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 위원명단 - 대한내과학회

위원회 위원명단 - 대한내과학회 위원회 위원명단 - 대한내과학회

17.03.2014 Views

다음과 같은 주제에 대해서는 향후 허혈성심질환 임상연구센터에서 추가적 인 연구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고 논의되어 최종 개정판에 연구 결과를 수록 할 예정이다. • 생체 지표 인자로서의 안정형 협심증에의 hsCRP의 역할 • 새로운 약물 병합 요법(ivabradine, ranolazine 등)에 의한 치료 효과 • 관동맥 성형술 개정안과 따른 재관류 요법에 대한 권고 사항 중 좌주간부 질환에 대한 관동맥확장성형술과 약물스텐트를 이용한 다혈관 질환의 치료 제 1차 권고안 발표 이후 임상연구를 통해 밝혀진 새로운 증거 1. 흡연에 대한 권고 사항 흡연이 심혈관 질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증거는 주로 관찰적 연구에서 비 롯되었다. 1) 1989년 외과의 General ’s은 흡연은 심혈관 질환 사망률을 50% 증 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2) 남자와 여자에서, 흡연과 심혈관 질환 위험도 사이 에 용량의존적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는데, 심한 흡연자와 비흡연자 사이에 서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 발생율의 상대적 위험도 5.5로 5배 이상 높다는 보고 가 있었다. 3,4) 그리고, Critchley 등은 메타 분석 결과를 통해 금연 시 전체 사망 률이 36% 가량 감소함을 보여 주었다. 5) 따라서 흡연에 대한 병력청취는 관동 맥질환을 가진 모든 환자에서 시행되어야 하며 강력히 금연을 권고해야 한다. 2. 고혈압에 대한 권고 사항 많은 연구들에서 혈압 상승이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킴이 보고되었고, 경도에서 중등도의 고혈압을 치료 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및 사망률을 16% 가량 줄인다는 메타 분석도 발표되었다. 6) 따라서 Joint National Conference VII guideline에 근거하여 혈압을 140/90 mmHg 미만으로, 당뇨나 신부전이 있는 경우에는 130/ 80mmHg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7) 안정형 협심증의 개정판 3. 지질 조절에 대한 권고 사항 지질 치료가 관상동맥 질환에 일차 및 이차 예방효과가 있다는 것은 기존의 많은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1% 감소하면 관상동맥 질 환은 2% 감소한다. 최근 스타틴계열 약물을 이용한 대규모 임상연구 결과를 보면 관상동맥 질환에서 지질강하제는 허혈성 질환의 발병위험률을 30~40% 감 소시켰으며, 전체 사망률도 20% 이상 감소시켰다. 이러한 임상결과에 따라 NCEP 111

허헐성심질환 표준진료 권고안 ATP III guideline에서는 안정형 협심증 환자를 포함하여 관상동맥 질환 환자 나 관상동맥질환의 고위험군(다른 부위의 동맥경화에 의한 협착증, 뇌경색증 병력, 당뇨병)에서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100 mg/dL 이하를 목표로 치료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8) PROVE IT 연구에서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저 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100 mg/dL 이하로 조절한 군은 고용량 스타틴으로 70 mg/dL 이하로 낮춘 군에 비해 16% 정도 심장 사건이 많이 발생하였고 HPS 에서도 마찬가지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100 mg/dL에서 30% 감소시켰 을 때 추가적인 20~30% 정도의 심장 사건 감소 소견이 관찰되었다. 9,10) TNT 연 구에서는 고용량 스타틴 치료 군에서 심근 경색(HR 0.78, 95% CI 0.66-0.93, p= 0.004), 뇌혈관 질환(HR 0.77, 95% CI 0.64-0.93, p=0.007) 그리고 입원을 요 하는 심부전(HR 0.74, 95% CI 0.59-0.94, p=0.01)의 발생 빈도가 유의하게 감 소되었다. 11,12)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고용량 스타틴을 이용하여 저밀도 지단 백 콜레스테롤을 충분히 낮추면 심장 사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 서 다중의 주요 위험 인자들(특히, 당뇨)을 가진 경우, 심각하거나 조절되지 않 는 위험 인자들(특히 흡연)을 가진 경우, 대사성 증후군에 해당하는 다중의 위 험 인자를 가진 경우 등의 최고위험군에서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를 70 mg/dL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중성지방 증가는 관동맥질환의 독립 위험인자이며 부분적으로 초저밀도지 단백(very low density lipoproteins, VLDL)으로 변환된다. 여러 연구들에서 중 성지방은 관동맥질환 위험도를 예측하는 지표로 보고되고 있으며 13) 중성지방 과 관동맥질환 위험도의 연관성에는 당뇨, 비만, 고혈압, 저밀도지단백 증가 등 이 영향을 줄 수 있다. 14) 중성지방 상승시 1차 치료는 스타틴 투여를 통한 저 밀도지단백의 감소이며, 이들 통해 중성지방도 20~40% 감량하는 효과를 얻 을 수 있다. 15) 저밀도지단백이 조절 된 후 추가적으로 중성지방을 저하시킬 필 요가 있을 때에는 니코틴산이나 피브린산 유도체를 투여해 볼 수 있다. 16) 4. 신체 활동에 대한 권고사항 운동 훈련은 다양한 위험 요인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금연, 지질 치료, 혈압 치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운동을 한 군과 하지 않은 군 사이의 비교 연구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운동을 한 군에서 운동 능력 호전을 보였으며, 지속적인 운동은 동맥경화 및 혈관 기능의 호전과도 관계가 있음이 밝혀져 왔 다. 따라서 모든 환자들에서 약물 치료와 더불어 규칙적인 운동이 동반되어 야 한다. 17) 112

허헐성심질환 표준진료 권고안<br />

ATP III guideline에서는 안정형 협심증 환자를 포함하여 관상동맥 질환 환자<br />

나 관상동맥질환의 고위험군(다른 부위의 동맥경화에 의한 협착증, 뇌경색증<br />

병력, 당뇨병)에서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100 mg/dL 이하를 목표로<br />

치료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8) PROVE IT 연구에서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저<br />

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100 mg/dL 이하로 조절한 군은 고용량 스타틴으로<br />

70 mg/dL 이하로 낮춘 군에 비해 16% 정도 심장 사건이 많이 발생하였고 HPS<br />

에서도 마찬가지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100 mg/dL에서 30% 감소시켰<br />

을 때 추가적인 20~30% 정도의 심장 사건 감소 소견이 관찰되었다. 9,10) TNT 연<br />

구에서는 고용량 스타틴 치료 군에서 심근 경색(HR 0.78, 95% CI 0.66-0.93, p=<br />

0.004), 뇌혈관 질환(HR 0.77, 95% CI 0.64-0.93, p=0.007) 그리고 입원을 요<br />

하는 심부전(HR 0.74, 95% CI 0.59-0.94, p=0.01)의 발생 빈도가 유의하게 감<br />

소되었다. 11,12)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고용량 스타틴을 이용하여 저밀도 지단<br />

백 콜레스테롤을 충분히 낮추면 심장 사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br />

서 다중의 주요 위험 인자들(특히, 당뇨)을 가진 경우, 심각하거나 조절되지 않<br />

는 위험 인자들(특히 흡연)을 가진 경우, 대사성 증후군에 해당하는 다중의 위<br />

험 인자를 가진 경우 등의 최고위험군에서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를<br />

70 mg/dL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br />

중성지방 증가는 관동맥질환의 독립 위험인자이며 부분적으로 초저밀도지<br />

단백(very low density lipoproteins, VLDL)으로 변환된다. 여러 연구들에서 중<br />

성지방은 관동맥질환 위험도를 예측하는 지표로 보고되고 있으며 13) 중성지방<br />

과 관동맥질환 위험도의 연관성에는 당뇨, 비만, 고혈압, 저밀도지단백 증가 등<br />

이 영향을 줄 수 있다. 14) 중성지방 상승시 1차 치료는 스타틴 투여를 통한 저<br />

밀도지단백의 감소이며, 이들 통해 중성지방도 20~40% 감량하는 효과를 얻<br />

을 수 있다. 15) 저밀도지단백이 조절 된 후 추가적으로 중성지방을 저하시킬 필<br />

요가 있을 때에는 니코틴산이나 피브린산 유도체를 투여해 볼 수 있다. 16)<br />

4. 신체 활동에 대한 권고사항<br />

운동 훈련은 다양한 위험 요인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금연, 지질 치료, 혈압<br />

치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운동을 한 군과 하지 않은 군 사이의 비교 연구<br />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운동을 한 군에서 운동 능력 호전을 보였으며,<br />

지속적인 운동은 동맥경화 및 혈관 기능의 호전과도 관계가 있음이 밝혀져 왔<br />

다. 따라서 모든 환자들에서 약물 치료와 더불어 규칙적인 운동이 동반되어<br />

야 한다. 17)<br />

11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