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4.2015 Views

Digoxigenin을 부착시킨 RNA in situ Hybridization의 개선된 연구 방법

Digoxigenin을 부착시킨 RNA in situ Hybridization의 개선된 연구 방법

Digoxigenin을 부착시킨 RNA in situ Hybridization의 개선된 연구 방법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Digoxigen<strong>in</strong> labeled <strong>in</strong> <strong>situ</strong> hybridization 107<br />

입해서 관류에 의하여 고정액이 직접 세포들에 전달되게 해야<br />

한다. 16-18<br />

그리고 파라핀 블록의 제작 과정 또한 RNase protection되어<br />

있는 표본 제작 과정이 필요하며, 파라핀 블록의 제작,<br />

보관, 파라핀 절편 제작 등에도 RNase protection의 세심한 주<br />

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실제로 외과병리학적 검사 표본들은 대<br />

부분 10% buffered formal<strong>in</strong>에 의하여 고정하고, 다수의 병리<br />

조직 표본들을 모아서 한꺼번에 표본 제작을 하며 파라핀 블록<br />

의 제작이나 보관 등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실정이다.<br />

그래서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일반적인 외과병리학적 파라<br />

핀 블록을 사용해서 <strong>RNA</strong> <strong>in</strong> <strong>situ</strong> hybridization를 수행하는 것<br />

을 꺼려 왔으며 간혹 <strong>RNA</strong> <strong>in</strong> <strong>situ</strong> hybridization에서 양성 반<br />

응을 보였다 하더라도 이를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19-22 따라서<br />

본 연구에서는 외과병리학적 표본을 사용하여 <strong>RNA</strong> <strong>in</strong> <strong>situ</strong><br />

hybridization을 수행하였을 때 얼마나 양성 반응에 신뢰성 있는<br />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tissue array 표본을 이용해서 검색하였<br />

다. 결과적으로 모두 약 75%의 양성 반응을 관찰하였는데, 이<br />

유전자들은 위암 세포의 증식성 또는 세포분화 정도에 따라 발<br />

현의 차이가 있으므로 실제 파라핀 절편상에 m<strong>RNA</strong>가 충분히<br />

잔존되어 있을 확률을 의미하는 진성 양성 반응의 가능성은<br />

80% 이상일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외과병리학적으로 수집,<br />

제작된 파라핀 절편에 <strong>RNA</strong> <strong>in</strong> <strong>situ</strong> hybridization을 수행하였<br />

을 경우 양성 반응의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것을 알 수 있다.<br />

<strong>RNA</strong> <strong>in</strong> <strong>situ</strong> hybridization의 전 과정에서 충분한 양의 정확<br />

한 <strong>RNA</strong> probe를 제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통상적<br />

으로 사용되는 plasmid DNA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br />

우선 충분한 양(한번 반응에 1 g 이상)의 plasmid DNA를<br />

얻기 위하여 plasmid DNA를 증식시켜야 하고 E. coli에서<br />

plasmid를 순수 분리하기 위하여 다량의 RNase를 사용하게 되<br />

므로, 비록 plasmid DNA를 순수 분리하였다 하더라도 용액 내<br />

에 RNase가 소량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strong>RNA</strong> <strong>in</strong><br />

vitro 전사를 실패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23-25 따라서 본 연<br />

구에서는 간편하고 정확하면서도 다량의 <strong>RNA</strong> probe를 얻기<br />

위한 방법을 고안하였다. 즉 대부분의 <strong>RNA</strong> polymerase가<br />

dsDNA에서 특이한 promoter sequence에 반응해서 <strong>RNA</strong>를<br />

전사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해서, 관찰하고자 하는 유전자를 포<br />

함하는 PCR DNA 조각을 제작하기 위한 primer에 T3, T7,<br />

및 SP6 등의 promoter sequence를 5′말단에 연장해서 붙임<br />

으로써 PCR 결과로 얻는 DNA 조각 양끝에 각각의 promoter<br />

sequence를 갖게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probe 크기<br />

를 cDNA의 primer 위치에 따라서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데<br />

대체로 1,000 bp 이하의 크기가 적당하다. 그리고 primer를 제<br />

작할 때 primer의 5′말단 부위에 위치하는 promoter sequence<br />

에 <strong>RNA</strong> polymerase의 부착과 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br />

GAGG 염기서열을 추가시켜 주는 것이 좋다. PCR에 의한 부<br />

정확한 DNA 복제 현상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는데, 본 연<br />

구에서 <strong>RNA</strong> probe 제작에 사용되는 PCR 방법은 단일한<br />

plasmid DNA를 template로 사용하는 반응이므로 PCR 후에<br />

생성된 DNA가 다른 유전자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 또한 드물<br />

게 생기는 PCR 돌연변이가 있다 해도 <strong>in</strong> <strong>situ</strong> hybridization에<br />

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PCR 생성<br />

DNA의 크기가 예상보다 작은 경우도 목표하는 유전자의 염기<br />

서열이 일부 포함되어 있으면 <strong>RNA</strong> probe 제작이 가능하므로<br />

전체 크기의 DNA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br />

파라핀 포매된 현미경 절편을 xylene으로 탈파라핀시킨 후에<br />

에탄올을 사용해서 함수시키는 과정에서 조직 내의 <strong>RNA</strong>가 노<br />

출되어 RNase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4% 중성<br />

paraformaldehyde 용액으로 현미경 절편을 재고정시키는 방법<br />

이 사용된다. 이에 대해 4% 중성 paraformaldehyde의 처리를<br />

prote<strong>in</strong>ase K 처리 이전에 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아니면 이후<br />

에 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또는 이러한 4% 중성 paraformaldehyde의<br />

처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인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br />

다. 우선 본 연구에서 4% 중성 paraformaldehyde의 재고정 처<br />

리를 prote<strong>in</strong>ase K 처리 이전에 하는 것이 prote<strong>in</strong>ase K 처리<br />

이후에 하는 것보다 훨씬 강한 m<strong>RNA</strong>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br />

었다. 이는 아마도 prote<strong>in</strong>ase K 처리 이후에 4% 중성<br />

paraformaldehyde의 재고정을 하면 prote<strong>in</strong>ase K에 의하여 노출<br />

된 m<strong>RNA</strong>들이 4% 중성 paraformaldehyde에 의하여 crossl<strong>in</strong>k<strong>in</strong>g<br />

됨에 따라, 나중에 <strong>RNA</strong> probe의 hybridization 효율이<br />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결국 4% 중성 paraformaldehyde는<br />

조직 내 m<strong>RNA</strong>가 RNase에 의하여 파괴되는 것을 막기<br />

위하여 사용하고 prote<strong>in</strong>ase K는 조직 내에 m<strong>RNA</strong>가<br />

hybridization이 잘 되도록 세포질 내의 단백질을 부분적으로 제<br />

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므로 4% 중성 paraformaldehyde와 prote<strong>in</strong>ase<br />

K는 서로 상반되는 기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6-28 어쨌<br />

든 여러 저자들에 의하여 소개된 <strong>RNA</strong> <strong>in</strong> <strong>situ</strong> hybridization<br />

방법에는 4% 중성 paraformaldehyde를 prote<strong>in</strong>ase K 처리 이<br />

후에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4% 중성<br />

paraformaldehyde의 처리로 인한 RNase의 비활성화가 안된<br />

상태에서 바로 prote<strong>in</strong>ase K를 처리하면 노출된 m<strong>RNA</strong>가 쉽<br />

게 RNase에 의하여 파괴된다. 반면 세포질 내의 m<strong>RNA</strong>가<br />

prote<strong>in</strong>ase K에 의하여 광범위하게 노출된 다음 다시 4% 중성<br />

paraformaldehyde 재고정 처리를 하면 paraformaldehyde의<br />

강한 cross-l<strong>in</strong>k<strong>in</strong>g 환원력에 의하여 m<strong>RNA</strong>가 다시 고정되므로<br />

효과적인 <strong>RNA</strong> <strong>in</strong> <strong>situ</strong> hybridization이 어렵게 되리라고 추측<br />

된다. 29,30<br />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4% 중성 paraformaldehyde의<br />

재고정 처리를 하는 것이 재고정하지 않는 것보다 m<strong>RNA</strong>의 발<br />

현량이 증가되었으며 발현 정도가 훨씬 균등한 분포를 보였다.<br />

이는 4% 중성 paraformaldehyde 처리가 비특이적으로 존재하<br />

는 RNase의 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br />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이 충분히 잘 고정된 조직 절편인 경우<br />

에는 <strong>RNA</strong>가 세포 내 간기질과 강하게 결합되므로 비록 조직<br />

절편 제작 과정에서 <strong>RNA</strong>가 부분적으로 분해되어도 남아 있는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