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 위원명단 - 대한내과학회

위원회 위원명단 - 대한내과학회 위원회 위원명단 - 대한내과학회

17.03.2014 Views

3. 조기 입원치료 A. 항허혈 치료제와 진통제 1. 모든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는 입원치료 초기에 지속적인 심전도 감시를 하면서 침상/의자에서 안정을 취하는 것이 추천된 다(Level of Evidence: C). 2. 동맥혈 산소포화도가 90% 이하, 호흡부전, 또는 저산소증의 다른 고위험 요소를 가진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산소 를 추가로 주입하여야 한다(맥박산소측정법은 지속적인 동맥혈산소포화도 측정에 유용하다)(Level of Evidence: B). 3. 지속되는 허혈 증상을 호소하는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 증 환자에게는 금기증이 아니라면 니트로글리세린 정맥주사 필요성에 대해 평가한 후 0.4 mg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5분 간격으로 총 3회까지 투 약하여야 한다(Level of Evidence: C) 4.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발생 후 첫 48시간 동안 지속 적인 허혈, 심부전, 또는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니트로글리세린을 정맥주사 할 수 있다. 니트로글리세린 정맥주사 여부와 투여 용량이 베타 차단제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와 같이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입 증된 다른 약제의 투약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Level of Evidence: B). 5. 경구 베타 차단제 치료는 아래 금기사항이 없는 환자들에게 첫 24시간 이내 에 시작하여야 한다: 1) 심부전 증상, 2) 심박출량 저하의 증거, 3) 심인성 쇼크의 위험도 a 가 높은 경우, 4) 베타 차단제의 다른 상대적인 금기증(0.24 초 이상의 PR 간격, 2도 또는 3도 블록, 심한 천식, 또는 반응성 기도 질환) (Level of Evidence: B) 6. 허혈이 지속되거나 자주 재발하는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 색증 환자에게서 베타차단제의 금기증이 있다면, 임상적으로 유의한 좌심 실부전 또는 다른 금기증이 없는 경우 nondihydropyridine계 칼슘통로 차 단제(예: verapamil 또는 diltiazem)를 초치료로 투약하여야 한다(Level of Evidence: B). 7. 폐부종이 있거나 좌심실 구축률이 40% 미만인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저혈압(수축기 혈압이 100 mmHg 보다 낮 급성 관동맥 증후군의 개정판 a: 심인성 쇼크의 위험인자(위험인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심인성 쇼크 발생 위험은 증가함): 70세 이상, 수축기 혈압이 120 mmHg 미만, 110회 이상의 동성 빈맥 또는 60회 미만의 심박수,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증상 발생 후 시간 의 지연. 71

허헐성심질환 표준진료 권고안 거나 기준치보다 30 mmHg 더 낮을때) 또는 다른 금기증이 없는 경우 첫 24시간 이내에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를 경구로 투약하여야 한다 (Level of Evidence: A). 8. 심부전의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 징후가 있거나 좌심실 구축룰이 40% 이 하인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인데 안지오텐신 전 환효소 억제제를 복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를 투 약하여야 한다(Level of Evidence: A). 9. 아스피린을 제외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는 COX-2 비선택적이든지 선택 적이든지 간에 사망, 재경색, 고혈압, 심부전, 그리고 심장파열의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이 발생한 즉 시 중단하여야 한다(Level of Evidence: C). 1. 모든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첫 6시간 동 안 산소를 추가로 주입하는 것이 합당하다(Level of Evidence: C). 2. 니트로글리세린 투약에도 불구하고 허혈성 흉부 불편감이 잘 조절되지 않 는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남은 허혈을 치 료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약제를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 금기증이 없다면 morphine sulfate를 정맥으로 투약하는 것이 합당하다(Level of Evidence: B). 3. 베타 차단제 정맥주사는 아래 금기사항이 없는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들에게서 고혈압이 있을 때 투약하는 것이 합당하 다: 1) 심부전 증상, 2) 저심박출량 상태의 증거, 3) 심인성 쇼크의 위험도 가 높은 경우, 4) 베타 차단제의 다른 상대적인 금기증(0.24초 이상의 PR 간격, 2도 또는 3도 블록, 심한 천식, 또는 반응성 기도 질환)(Level of Evidence: B) 4. 베타차단제와 나이트레이트를 최대용량으로 사용하였음에도 반복적으로 허혈이 발생하는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들에게서 금기증이 없다면 경구 지속형 nondihydropyridine계 칼슘통로 차단제를 투 약하는 것이 합당하다(Level of Evidence: C). 5. 폐부종이 없고 좌심실 구축률이 40% 미만이 아니면서 저혈압(수축기 혈압 이 100 mmHg 보다 낮거나 기준치보다 30 mmHg 더 낮을 때) 또는 다른 금기증이 없는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첫 24시간 이내에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를 경구 투약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Level of Evidence: B). 6.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 중 집중적인 약물치료에 72

3. 조기 입원치료<br />

A. 항허혈 치료제와 진통제<br />

<br />

1. 모든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는 입원치료 초기에<br />

지속적인 심전도 감시를 하면서 침상/의자에서 안정을 취하는 것이 추천된<br />

다(Level of Evidence: C).<br />

2. 동맥혈 산소포화도가 90% 이하, 호흡부전, 또는 저산소증의 다른 고위험<br />

요소를 가진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산소<br />

를 추가로 주입하여야 한다(맥박산소측정법은 지속적인 동맥혈산소포화도<br />

측정에 유용하다)(Level of Evidence: B).<br />

3. 지속되는 허혈 증상을 호소하는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br />

증 환자에게는 금기증이 아니라면 니트로글리세린 정맥주사 필요성에 대해<br />

평가한 후 0.4 mg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5분 간격으로 총 3회까지 투<br />

약하여야 한다(Level of Evidence: C)<br />

4.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발생 후 첫 48시간 동안 지속<br />

적인 허혈, 심부전, 또는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니트로글리세린을 정맥주사<br />

할 수 있다. 니트로글리세린 정맥주사 여부와 투여 용량이 베타 차단제와<br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와 같이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입<br />

증된 다른 약제의 투약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Level of Evidence: B).<br />

5. 경구 베타 차단제 치료는 아래 금기사항이 없는 환자들에게 첫 24시간 이내<br />

에 시작하여야 한다: 1) 심부전 증상, 2) 심박출량 저하의 증거, 3) 심인성<br />

쇼크의 위험도 a 가 높은 경우, 4) 베타 차단제의 다른 상대적인 금기증(0.24<br />

초 이상의 PR 간격, 2도 또는 3도 블록, 심한 천식, 또는 반응성 기도 질환)<br />

(Level of Evidence: B)<br />

6. 허혈이 지속되거나 자주 재발하는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br />

색증 환자에게서 베타차단제의 금기증이 있다면, 임상적으로 유의한 좌심<br />

실부전 또는 다른 금기증이 없는 경우 nondihydropyridine계 칼슘통로 차<br />

단제(예: verapamil 또는 diltiazem)를 초치료로 투약하여야 한다(Level of<br />

Evidence: B).<br />

7. 폐부종이 있거나 좌심실 구축률이 40% 미만인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br />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저혈압(수축기 혈압이 100 mmHg 보다 낮<br />

급성 관동맥 증후군의 개정판<br />

a: 심인성 쇼크의 위험인자(위험인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심인성 쇼크 발생 위험은<br />

증가함): 70세 이상, 수축기 혈압이 120 mmHg 미만, 110회 이상의 동성 빈맥 또는<br />

60회 미만의 심박수, 불안정성 협심증/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증 증상 발생 후 시간<br />

의 지연.<br />

71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