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0.2014 Views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클로드 몰라르의 프랑스문화시스템도표를 통해 본 프랑스문화정책의 변천과 문화국토개발 ❚ 261<br />

무의미해져 창조자 그룹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대하였고 문화예술을 소비<br />

하는 대중 또한 교양 있는 대중이 아니라 소비산업의 소비자처럼 폭발적<br />

으로 늘어났다. 앞서 문화시스템에서 살펴본 대중의 수적 증가의 원리는<br />

말로 시스템의 가장 큰 변화를 유도했다. 말로의 시스템은 수적 팽창의<br />

원리에 따라 예술시스템에서 문화시스템으로의 이행이 발생했고 수의 법<br />

칙에 순응하는 문화 민주화 démocratisation culturelle가 시스템의 핵심<br />

정책이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결정권자-중개자’가 구축하는 문화정책의<br />

축은 문화 민주화의 실현을 위해 더 큰 역할을 맡게 되었다. 말로는 이른<br />

바 문화라는 현대적 종교의 대주교가 되었던 것이다. 중개자 그룹도 문<br />

화 민주화를 기초하는 수의 법칙에 호응한다. 중개자는 제 3공화국과 달<br />

리 저널리즘의 기자와, 전통적인 대학이나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크게 두<br />

부류로 나뉜다. 기자들은 비평이 아니라 문화 대주교 말로의 대변인 또<br />

는 확성기의 역할을 맡음으로써 스스로의 영향력을 새롭게 드높였다. 왜<br />

냐하면 중개자 그룹 역시 다수의 창조자와 다수의 대중을 매개하면서 문<br />

화 대주교의 위업을 대대적으로 부각시켜 스스로 미디어의 정치적 영향<br />

력을 넓혔던 것이다. 반대로 대학과 아카데미의 역할은 전달매체와 내용<br />

의 비대중적 특성으로 인해 영향력이 점차 감소하였다.<br />

그러나 앙드레 말로의 꿈은 68혁명과 더불어 실패하기에 이른다. 문화<br />

에 국가 차원의 행정 개념을 부과하여 문화를 민중의 손에 쥐어주고자<br />

했던 대주교의 꿈은 바로 그 민중들에 의해 실패했던 것이다.<br />

말로의 문화부는 제 3공화국의 문화정책과 달리 교육부의 미비점을 보<br />

완하면서 탄생되었다. 말로는 문화예술교육과 문화 민주화의 근본적 상<br />

관관계를 이해하지 못한 채, 교육을 역사적이고 추상적인 이성의 활동이<br />

라고 보았다. 말로가 문화부를 교육부에서 독립시킨 것은 문화활동을 이<br />

성보다 감수성의 영역에, 그리고 교육보다 감정적 교류에 속한다고 보았<br />

기 때문이었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