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7.2015 Views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에서 망관리 기술 (Network ... - KNOM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에서 망관리 기술 (Network ... - KNOM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에서 망관리 기술 (Network ... - KNOM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솔루션 개념의 통신망 구조 정립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새로운 통신망 구조 정립을 위한여러 연구 중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손쉽게 통신망에 제공할 수 있으며, 앞으로 구축하게 될ATM 기반의 초고속 통신망에 쉽게 적용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를 수용하는데기존의 통신망에 큰 변화를 주지않고, 망구성 장치에 크게 의존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구조로 통신망 구조를 정립한 TINA(TelecommunicationInformation <strong>Network</strong>ing Architecture) 연구에 많은 관심을 끌게 되었다.새로운 통신망 구조 실현을 위해서는 각 단계별로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먼저 통신망구조를 설정하기 이전에 기존의 <strong>기술</strong>력으로 해결에 대한 가능성과 타당성, 이를 위한 여러 관점에따라 통신망 구조에 대한 요구 사항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통신망 구조의 요구사항에 합당하며, 신규 서비스의 적용에 따라 쉽게 진화될 수 있는 통신망 구조를 정립하고, 이를모델화하여 검증을 필요로 한다. 80 년대 후반미국 Bellcore 의 INA(Information <strong>Network</strong>ingArchitecture) 연구에 기반을 둔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구조 연구는 기존의 통신망 <strong>기술</strong>들을 충분히 수용하고, 앞으로의 신규 서비스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통신망 구조를 위하여, 분산처리 환경(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DPE)상에서 객체(Object)단위로서 통신망 관리 객체와 서비스 관리 객체를 공유하거나 접속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소프트웨어 계층적 구조로 <strong>개방형</strong> 정보 통신망 구조(일명 TINA, 이하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를 모델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로서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은통신 서비스, 통신망 자원 관리의 설계, 개발 및구축에 관련되는 논리적 기본 구조와 원칙을 제시하므로서, 효율적인 망 관리와 객체 기반의 <strong>기술</strong>로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으로 신속한 신규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strong>기술</strong>을 근간으로, 종래의 통신망 위주의 신호 구조보다는개별 통신망 사용자 위주로 진화 가능한 유연한호 연결 모델을 지원하도록 하였다.본 논문에서는 먼저 새로운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구조의 정립에 따른 요구 및 고려 사항을 살펴보고, 통신망 관리 관점에서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과 TMN의 <strong>기술</strong>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2 장에서는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구조를 정보 모델과 분산처리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통신망 관리 측면에서 미래의통신망 구조에 대하여 요구 사항과 고려 사항들을 살펴본다. 3 장에서는 차세대 통합망의 정보 통신망 구조인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의 기능 구조를, 4 장에서는 통신망 관리 측면에서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의 관리 구조를 살펴본다. 5 장에서는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에서의 통신망 관리 기능과 TMN <strong>기술</strong> 간의 관련성을 비교하며, 마지막으로 새로운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에서의 통신망 자원 관리에 대한 연구방향에 대하여 결론을 내린다.2.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구조의 요구 사항2.1 요구 사항새로운 통신망 구조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strong>기술</strong> 발전의 추세와 기존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미래의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간의 연동, 상호 호환성 및 제공될 서비스에따라 통신망과 서비스 관리 간의 통합, 연동 <strong>기술</strong>등이 요청된다. 이런 점에서 새로운 통신망 구조정립을 하기 위해서 주요 <strong>기술</strong>적 요구 사항과 고려 사항을 살펴보고, 이들이 현실적으로 새로운통신망 구조로 적용이 가능한가를 살펴보며, 새로운 통신망 구조가 정립되었을 때 통신망의 구성원인 Stakeholder(통신망 사업자, 서비스 제공 사업자, 서비스 사용자, 서비스 개발자 등) 들이 다음의 12 가지 요구 및 고려 사항을 만족하는지를 검토해야 한다고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구조 <strong>기술</strong>을 표준화하는 단체인 TINA 컨소시엄에서 제시하고 있다.- 상호 호환성(Interoperability)- 응용 소프트웨어의 재사용(Reusability)- 응용 소프트웨어의 분산(Distribution) 수행- 새로운 서비스 수용성- 다양한 관리 서비스 제공- 컴퓨팅 환경과 하드웨어의 독립성- QoS(Quality of Service)- 확장성(Scalability)- 보안성(Security)- 기존 통신망과 호환성- 자원관리 권한의 일반성- 검증 시험성(Conformance testing)<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구조의 요구 사항 중 응용 소프트웨어의 재사용과 응용 소프트웨어의 분산 수행은 중요한 장점에 속한다. 기존 통신망에 신규5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