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6.10.2014 Views

264 ❚ 2013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43집 성하여 ‘슈퍼 문화의 집’을 만들었던 것이다. 대중들은 조르주 퐁피두 문 화센터라는 슈퍼 문화의 집을 통해 비로소 문화의 현대화를 접할 수 있 었다. 퐁피두 문화센터는 프랑스문화정책의 역사에 있어 과거와 현대를 구분 짓는 결정적 의미를 갖는다. 퐁피두 문화센터를 세웠던 경험이 오 르세 박물관, 빌레트 산업과학전시관, 바스티유 오페라, 대루브르 공사 등 자크 랑 시대의 그랑 트라보로 확대되었다. 퐁피두 문화센터는 일종 의 현대 프랑스문화의 매트릭스가 되어 교육부나 대학 이외의 경로를 통 해 문화의 민주화 정책을 실현하는 경로가 되었다. 또한 퐁피두 문화센 터는 도서관, 박물관, 시청각실, 영화관 등 여러 문화예술 분야가 공존함 으로써 문화의 경계를 허물고 공존하는 시대를 열었다. 이처럼 문화영역에 있어서 경계 허물기와 분화 과정은 자크 랑 시대 문화시스템의 주된 경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클로드 몰라르의 문화시스템도표를 통해 보면, 자크 랑 시대의 예술가 그룹은 강베타나 말로의 시스템보다 더욱 분화하여 예술가는 창조자 그 룹으로 확대되어 흡수된다. 예술가가 창조자 그룹에 흡수되면서 마이너 예술과 메이저 예술의 구분은 없어지게 되었다. 순수 예술 분야와 공예, 패션, 산업디자인, 사진, 그래픽 아트, 록 음악, 등 모든 분야가 창조자 그룹이 되었다. 대중도 분화하였다. 대중은 단순한 소비자나 교양 있는 엘리트가 아니 라 다양한 층위의 대중으로 분화되어 엘리트, 전문 직업인, 아마추어, 다 수의 대중, 문화예술의 잠재적 대중에 속하는 보통 대중 등 다수의 법칙 과 다양성의 요구로 특징되는 대중이 존재한다. 그러나 작크 랑 시대의 문화정책은 그랑 트라보의 사업에서 학인할 수 있듯이 대중의 분화에 맞 춘 수요 중심의 정책보다 공급 위주의 문화정책에 집중되었다. 중개자 그룹도 분화하여 대학의 역할은 약해지고 미디어와 시청각 복 합체가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말로 시대의 신문 기자들처럼 랑 시대 에는 시청각 방송매체의 중개자가 전면에 부상하여 문화부 장관의 확성 기 역할을 담당하였다.

클로드 몰라르의 프랑스문화시스템도표를 통해 본 프랑스문화정책의 변천과 문화국토개발 ❚ 265 결정권자 그룹도 분화하여 ‘정치경제문화복합체 14) ’가 구성되고 문화산 업이 전면에 부상하게 된다. 특히 민간기업의 메세나가 문화산업에 적극 가담하여 영화, 출판, 패션 등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반면 국가는 분권 화에 더 집중하게 된다.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보조금 subvention을 분배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급격히 중요해졌다. 자크 랑의 문화시스템에서 문화시장은 문화정책과 동시에 발전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프랑스문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랑의 문화시스템은 미국식 시장시스템과 프랑스식 국가개입이 혼재하는 혼합 체제의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프랑스문화 고유의 특징인 문화정책의 영 향력은 점차 약하게 되었다. 푸아리에가 지적하고 있듯이 자크 랑 이후 의 문화정책의 쇠퇴는 문화 민주화가 허용한 대중문화, 즉 수적 증가에 기초한 문화시장의 확대와 무관하지 않다 15) . 역설적으로 앙드레 말로 이 후 문화정책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문화 민주화가 문화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문화정책의 쇠퇴를 예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중의 변화는 랑 시스템에서 가장 주목할 요소이다. 전위 적 현대 문화예술에 반감을 갖는 전통적 중개자인 아카데미와 대학은 융 통성 있는 신아카데미를 내세워 지성과 감수성에 호소하지만 문화정책은 문화시장의 발전과 지방자치의 발전에 집중되었다. 그리고 중개자의 변 화와 무관하게 대중은 점점 성숙하여 중개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판단하 고 결정하는 쪽으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예술교육의 문제가 랑 이후에 새롭게 중요해진다. 대중은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창조자가 되고자 하 기 때문이다. 14) Cf. 'Complexe économique-politique-culturel'. 15) Philippe Poirrier, L'Etat et la Culture en France au XXe siècle, p. 165.

클로드 몰라르의 프랑스문화시스템도표를 통해 본 프랑스문화정책의 변천과 문화국토개발 ❚ 265<br />

결정권자 그룹도 분화하여 ‘정치경제문화복합체 14) ’가 구성되고 문화산<br />

업이 전면에 부상하게 된다. 특히 민간기업의 메세나가 문화산업에 적극<br />

가담하여 영화, 출판, 패션 등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반면 국가는 분권<br />

화에 더 집중하게 된다.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보조금 subvention을<br />

분배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급격히 중요해졌다.<br />

자크 랑의 문화시스템에서 문화시장은 문화정책과 동시에 발전하는데<br />

이러한 현상은 프랑스문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랑의<br />

문화시스템은 미국식 시장시스템과 프랑스식 국가개입이 혼재하는 혼합<br />

체제의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프랑스문화 고유의 특징인 문화정책의 영<br />

향력은 점차 약하게 되었다. 푸아리에가 지적하고 있듯이 자크 랑 이후<br />

의 문화정책의 쇠퇴는 문화 민주화가 허용한 대중문화, 즉 수적 증가에<br />

기초한 문화시장의 확대와 무관하지 않다 15) . 역설적으로 앙드레 말로 이<br />

후 문화정책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문화 민주화가 문화시장의 발전과<br />

더불어 문화정책의 쇠퇴를 예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br />

마지막으로 대중의 변화는 랑 시스템에서 가장 주목할 요소이다. 전위<br />

적 현대 문화예술에 반감을 갖는 전통적 중개자인 아카데미와 대학은 융<br />

통성 있는 신아카데미를 내세워 지성과 감수성에 호소하지만 문화정책은<br />

문화시장의 발전과 지방자치의 발전에 집중되었다. 그리고 중개자의 변<br />

화와 무관하게 대중은 점점 성숙하여 중개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판단하<br />

고 결정하는 쪽으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예술교육의 문제가 랑 이후에<br />

새롭게 중요해진다. 대중은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창조자가 되고자 하<br />

기 때문이다.<br />

14) Cf. 'Complexe économique-politique-culturel'.<br />

15) Philippe Poirrier, L'Etat et la Culture en France au XXe siècle, p. 165.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