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6.10.2014 Views

120 ❚ 2013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43집 장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대화가 끝난다. 결국 루뭄바의 몰락은 클레망 음봉이 지적하듯이 표면적으로는 “보통 감탄할만하고 존중할만한 이상들” 17) 을 제시하지만 실제 갈등 현장에서 실현이 되지 않는 목적을 제 시하며 이중적인 태도를 갖는 국제기구의 활동에 기인한다. 따라서 생-존 페르스의 시를 인용한 세제르의 의도는 제3세계에서 활동하는 유엔에 대 한 부정적 풍자이면서 동시에 시 바람에 나오듯이 정복자의 입장에서 아메리카의 역사를 보는 백인 생-존 페르스에 대한 거부감의 표시이다. 세제르는 자신의 사상과 반대점에 위치한 생-존 페르스의 시를 자신의 작품에 삽입하는 용기를 보인다. 이 사실은 그의 창작 작업에 있어 혼합 이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우회적으로 말해준다. 비록 세제르가 귀향수 첩에서 흑인의 순수성을 중시하고 혼혈인을 부정적으로 보며 태풍에 서 혼혈인을 백인의 협력자로 간주하지만, 에두아르 모닉Édouard Maunick과의 인터뷰에서 말하듯이 18) , 그가 카리브해 흑인 문화는 아프 리카, 유럽, 그리고 인도 문화의 만남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인정하는 데 에서 혼종성이 문화 생성의 핵심 요인이라는 그의 생각이 드러난다. 이 와 관련하여 세제르가 쿠바 출신 초현실주의 화가 위프레도 람Wifredo Lam(1902-1982)에게 바친 시에서 생-존 페르스의 시 바람에 나오는 “toutes choses bisaiguës” 19) 가 관심을 끈다. 람은 중국 출신 아버지와 흑 백혼혈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사람으로 세제르를 만난 후 이 둘은 개인적이며 예술적 우정뿐 아니라 유럽의 식민주의에 대항해 피식민자들 의 정체성 회복과 해방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한다. 람은 아프리카, 유럽, 카리브해의 문화적 요소를 예술적 자산으로 삼아 람 특유의 회화 세계를 개척한다. 생-존 페르스는 바람 II,6에서 초월적 비전으로 영감을 해석 하여 현실세계를 이끌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시인을 특징화하는데, 세제르 17) Clément MBom, op. cit., p. 79. 18) Aimé Césaire, “Interview de Césaire”, in Maryse Condé, Cahier d'un retour au pays natal: Césaire, Paris, Hatier, 1978, pp. 74-75. 19) Aimé Césaire, La poésie, Moi, laminaire, Wifredo Lam, Paris, Les Éditions du Seuil, 1982 (1994), p. 462.

생-존 페르스와 에메 세제르 ❚ 121 는 생-존 페르스가 말하는 이 “양면성을 갖는 모든 것들”로 람의 예술 세 계가 갖는 혼종성을 표현한다. 한편 세제르가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았 다는 관점에서 볼 때 20) , 그가 생-존 페르스의 시를 차용한 점은 꼴라주 collage 기법으로 볼 수 있다. 이 기법이 마찬가지로 초현실주의를 경험 한 생-존 페르스에게도 나타난다는 점 21) 에서 이 둘은 공통점을 지닌다. 2. 프로스페로와 칼리반 세제르는 에드위 플레넬과의 면담에서 생-존 페르스를 “프랑스령 앤틸 리스 제도 태생의 백인 시인” 22) 이라고 규정하고, “그에게는 카스트 정신, 고귀한 인종이라는 의식이 있습니다. 그는 프로스페로이고 저는 칼리반 입니다” 23) 라고 말한다. 여기에서 흑인 세제르는 생-존 페르스를 단지 시 인으로 보지 않고 “프랑스령 앤틸리스 태생 백인”을 의미하는 단어 “béké”를 사용하여 자신과 그 사이에 인종적 차이가 있음을 명시한다. 분명히 이 인종적 차이는 경제적, 사회적 차이를 동반한다. 현재에도 앤 틸리스 지역에서 백인은 주민의 1%에 불과하지만 “소수 지배 집단” 24) 을 20) 세제르와 초현실주의와의 관계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일화로는 2차세계대전 시기 인 1941년 프랑스를 떠나 미국으로 향하던 배가 마르티니크에 기항하였을 때 이 배 에 탔던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과 이 섬에 거주하던 세제르가 만난 일이다. 브 르통은 1943년에 뉴욕에서 세제르에 대해 “Un grand poète noir”란 글을 쓴다. 세제 르는 부분적으로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지만, 장-클로드 블랑셰르Jean-Claude Blanchère가 말하듯이, 이 운동에 대해 거리를 둔다. Cf., Jean-Claude Blanchère, “Breton et Césaire”, Europe, 76 e année -N° 832-833/Août-Septembre 1998, p. 146. 21) 생-존 페르스의 꼴라주 기법에 대해서는 Joëlle Gardes-Tamine, “De la multiplicité des apparences à l'unité de l'Être: le collage”, in Saint-John Perse ou la stratégie de la seiche, Publications de l'Université de Provence, 1996, pp. 93-104을 보시 오. 22) Edwy Plenel, op. cit., p. 297. 23) Edwy Plenel, op. cit. 24) Edith Kováts Beaudoux, Les Blancs créoles de la Martinique, Paris, L'Harmattan, 2002, p. 7.

120 ❚ 2013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strong>43</strong>집<br />

장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대화가 끝난다. 결국 루뭄바의 몰락은<br />

클레망 음봉이 지적하듯이 표면적으로는 “보통 감탄할만하고 존중할만한<br />

이상들” 17) 을 제시하지만 실제 갈등 현장에서 실현이 되지 않는 목적을 제<br />

시하며 이중적인 태도를 갖는 국제기구의 활동에 기인한다. 따라서 생-존<br />

페르스의 시를 인용한 세제르의 의도는 제3세계에서 활동하는 유엔에 대<br />

한 부정적 풍자이면서 동시에 시 바람에 나오듯이 정복자의 입장에서<br />

아메리카의 역사를 보는 백인 생-존 페르스에 대한 거부감의 표시이다.<br />

세제르는 자신의 사상과 반대점에 위치한 생-존 페르스의 시를 자신의<br />

작품에 삽입하는 용기를 보인다. 이 사실은 그의 창작 작업에 있어 혼합<br />

이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우회적으로 말해준다. 비록 세제르가 귀향수<br />

첩에서 흑인의 순수성을 중시하고 혼혈인을 부정적으로 보며 태풍에<br />

서 혼혈인을 백인의 협력자로 간주하지만, 에두아르 모닉Édouard<br />

Maunick과의 인터뷰에서 말하듯이 18) , 그가 카리브해 흑인 문화는 아프<br />

리카, 유럽, 그리고 인도 문화의 만남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인정하는 데<br />

에서 혼종성이 문화 생성의 핵심 요인이라는 그의 생각이 드러난다. 이<br />

와 관련하여 세제르가 쿠바 출신 초현실주의 화가 위프레도 람Wifredo<br />

Lam(1902-1982)에게 바친 시에서 생-존 페르스의 시 바람에 나오는<br />

“toutes choses bisaiguës” 19) 가 관심을 끈다. 람은 중국 출신 아버지와 흑<br />

백혼혈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사람으로 세제르를 만난 후 이 둘은<br />

개인적이며 예술적 우정뿐 아니라 유럽의 식민주의에 대항해 피식민자들<br />

의 정체성 회복과 해방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한다. 람은 아프리카, 유럽,<br />

카리브해의 문화적 요소를 예술적 자산으로 삼아 람 특유의 회화 세계를<br />

개척한다. 생-존 페르스는 바람 II,6에서 초월적 비전으로 영감을 해석<br />

하여 현실세계를 이끌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시인을 특징화하는데, 세제르<br />

17) Clément MBom, op. cit., p. 79.<br />

18) Aimé Césaire, “Interview de Césaire”, in Maryse Condé, Cahier d'un retour au<br />

pays natal: Césaire, Paris, Hatier, 1978, pp. 74-75.<br />

19) Aimé Césaire, La poésie, Moi, laminaire, Wifredo Lam, Paris, Les Éditions du<br />

Seuil, 1982 (1994), p. 46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