막과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NT-doped Carbon 층의 합성과 특성을 비교<br />

하여 실용화를 위한 금속입자의 특성별 로드맵 제시 및 구현 가능성 연구를 수행하였다.<br />

세부적으로는 나노금속이 함유된 탄소레이어의 박막을 100 nm 두께로 고정하여 실험하<br />

였다. 나노금속의 종류에 따른 탄소레이어의 특성분석 결과 W-C 박막이 가장 좋은 특성<br />

을 나타내었다. AFM surface roughness 값은 1.42 nm, 마찰계수는 0.475, 접착강도는 9.9<br />

N, 경도는 18.41 GPa로 다른 금속에 비해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Ni 금속의 함량이 많<br />

아 Ni-C 박막의 경도 특성이 높게 나오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텅<br />

스텐 함량에 따른 W-C 박막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텅스텐의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br />

EDS, XPS의 텅스텐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마찰계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br />

접착강도와 경도 특성이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텅스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AFM<br />

surface roughness 값은 감소하였다.<br />

본 과제는 과제의 성격이 원천적이며 도전적이므로 1년의 연구기간으로는 다소 부족한<br />

- 97 -


사항이 있었다. 이를 위해 향후 5년 이상의 기초적이며 도전적인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할<br />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연구되어야할 연구 내용과 목표는 다음과 같다.<br />

1. 카본-금속간 결합을 이용한 탄소구조체 성능향상 원천기술 연구<br />

- 필요성 : 카본-금속간 결합 기술은 철도시스템의 집전판, 브레이크 시스템, 도전성이<br />

필요한 탄소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분야가 있다. 특히 원천기술 개발 시에는 금속간의 결<br />

합이 필요한 전극시스템에 광범위하게 활용이 가능하여 관련 기술의 필요성이 크다.<br />

-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 기술에 대해서는 향후 지속 연구 시 Cu 금속 첨가에 대한<br />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국외 특허 조사 결과 집전판 함침 소재의 경우 대<br />

부분 Cu 금속을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본 과제에서는 Cu 관련 기술을 조<br />

사하기 위하여 Cu 타겟을 이용 추가 시험을 수행하였으나 나노 결정 구조에는 다소 어<br />

려움이 있었으나 과제 종료 이후에도 자체적인 추가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br />

Cu는 연성 (ductility) 이 우수하므로 후속 과제가 수행된다면 W와의 비교를 통해 내구<br />

성, 내충격성 등을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탄소 벌크체등에 Mo, Cr, W, Ni 등<br />

의 금속첨가제의 클러스터 사이즈가 몇 nm인지 등 사이즈 파악 및 제시가 필요하겠다.<br />

이를 위해서는 벌크형식의 집전판 샘플제작이 필요하므로 후속과제 수행 시에는 이를 구<br />

현해야할 필요가 있다.<br />

- 또한 본 연구에서 획득한 W를 이용한 탄소결합 기술을 실용화 시에 W금속은 WC<br />

로 증착 시 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Melting Point가 높아 함침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적<br />

용의 측면에서는 더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막 상태의 표면처리 수준에<br />

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나노 기술 적용을 위한 다양한<br />

분야의 아이디어 도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br />

- 본 연구의 최대 핵심은 기존의 철도재료기술에 NT를 접목하여 열차 운행의 효율<br />

향상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시도로 판단된다. 특히 본 연구를 수행하는 한<br />

국철도기술연구원이 자체적으로 재료의 물리적,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평가할 수 lT는<br />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실용화를 위한 운행 중 시험도 가능하므로 연구수행 주체로서 역<br />

량이 크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재료의 합성과 실용화를 대비해 Metal-doped Carbon의<br />

후보 금속으로 좀 더 다양한 금속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전기적 특성에 대한 시험 분<br />

석도 추가 연구 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추후 실용화 추진 시 bulk재료의 제작<br />

및 특성평가를 위해 국내 관련 연구기관 과의 협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br />

- 98 -


- 연구 실용적 기술은 실제 사용가능한 Full scale모델을 제작하여 실제 차량에서 상<br />

승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습판의 경우<br />

전기 집전성능뿐만 아니라 중량을 줄이는 부분이 집전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하므로 본 연<br />

구에서 획득한 결과를 이용하여 실용화 하는 기술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br />

으로 사료된다.<br />

- 공정적 측면에서는 chemical vapor deposition(CVD) 또는 atomic layer deporition<br />

(ALD)에 의한 graphene의 성장 공정을 구리와 같은 금속 표면에 적용할 수 있는<br />

graphene을 형성 공정을 개발하고 표면에 형성된 graphene이 나타내는 hardness,<br />

contact resistivity, resistivity, kinetic friction coefficient 등의 물성을 측정하여 기존의<br />

기술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Graphene 공정 기술의 개발 과정이 필요<br />

하며, 여기서 여러 가지 원천기술들이 도출된 것이 기대된다. Graphene의 work function<br />

이 4.66 eV임을 고려하여 두 전극 사이의 contact resistance를 줄이기 위한 구리(4.7eV)<br />

와 같은 적절한 금속 제안이 가능하므로 이상과 같은 원천 기술 창출이 가능하겠다. 또한<br />

1nm정도의 얇은 코팅막은 graphene과는 달리 graphene oxide는 덩어리 물질로 형성가능<br />

하다. Graphene oxide는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쉽게 형성되며, 산소의 량을 조절하여 금<br />

속에 가까운 낮은 저항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flexible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다.<br />

Polymer로 encapsulation 하여 flexible 선형소재로 개발이 가능하다.<br />

- Cr의 경우 hardness가 모스경도계 기준 8.5이므로 구리선에 코팅할 경우 내마모성<br />

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rO2로 산화될 경우에도 CrO2(half-metal)는 아<br />

주 좋은 전도체이ㅡ로 산화에 대한 문제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Cr의 경우 PVD에 의<br />

해 쉽게 코팅할 수 있으며, 처음부터 CrO2를 코팅 층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precursor<br />

로 Cr2O3를 사용하고 410의 온도에서 CVD방법에 의해 균일한 박막의 형성이 가능하다.<br />

Cr의 work function이 4.5eV임을 고려하여 두 전극 이외의 contact resistance를 줄이기<br />

위한 구리(4.7eV)과 같은 적절한 금속을 제안할 수 있다.<br />

- 소재의 평가에 있어서 기계적인 응력에 따른 전기적, 기계적 물성들의 변화 연구가<br />

필요하겠다. 또한 금속powder와 carbon nanoyube, graphene nanosheet, carbon<br />

nanocrystal등의 carbon nanomaterial들의 composite 공정을 개발하고 이 공정에 의해 얻<br />

어진 nanocomposite들이 갖는 기본 물성들을 조사한다. 금속 powder의 경우 생산 단가를<br />

낮추기 위해서 적절한 금속의 선택을 선택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사전 연구결과들을 참<br />

고 해야 할 것을 사료된다. 이 nanocomposite은 외부에서 주어진 기계적 에너지를 grain<br />

boundary에서 소산시키는 효과를 주어 소음저감 소재로의 가능성을 나타낼 것으로 사료<br />

- 99 -


된다. 또한, carbon 소재를 함유시켜 경량화를 가져올 것이 기대된다. Conduction atomic<br />

force microscope(CAFM)을 이용한 나노 영역에서 전기적 특성을 관찰하고 표면 형상에<br />

의존하는 contact resistivity의 상관관계를 연구가 필요하겠다.<br />

2. 카본-금속간 결합 나노 코팅 원천기술 및 특성향상 개발<br />

- 카본 코팅기술 관련은 Carbon nanotube를 무한히 길게 뽑아내어 실의 형태로 형성<br />

시키는 공정은 이미 계발되어 있으며, 이 공정을 wire형태의 소재에 이용할 경우, 금속선<br />

표면을 graphene으로 코팅하는 공정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이 기술은 금속선 표면의<br />

hardness, contact resistivity, resistivity, kinetic friction coefficient를 동시에 향상시킬<br />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기존의 동선의 경우와는 달리 graphene이 코팅이 된 경우 팬터<br />

그래프의 metalized carbon 소재와의 contact resistivity를 줄일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br />

Graphene의 work funcion resistance를 줄이기 위한 구리(4.7eV)와 같은 적절한 금속을<br />

제안할 수 있다. 소재의 평가에 있어서 기계적인 응력에 따른 전기적, 기계적 물성들의<br />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br />

- 자기세정 코팅 막으로 TiO2박막을 애자의 표면에 형성시킬 경우 애자표면의 오염<br />

을 줄일 수 있다. TiO2박막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RF sputtering과 같은<br />

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한 공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균일한 두께를 갖는 대<br />

면적 박막의 형성을 이해서는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의 사용이 요구된다. TiO2<br />

박막이 갖는 rutile, anatese 상의 형성에 따른 물리적 특성의 조적과 nanocrystal 형태로<br />

형성시킬 크기의 조절에 의한 band gap, photocatalytic activity, contact angle of water<br />

등을 측정이 필요하겠다.<br />

- 나노 기술을 철도시스템의 집전시스템 효율화 이외에 접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나<br />

노기술을 철도의 핵심부품에 적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애자의 노화<br />

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분자막(SAM Lyaer)를 코팅함으로 공정을 단순화하고 낮<br />

은 가격에 대량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이번 철도시스템에 적용될 나노<br />

기술은 철도시스템이 요구하는 경량화와 운송시스템의 효율화에 초점을 두는 것이 필요<br />

하다. 따라서 철도시스템 뿐만 아니라 현재 나노기술이 어떻게 철도에 적용이 가능한지를<br />

검색하고 이를 랩 테스트하는 나노핵심기술을 도출해야 한다. 이와 관련된 핵심기술은 이<br />

상과 같이 응용 및 원천기술 연구가 가능하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r />

- 100 -


가. 카본-금속간 결합을 이용한 탄소구조체 성능향상 원천기술 연구<br />

나. 카본-금속간 결합 나노 코팅 원천기술 및 특성향상 개발<br />

다. 폴리머 특성향상을 위한 나노 기술이 전용된 anti-dust, self-cleaning 기술<br />

라. 중량의 배전부품을 경량화하기 위한 나노 전도물질 혹은 절연물질 개발<br />

마. 미려한 철도 외관 장식을 위한 나노도료 개발<br />

바. 기계적 내구성 및 유연성 향상을 위한 나노 composite기술 개발<br />

사. 고용량, 경량형 철도 차량용 나노 기술이 포함된 battery 개발<br />

바. 철도시스템 나노기술 적용을 위한 탐색 연구<br />

(1) 나노 자기세정 코팅을 이용한 전철용애자 등 적용 타당성 연구<br />

․ 나노코팅 적용에 따른 정량적 성능 향상 모델 도출<br />

․ 나노 코팅된 전철용 지지애자 시제 Sample 제작<br />

․ Sputtering법을 이용한 나노 코팅된 애자 효율적 제조 모델 도출<br />

(2) 나노 내마모 코팅을 이용한 철도시스템 내구성/수명향상 타당성 연구<br />

․ 철도 시스템 나노 Composite 적용 기술 연구<br />

․ 내구성/수명 향상을 위한 철도 부품 성능향상 제조 모델 도출<br />

(3)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철도시스템 경량화 및 성능 향상 적용 타당성 연구<br />

․ 철도시스템 나노 Composite를 적용 가능 제조 모델 도출<br />

․ 실용화를 위한 로드맵 구현, 특성 및 성능향상 방안 도출<br />

(4) 나노 소음저감 코팅을 이용한 철도 집전시스템 인터페이스 분야 타당성 연구<br />

․ 소음저감을 위한 재료적 특성 향상 기술 연구<br />

․ 소음저감 인터페이스 적용을 위한 제조방안 도출<br />

- 101 -


그림 70. 팬터그래프 나노기술 적용 연구<br />

- 102 -


본 연구는 나노 코팅 및 나노기술을 전기철도 집전기와 전철 시스템의 적용을 통해 관<br />

련 부품(팬터그래프 집전판 등)의 성능․내구성․효율 향상 및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원<br />

천 기초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연구로 다음과 같은 목표를 100% 달성하였다.<br />

1. 팬터그래프 집전판 나노기술 적용을 위한 요소기술 분석<br />

2. 나노기술 적용한 집전판의 성능 검증 방안 연구<br />

3. 탄소-금속 나노 복합체 효율적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br />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내용 연구범위<br />

팬터그래프 집전판<br />

나노기술 적용을<br />

위한 요소기술 분<br />

석<br />

-팬터그래프 집전판 제조기술의<br />

국내외 연구동향 및 특허 조사<br />

-팬터그래프 집전판 금속계, 탄소<br />

계 및 탄소․금속 합금계 분석<br />

-금속계 나노 입자와 탄소계 합성<br />

을 위한 복합재료 기술 조사<br />

나노기술 적용한 -프랑스, 일본등 기술 선진국 집<br />

집전판의 성능 검 전판 성능 검증 방법 조사<br />

증 방안 연구 -나노기술 적용된 팬터그래프 집<br />

전판 성능검증 방안 세부사항<br />

탄소-금속 나노<br />

복합체 효율적 제<br />

조를 위한 기초 연<br />

구<br />

표 18. 연구개발 목표, 내용 및 연구범위의 달성도<br />

-EN 및 국제 규격에 의한 집전판<br />

성능 검증 세부내용 분석<br />

도출<br />

-Sputtering법을 이용한 탄소-금<br />

속 상관관계 기초 연구<br />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br />

른 탄소레이어 특성 기초 연구<br />

-실용화를 위한 금속입자의 특성<br />

별 로드맵 제시 및 구현 가능성<br />

연구<br />

- 103 -<br />

-독일, 일본, 프랑<br />

스 연구동향 및<br />

특허 분석<br />

-국내외 기술조사<br />

-성능검증 방안 도<br />

출<br />

-국제규격 분석<br />

-기존기술 차별성<br />

분석<br />

-기술로드맵 작성<br />

-구현가능성도출<br />

-개념특허․SCI논<br />

문<br />

목표달성<br />

도<br />

100%<br />

100%<br />

100%


그림 71. 연구 주요 실적 및 내용<br />

본 연구는 현재의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표면 거칠기 및 기계적 강도 등을 획기적으로<br />

향상할 수 있는 전기철도 집전시스템 원천기술 및 次세대 세계 전기철도 집전시스템 시<br />

장 선점을 위한 기술 개발로 개발 성공 시에 세계 철도시장에서의 원천기술 등 다양한<br />

기술 선점이 가능하다. 또한 철도시스템은 건설, 역사, 궤도, 토목, 전기, 전자, 통신 등 다<br />

양한 시스템의 기술이 복합된 융합기술로 본 기술은 상기 각 시스템 간의 새로운 접목이<br />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 하였으며 향후 나노기술이 철도시스템의 각 분야에 적극 활용되고<br />

연구될 것으로 기대된다.<br />

기술적 측면으로는 집전판에 나노기술 적용 시 기존의 집전판과는 달리 표면 거칠기<br />

향상 및 기계적 강도 획기적 향상 등 다양한 효과 및 성능향상과 전차선의 마모감소, 아<br />

크감소의 효과 기대 된다. 팬터그래프-전차선로 사이의 집전성능은 열차의 속도향상을<br />

위하여 확보해 야 할 중요 성능지표이다. 그러므로 전차선로 신선 건설 혹은 개량시 안전<br />

법에 따라서 전차선로의 집전성능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br />

실정이며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전기철도 집전시스템 원천기술 확보 및 次세대 세계 전기<br />

철도 집전시스템 시장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나노기술과 철도시스템간의<br />

- 104 -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으로 신시장 창출 및 기술 실용화 효과 기대 되며 특히 급증하는<br />

국내 및 국외의 전기철도 수요를 효율적 에너지기술 활용을 위한 융합원천기술 개발과<br />

실용화 기술 확보로 신산업창출과 글로벌 기술시장 선도가 가능하여 관련분야의 큰 기여<br />

가 기대된다.<br />

경제적․산업적 측면은 신성장동력 분야로 다기능화 되어가는 나노소재기술 개발의 철<br />

도시스템 적용으로 신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노 융합된 집전기술 및<br />

부품기술 개발로 집전핵심 부품 및 팬터그래프 등 수입품 국산화 등을 교체할 경우 집전<br />

설비의 에너지효율향상과 전차선로 아크․마모 감소로 전력사용량 및 유지보수 비용감소<br />

효과 ( 3% 집전효율․유지보수비용 향상 시 연 100억원 감소효과 : 철도공사 2008년 기<br />

준)이 기대되며 집전판 국산화 시 수입대체 약 40억/년 효과 기대 ((( KTX + KTXII<br />

Pantograph 200기 + KTXII 도입 및 예비분) × 집전판 8개/기 × 교체시기 6개/year + 지<br />

하철 Pantograph 2000기)) × 500천원) 이 기대된다.<br />

나노신소재 기술은 임계성능구현, 초고효율 에너지 산업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 필<br />

수 핵심소재이며, 나노융합산업은 나노기술을 타산업에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br />

래 유망 산업으로 속도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점진적으로 극복하고 각 시스템<br />

의 기능 향상이 가능한 나노융합 기술을 적용한 전기철도 핵심 부품 성능향상이 가능하<br />

며 현재까지의 철도시스템의 핵심 부품을 획기적으로 성능향상 시키는 획기적으로 바꿀<br />

수 있는 신기술 창출 기대 되어 관련분야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br />

-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신소재 철도시스템 적용 시 약 40% 경량화 기대<br />

- 나노 내마모 기술 철도 적용 시에 수명향상 기대<br />

- 나노 자기세정 코팅 철도 적용 시에 유지보수 감소와 부품성능 향상 기대<br />

- 나노 소음저감 코팅을 이용한 철도 인터페이스 분야 소음 절감효과 기대<br />

ㅇ 신소재․나노융합 분야 핵심기술 철도적용기술 조기 확보 기대<br />

- 소재산업은 수출 15.3%, 고용 12.6%, 생산 16.7%를 차지하고 나노융합산업은 ’14<br />

년 2조6천억불의 세계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br />

* 국내 나노기술 국제 경쟁력은 미국, 일본, 독일에 이은 세계 4위 수준 (’07년)<br />

- 105 -


◦ 본 연구과제는 원천 기술개발로 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본 연구에서 수행하여 이에 대<br />

한 효과 등이 결과로 나올 경우 즉시 산업체․운영기관과 연계하여 실용화 및 시범적용<br />

기술 개발<br />

◦ 기업들이 투자를 조기에 감행(Early Action)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및 현재 300km/h급<br />

의 집전시스템을 400km/h 이상으로 향상하는 기술의 조기 확보<br />

◦ 본 연구는 기술료 사업으로 본 연구 수행결과 도출된 연구결과와 특허 등을 활용하여<br />

실용화 하도록 하고 기업체에 기술을 이전하여 기술료 기반의 연구가 되도록 함<br />

▸ 팬터그래프 집전판 성능향상 기술의 국내원천기술보유로 관련 기술을 기업체에 기술<br />

이전하고 연구완료와 동시에 기술이전 공동연구를 수행하도록 함<br />

▸ 철도공사-도시철도운영기관-철도시설공단-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다자간 협력으로 현<br />

재 프랑스․일본․독일 위주의 팬터그래프 집전판을 국산화 하도록 시범적용 연구 수행<br />

▸ 현재 금속계와 탄소계 집전판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신기술 개발로 세계 시장 선점․<br />

수출기대<br />

◦ 각 분야에 실용화 결과가 구체적으로 획득될 경우 한연산 협조를 통하여 구체적 방안<br />

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 후에 기술 개발 추친<br />

ㅇ 나노신소재 기술은 임계성능구현, 초고효율 에너지 산업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br />

필수 핵심소재이며, 나노융합산업은 나노기술을 타산업에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br />

미래 유망 산업<br />

ㅇ 속도향상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한계를 점진적으로 극복하고 각 시스템의 기능 향상이<br />

가능한 나노융합 기술을 적용한 전기철도 핵심 부품 성능향상<br />

ㅇ 현재까지의 철도시스템의 핵심 부품을 획기적으로 성능향상 시키는 획기적으로 바꿀<br />

수 있는 신기술 창출 기대<br />

-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신소재 철도시스템 적용 시 약 40% 경량화 기대<br />

- 106 -


- 나노 내마모 기술 철도 적용 시에 수명향상 기대<br />

- 나노 자기세정 코팅 철도 적용 시에 유지보수 감소와 부품성능 향상 기대<br />

- 나노 소음저감 코팅을 이용한 철도 인터페이스 분야 소음 절감효과 기대<br />

ㅇ 신소재․나노융합 분야 핵심기술 철도적용기술 조기 확보 기대<br />

- 소재산업은 수출 15.3%, 고용 12.6%, 생산 16.7%를 차지하고 나노융합산업은 ’14년<br />

2조6천억불의 세계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br />

* 국내 나노기술 국제 경쟁력은 미국, 일본, 독일에 이은 세계 4위 수준 (’07년)<br />

그림 72. 철도시스템과 NT융합기술 확보<br />

- 107 -


종 류 기술 요약<br />

미국공개특허<br />

2008-095694<br />

미국공개특허<br />

2006-071862<br />

미국특허<br />

5,589,652<br />

일본공개특허<br />

2007-124789<br />

일본공개특허<br />

2002-180105<br />

탄소 나노 튜브와 같은 것과 집합체의 어레이와 반데르발스력과 같은<br />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함께 홀딩되는 탄소-계 미시 구조를 사용한 광<br />

범위 탄소계 응용<br />

전도성 수지기반의 재료는 베이스 수지 호스트에서 금속 섬유 또는 도<br />

금된 파이버 금속의 마이크론 도전성 분말, 전도성 섬유 또는 전도성<br />

입자와 전도성 섬유의 조합을 포함하는 철도시스템을 위한 전기 연결장<br />

치<br />

세라믹 초정밀 입자 및 고체 윤활제 입자 또는 고체 윤활제 짧은 사이<br />

즈 파이버는 분산시키며, 여기에서 상기 세라믹 초정밀 입자의 평균 입<br />

자 크기가 200nm이하이고, 상기 짧은 사이즈 파이버의 상기 고체 윤활<br />

제 입자 또는 중간 직경의 평균 입자 크기가 0.25에서 10.mu.m의 범위<br />

로 하는 ceramic-particle dispersed 금속부재를 사용한 팬터그래프 집<br />

전판<br />

동, 또는 동의 소결합금을 재료로 하는 금속과 카본 나노 튜브의 복합<br />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범위 탄소계 응용<br />

양도전성의 금속가루 및 소선경 0.05~0.3mm,길이 2~10mm의 양도전성<br />

금속 섬유의 총화가 중량비에서35~70%, 잔부를 탄소가루로 하는 재료<br />

로, 금속가루와 금속섬유의 총화에 대한 금속 섬유의 비율이 중량비로<br />

5~20%로어느 재료를 혼합 후, 가압 성형해, 그 성형체를 비산화성 분위<br />

기중에 있어 성형 체내로부터 금속이 용해되는 범위의 고온으로 소결<br />

하는 탄소계 집전판 제조방법<br />

일본공개특허 탄소기재에, 복합재료의 전중량에 대해 1~70 중량%의 비율이 되는 티<br />

- 109 -


2000-281446<br />

일본공개특허<br />

평08-033110<br />

일본공개특허<br />

평08-308012<br />

일본공개특허<br />

평08-104960<br />

논 문<br />

논 문<br />

탄과 복합재료의 전중량에 대해 1~75 중량%의 동함유율이 되는 동 또<br />

는 구리합금이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판터그래프의 집전판<br />

Cu:0.5~3중량%, Ni:2~6중량%, Mo:0.1~2중량%, 를 함유 해, 나머지<br />

가 Fe 및 불순물로부터 되는 조성을 가지는 기공율:10~30%의 Fe기소<br />

결합금에, Cu 또는 Cu합금을 용침하는 동용침 Fe기소결합금으로 구성<br />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및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동용침<br />

Fe기 소결합금제의 팬터그래프용 집전판<br />

전철선에 접접한 집전판(5)와 shoe(6)를 일체형성하고 집전판과 배의<br />

모재를 공통의 도전부재로 형성함과 함께、산화알미늄 등의 화재를 함<br />

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의 집전주<br />

분산상 형성 성분으로서 TiB2 and/or ZrB2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br />

5~20%, 분산상 형성 성분으로서 ZrN, MoSi2, TaC and WC중에서 1종<br />

또는 2종 이상:5~20%, 분산상 형성 성분으로서 BN, MnS, MnO2 가<br />

운데 1종 또는 2종이상:0. 1~5%, 소지 형성 성분으로서 Ni, Cu, 및<br />

Mn 가운데1종 또는 2종 이상:0. 1~7%,를 함유 해, 나머지가 같은 소<br />

지 형성 성분으로 서의 Fe와 불순물로부터 조성을 가지는 Fe기소결합<br />

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Fe기 소결합금제의 팬터그래프용 집<br />

전판<br />

Nobuyuki Yokoyam, "Research and Development toward Wear<br />

Reduction of Curent Collecting System", JR EAST Technical<br />

Review-No.13, 50-54.<br />

A. COLLINA, S. MELZI, "Effect of contact strip-Contact Wire<br />

Interaction on Current Transfer at High Sliding Speed in the<br />

Mid-High Frequency Range", AITC-AIT 2006 International<br />

Conference on Tribology 20-22 September 2006, parma, Italy.<br />

논 문 Shunichi KUBO, "Wear Tester for Curremt Collecting Materials for<br />

- 110 -


논 문<br />

논 문<br />

규 격<br />

규 격<br />

규 격<br />

High Speed Railway", Railway Technology Avalanche No. 6,<br />

September 1, 2004.<br />

"C/C Composite Material for Pantograph's Contact Strips", Railway<br />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2010.<br />

CARBONE LORRAINE, "Carbon sliding contacts for main line,<br />

suburban and urban transit systems"<br />

BS EN 50405:2006, "Railway applications-Current collection<br />

systems-Pantographs, testing methods for carbon contact strips"<br />

2002(Railway applications current collection systems- Requirements<br />

for and validation of measurements of the dynamic interaction<br />

between pantograph and overhead contact line, 2002)<br />

UIC799 OR(Characteristics of ac overhead contact systems for<br />

high-speed lines worked at speeds of over 200km/h, 2002).<br />

- 111 -


연구수행<br />

기관<br />

한밭대학교<br />

산학협력단<br />

연구기자재 및 연구시설명 규 격 수량 활용용도<br />

RF magnetron sputter 대 1 나노금속 합성 장치<br />

Chiller 대 1 합성 장치 냉각수 공급<br />

Desiccator Cabinet 대 1 샘플 보관 장치<br />

전자 제습 장치 대 1 샘플 보관 장치<br />

절연시험기 대 1 절연성 테스트<br />

절연저항 측정기 대 1 절연저항 측정<br />

접지저항 측정기 대 1 접지저항 측정<br />

초음파 세척기 대 1 초음파를 통한 샘플 세척<br />

Hot plate & Current Source 대 1 기판의 열 흡착<br />

Fume hood 대 1 실험실 가스, 연기 배출<br />

전류계 대 1 전류 측정<br />

진공증착기 대 1 금속 및 비금속 증착<br />

건조오븐 대 1 고온의 건조 장치<br />

전원공급기 대 1 AC/DC 가변전압 공급<br />

항온항습기 대 1 온되 및 습도 조절 장치<br />

Spin Coater 대 1 기판 코팅 장치<br />

팬터그래프 정적시험기 대 1 집전판 접촉력/동작시험<br />

팬터그래프 내구성시험기 대 1 팬터그래프집전판내구시험<br />

- 112 -<br />

비<br />


한국철도<br />

기술연구원<br />

팬터그래프 동적시험기 대 1 팬터그래프집전판가진시험<br />

전차선로/집전계 주행특성<br />

시험기<br />

- 113 -<br />

대 1<br />

주행중<br />

전철용애자<br />

집전판시험<br />

3차원측정기 대 1 철도용품 치수측정<br />

팬터그래프 집전판 마모시험기 대 1 팬터그래프 집전판 마모<br />

전자현미경 & X선 성분분석기 대 1 형상, 성분 분석<br />

진동시험기 대 1 부품 충격, 진동시험<br />

염수분무가스부식 시험기 대 1 유기피막 성능평가<br />

X선 잔류응력 측정 시스템 대 1 잔류응력<br />

만능재료시험기 대 1 인장, 압푹, 휨


[1] Jaeho Hwang, Dongho, "Investigation on Severe Aerodynamic Load Condition<br />

about Pantograph", KSME conference paper (2001) 1-6.<br />

[2] Kubo. S, Tsuchiya. H, "Recent Developments in the Installation of Carbon Contact<br />

Strips on Pantograph Head", QR of RTRI 45(4) (2004) 184-189.<br />

[3] T.Kitagawa, K. Nagakura, "Aerodynamic Noise Generated by Shinkansen Cars", J<br />

of Sound and Vibration 231(3) (2000) 913-924.<br />

[4] B Schulte-Werning, "Research of European railway operators to reduce the<br />

environmental impact of high-speed trains", Proc. Instn Mech. Engrs, 217 Part F:<br />

J. Rail and Rapid Transit. (2003) 249-257.<br />

[5] 김병기, “나노금속분말재료의 특성 및 응용현황,” 재료마당, 제14권, 7호, (2001)<br />

45-57.<br />

[6] W. Precht*, A. Czyzniewski, "Deposition and some properties of carbide/<br />

amorphous carbon nanocomposites for tribological application", Surface and<br />

Coatings Technology 174-175 (2003) 979-983.<br />

[7] 강남현, 채현병, 김준기, 최종하, 김정한, "재생 초경합금 분말을 활용한 금속기지 복<br />

합재료의 Abrasion 마모거동", 한국재료학회지 13(12) (2003) 850-854.<br />

[8] Nobuyuki Yokoyam, "Research and Development toward Wear Reduction of Curent<br />

Collecting System", JR EAST Technical Review-No.13, 50-54.<br />

[9] A. COLLINA, S. MELZI, "Effect of contact strip-Contact Wire Interaction on<br />

Current Transfer at High Sliding Speed in the Mid-High Frequency Range",<br />

AITC-AIT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ibology 20-22 September 2006,<br />

parma, Italy.<br />

[10] Shunichi KUBO, "Wear Tester for Curremt Collecting Materials for High Speed<br />

Railway", Railway Technology Avalanche No. 6, September 1, 2004.<br />

[11] "C/C Composite Material for Pantograph's Contact Strips", Railway Technical<br />

Research Institute, 2010.<br />

[12] CARBONE LORRAINE, "Carbon sliding contacts for main line, suburban and<br />

urban transit systems"<br />

[13] BS EN 50405:2006, "Railway applications-Current collection systems-Pantographs,<br />

- 114 -


주 의<br />

1. 이 보고서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시행한 2010년 기술료 사업의 연구보고서<br />

입니다.<br />

2. 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하는 때에는 반드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시행한 사업의<br />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br />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하거나 공개하여서<br />

는 아니됩니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