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8.2013 Views

성층권 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 망 구성 방안 연구

성층권 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 망 구성 방안 연구

성층권 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 망 구성 방안 연구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strong>이용한</strong>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 <strong>구성</strong> <strong>방안</strong> <strong>연구</strong><br />

손성환 0 * , 김재명 * , 정구익 ** , 이군섭 ** , 이동학 ** , 정원석 **<br />

인하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 , SK 텔레콤 네트워크 <strong>연구</strong>원 **<br />

A study of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network configuration using HAPS<br />

Soung Hwan Shon 0 * , Jae Moung Kim * , Gu Ik Chung ** , Goon Seop Lee ** , Dong Hahk Lee ** , Won Suk Chung **<br />

1. 서 론<br />

Th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Technology & Telecommunications, INHA University *<br />

SK Telecom Network R&D Center **<br />

kittisn@naver.com, jaekim@inha.ac.kr<br />

romeocki@sktelecom.com, ksl@sktelecom.com, dhlee@sktelecom.com, wschung@sktelecom.com<br />

요 약<br />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와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을<br />

위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개발하게 되었으며, <strong>2000</strong> 년 이후부터는 성<br />

층권 비행선을 사용하여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용 기지국으로 사용하기 위한 <strong>연구</strong>가 시작 되었다. <strong>성층권</strong>통<br />

신시스템은 저비용,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단말기의 소형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무선통신.<br />

방송<strong>망</strong>의 활용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한 <strong>IMT</strong>-<br />

<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의 <strong>구성</strong><strong>방안</strong> 및 링크분석을 통해 기술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br />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와<br />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br />

서비스는 필연적이 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이러한<br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개발하게<br />

되었다. 이에 따라 1990 년대 중반에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시스<br />

템의 위성 부문에 대한 개발도 진행되었으나<br />

GMPCS 시스템들의 사업적인 실패로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시<br />

스템의 위성 부문에 대한 기술 개발은 상당부분 지<br />

연 되거나 중단되었다. 그러나 <strong>2000</strong> 년부터 <strong>성층권</strong><br />

<strong>시스템을</strong> 통신 및 방송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strong>연구</strong><br />

가 진행 됨에 따라 위성과 지상통신 시스템의 장점<br />

을 두루 갖춘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기지국용<br />

으로 사용 하기 위한 <strong>연구</strong>가 시작되었다[1][2].<br />

본 논문에서는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하여 <strong>IMT</strong>-<br />

<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을 <strong>구성</strong>할 때 가능한 <strong>방안</strong>을 분석해 보고<br />

그에 따른 링크의 분석을 통해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br />

용한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기지국의 타당성을 분석하도록 한다.<br />

2.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br />

<strong>성층권</strong>통신시스템(HAPS)는 고도 20∼50km 정도의<br />

<strong>성층권</strong>에 무인비행선을 체공시켜 통신 및 방송서비<br />

스 및 원격탐사, 전파감시 등의 각종 무선 응용 서<br />

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으로 <strong>성층권</strong>은<br />

기상 조건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고, 항공관제 영역<br />

위쪽에 위치하며, 필요할 경우 비행선을 착륙시켜<br />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strong>성층권</strong> 비행선은 전장 약<br />

150∼250m 정도의 크기로 약 1ton 정도의 탑재체를<br />

탑재할 수 있으며, 내부의 헬륨 가스를 사용하여 정<br />

점 체공을 위한 부력을 얻고, <strong>성층권</strong>에서 바람 등의<br />

영향에 대해 자세 및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전동기<br />

로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사용한다. <strong>성층권</strong> 비행선에<br />

요구되는 전력은 낮에는 비행선 표면에 장착된 태<br />

양 전지를 사용하고, 밤에는 내부에 장착된 연료전<br />

지에 의해 공급된다. <strong>성층권</strong> 통신 시스템은 시스템<br />

비용이 정지궤도 위성과 비교하여 1/4∼1/10 에 불과<br />

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서비<br />

스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전송손실이 크게 감소<br />

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지<br />

상방식 수준의 저전력 휴대 통신을 할 수 있으며<br />

직경 70km(앙각 30 도)에서 직경 500km(앙각 5도)의<br />

범위까지 광역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br />

이런 특징으로 인해서 저비용 서비스의 실현, 고<br />

속통신 서비스 및 휴대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며 일<br />

반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있<br />

다.<br />

특히 이동통신 기지국의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의 활용은


WRC-<strong>2000</strong> 부터 대두되기 시작 하여 우리나라를 포<br />

함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2010∼2025MHz, 2110∼<br />

2170MHz 대역에 대해 HAPS 를 사용한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기<br />

지국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2]. HAPS 를 사<br />

용한 기지국은 기존의 저궤도 혹은 정지 궤도 위성<br />

시스템과는 달리 지상에 세워진 높은 탑 위에 통신<br />

중계기를 설치한 개념으로 비행체 한기당 다수의<br />

셀을 보유하도록 하여 수많은 지상 기지국을 대체<br />

할 수 있는 경제성을 보유하고 통신 품질을 향상<br />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br />

비행선당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은 여러 개의 셀<br />

들의 집합으로 <strong>구성</strong>되는데, 이는 전체 빔 커버리지<br />

를 수많은 작은 셀로 <strong>구성</strong>하여 주파수 재사용을 통<br />

한 주파수 자원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고, 고 이득 빔<br />

의 사용으로 지구국 및 사용자 단말의 초소형화가<br />

가능하게 된다.<br />

3.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strong>이용한</strong>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br />

<strong>구성</strong><strong>방안</strong><br />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한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시스템은 위에<br />

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도 20km 상공에 체공하고<br />

있는 무인 비행선을 지상의 기지국용으로 활용하기<br />

위한 것으로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과 사용자 사이의 사용<br />

자 링크에서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지상부문 요소를 <strong>성층권</strong> 통<br />

신 시스템에 적용하여 <strong>구성</strong>할 수 있다.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의<br />

지상부문 요소를 기능적으로 크게 나누어 보면<br />

UE(User Equipment), RAN(Radio Access Network),<br />

CN(Core Network)로 나눌 수 있다. 이중 RAN 은 기<br />

지국(Node-B / BTS)과 그것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br />

장치(RNC / BSC)로 <strong>구성</strong>되고 CN 은 MSC(Mobile<br />

Switching Center),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 : Home<br />

Location Register), Circuit Switching / Packet Switching<br />

Node 및 Gateway 로 <strong>구성</strong>된다.<br />

또한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의 물리적 <strong>구성</strong>요소를 살펴보<br />

면 통신 탑재체, 지상 Gateway 와 Network Control<br />

Center 로 나눌 수 있다[3][4][5].<br />

따라서 위에 언급된 지상부분 기능적 <strong>구성</strong> 요소<br />

를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의 물리적 <strong>구성</strong>요소를 시스템 설<br />

계 및 운용의 측면에서 적절히 <strong>구성</strong>함으로써 서로<br />

다른 <strong>망</strong> <strong>구성</strong>을 할 수 있으며 크게 3가지로 나누어<br />

생각 할 수 있다.<br />

3.1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으로 단독적인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strong>구성</strong><br />

단독적으로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 <strong>구성</strong>을 하는 경우 성층<br />

권 시스템은 RAN 과 CN 의 일부기능을 수행하는<br />

경우로 RAN 의 인터페이스와 CN 과 RAN 을 연결<br />

하는 인터페이스는 HAPS 내부에서 구현된다. 또한<br />

외부적으로 HAPS 들을 연결하는 IPL(Inter Platform<br />

Link)를 통해 MSC 간의 링크가 <strong>구성</strong>되며 피더링크<br />

는 MSC 와 지구국에 있는 Gateway 를 연결하는 역<br />

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는 전송<strong>망</strong> 교환기가 함께 탑<br />

재됨으로 User-HAPS-User 의 링크를 <strong>구성</strong>하여<br />

Gateway 를 거치지 않고 링크를 <strong>구성</strong>할 수 있다. 하<br />

지만 HAPS 탑재체의 부담이 가중되며 O&M 이 쉽<br />

지 않은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현재로써는 구현<br />

상의 어려움을 다수 가지고 있다.<br />

3.2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이 RAN 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br />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이 RAN 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br />

는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이 기지국 제어장치와 기지국 제<br />

어장치에 의해 제어 되는 다수개의 기지국으로 구<br />

성된 경우와 다수 기지국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br />

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B(BTS)<br />

RNC(BSC)<br />

RNC/<br />

BSC<br />

RNC/<br />

BSC<br />

SGSN/<br />

PDSN<br />

MSC/VLR<br />

SGSN/<br />

PDSN<br />

MSC/VLR<br />

MSC<br />

GGSN(PDGN)<br />

HLR<br />

HLR<br />

HLR<br />

GGSN/<br />

PDGN<br />

GMSC<br />

GGSN/<br />

PDGN<br />

GMSC<br />

그림 1.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장치로 <strong>구성</strong>되는 경우<br />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에 기지국 제어장치까지 탑재되는<br />

경우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과 그것을 제<br />

어하는 하나의 기지국 제어장치로 <strong>구성</strong>되며 피더링<br />

크는 RAN 과 CN 을 연결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br />

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br />

어장치로 <strong>구성</strong>되어 탑재체의 부담이 다소 증가될<br />

수 있으며 CN 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추<br />

가적인 CN 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B<br />

BTS<br />

Node B<br />

(BTS)<br />

RNC/BTS<br />

RNC/BTS<br />

RNC<br />

(BSC)<br />

SGSN<br />

/PDSN<br />

MSC/VLR<br />

SGSN<br />

/PDSN<br />

MSC/VLR<br />

HLR<br />

HLR<br />

그림 2. 기지국으로 <strong>구성</strong>되는 경우<br />

GGSN<br />

/PDGN<br />

GMSC<br />

GGSN<br />

/PDGN<br />

GMSC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이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br />

에는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이 기지국 기능을 수행하고, 지<br />

구국은 기지국 제어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br />

이때 피더링크는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장치를 연결<br />

하는 인터페이스를 <strong>구성</strong>하며 지구국과 외부 지상<strong>망</strong><br />

간의 연결은 지상링크를 통해 <strong>구성</strong>된다.<br />

3.3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이 User 의 신호를 단순 중계하는<br />

경우<br />

이때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은 User 의 신호를 단순 중계<br />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지구국은 기지국을 포<br />

함한 RAN 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지상인터페이<br />

스를 통해 지상 CN 과 연결된다.<br />

그림 3. User 의 신호를 단순 중계하는 경우<br />

이 경우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의 탑재체 부담이 가장 적<br />

고 모든 <strong>망</strong> <strong>구성</strong>요소가 지상에 존재하게 되기 때문<br />

에 <strong>망</strong> 운용 관리 차원에서 가장 용이한 경우라고<br />

할 수 있다.<br />

위에서 살펴본 3 가지 경우를 종합해보면 단독적<br />

인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을 <strong>구성</strong>하는 경우 <strong>성층권</strong> 비행선 탑<br />

재체 비용 및 <strong>망</strong> 관리의 측면에서의 부담이 크다는<br />

점과 CN 과 RAN 이 모두 <strong>성층권</strong> 비행선에 탑재되<br />

어 있으므로 CN 과 RAN 의 독립적인 유지 발전이<br />

보장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현재로써는<br />

구현의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기술<br />

개발 여하에 따라서 <strong>구성</strong>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br />

다. 또한 링크의 전파 지연시간을 생각해 볼 때 사<br />

용자-비행체-사용자의 단일 홉 링크 <strong>구성</strong>이 사용자-<br />

비행체-CN-비행체-사용자의 이중 홉 링크 <strong>구성</strong>에<br />

비해서 큰 장점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strong>성층권</strong> 시<br />

스템이 RAN 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비용과 <strong>망</strong><br />

관리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성층<br />

권 비행체가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br />

하나의 비행체를 지원하기 위해 지상에서 필요한<br />

지구국 또는 관문국의 수가 많은 경우 유지 보수가<br />

어려운 반면 RAN 의 기능을 수행할 경우 유지 보<br />

수시 비행체 만을 유지보수 함으로써 가능하기 때<br />

문에 RAN 의 기능을 수행 하는 경우가 유리하다.<br />

따라서 중계기로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는<br />

재해 재난시 임시적으로 신호를 중계하는 경우 더<br />

욱 적합하며 <strong>성층권</strong> 비행체가 RAN 의 기능을 수행<br />

하는 경우가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하여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br />

<strong>망</strong>을 <strong>구성</strong>할 시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br />

RAN 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중 기지국 만이 탑<br />

재되는 경우는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확장할 때 더<br />

욱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br />

4.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한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br />

링크 분석<br />

그림 4.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strong>이용한</strong>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 개념도<br />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한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strong>망</strong>은 위 그림<br />

에서 보는 것처럼 S-band 신호로 User 와 <strong>성층권</strong> 비<br />

행선에 탑재된 기지국의 링크(User 링크)를 <strong>구성</strong>하고<br />

V-band 또는 Q-band 신호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지<br />

상<strong>망</strong>간의 링크(피더링크)를 <strong>구성</strong>하게 된다. 또한<br />

Optical link 를 사용하여 각 플랫폼간의 링크를 <strong>구성</strong><br />

하게 된다.<br />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하였을 경우와 지상 기지국<br />

을 사용했을 때의 User-link 의 경로 손실은 각각 아<br />

래의 식과 같다.<br />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할 경우:<br />

4πd<br />

pathloss = (1)<br />

λ<br />

d: propagation distance, λ : wave length<br />

지상 기지국을 사용할 경우(ITU-R M.1225 vehicular) :<br />

L b<br />

−3<br />

= 40(<br />

1−<br />

4⋅10<br />

∆hb<br />

) log R −18⋅<br />

log∆h<br />

+ 21log<br />

f + 80 (2)<br />

R = 셀 반경(km),<br />

∆ h : 평균지붕 높이 대비 기지국 안테나 높<br />

b<br />

이의 차(가정:20m)<br />

f : 반송파 주파수(가정 <strong>2000</strong>Mhz)<br />

위의 식을 사용하여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경<br />

로 손실을 계산해 보면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한 경<br />

우 약 125dB(앙각: 30 도 가정) 지상 기지국을 사용<br />

한 경우 약(125.9dB)가 되어 지상의 기지국을 사용<br />

한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수준이 된다. 더<br />

구나 지상 기지국의 안테나 이득(18dBi)와 WRC-<br />

<strong>2000</strong>(Res.221)에서 정의한 안테나 빔 패턴의 이득<br />

(23dBi, Max 50dBi)을 고려해 보았을 때 <strong>성층권</strong> 시스<br />

템의 안테나 이득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br />

부분들을 대략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기존에 위


성을 사용할 때 가장 큰 문제점이 되었던 사용자<br />

단말의 소형화 및 전력의 문제는 큰 제한요소로 작<br />

용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br />

피더링크는 User link 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신<br />

호들을 지상의 CN 에 연결해주는 링크로서 여기서<br />

는 기지국 제어장치까지 탑재되어 있는 경우만을<br />

생각한다. 기지국 제어장치는 각각의 기지국의 신호<br />

들을 Transcoding 된 신호를 CN 에 연결하기 때문에<br />

피더링크 신호는 Transcoding 또는 패킷 데이터 신<br />

호를 중계하게 된다. 피더링크는 28/31GHz 와<br />

47/48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중계할 수 있다.<br />

각 주파수 대역에 따른 전파손실은 아래와 같다.<br />

표 1. 주파수 대역별 경로 손실 및 강우감쇄<br />

주파수 대역 경로손실 강우 감쇄<br />

28/31GHz 154dB 10dB<br />

47/48GHz 158dB 15dB<br />

위의 주파수 대역과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의 안테나이득<br />

을 20dBi 지상 Gateway 의 안테나 이득을 35dBi 로<br />

가정 할 때 링크의 타당성을 위해 대략적인 링크<br />

설계를 해보면 아래 표와 같다.<br />

표 2. Feeder link 링크 설계<br />

Frequency band 28/31GHz 47/48GHz<br />

U<br />

P<br />

L<br />

I<br />

N<br />

K<br />

D<br />

O<br />

W<br />

N<br />

L<br />

I<br />

N<br />

K<br />

T<br />

O<br />

T<br />

A<br />

L<br />

output power 11.7609(dB) (15W) 21.4613(dB)(300W)<br />

Tx feeder loss 1(dB) 1(dB)<br />

Tx Ant Gain 35(dB) 35(dB)<br />

EIRP 45.7609(dBW) 55.4613(dBW)<br />

Free space loss 154.567(dB) 158.365(dB)<br />

Rain attenuation 10.6107(dB) 15.8622(dB)<br />

other loss 3(dB) 3(dB)<br />

Rx Ant Gain 20(dB) 20(dB)<br />

received power -100.417(dB) -99.9654(dB)<br />

Rx feeder loss 1(dB) 1(dB)<br />

system noise<br />

temperature<br />

588.626(K) 588.626(K)<br />

G/T -7.30161(dB/K) -7.69839(dB/K)<br />

noise density -200.903(dBW/Hz) -200.903(dB)<br />

Available C/No 100.486(dBHz) 101.137(dB)<br />

output power 11.7609(dB)(15W) 21.4613(dB)<br />

Tx feeder loss 1(dB) 1(dB)<br />

Tx Ant Gain 20(dB) 20(dB)<br />

EIRP 30.7609(dBW) 40.4613(dB)<br />

Free space loss 153.683(dB) 158.182(dB)<br />

Rain attenuation 9.10903(dB) 15.6858(dB)<br />

other loss 3(dB) 3(dB)<br />

Rx Ant Gain 35(dB) 35(dB)<br />

received power -98.031(dB) -99.4062(dB)<br />

Rx feeder loss 1(dB) 1(dB)<br />

system noise<br />

temperature<br />

438.626(K) 438.626(K)<br />

G/T 8.57906(dB/K) 8.57906(dB/K)<br />

noise density -202.18(dBW/Hz) -202.18(dBW/Hz)<br />

Available C/No 104.149(dBHz) 102.774(dBHz)<br />

Require C/No 94.1509(dB) 94.1509(dB)<br />

overall C/No 98.9321(dB) 98.8688(dB)<br />

overall link<br />

margin 4.78116(dB) 4.71788(dB)<br />

위의 파라미터를 사용시 피더링크의 RF 송출 전력<br />

은 28/31GHz 대역에서 약 15W 송출 전력으로 링크<br />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만약 47/48GHz 대역을 사<br />

용하게 될 경우에는 강우감쇄 및 경로 손실이 약<br />

10dB 정도 늘어나기 때문에 EIRP 상으로 약 10dB<br />

정도의 전력이 더 요구된다. 이것은 동일한 이득의<br />

안테나를 사용하였을 때 송출전력이 10 배 정도 늘<br />

어 나게 되기 때문에 47/48GHz 대역을 사용할 때 링<br />

크의 성립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피더<br />

링크 주파수로는 28/31GHz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br />

현 시점에서는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br />

5. 결 론<br />

본 논문에서는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기지국으로의 <strong>성층권</strong> 시<br />

스템이 사용이 가시화 됨에 따라 이동통신<strong>망</strong>의 구<br />

축<strong>방안</strong>과 User-link 와 Feeder-link 의 링크 분석을 통<br />

해 사용의 타당성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알아 본<br />

바와 같이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할 경우에 기존 위<br />

성을 이동통신에 사용할 경우 가장 큰 문제점으로<br />

작용하던 사용자 단말의 크기 및 전력의 문제는 크<br />

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피더링크로 사용될 수 있<br />

는 2 개의 주파수 대역 중 28/31GHz 대역이 링크 성<br />

립이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br />

이러한 <strong>성층권</strong> <strong>시스템을</strong> 사용한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기지국<br />

의 이용은 넓은 커버리지와 기지국이 설치되기 어<br />

려운 지역에 기지국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 등이<br />

있지만 아직 탑재체의 무게 / 전력 등에 어느 정도<br />

의 제한사항이 존재 한다. 따라서 <strong>성층권</strong> 통신을 위<br />

한 저전력 경량화된 기지국의 개발 등의 제한 사항<br />

이 존재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의 기술 개발<br />

을 통해 이동통신<strong>망</strong>에 있어 <strong>성층권</strong> 시스템의 비중<br />

이 높아 질 수 있을 것이다.<br />

6. 참고 문헌<br />

[1] ITU-R Resolution 122, “Use of the bands 47.2<br />

47.5GHz and 47.9-48.2GHz by High altitude platform<br />

stations(HAPS) in the fixed service and by other<br />

service and potential use of bands in the range 18-<br />

32GHz by HAPS in the fixed service” ,1997<br />

[2] ITU-R Resolution 221, “Use of high altitude platform<br />

stations providing <strong>IMT</strong>-<strong>2000</strong> in the bands 1885-<br />

1980MGz, 2010-2025MHz in Tegion 1 and 3 and<br />

1885-1980 MHz and 2110-2160MGz in Region 2”,<br />

<strong>2000</strong><br />

[3] TTAE.3G-23.002 : ‘Network Architecture ; TTA<br />

English Standard’<br />

[4] Harri Holma and Antti Toskala, WCDMA for UMTS,<br />

John Wiley & Sons, pp. 283-302, <strong>2000</strong>.<br />

[5] Samuel C.Yang, 3G CDMA <strong>2000</strong> Wireless System<br />

Engineering, Artech House, 2004<br />

[6] Masao NAKAGAWA, “Joint System of Terrestrial and<br />

High Altitude Platform Station(HAPS)Cellular for W-<br />

CDMA Mobile Communications”, IEICE vol.85,<br />

no.10, pp2051-2058, Oct 200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