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0.2014 Views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3 |2013 봄호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100 ❚ 2013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strong>43</strong>집<br />

그의 죽음은 결국 망각이었다. 망명자의 기억, 이상화된 과거는 망각<br />

속에 묻히고, 죽음으로 노르망은 다시 태어났다.<br />

4. 문화횡단과 다양성의 의미<br />

노르망이 마지막으로 택한 마이애미는 아이티, 몬트리올과 함께, 장 바<br />

질의 표현에 따르면, “망명의 삼각형” 22) 을 구성하는 의미심장한 장소로<br />

묘사되고 있다. “통행지, 유랑의 땅, 상속자가 없는 땅”(PAS, 66)인 마이<br />

애미는 중남미 출신의 망명자와 조국을 잃은 자들이 만나는 중계지이며,<br />

가난의 땅을 벗어난 그들이 정착하여 희망을 꿈꾸는 장소이고, 꿈이 깨진<br />

뒤 그 땅으로 다시 돌아갈 결심을 한 자들을 위한 출발지이다. 한 마디로<br />

이곳은 “북아메리카의 라틴 아메리카”(PAS, 66)가 되었다. 노르망의 친구<br />

인 유유(Youyou)는 “농담”처럼 말한다. “적어도 마이애미에서, 우리는 미<br />

국사람이 될 수 없다. 이곳에서 아이티사람들은 그들의 언어로 말하고<br />

그들의 제신을 섬기며 그들의 민요를 부르고 그들의 리듬대로 춤을 춘<br />

다.”(PAS, 178). 마이애미의 문화경관을 단적으로 말한 유유의 지적은 그<br />

러나 단순한 문화공존의 의미로만 읽힐 수 없을 것 같다. 마이애미의 아<br />

이티주민들은 고국의 정치적 압박과 독재의 폐해를 피해 망명 혹은 이주<br />

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난민들이었다. 귀국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고<br />

그들만의 공동체를 구성하여 자국문화를 보존하는 행위는 한편으로는 정<br />

체성의 끈을 놓지 않으려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형태이지만, 다른 한편<br />

으로는 이주의 트라우마와 쫓겨난 사람들의 고통과 한을 완화하려는 삶<br />

의 표현이기에 그들이 아직 거기서 해방되지 못했다는 말이기도 하다.<br />

마이애미는 “이 길 잃은 자들에게 약속장소”(PAS, 41)를 제공하고 있지<br />

만, 이곳에서 이들이 몸을 싣는 리듬은 즐거울 수만은 없다. 작가의 말대<br />

22) Jean Basile, 《Dans le triangle de l'exil》, Le Devoir, 11, mai 1991, p. D-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