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7.2015 Views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에서 망관리 기술 (Network ... - KNOM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에서 망관리 기술 (Network ... - KNOM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에서 망관리 기술 (Network ... - KNOM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구조 정립은 미래의 서비스진화 방향과 통신 <strong>기술</strong> 발전의 추세, 통신망의 진화, 표준화 연구활동 방향에 따라 통신망 구조 요구 사항을 도출하여 구조를 정립한 후, 정립된 구조를 <strong>기술</strong>적으로 검증하여 확인된 결과를 바탕으로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구조와 이에 관련된 기능, 개발환경 등의 세부 규격을 작성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통신망 구조는 미래를 내다보는 통신망 <strong>기술</strong>로서 기존의 통신망에 바로 적용하기 보다는 여러 가지의 기능 구조들을 세부적으로 정립하며, 단계적으로 이들의 <strong>기술</strong>에 대한 검증과확인을 수행한 후, 정보 통신망 기능 구조를 완성하여 적용해야 한다. 이러한 단계적 방향으로TINA 컨소시엄에서는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규격을 컨소시엄 참여 기관들의 연구원들이 연구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연구된 결과를 참여기관 내부 혹은 국제적으로 공동연구 그룹을 구성하여 검증하고 있다. 지난 '95 년 10 월 스위스 제네바Telecom’95 에서 개최되었던 TINA World WideDemonstration(WWD) 시연이나, 오는 ’98 년Interop 에서 가지는 TTT(The TINA Trial) 시연도TINA 의 <strong>기술</strong>을 검증하기 위한 일환으로 TINA컨소시엄에서 계획하였다.새로운 통신망 구조를 정립할 때는 특정한통신 사업자만을 위하거나 서비스 제공자만을 위한 망구조 정립의 방향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통신망을 이용하고 운용하는 모든 관점에서 일관성있게 Stakeholder 등을 만족해야 한다. 지능망은 서비스 관점으로 통신망 사업자 위주의 편협된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TMN 은 통신망 사업자와통신 장비 사업자들의 방향에서 <strong>망관리</strong> 서비스관점에 집약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은 사용자, 통신 사업자, 서비스 제공자와 개발자 등을 총칭하여 Stakeholder 라는 관점에서 통신망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원의 관점에서 통신망 구조를 정립하는 방향으로 연구되고있다. 이러한 점이 바로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의 장점으로 규정된다.서비스 사용자(망 사용자)는 사용자 관점에서다양한 서비스 접속을 추구하며, 서비스 제공자는신속하고, 손쉬운 서비스 개발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장성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통신망 사업자는 망 기능 향상과 논리적 구조 정립으로 서비스제공자와 망 자원을 공유하며 복수 사업자 간의연동으로 통신 시장을 확장한다. 앞으로 서비스는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응용 서비스를사용자에게 제공되며, 망 사용자와 망 운용자를위한 통신망 관리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신규 서비스 사업자 창출을 유도하여, 균형 있는 통신시장을 유지하는 구조로 그림 1 과 같이 상호 간의요구 사항 방향이 안정한 구조로 발전될 전망이다.서비스 정보처리 요구망 사용자서비스 사용자응용 서비스수용과 서비스 관리응용 서비스 제공자응용 서비스 중개자QoS와 통신망연결의 차별화통신망이러한 통신망 구조를 여러 관점에서 만족하기위하여 새로운 정보 통신망 구조는 차세대 통합망의 근간이 되는 ATM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초고속 통신망에 새로운 서비스를 손쉽게 망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통신망에 큰 변화없이 새로운 서비스 적용에 따라 망 정합 혹은연동을 위하여 망구성 요소장치에 크게 의존되지않는 소프트웨어 구조로 통신망 구조를 정립이가능한 요구 사항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한 후, 요구사항에 적정한 통합된 개념의<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구조를 정립하는 방향으로 연구를추진하고 있다.2.3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의 비전통신망 관리정보 요구시장 확보및 서비스 확대정보 공유플랫폼통신망 관리서비스 제공자동일한 <strong>망관리</strong>플랫폼통신 사업자(망 운용자)<strong>망관리</strong> 정보공유 및 연동그림 1: 사용자와 제공자의 관점에서 통신망의 요구 사항 방향통신망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와 <strong>망관리</strong>에 능동적인 대처를 위해서 TINA 컨소시엄에서는 망 자원과 서비스의 공용화로 신속한 신규 서비스 제공과 서비스의 성능, 비밀성, 신속성보장과 QoS(Quality of Service)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통신망의 발전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종래의 통신망은 지역에 국한된 서비스와 단순한 서비스 제공과 <strong>망관리</strong> 정보를 통신망 사업자 측면에서 접속을 탈피하여 서비스의 세계화(Globalization)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진화의 기반이 되는 통신망 구축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제공자들의 효율적인 투자 비용을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다54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