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7.2015 Views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에서 망관리 기술 (Network ... - KNOM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에서 망관리 기술 (Network ... - KNOM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에서 망관리 기술 (Network ... - KNOM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보는 모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으로 볼수 있는 반면 TMN 은 관리 대상 통신망의 역할에 따른 공통 관리 서비스/기능을 분류하여 이를상호인식 가능한 관리프로토콜을 형성하여 관리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관리는포괄적인 기존 관리 방식을 적응 발전 수용하는방식으로 전개 될 것으로 본다.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의통신망 자원관리 공유 기능은 TMN 의 계층적 구조에 입각하여 모델화할 수 있는 점이 유사성을지니고 있다.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은 구조와 방법론 이외 별도의 분산처리 환경의 플랫폼을 사용하는점이 TMN 과 구별된다. 따라서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는연산 객체로서 분산환경에 따른 접속이 제공되나,TMN 에서는 별도의 기본 시스템간 에 접속으로이루어진다. 그러나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에서는 TMN 의GDMO, GRM 규격 사용과 종래의 NE 의 관리 객체 정의를 수용하는 입장에서 보면 TMN 를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에 접속시키기 위한 전략과 방법론이제시되고 있다. 특히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는 네트워크인프라에 중요한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서 기존망의 TMN 와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와의 접목을 위한 연구가 요구되어 현재 많은 연구중에 있다.통신망의 환경의 변화는 통신<strong>망관리</strong> 분야에대한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여 기존의 단위 시설별 통신망 관리 개념에서 벗어나 단위 통신망 구성요소의 관리 및 서비스 관리 차원 까지 확대된통신망 관리 개념으로 확대 되고 있으며, 통신<strong>망관리</strong>를 위한 <strong>기술</strong>적인 배경도 객체지향형 및 분산 관리 형태로 진화되고 있다. 통신망 관리의 변화는 통신망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기본 하부 구조로 TMN 개념의 도입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ITU-T 에 의해 1988 년 공식적으로 정의된 TMN 개념은 통신망 관리를 위한, TMN 기본원칙, TMN 인터페이스, TMN 관리서비스 및 관리기능, TMN 관리 정보 모델 등 기본 문서들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있다.향후의 TMN 응용기능이나 구현의 실용성을고려하여 TMN 표준에 포함될 새로운 <strong>기술</strong> 개념이나 프로토콜 또는 <strong>망관리</strong> 구조의 통합이 예상되며,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근간으로 분산 관리개념의 도입이 유력시 됨에 따라 OMDA(OpenDistributed Management Architecture) 개념을 TMN의 새로운 구조로 반영 시키기 위한 표준화 연구가 추진될 전망이다. 또한, NM Forum 과의 연구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TMN 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 기능의 개발에 NM Forum 의 OMNIPoint 에서제안하는 <strong>망관리</strong> 플랫폼의 사용을 확대하고, TMN인터페이스 프로토콜 표준으로 권고되는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의실용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SNMP(Simple<strong>Network</strong> Management Protocol)나 CORBA(Common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와 상호 연동성재공에 대한 연구가 추진될 전망이다. 이는 <strong>개방형</strong> 통신망 관리에서 추구하는 방향과 동일시되는방향의 유사성을 예측할 수 있다. 즉, 현재의TMN 구조가 현재의 통신망 환경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분산 환경에 적합하고 보다 동적인특성을 갖는 구조로 발전되어야 하는데 이는 통신망이 <strong>개방형</strong>으로 발전됨에 따라 이에 따른 관리 <strong>기술</strong> 또한 <strong>개방형</strong> 분산처리 <strong>기술</strong>을 도입한 관리 <strong>기술</strong>로 TMN 구조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있다.ITU-T 에서는 TMN 2000 이라는 차세대 TMN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분산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OTMA: Open TelecommunicationsManagement Architectiure)로 발전 하기 위해ODP(Open Distributed Processing)개념을 바탕으로하는 ODMA 를 도입할 예정이고 ODMA 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OMG 의 CORBA 의 적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에 이르렀다.이상에서 언급한 두 방향은 서로 다른 주체가 되어 진행하고 있고, 관리 모델화하는 접근방식이나 엔지니어링 절차는 서로 다르나 방향성이나 상호 <strong>기술</strong>적인 기반은 서로 이용하면서 진행하고 개선에 대한 촉진제를 하고 있다.6. 결 론기존의 통신망에 새로운 통신망 구조를 적용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있다. 특히나 기존 시스템들의 통신망 관리나 서비스 제공에 무리없이 새로운 통신망 구조의 변화에 따른 적용성은 앞으로 통신망의 진화 방향과 효율적인 통신망 관리 등의 많은 문제점을 검토한 후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정보 통신망 구조의 지속적인 연구없이 새롭게 출현한 <strong>개방형</strong>통신망 <strong>기술</strong>을 검증 절차 없이 기존의 통신망에적용한다는 것은 통신 사업자 뿐 만 아니라, 망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하여 여러 혼란을초래할 수 있으며, 아직 확실하게 검증이 되지 않은 통신망 구조를 기존 통신망에 적용하는 단계적 적용 방안에 대한 전략적 문제와 기존 통신망6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