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Down - 한국뷔히너학회

Down - 한국뷔히너학회

Down - 한국뷔히너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 *<br />

- 우울증의 문학치료적 중재<br />

Ⅰ. 문학치료적 중재<br />

변학수 (경북대) / 채연숙 (경북대) / 김춘경 (경북대)<br />

문학치료(Poesie- und Bibliotherapie) 1)란 심리역동적 측면을 고려한 예술치료<br />

의 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철학적 인간학, 사회이론, 윤리학, 인식론 같은 메타<br />

이론에 기초하고, 인성이론, 발달이론, 보편․특수 치료이론 같은 실제적인 이론<br />

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문학치료는 당연히 특수한 방법과 기술을 필요로<br />

하는데, 우선 상황을 구조화하는 문학적 도구를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하면 문학<br />

치료의 매체는 일체의 문학적 텍스트를 의미한다. 물론 치료사가 이 방법을 실<br />

행하기 위해서는 인간에 대한 지식, 정신분석과 상담기법, 문학을 다룰 줄 아는<br />

숙련성을 필요로 한다.<br />

다른 일체의 것을 차치하고 우리가 우울(증)을 문학치료로 중재하기 위해서는<br />

우선 방법적으로 구체적이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문학치료란 심리적, 정신-<br />

신체적 질병이나 삶의 위기상황으로서의 우울(증)을 제어하기 위한 심리치료의<br />

한 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인격을 함양하고 삶의 질을 향상<br />

시키기 위한 일체의 자기체험 내지는 치료적 개입을 의미하는데, 이는 문학적<br />

독서와 글쓰기를 공동으로 체험하고 보조수단으로 그림이나 동작 또는 음성의<br />

도움을 받으면서 가능하다. 이런 매체들은 치료적 담론의 대상으로서 개인치료<br />

* 이 논문은 2004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협동연구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KRF-2004-<br />

042-A00090).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59<br />

치료에 비해서 문학치료는 최소한 텍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 사람에게만 적용되<br />

는 것은 분명하다. 여기서 텍스트란 꼭 주어진 문학 텍스트를 의미할 뿐만 아니<br />

라 자신의 삶의 이야기까지 포함한다.<br />

통합적 문학치료란 개인적, 집단적 삶의 양상들을 하나의 텍스트로 본다. 왜<br />

냐하면 이 삶은 언어 속에서 그리고 언어를 통하여 표현되기 때문이다. 그리고<br />

언어학자들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언어가 세계의 구조와 인간의 삶의 구조를<br />

반영하는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합적, 역동적 문학치료는 개인사<br />

또는 집단적 역사의 네러티브를 하나의 삶의 텍스트로 간주하고 그것을 회상하<br />

여 현실로 가져와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결국 우울(증)이란 이런 삶의 과<br />

정에서 벗어난 특수한 경우에 지나지 않는다. 바로 이 특수한 개인적 삶의 해석<br />

이 유아독존으로 빠질 경우 그것이 곧 우울이라는 증상을 만드는 것이다. 우울<br />

이 문학과 결부되는 것은 언어가 어떤 집단의 공유물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그<br />

언어가 언어를 창출한 사람의 독특한 언어일 경우에도 그렇다. 우울은 언어적<br />

관점에서 볼 때 독백인데, 독백은 사실 대화에 근거하고 있다. 왜냐하면 대화가<br />

독백보다 역사적으로 훨씬 오래 되었기 때문이다. 5)<br />

통합적 문학치료는 ‘매체 텍스트’나 ‘매체 책’을 인성발달의 과정에 사용함으<br />

로써 우울과 같은 참여자들의 상처를 해소한다. 그렇다고 하여 통합적 문학치료<br />

가 하나의 학제가 된다는 뜻은 아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다른 방법들과 유사<br />

한 하나의 방법으로 치료사들이 주어진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br />

말하면 문학치료라 하여 문학적 텍스트만 사용하고 그림이나 음악, 동작은 제외<br />

시킨다는 뜻이 아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통합치료의 과정이 다른 예술치료의 방<br />

법들, 기술들, 매체들을 보완하고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가령 시를 색채로 표현<br />

해보게 한다든가, 음악으로 바꾸어 보게 한다든가, 주어진 멜로디에 말을 붙여<br />

보고 어떤 이미지에 대해 글을 써 볼 수 있다는 뜻이다. 문학적 매체가 주도적이<br />

고 다른 매체들은 부수적으로(mode accompagnati) 6)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전적<br />

4) 게슈탈트 심리치료란 내담자/참여자가 스스로 인식을 획득하여 더 나은 선택을 하는 것을<br />

말한다. 다시 말해 게슈탈트치료에서는 개인이 전체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여러 부분으로<br />

분리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통합시키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 상세한 내용은 김<br />

경희,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61<br />

적으로 이해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다음으로는 참여자에게 신뢰를 형성시<br />

켜 줌으로써 그 기억이 발생하던 시기의 환경을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br />

다. 이것을 우리는 재사회화, 재어머니화(Remothering), 재부모화(Reparenting)라<br />

고 말할 수 있다. 그러면 참여자는 우선 체험을 활성화하여 이런 경우가 아니라<br />

면 결코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인격을 체험하게 된다. 나아가 다른 사람과의<br />

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모임에 참여할 수 있다. 문학치료가 우선적<br />

으로 집단적인 것은 이런 이유에서이다.<br />

3. 문학의 치유력<br />

텍스트는 그 텍스트의 저자인 참여자 자신의, 자신에 대한, 자신을 위한 메시<br />

지이고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그 텍스트는 일종의 매개체로<br />

서 자신을 파악하고 더불어 의미에 대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자신의 심층에 놓<br />

여있는 무의식적 자아를 이해하게 하고 다른 사람들의 관계, 세계속의 자신의<br />

삶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읽기, 말하기, 쓰기 등의 언어적 수단으<br />

로 잠재력을 창의적으로 계발하는 것이 곧 치유의 힘을 얻는 것이다. 문학치료<br />

는 이런 언어의 치유력에 의존하여 우울에 힘겨워하는 일반 환자(심리적 환자가<br />

아니라는 뜻), 심리 사회적 외상을 겪은 사람들의 재활, 학교에서의 적응, 창의력<br />

발달, 개인의 성장 등에 적용될 수 있다.<br />

이제 참여자를 ‘독자’라고 하자. 그의 인지와 정서를 우리는 체험이라고 하기<br />

도 하고 독서행위(Leseakt)라고도 한다. 독자나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청자<br />

는 나의 이야기를 쓸 때와는 달리 그 이야기에서 어떤 정황을 파악하려 든다. 그<br />

리고 게슈탈트 치료에서 주장하듯이 작품 속의 정황은 전경(前景)과 배경(背景)<br />

으로 수면 위로 떠올랐다가 가라앉기를 반복한다. 그러므로 책을 읽는 사람은<br />

작가의 글쓰기를 자신의 삶의 ‘전형’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적 필연성<br />

에 의한 ‘전형적인 것’을 보는 것이다. 7) 여기서 독자의 내적 필연성이란 바로 자<br />

기 과거와의 만남을 의미한다. 누구나 과거의 자기와 만날 수는 있지만 모든 사<br />

7) Vgl. Hilde Domin, Das Gedicht als Begegnung, s. Petzold, a.a.O., S. 11.<br />

262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람이 다 만나는 것은 아니다. 글을 쓰지 않는다면 그것이 불가능하고, 또 써놓은<br />

글을 읽지 않는다면 그것을 불러올 힘이 없다. 여기에 문학치료의 첫 번째 가능<br />

성이 보인다. 그러면 문학치료는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그것은 글을 쓰고 읽을<br />

때 느끼는 고립에서의 탈출 때문일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자신의 일을 밖에서 볼<br />

때, 즉 객관화시킬 때 우리는 비로소 소외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것이 (심리적)<br />

현실을 변화시킨다. 이형기 시인의 「낙화」 라는 시를 읽어본다.<br />

가야할 때가 언제인가를<br />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br />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br />

우리가 일상에서 어떤 이가 떠난다면 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아프고도 슬픈<br />

일일 것이다. 우리는 이 시가 ‘아름답다’고 표현하는 데 익숙해 있지만 그것이<br />

현실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절대로 현실에서는 아름다울 수 없는<br />

일이다. 만약 어떤 이가 원초적 경험에서 분리불안을 겪고 있다면 ‘가는 이’는<br />

엄마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아름다움은 결핍에 대한 하나의 기호(야콥슨에 의<br />

하면 하나의 선택)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독자/참여자는 이 시에서 “가는 이”<br />

로 구체화 된 어떤 전형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독자가 표상할 수 있는<br />

‘전형적인 것’을 찾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을 우리는 감정이입 또는 투사라<br />

고 한다. 독자의 마음 또는 참여자가 가진 증상은 이 시를 통해 드러나고 동시에<br />

독자/참여자는 자신의 과거와 만날 수 있다. 그것이 아름다울 수 있다. 이것이<br />

개략적인 문학의 치유 과정이다. 특히 우울이라는 부정적인 감정이 긍정적으로<br />

고양되는 것을 치유라 한다.<br />

대개 우리가 갖고 있는 상처란 결핍(deficit), 외상(trauma), 장애(disorder), 갈등<br />

(conflict) 등을 말한다. 8) 그러나 이런 상처가 우울이라는 말로 표현된다고 하여<br />

곧장 언어로만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유아기에는 예를 들어 피<br />

부 접촉이나 시선으로, 아동기에는 예를 들어 행동으로, 학령기에는 인지로, 각<br />

기 더 주도적으로 각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학적 양태가 충동을 다<br />

8) 이에 대한 구체적 도식은 Petzold, a.a.O., S. 66을 참조하라.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63<br />

루거나, 말라깽이 이성을 다루거나, 아픈 정서를 다루는 것처럼 우리 또한 과거<br />

와 서로 다른 수단을 통해서 만난다. 그 과거는 살아서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br />

고 있다. 그것은 하나의 매트릭스나 패턴을 만들어서 우리의 행동과 정서를 주<br />

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새뮤엘 베케트의 “과거로부터 우리는 도피<br />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과거가 우리를 왜곡했거나 우리가 과거를 왜곡했기 때문<br />

이다” 9)란 탁월한 표현을 신뢰할 수 있다.<br />

독자가 이런 과정을 통해 무엇을 말할 수 있다면 그는 과거를 추체험하는 동<br />

시에 순수한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는 것이다. 이유는 그가 자신의 과거 감정이<br />

자신으로부터 유발된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자신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기<br />

때문이다. 이 경우 카타르시스는 독백인 동시에 독백의 지양(止揚: Aufheben)이<br />

라는 동형이체가 된다. 10) 왜냐하면 그는 자신을 둘로 분리하여 대화를 나누고<br />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말할 수 없고 경험할 수 없는 것에 이름을 붙이고 그것을<br />

서술할 때 우리는 경험의 객체에서 그리고 경험적 대상에서 경험의 주체로 변한<br />

다. 이 객체와 주체가 동일시되는 과정을 우리는 통합(integration) 또는 넓은 의<br />

미에서 치유 또는 치료라 한다. 그 과정을 문학이라는 매개체로 성취할 때 그것<br />

을 문학치료라고 한다. 11)<br />

4. 문학치료의 과정<br />

문학치료는 집단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다. 12) 그래야 자신의 감정을 여러 사람<br />

앞에서 객관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고, 또 치료집단이라는 사회에서의 역할을 인<br />

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개인치료나 상담도 많다. 문학이<br />

(다시 말하면 시나 네러티브가) 유발하는 힘으로 독자/참여자들은 첫 기억<br />

(Frühkindliche Erinnerung)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글쓰기(시, 이야기의<br />

9) 사무엘 베케트, 프루스트론, 알라이다 아스만,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65<br />

1. 정서 되돌려주기(피드백, Feedback): 글을 읽을 때 다른 참여자들이(“ 나는 당신<br />

이 ……한 것처럼 느껴져요”) 아니면 (“나는 네가 ……한 것처럼 느껴져”)라는 긍정<br />

적인 정서를 되돌려준다. 그러면 참여자는 자신의 텍스트(즉 내면)에 대해 어떤 느<br />

낌을 갖는다.<br />

2. 공감하기(셰어링, Sharing): 이 단계는 좀더 적극적이다. (“ ……씨가 쓴 시를 읽으<br />

니까 나의 ……생각이 나네요”) 아니면 (“네가 쓴 시를 들으니까 나의 ……생각이<br />

난다”)라는 말을 한다. 이 나누기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내적 반향(innere<br />

Resonanz)을 듣게 된다. 즉, 자신의 소리가(이 순간 작가가 됨) 상대방에게 어떤 영향<br />

을 미쳤는지를 듣게 된다.<br />

피드백과 셰어링의 시간은 집단의 크기에 따라 다르고 집단의 성격에 따라<br />

다르다. 참여자들은 피드백과 공감하기를 통해 큰 역동적 분위기에 휩싸인다.<br />

그렇지만 치료사는 이런 분위기에 휩싸여서도, 또 그렇다고 이런 감정에 냉담해<br />

서도 안 된다. 한걸음 더 나아가 치료사는 참여자들이 감정을 마음대로 내놓지<br />

않도록 조정해야 한다. 감동을 받되 눈물을 흘리거나 격정적이 되어서도 안 되<br />

며, 특정한 참여자를 지목해서 글을 잘 썼다, 또는 못 썼다고 평가해서도 안 된<br />

다. 또한 어떤 감정은 표출하는 것이 ‘좋다’, 또는 ‘좋지 않다’라고 판단해서도<br />

안 된다. 그보다는 스스로 이해하고 통찰하도록 격려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스<br />

스로 미적 거리감을 유지해 감정을 추스르는 훈련을 하게 한다. 그러면 치료사<br />

는 이 일을 중지시키고 각자가 한 일에 대해 ‘한 마디 한 문장’으로 느낌을 말하<br />

게 한다. 전체 그룹이 함께 하게 하고 이때는 의자를 라운드로 하면 좋다. 상대<br />

방에게서 피드백 되는 과정에서 참여자는 인격적 통합을 얻는다. 이를 우리는<br />

통합단계라고 한다.<br />

이런 통합단계가 끝나 가면 동반자, 동행인에게 편지를 씀으로써 자신을 객관<br />

화하고 자신의 감정을 이해한다. 참여자는 어릴 때 인정받지 못한 것, 억울한 것<br />

들을 드러내면서 정서적 소산을 하게 되고 그 감정이 자신의 일부분이라는 것을<br />

인정하게 된다. 15) 이렇게 함으로써 마지막 단계인 새 방향설정단계(IV)로 진입하<br />

게 된다. 어떤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이 분출되고 긍정적인 감정을 얻게 되며,<br />

15) 개인치료의 경우에서는 내적 반향을 더 듣거나 텍스트 작업을 더 할 수 있다.<br />

266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또한 행동 장애가 새로운 이해를 통해 다른 건설적인 행동으로 옮겨가게 된다.<br />

이때 적절한 상담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체 과정을 정리해보면 I. 도입단계<br />

II. 작업단계 III. 통합단계 IV. 새 방향설정 단계의 네 단계로 나누어진다. 이것<br />

을 정신분석에서는 회상(Erinnern), 반복(Wiederholen), 작업(Durcharbeiten), 해결<br />

(Ablösung)의 네 단계로 나눈다. 16)<br />

5. 문학치료의 유형<br />

그러면 문학치료의 형식, 즉 유형은 어떤 것이 있는가 알아보겠다.<br />

1. 형식중심의 유형: 문학형식, 언어형식에 중점을 두고 작업을 하는 유형을<br />

말한다. 이 작업은 독서나 시 쓰기, 글쓰기와는 담을 쌓고 사는 사람에게 좋다.<br />

시를 읽고 편지를 쓰거나 경구를 쓰고 시를 쓰는 것이 이 진행과정의 전제조건<br />

이다. 글쓰기 유희, 텍스트 바꾸기,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clustering) 등은<br />

특히 미술이나 음악과 결부시키거나 그림이 있는 글을 쓰거나 몸동작과 연결하<br />

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메타포 만들기, 체베나 쓰기, 즉흥시, 시조, 하이쿠,<br />

각운, 민요, 트로트 리듬에 맞추어 글을 쓰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이유<br />

는 시적 형식 자체가 고유한 의미를 지니고 있고 스스로의 기억을 환기할 수 있<br />

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운율(모음의 수에 따름), 리듬, 박자 등은 억<br />

압된 것을 불러올 수 있는 내적 형식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면서 시인이나 예<br />

술가를 만들어 내겠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잠재력과 자발성을 드러내게 하려<br />

함이다. 형식 하나하나가 영혼을 가진 것이나 마찬가지임으로 형식은 곧 영혼의<br />

게슈탈트(형상, Gestalt)라고 할 수 있다. 발라드의 드라마적 요소, 하이쿠나 각운<br />

의 낯설음, 창이나 아리랑의 반복은 모두 내면세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이<br />

다. 그 이외에도 산문과 소설을 꼽을 수 있다. 17)<br />

2. 체험중심의 유형: 체험중심의 유형이란 체험을 그저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br />

16) Vgl. Petzold, a.a.O., S. 83.<br />

17) 여기서 제시된 문학치료의 유형분류는 프리츠 페를스 연구소(Fritz-Perls-Institut)에서 시행<br />

하는 치료방법에 따른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Hilarion Petzold, Ilse Orth, 같은 책, 78쪽 이<br />

하를 참조하라.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67<br />

새로운 가능성의 삶을 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체험 이야기하기, 창의적 글쓰<br />

기, 동화 꾸미기, 동화 연기하기, 이야기 꾸미기 등으로 써보면 생동감과 자발성<br />

이 생기고 어떤 체험을 떠올리게 되어 기쁨을 얻는데, 이것이 곧 치유의 힘이다.<br />

이런 체험들에서 우리는 해석할 수 있는 요소들을 발견하지만 해석하거나 설명<br />

하는 것은 포기해야 한다. 만약에 그렇게 한다면 이 창의적 작업에서 영혼을 거<br />

두어 가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그 보다는 그들의 기쁨을 그 자체로 받아들이<br />

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것도 아닌 참여자 자신이 자신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표<br />

현해도 좋다는 허가를 받는 것이 치료인데, 다른 사람으로부터 검열과 통제를<br />

받는다면 그것은 치료를 망치는 것이다.<br />

다른 참여자들에게 웃음꽃을 피게 하는 운율을 만든다든가 즉흥적인 느낌을<br />

감각적으로 말한다든가 패러디화 하는 것은 참여자들을 엄마 아빠 앞에서 재롱<br />

을 부리고 있는 어린 아이로 돌아가게 한다. 18) 또한 참여자들의 내적인 참여가<br />

중요하기 때문이 치료사는 너무 엄격한 분위기를 만들지 말아야 한다. 치료사는<br />

기쁨으로 가득 찬 아이가 놀 때 그것을 돌보아 주는 부모의 입장이 되어야 한다.<br />

치료는 웃는 아이에게 거울을 보여주는 것과 같다. 투사의 대상물들이(글, 일기,<br />

편지 등) 재현되면서 내적 상징들이 생겨나는데 이들이 마음속에 오래 묵어 있<br />

는 욕구불만, 상처받은 영혼들을 몰아내거나 완화하거나 중립화한다. 메타포, 알<br />

레고리, 유비추리, 상징들이 자주 쓰인다. 이 과정에서 누구든 해석을 하지 말아<br />

야 한다. 꼭 해석이 필요하면 스스로 하는 것은 괜찮지만 그것도 자신이 이룬 작<br />

품 내에서 일어나기 마련이다.<br />

3. 갈등 중심의 유형: 주로 갈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매체인 편지, 이력서,<br />

르포, 일기, 팜플렛, 촌평 등(문학적 에세이 형식)을 소재로 일어난다. 자기 삶의<br />

힘든 상황에 대해 촌평을 남겨보면 직접적인 치료효과가 있다. ([예] 우울이 있<br />

다는 것은 내게 우울이라는 친구가 있다는 것), 그리고 갈등과 상처가 많았던 시<br />

기의 부모에게 보내는 편지, 형제에게 보내는 편지, 아버지나 교사의 나쁜 점에<br />

대한 지적(악마의 사전) 등은 갈등을 표출하는 좋은 수단이 된다. 그 다음으로<br />

중요한 장르에는 이력서가 있다. 일반적 이력서 이외에도 삶을 부정의 텍스트로<br />

18) Donald Woods Winnicott, Vom Spiel zur Kreativität, Stuttgart 1973.<br />

268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간주하는 이야기가 있다. 이런 이야기는 긍정보다는 부정이 불러오는 투사와 감<br />

정이입의 효과를 볼 수 있다.<br />

마지막으로 삶의 텍스트를 드라마로 변형하는 방법이 있다. 어떤 갈등의 텍스<br />

트를 꿈처럼 만들어보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럼으로써 숨겨진 갈등,<br />

트라우마, 결핍 등이 드러나게 된다. 그 이유는 텍스트는 항상 저자가 의도한 것<br />

보다 더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참여자가 다른 사람들에게<br />

자신의 이야기를 드러냄으로써 가능하다. 삶의 텍스트는 자신에 의한, 자신에<br />

관한, 자신을 위한 것인데, 그것이 다른 사람에게 보내짐으로써 자신은 피드백<br />

과 셰어링을 경험하고 동시에 안정감을 얻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참여자는<br />

행위와 감정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반응을 경청함<br />

으로써 의미를 찾게 되는 것이다. 결국 참여자는 자신의 삶을 텍스트로 만들게<br />

되고 개인적인 해석의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된다.<br />

Ⅱ. 본론: 문학치료와 독서행위의 관계<br />

문학치료는 문학을 읽거나 문학을 창작함으로써 문학과 참여자가 만나도록<br />

중재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문학치료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참여자, 즉 독자가<br />

문학 텍스트, 즉 책과 만나는 일에서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글을 쓸 때는<br />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지만 문학치료적 중재의 한 형태인 집단<br />

치료에서 참여자는 자신의 텍스트를 다른 사람에게 공표하기 때문에 결국은 참<br />

여자가 저자로서 이런 과정을 독자로서의 다른 참여자들과 나눌 수 있다. 이 과<br />

정을 우리는 피드백과 셰어링에서 체험할 수 있다.<br />

필자는 이런 과정을 독일의 문예학자 볼프강 이저가 주창한 독서행위(Der Akt<br />

des Lesens) 이론에서 차용하여 실제적으로 문학치료의 임상과정에서 어떻게 이<br />

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이저는 그의 이론을 현상학과 로만<br />

잉가르덴의 미정성 개념에서 시작하고 있다. 19) 현상학이란 세계를 의식 밖의 시<br />

19) 볼프강 이저(이유선 역):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69<br />

공 속에 놓여있는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지각자의 의식 속에 드러날 수 있는<br />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대상은 독자적으로 지각자에게 현상되는 것이 아니라 지<br />

각자가 그 대상을 현상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후설의 현상학이나 메를로 퐁<br />

티의 현상학은 이런 관점에서 문학치료의 토대가 된다. 왜냐하면 내면적 상처로<br />

인하여 특정한 대상을 특정한 관점으로서만 보게 되는 참여자가 현상학적인 관<br />

점에서 그 대상을 자기의 주관적 해석의 지배 하에 두기 때문이다. 현상학에서<br />

지향성(Intentionalität)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이 참여자의 시<br />

각과 같은 것이 된다. 현상학은 우리의 모든 의식은 어떤 것에 대한 의식이라고<br />

보고 의식에 의해서 의도된 사물로서의 존재로 본다. 그러므로 지향성이란 작가<br />

가 말하거나 구조화된 세계를 보거나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br />

어떤 구조에 의해 그 대상을 상상하거나 구체화하거나 의식하여 대상을 존재하<br />

게 하는 행동의 구조를 의미한다.<br />

융의 심층심리학이나 페를스의 게슈탈트 또한 엄격한 의미에서 현상이라고<br />

말할 수 있다. 그렇게 본다면 참여자가 진술하고 인식하고 느끼는 세계란 그의<br />

지향성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치료가 ‘말하지 못한 것에 대한 언어<br />

(Sprache für Ungesagtes)’라고 말한다면 20) 이런 참여자가 시각을 바꾸고 말하지<br />

못한 지향성을 표현하게 되는 것이 곧 치유의 과정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가령<br />

우울증을 가진 참여자가 모든 대상(세계)을 우울함의 언어(은유 등)로 파악하고<br />

있는 것을 인지적 통찰을 통해 바꿀 수 있다면, 그래서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된<br />

다면 그것이 곧 치유의 과정이다.<br />

1. 독서행위<br />

볼프강 이저는 현상학적 독자반응이론을 펼치고 있는데 독자에게 하나의 텍<br />

스트가 어떤 의미를 갖는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에 의하면 의미는 텍<br />

스트와 독자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정의되어야할 어떤 것이 아니라 경험<br />

되어야 될 어떤 것이다. 21) 이 부분이 문학이론 중에서 가장 문학치료와 어울리<br />

20) Hilde Domin, Das Gedicht als Begegnung, Petzold a.a.O., S. 11.<br />

21) 볼프강 이저, 같은 책, 263쪽 이하를 참조하라.<br />

270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는 부분이다. 왜냐하면 문학치료는 문학에 대한 해석이나 정의가 아니라 문학적<br />

경험이기 때문이다. 그가 독자(이 경우 문학치료에서는 참여자가 된다)에게 많<br />

은 권한을 준 것이 영향미학의 큰 장점이다. 그러면 어떻게 이런 의미가 완성되<br />

는가. 로만 잉가르덴의 현상학적 문학예술작품 개념의 영향을 받은 이저는 문학<br />

작품이 이상적 존재도 아니요, 실제적 존재도 아닌 독자에 의한 구체화나 실현<br />

화의 행위를 필요로 하는 존재라는 잉가르덴의 말을 따른다. 잉가르덴은 문학작<br />

품이 다중의 미정적 층으로 결정됨으로 결국 다양한 특성을 지닌 독자 측에서<br />

볼 때 특정한 구체화는 없을 수밖에 없다. 수많은 독자에 따른 다양한 구체화만<br />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렇게 된다면 작품의 자율성은 사라지고 만다. 그래서 그<br />

중간 형태인 독자반응이론을 만들게 된다.<br />

이저에 따르면 작품이 텍스트와 같지 않고 그것의 구체화와도 같지 않으며<br />

그 둘 사이 어딘가에 위치하고 있다라고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문<br />

학작품은 기호와 의미가 있는데 전자는 바로 텍스트가 결정하는 것이고 후자는<br />

독자가 결정하는 것이다. 22) 이런 관점에서 보면 참여자들이 쏟아내는 경험의 레<br />

퍼토리들이 다른 참여자들의 의사나 정서를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또 듣거나 느<br />

끼는 참여자들이 텍스트를 공표하는 참여자의 생각이나 느낌 같은 경험을 그대<br />

로 받아들이는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문학치료에 대한 연구는 바로 이러한 상<br />

호작용을 연구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그것도 일반 문예학적인 관점이 아니<br />

라 정신분석이나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br />

2. 상호작용<br />

존스 Edward E. Jones와 제럴드 Harold B. Gerald가 사회심리학의 기초<br />

(Foundation of Social Psychology)에서 상호작용이론을 펼치고 있는데, 그는 우연<br />

성의 정도에 따라서 네 가지 유형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것은 의사우연성, 비대<br />

칭 우연성, 반응적 우연성, 상호적 우연성이다.<br />

22) 이저는 메를로 퐁티의 말을 인용하고 있다. “언어가 사상(事象) 자체를 표현하기를 포기할<br />

때, 언어는 그 사상을 확고부동하게 표현한다. 사고를 복사하는 대신 사고에 의해 해체되<br />

고 또 다시 제조될 때, 언어는 의미를 지니게 된다.” 같은 책, 272쪽.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71<br />

1) 의사 우연성: 두 명의 파트너가 상대방의 행동계획을 매우 소상하게 알고<br />

있어서 개별적인 대답뿐만 아니라 그 결과도 미리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를<br />

말한다. 이것을 독서의 상황으로 옮기면 이 책을 읽었을 때 독자는 너무나도 공<br />

감하고 독자는 바로 이런 책을 읽고 싶어 한다. 그런 문학이 있을까? 있다. 아동<br />

문학이 아동들에게 그럴 수 있다. 치료에서 이런 상황이 있을 수 있을까? 있다.<br />

그것은 바로 동류요법이라고 설명할 수 있는 상황이다. 가령 우울한 사람들에게<br />

우울한 텍스트는 말만 우연한 만남이지 사실은 상호적으로 어떤 행동을 할 것인<br />

지 상대방이 정확하게 알고 있다.<br />

2) 비대칭 우연성: 자기 자신의 행동계획의 실현을 포기한 상태에서 한 파트<br />

너가 다른 파트너의 행동계획을 저항 없이 따를 때 비대칭적 우연성이 지배적이<br />

다. 여기서 한 파트너는 순응하게 되고 다른 파트너는 행동전략에 수용되어버린<br />

다. 이런 경우가 있는가? 있다. 문학작품이 워낙에 영향을 미치는 작품이라면 적<br />

어도 독자는 그 작품에 압도되어버린다. 치료사가 그것을 이용하여 우울증자가<br />

자기 행동계획을 포기하게 한다. 집단치료에서 한 참여자가 자기의 행동계획을<br />

텍스트로 보여주었으나 피드백을 하는 다른 참여자가 굉장한 영향을 미쳤을 경<br />

우에도 가능하다. 하지만 어떤 파트너가 일시적으로 행동계획을 포기한 것인지<br />

아니면 영구히 포기한 것인지는 여전히 문제로 남는다. 통합적 문학치료에서는<br />

자기 스스로에게 이런 포기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시 말해 치료<br />

사가 크게 개입하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br />

3) 반응적 우연성: 이것은 방금 진술된 것이나 체험된 것에 대한 순간적인 반<br />

응이 그때마다의 파트너의 행동계획을 완전히 압도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는<br />

우연성이 우세하게 되고 이 우연성이 파트너의 행동계획을 좌절시켜버린다. 문<br />

학치료에서는 바로 이런 상황을 지향한다. 지금 우울한 사람이 어떤 텍스트를<br />

읽고(듣고) 자신의 행동계획-그것이 동기적으로 지속적인 것이든 일시적인 것이<br />

든-을 포기하게 만드는 것이 치료의 과정이기 때문이다.<br />

4) 상호적 우연성: 그때마다의 파트너의 반응을 자기 자신의 행동계획 뿐만<br />

아니라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상대의 반응도 고려하면서 자신의 반응을 정하는<br />

노력이 지배적이다. 여기서는 두 가지 결론이 나온다. 상호작용은 각기 상대방<br />

으로 인해 풍부해지는 창조성의 승리가 될 수도 있고 다른 쪽에서는 이로움이라<br />

272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고는 전혀 없는 상호적대감만 키울 수 있다.<br />

이런 상호작용의 토대 위에서 이저가 본 독서행위란 독자가 마음대로 읽는<br />

것도 텍스트의 고유한 영역도 아니다. 독자가 텍스트에 쓰이지 않은 미정성을<br />

스스로의 경험이나 상상으로 채운다는 그의 이론은 문학치료에서 시사하는 바<br />

가 크다. 왜냐하면 문학치료는 참여자로 하여금 퇴행(Regression)을 하도록 하여<br />

스스로 자신의 기억을 불러오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의 의미는<br />

텍스트와 독자의 상호작용,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문학치<br />

료에서는 경험적 독자를 지향한다. 물론 텍스트 없이도 경험적 독자는 나올 수<br />

있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경우를 Bibliotherapie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를<br />

Poesietherapie라고 한다) 전적으로 이 두 가지가 분리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br />

피드백과 셰어링을 통해서 다각적으로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저가<br />

말한 내포독자(der implizite Leser)는 선험적인 성격을 지닌 약점이 있음에도 불<br />

구하고 문학치료와 상응하는 개념이다.<br />

내포독자는 전략과 내용목록을 가진다. 전략의 목표는 낯설게 하기/미적 거리<br />

감이며 그것을 위해 전경과 배경, 주제와 지평, 시점이 만들어진다. 참여자 역시<br />

이런 구조적 전략에 따라 어떤 문제에 먼저 반응을 하고 특정한 시점을 가지며<br />

특정한 기대를 하게 된다. 다른 사람의 텍스트를 읽는 동안-치료과정에서는 다<br />

른 사람의 이야기나 시를 듣는 과정이다-독서행위가 성취되는데 이때의 중요한<br />

정신작용은 기대와 회상이다. 문장은 특정한 기대지평을 열고 이 기대지평은 뒤<br />

의 문장에 의해 끝없이 수정된다. 기대는 앞으로 올 것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br />

지만 기대의 수정은 이미 읽은 것에 회상효과를 미친다. 이 미시적인 관점을 텍<br />

스트 전체로 옮기면 우리는 문학치료의 효과를 정당화할만한 하나의 구조를 찾<br />

을 수 있다. 즉, 텍스트는 기대를 하게 하지만 앞의 텍스트에 대한 회상을 가능<br />

하게 한다. 그것이 낯설게 하기(브레히트)에서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실망(가다<br />

머)에서 가능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회상이 가능한 것은 사실이다. 이런 독서행<br />

위를 이저는 기대와 회상의 변증법이라고 한다. 우리가 읽은 것은 우리의 기억<br />

의 침전물이 되었다가 다시 환기/회상 되어서 다른 배경에서 읽히게 되는데 이<br />

때 이루어지는 새로운 관계가 바로 의미이다. 기대와 회상의 상호작용에 의해서<br />

독서는 쓰여진 것의 단순한 지각/수용을 넘어 창조적 과정을 만든다. 독서의 행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73<br />

위에서 텍스트에 미정되어 있고 잠재되어 있는, 그래서 결국 자기 자신에게 잠<br />

재되어 있지만 표현되지 않는 것을 드러내게 된다.<br />

Ⅲ. 우울증의 문학치료적 중재<br />

이 논문의 의도는 우울증에 대한 치료가 아니다. 더욱이 우울증에 대한 지식<br />

은 이미 많은 책으로 나와 있다. 그보다는 우울증의 테라피를 위한 방법을 특히<br />

문학이라는 매체로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그러면 문학 속에서 우<br />

울이라는 심리적 결핍에 보상이 될 만한 표현의 객관적 근거가 있는가 라는 질<br />

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문제는 종교적 제의 같은 데서도 찾아 볼 수 있는데,<br />

가령 샤머니즘의 경우 프레이저가 말한 대로 “유사성에 의한 마법(magic by<br />

similarity)”이 핵심적인 방법이었다고 한다. 23) 이것은 곧 동류요법이라고 정리할<br />

수 있는데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에 통용되어 온 방법이다.<br />

하지만 어떤 문학이 어떤 특정한 유사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물음은 항상 제<br />

기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이오네스코가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75<br />

비된 세로토닌이 없어지지 않으면 시냅스 후의 신경세포가 계속 자극된다. 따<br />

라서 분비된 세로토닌이 없어져야 하는데 이 과정은 바로 세로토닌을 분비한<br />

세포(시냅스 전 세포)에서 세로토닌을 다시 흡수함으로써 일어난다. 재흡수 된<br />

세로토닌은 다시 재활용된다.<br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바로 세 번째 과정에 작용한다. 즉, 분비된 세로토<br />

닌이 다시 재흡수 되어 없어지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복용초기에 시냅스 내에<br />

서 세로토닌의 양은 증가하게 된다. 세로토닌을 주입해 주는 것이 아니라 없어<br />

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의 항 우울 작용은 이<br />

런 기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기보다는 이후에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시냅스<br />

후 세로토닌 수용체의 downregulation을 비롯한 이차적인 변화에 의한 것일 가능<br />

성이 더 높다고 본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문학작품이나 문학적 글쓰기로 억압<br />

을 소산하고 유쾌한 놀이를 통해 불안을 감소하고 긍정적인 인지구조를 갖게 하<br />

는 것이 약물치료에 반하는 우울증의 문학치료라 할 수 있다. 물론 증세가 심한<br />

환자들은 입원을 통해 약물로 치료받는 것이 좋다.<br />

여성특유의<br />

사회화 과정<br />

불안정한 양친<br />

부모<br />

불안한 성격<br />

(유전)<br />

대처 능력의<br />

부족(여성)<br />

우울증의 구조 25)<br />

성인(사춘기)<br />

호르몬의 변화<br />

(옥시토신의 증가)<br />

성인(사춘기) 변화와<br />

관련된 누군가의 도움<br />

필요 욕구<br />

불안 증가<br />

성인(청소년)<br />

진입으로의 장애<br />

스트레스, 부정적 사건<br />

(특히 대인관계에서의<br />

부정적 경험)<br />

우울증적 소인<br />

Depression<br />

-강한 보살핌 요구<br />

-악화된 인간관계<br />

-강화된 불안<br />

-대처능력(수단)의<br />

부족<br />

25) 본 장에서 제시된 도표들은 필자가 문학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면서 자체적으로 개<br />

발한 프로그램의 일부와 Fritz-Perls-Institut에서 사용하는 처치법을 활용한 것이다.<br />

2. 우울증의 문학치료적 중재<br />

우울증의 치료는 인지적 행동치료가 주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6) 하지만<br />

초기 단계는 정서적 감정이입이 주효하고, 그 이후에는 자기조절훈련, 쾌적한<br />

활동계획, 사회적 능력 훈련, 긴장완화훈련, 문제해결능력 등을 문학치료와 관련<br />

지어 세팅을 할 수 있다. 인지적, 정서적 구조 변화는 최종 치료목표이기도 한데<br />

이미 오랫동안 세상을 부정적으로 보는 눈을 바꾸는 훈련을 말한다. 하지만 그<br />

부정적 자기 쾌감을 지우기 위해서는 문학적 유희가 필수적이다.<br />

1. 인지적 정서적<br />

구조변화<br />

우울증 치료의 목표와 기술<br />

치료목표 치료기술<br />

부적응 요인 변화 / 부적응 행동 요<br />

인 변화<br />

부정적 인식 체크 / 긍정적인 자기와의 대화<br />

/ 몸과 느낌의 이해 / 시 느끼기 / 자기 정서<br />

그리기 등<br />

2. 자기조절 훈련 자기 강화 / 자기 판단 강화 긍정적 자기 보상, 연습 중심의 치료과정(하<br />

이쿠 / 체베나 / 정형시 / 시조의 운율에 맞<br />

춰 넣기)<br />

3. 쾌적한 활동 계획 좋은 기분 / 은유 치환할 수 있는 활<br />

동 강화<br />

4. 사회적 능력 훈련 대인 관계 호전 / 충분한 상호관계<br />

증진<br />

5. 긴장 완화 훈련 우울을 야기하는 긴장과 불안을 완<br />

화시킴<br />

6. 문제 해결 능력 문제해결능력 강화로 자아 존중감<br />

형성 / 자기 통제력 강화<br />

체계적인 해소 계획(매일매일 기분 좋은 일<br />

말하기)<br />

멜랑콜리와 관련된 좋은 시 읽기 / 좋은 산<br />

문 읽기 등<br />

모델을 정하고 연습, 텍스트의 드라마화, 역할<br />

극, 드라마치료, 사이코드라마(빈 의자 기법)<br />

근육 이완 / 상상력 증진 / 명상 / 요가 / 시<br />

낭송(선시) / 시 쓰기(즉흥시) / 용서하기 / 넌<br />

센스 시 쓰기<br />

문제의 직시 / 방법을 생각 / 그 중에서 최선<br />

을 선택하여 연습하기, 상담<br />

26) Cecilia A. Essau, Depression bei Kindern und Jugendlichen, München 2002, S. 136ff. 여기<br />

서 저자는 벡의 인지적 행동이론(1976)을 토대로 한 다수의 연구들이 우울증을 가진 청소<br />

년들에게서 인지적 행동치료가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이미 검증한 바 있다고 보고하고<br />

있다.


3. CWD 또는 우울증 대처계획<br />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77<br />

자기 기분에 대한 평가는 치료시간과 관계없이 늘 성의 있게 집에서 실시하<br />

여야 한다. 그리고 아래 표3에서 보듯이 +로 표시된 과제는 자기 치유의 형식으<br />

로 수행되어야 한다. 치료적 중재에서는 각 회기나 회기군에 따라 다른 대처계<br />

획을 수행할 수 있다.<br />

우울증 대처 계획<br />

회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br />

기분에 대한 평가 + + + + + + + + + + + + + + +<br />

대인 관계 + + + + +<br />

쾌적 활동 + + + + + + + +<br />

치<br />

료<br />

긴장 완화 + + + + + + + +<br />

건설적 생각 +<br />

+<br />

소통 + + + + 과<br />

행동문제해결<br />

개선된 것 유지<br />

+ 제<br />

4. 우울증의 문학치료 과정<br />

우울증은 ‘정신적 감기’라 할 만큼 매우 흔한 것이다. 하지만 병적인 단계에<br />

들어가면 회복할 수 없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리하여 평상시에 미리 대<br />

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우선 라포를 형성하고 내담자와 진정한 관계를 위<br />

한 예비 작업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좋은 시를 읽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도 좋<br />

은 방법이다. 다만 경우에 따라 참여자가 직접 시를 선택하거나 자기가 쓴 시<br />

를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나면 도입단계에서 여러 가지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br />

집단치료를 할 경우 동작과 느낌, 호흡과 명상을 통하여 자신의 두려움이나 소<br />

망을 이야기할 수 있고 또 많은 감정을 담은 글들을 읽거나 이야기하면서 도입<br />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활동단계에서는 회상으로 자신의 기억을 불러와 감정<br />

의 해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시를 읽고 생각나는 자유연상, 적극<br />

278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적 상상을 활용한 이야기 쓰기 등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수동적이고 수용적<br />

인 책읽기에서 글쓰기로 나아가는 것이 좋다. 통합단계는 활동단계에서 생길<br />

수도 있는 것으로서 숨겨둔 자기, 분노하는 자기, 부정적인 자기를 찾는 과정이<br />

다. 여기서 인지적 통찰과 정서적 이해가 생겨난다. 그리하여 새로운 출발을 할<br />

수 있게 도와준다.<br />

0. 사전준비 / 리포의<br />

형성<br />

1. 도입단계 / 긴장완화<br />

2. 활동단계 / 자발성의<br />

창조<br />

3. 통합단계 / 긍정적<br />

자기 묘사<br />

4. 새 방향 설정단계<br />

/ 새로운 삶<br />

우울증의 문학치료 과정<br />

계약서, 치료 계획 동의서,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글쓰기에 대한 안내, 문<br />

학의 선택, 병력, 감정상태(측정)-‘과정 진단’일 경우 제외<br />

스크린 만들기 / [빨간 나무]에 대한 느낌, 생각나는 사람-이 글을 읽고 당신<br />

이 생각나는 좋은 두 사람, 좋지 않은 두 사람 그리기, 이 글을 읽고 당신이 기<br />

꺼이 가보고 싶은 장소 그리기, 내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그러나 기꺼이 갖고<br />

싶은 것 두 가지 말하기, 기꺼이 하고 싶은 활동하기 / 동반자 정하기 / 피드백<br />

-셰어링<br />

감정의 발생-해소, 박의상의 ‘일등육’, 정호승의 ‘그리운 부석사’, 곽재구의<br />

‘사평역에서’, ‘가시고기’, 인생파노라마 또는 위기파노라마 그리기, 헤벨의<br />

‘뜻밖의 재회’, 넌센스 시 쓰기, 모차르트 음악 듣고 시/줄글로 표현하기, 자기<br />

모습 그리고 이야기 쓰기(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방랑자 / 창가의 여인<br />

의 보이지 않는 얼굴 그리기) / 동반자에게 편지쓰기 / 피드백-셰어링<br />

다른 사람과의 만남에서 긍정적 자기 묘사, 부정적 생각 인식을 긍정적으로<br />

대체, 죄의식의 해소, 적개심의 완화, 용서하기, 무엇이 좋은 감정을 일으키게<br />

하는지, 예를 들어 좋은 기억들, 좋은 사람들, 활동적인 시기 등을 기억하는<br />

훈련을 한다. / 피드백-셰어링<br />

동반자의 편지 받기 / 나는 좋다, 나는 긍정적이다, 나는 잘하고 있다, 나는 용<br />

서한다, 나는 이런 좋은 점을 갖고 있다, 나는 세상을 밝게 한다, 나를 슬프게<br />

하는 것들은 이제 지나갔다.<br />

Ⅳ. 사례: 우울증 해소를 위한 집단문학치료 축어록<br />

문학치료는 집단치료가 주된 방식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개인 또는 3~4명<br />

이내의 소그룹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두 가지 경우를 소개하겠다. C라는 여대생<br />

이 있다. 크게 고통의 증상을 호소하지는 않았지만-나중에 안 결과이기도 한데-<br />

강박과 불안장애가 있다. 충분한 라포가 형성되고 난 후 우리는 치료실에서 같<br />

이 창밖을 둘러보기로 하였다. (T: Therapist 치료사 C: Client 참여자)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79<br />

T: 눈에 무엇이 들어오는가요?<br />

C: 안개 낀 하늘이 보입니다.<br />

T: 안개 낀 하늘을 보면 무슨 일이 생각나는가요?<br />

C: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습니다.<br />

T: 정말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가요?<br />

C: 정말 아무 생각도 안 납니다.<br />

T: 지금 기분은 어떤가요?<br />

C: 우울합니다. 왜 그런지 우울합니다.<br />

T: 우울할 때 생각나는 것은 없습니까?<br />

C: 없습니다.<br />

T: 그러면 정호승의 시 「 수선화에게」 를 들어보겠습니까?<br />

C: 그 시 압니다.<br />

T: 그래도 들어보지 않겠어요?<br />

C: 좋습니다.<br />

T: 울지 마라<br />

외로우니까 사람이다<br />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br />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br />

눈이 오면 눈길을 걷고<br />

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br />

갈대숲에서 가슴 검은 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br />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br />

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고<br />

네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다<br />

산 그림자도 외로워서 하루에 한번씩 마을로 내려온다<br />

종소리도 외로워서 울려 퍼진다<br />

C: 시를 들으니까 생각나는 것이 있습니다.<br />

T: 말해보겠어요?<br />

C: 책가방 메고 학교 가는 것이 보입니다.<br />

T: 그 아이가 어떻게 가고 있어요? 글로 써보겠어요?<br />

C: 그러겠습니다.<br />

280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글의 내용<br />

나는 하늘을 헤쳐가고 싶다. 하늘은 안개. 나는 안개 같은 하늘을 헤쳐가고 싶다. 안<br />

개 낀 하늘을 보면 비 오던 골목길에 있는 내가 생각난다. 비가 많이 오고 안개가<br />

많아서 추웠다. 우산은 어깨에 무겁게 걸치고 언제나 네모난 가방은 뒤로 처져서 어<br />

깨를 잡아당겼다. 신발은 다 젖고 나는 키가 작고, 친구가 없다. 나는 언제나 길을<br />

혼자 걸었다. 땅만 바라보며<br />

T: 잘 하셨습니다. 이때의 하늘 때문에…… 라는 느낌을 구체적으로 말해보세요.<br />

C: 야 니 땜에 내가 얼마나 고생했는 줄 아나<br />

T: 그렇게 말고 안개 낀 하늘 때문에…… 라고 모든 것의 책임을 돌려보세요.<br />

C: 그러겠습니다. 안개 낀 하늘은 비 오던 골목길의 나를 생각나게 한다. 비가 많이<br />

오고 안개가 많아 춥다. 안개 낀 하늘 때문에 우산이 어깨에 무겁다. 안개 낀 하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81<br />

늘 너 때문에 네모난 가방은 뒤로 축 처졌다. 어깨를 잡아당기는 것도 안개 낀<br />

너 때문이고 신발이 젖고 내가 작고 친구가 없는 것도 안개 낀 하늘 너 때문이다.<br />

혼자 길을 걸어간다. 너 때문에 땅만 바라보며.<br />

T: 시의 형식으로 마무리를 해볼까요?<br />

C: 해보겠습니다.<br />

글의 내용: 나는 하늘을 헤쳐가고 싶다. 안개 낀 하늘을. 나는 안개 낀 하늘을 헤쳐<br />

가고 싶다. 안개 낀 하늘은 비 오던 골목길의 나를 생각나게 한다. 비가 오고 안개가<br />

많아 춥다. 안개 낀 하늘 때문에 우산이 어깨에 무겁다. 안개 낀 하늘 너 때문에 네<br />

모난 가방은 뒤로 처진다. 어깨를 잡아당기는 것도 안개 낀 하늘 너 때문이고 신발<br />

이 젖고 내가 작고 친구가 없는 것도 안개 낀 하늘 너 때문이다. 하늘에 안개가 끼<br />

면 나는 언제나 혼자 걸어간다. 안개 낀 하늘 너 때문에 땅만 바라보며.<br />

T: 감사합니다. 진실하게 솔직하게 말해주어서요. 그러면 내가 다른 사람이 되어 주<br />

석을 써보겠습니까?<br />

C: 주석: 당신이 왜 혼자입니까. 당신은 돌아갈 집이 있고 비를 받쳐줄 우산이 있습<br />

니다. 가끔은 학교 앞에서 우산을 쓰고 기다리는 어머니가 당신을 기다리고 있을 수<br />

도 있습니다. 길을 가며 싸구려 아이스크림을 먹을 수도 반 친구를 길에서 만나 우<br />

스개 이야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글을 쓴 뒤 훌쩍이며 곧장 눈물을 흘린다)<br />

이어서 릴케의 시를 읽어주었다.<br />

나는 사람들의 말이 매우 두렵습니다.<br />

그들은 모든 것을 아주 분명히 말합니다.<br />

이것은 개고 저것은 집이며,<br />

여기가 시작이고 저기가 끝이라고.<br />

그들의 생각, 그들의 말장난이 나를 두렵게 합니다.<br />

그들은 미래와 과거를 다 아는 것 같습니다.<br />

그들은 어떤 산을 보고도 감동하지 않는데<br />

이유는 그들의 정원과 땅이 곧 신의 나라에 가깝기 때문이지요.<br />

나는 언제나 멀리 떨어져 있으라고 경고하고 저항하고 싶습니다.<br />

나는 사물들이 노래하는 소리가 좋습니다.<br />

282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그들이 사물을 건드리면 사물들은 놀라 벙어리가 됩니다.<br />

그들이 나의 모든 사물들을 죽이고 있습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1898.11.21)<br />

듣고는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br />

나는 엄마의 말이 두렵다. 엄마는 너무나도 분명히 말한다.<br />

너는 말이 많다고……너는 울면 안 된다고……<br />

엄마의 말장난이 나를 두렵게 한다.<br />

언짢은 날엔 머리를 도끼로 찍어<br />

내 머리는 발밑에 떨어지고<br />

나는 온종일 너덜거리는 마음으로……너덜거리는 몸뚱아리로……<br />

집안을 기웃거린다.<br />

그리고는 다음과 같은 고백을 했다.<br />

나는 하나하나 다 꼽을 수 없을 정도로 엄마의 말에 많은 상처를 받았어요. 며칠 전<br />

에도 지친 하루 끝에 문을 열고 들어온 순간 그 포악한 쇳소리처럼 카랑카랑한 엄<br />

마의 소리 지름에 난 문 앞에서 얼어버렸어요. 언제나 당연하게 마음 깊은 곳까지<br />

증오를 퍼올려 나에게 화풀이하는 엄마 때문에 난 어릴 때부터 마음이 난도질당해<br />

서…… 그런 하루는 온통 몸도 마음도 너덜거렸어요. 어릴 때 엄마가 얼마나 무서웠<br />

다구요. 소름끼칠 만큼. 벼락이 치는 것 같이. 심장이 쿵하고 떨어지는 것처럼. 아버<br />

지도 섭섭해요. 나는 힘없는 어린 애가 아니에요. 나를 한 인간처럼 생각해주면 좋<br />

겠어요. 나는 아버지가 하라면 당연히 해야 하는 아버지의 부속물이 아니고 온전한<br />

나이거든요. 아비지의 말에 어이없이 말문이 막히고 굳어버리는 때가 많아요. 내가<br />

언제부터 말을 하지 않게 되었을까요. 나는 그렇게 살도록 길러졌던 거예요. 나는<br />

누구를 믿지 못해요. 어릴 때부터 따뜻한 가정에 속한 것처럼 보이는 친구들이 얼마<br />

나 부러웠는지 모릅니다. 나에게는 모든 것이 결핍되어 있어요. 어릴 때 너는 나약<br />

하지 않다는 말, 너는 소중하고 귀한 존재라는 말을 해줬다면 아마 나는 다른 사람<br />

이 되어 있을 거예요.<br />

그 이후의 회기에서도 계속 글쓰기를 했고, 가족과의 관계에서 심한 상처를<br />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참여자는 불안을 감소해나가고 가족을 용서하고 자신을<br />

용서하는 기회를 가졌다.


Ⅴ. 결론: 문학치료적 중재의 전망<br />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83<br />

우리는 위에서 문학이라는 매체가 우울(증)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br />

가하는 것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임상과정의 사례에서 볼 수 있<br />

듯이 참여자는 도입단계에서 치료자가 “우울하면 어떤 생각이 드느냐?”하는 질<br />

문에는 별 반응을 보이지 않지만 정호승 시인의 「 수선화」 를 듣고 서서히 감정이<br />

입의 정서를 갖는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우울한 정서나 우울증을 가진 참여자<br />

들일수록 우울한 정서의 텍스트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br />

참여자는 시를 듣고 난 자신의 느낌을 한 편의 시로 적는 에너지를 얻게 되고<br />

결국 그것은 참여자가 가진 우울의 동인을 환기하는 산문의 글로 발전된다. 이<br />

와 같은 활동과 통합단계를 거쳐 참여자는 자신을 위협하고 불안하게 하는 억압<br />

의 기억을 소산하게 되고 재부모화의 환경에서 안정됨, 편안함, 인지적 변화를<br />

얻게 된다. 결국 그러한 글을 통해 참여자는 스스로와의 화해, 환경과의 화해를<br />

이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학치료란 단순한 책읽기나 글쓰기가 아니라<br />

치료자가 문학이라는 매체를 통해 적절히 중재하고 개입함으로써 참여자의 내<br />

적인 심리역동을 얻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문학치료는 문학이라는 매체를 통하<br />

여 자발성, 창의성, 역동성을 얻어내는 치유방법이라 할 수 있다.<br />

물론 문학치료적 중재를 하는 과정에서 모든 문학텍스트가 사용될 수 있는<br />

것은 아니다. 급성(akut) 우울(증)을 가진 참여자에게 위와 같은 방법은 오히려<br />

역효과를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문학치료사는 참여자의 증상이나 상태를 고<br />

려하여 적절한 문학치료적 세팅, 즉 문학치료의 목표, 기능, 방법, 기술, 회기, 매<br />

체(은유, 상징) 등에 이르는 다양한 중재의 과정을 치밀하게 준비하여야 한다.<br />

그러나 이러한 문학치료적 중재가 늘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어느 치료든(약물<br />

치료를 포함한) 막론하고 인간의 심리를 다루는 문제이니만큼 완벽한 치료가 아<br />

니라 좀더 나은 상태로의 발전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다만 여기서 큰 의미를 두<br />

는 것은 우울(증)의 재발이나 유병을 미연에 예방하고 심각해진 상황을 제어할<br />

힘을 얻게 하는 데 있다. 우울(증)을 포함한 현대인의 정신병리는 나날이 심각해<br />

지고 있는 현시점에 향후 문학치료의 중재나 개입은 다각적인 활로모색의 필요<br />

성을 갖는다 하겠다.<br />

284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참고 문헌<br />

김경희,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85<br />

Kafka, Franz, Tagebücher 1910~1923, hrsg. v. Max Brod, New York/Frankfurt a. M.<br />

1958.<br />

Ders., Briefe 1902~1904, hrsg. v. Max Brod, Frankfurt a. M. 1975.<br />

Kast, V., Wege aus Angst und Symbiose, München 1988.<br />

Kleber, D., Bibliotherapie: in Beitrag zur Geschichte und zur Begriffsbestimmung.<br />

Zentralblatt fuer Bibliotheswesen. 98(9), Dresden 1982.<br />

Lepenies, Wolf, Melancholie und Gesellschaft, Frankfurt a. M. 1967.<br />

Merkle, Rolf, Bibliotherapie. Der Einfluss des therapiebegleitenden Lesens auf das<br />

emotionale Befinden bei ambulant behandelten Patienten. Mannheim 1998.<br />

Pardeck, J. T. and Jean A. Pardeck, Bibliotherapy: A tool for helping preschool children<br />

deal with developmental change related to family relationships. Early Child<br />

Development and Care, Vol. 67(9), 1989.<br />

Pfeiffer, Joachim, Literaturpsychologie. Eine systematische, annotierte Bibliographie,<br />

hrsg. in Verbindung mit W. Mauser und B. Urban, Würzburg 1989.<br />

Rilke, Rainer Maria, Sämtliche Werke, Rilke-Archiv in Verbindung mit Ruth<br />

Sieber-Rilke, besorgt durch Ernst Zinn. Frankfurt a. M. 1955~1966.<br />

Rubin, R. J., Bibliotherapy sourcebook. AZ: Oryz Press, London 1978.<br />

Salber, Wilhelm, Literaturpsychologie. Gelebte und Erlebte Literatur, Bonn 1972.<br />

Schlaffer, Heinz, Poesie und Wissen, 1. Aufl., Frankfurt a. M. 1990.<br />

Tews, R., Bibliotherapy. Library Trends, Vol. 97, 1969.<br />

Trakl, Georg, Das dichterische Werk. Auf Grund der historisch-kritischen Ausgabe von<br />

Walter Killy und Hans Szklenar, 4. Aufl. 1977.<br />

Weinrich, Harald (Hrsg.), Positionen der Negativität (Poetik und Hermeneutik 6),<br />

München 1975.<br />

Wolf, Doris, Bibliotherapie in der psychotherapeutischen Praxis. Der Einfluß des<br />

therapiebegleitenden Lesens auf kognitive Variablen und körperliches Befinden,<br />

Mannheim 1989.<br />

Worbs, Michael, Nervenkunst. Literatur und Psychoanalyse in Wien der<br />

Jahrhundertwende, Frankfurt a. M. 1988.<br />

Yalom, I. D.,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3rd. Edition, A Division<br />

of Harper Collins Publishers 1985.<br />

Zehentbauer, Josef, Melancholie. Die traurige Leichtigkeit des Seins, Stuttgart 2001.<br />

286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Zusammenfassung<br />

Poesie- und Bibliotherapie für die psychosomatischen Erkrankungen<br />

der modernen Menschen<br />

- Interventionen der Depression<br />

Byun, Hak-Su (Kyungpook Nat. Uni)<br />

Chae, Yon-Suk (Kyungpook Nat. Uni)<br />

Kim, Choon-Kyung (Kyungpook Nat. Uni)<br />

Bisher blieb die Beschäftigung mit der Heilkraft der Sprache, d. h. mit der<br />

heilenden Wirkung von Literatur, den therapeutischen Möglichkeiten des Lesens und<br />

Schreibens eher in Randbereichen der Psychotherapeutischen Disziplinen. In neuerer<br />

Zeit entdeckte man, dass Literatur und dabei die gestaltete Sprache Menschen<br />

berührt, ihre Persönlichkeit verändert, ihnen Zugang zu sich selbst, zum Mitmenschen<br />

ermöglicht. Wir sehen die Möglichkeiten von Literatur in Form von Literaturszenen,<br />

den literarischen Werkstätten und nicht zuletzt von kreativitätstherapeutischen<br />

Verfahren, in der Therapie und als Therapie noch kaum erschlossen. Unsere<br />

Erfahrungen mit der Poesie- und Bibliotherapie geben uns den Impuls, in Therapie<br />

für die Depressionen einzusetzen.<br />

Die integrative Poesie- und Bibliotherapie ist ein Verfahren, das durch das<br />

Medium künstlerisch-gestaltender Sprache Prozesse seelischer Integration und<br />

persönlichen Wachstums in Gang setzt und unterstützt. In der Begegnung mit der<br />

Literatur oder dem selbst verfassten Text können Gefühle vertieft wahrgenommen<br />

und in neuer Weise berühren. Im poesietherapeutischen Schreiben kann zum<br />

Ausdruck kommen, was bisher nicht zur Sprache kommen konnte. „Wer schreibt,<br />

kann sich selber lesen", so hat Max Frisch es formuliert. Poesie- und Bibliotherapie<br />

wird in verschiedenen Bereichen angewandt: Bei den physischen und psychischen<br />

Erkrankungen, in der Sterbehilfe, in den Lebenskrisen, in der Erwachsenenbildung,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변학수/채연숙/김춘경 287<br />

zur Selbsterfahrung und Persönlichkeitsentwicklung.<br />

Im Unterschied zu dem rezeptiven Ansatz regen Poesietherapeuten an, selber Texte<br />

zu schreiben und dem Therapeuten oder in der Gruppe vorzutragen. Auch hier wird<br />

das Material zur Auslösung von Gefühlen und zur Vermittlung von Einsichten im<br />

Gruppengespräch verwandt. Spezielle Formen des Aufarbeitens finden sich bei dem<br />

integrativen Ansatz so, dass man die Teilnehmer in den verschiedenen Medien wie<br />

Malen, Musik hören etc. durch Feedback und Sharing voneinander erfahren und<br />

gegenseitig fördern kann. Darüberhinaus ist der integrative Ansatz aber auch in der<br />

Selbsterfahrung zur Entwicklung der Persönlichkeit und zur Verbesserung von<br />

Lebensqualität einzusetzen, durch das gemeinsame Erfahren von Literatur, im Lesen<br />

von Poesie und Prosa und im Gestalten eigener Texte als persönlichen Narrationen.<br />

Poesietherapie ist keine Literaturschreibwerkstatt und auch keine<br />

literaturwissenschaftliche Stunde der Interpretation von Gedichten. Literatur hat<br />

dagegen im Sinne der Therapie die Eigenschaft etwas zu strukturieren. Um etwas<br />

auszudrücken, muss ich erfassen, was es ist. Dann wird es greifbar und handelbar<br />

durch die Strukturiertheit der Sprache, und der Literatur, die mir (dem Klienten)<br />

Klarheit gewinnen lässt.<br />

Die Literatur bietet gute Möglichkeit, um selbst zu erkennen. Es ist eine<br />

Projektionsfläche für die Hörer/Leser, aber auch für Dichter. Beim Lesen und bei<br />

Sharing(Resonanz) ist immer wichtig, nicht das zu erfassen, was der Dichter damit<br />

sagen will, sondern das, was es in mir anspricht. Darüberhinaus geht es nicht darum,<br />

ob Gedicht gut oder schlecht, sondern spricht es uns an. Und die poetische Form<br />

sollte nie über Inhalt stehen, d. h. Gedicht muss sich nicht unbedingt reimen. Den<br />

tieferen Sinn eines Gedichts gibt es nicht. Man soll daher die Wertung enthalten, also<br />

die Wertungen vermeiden. Entscheidend ist was für mich darin steckt. Wertungen<br />

sind immer da, aber braucht man nicht ständig, so bewertet zu werden, wie die<br />

Psychoanalyse sagt. Die vergessenen Schmerzen werden nur im Prozesse der aktiven<br />

Imagination (C. G. Jung) des Schreibens und Erinnerns (S. Freud) prägnanter<br />

erscheint.<br />

288 뷔히너와 현대문학 26<br />

Auf diese Weise werden Depressionen der Klienten interveniert. Grundsätzlich und<br />

häufig geht Depression mit Angst einher, sind Entspannugen meistens ein wichtiger<br />

Teil der Poesie- und Bibliotherapie mit depressiven Klienten. Anhand der Techniken<br />

der integrativen Poesie- und Bibliotherapie wird den Klienten vermittelt,<br />

verschiedene emotionale Spannungen loszulassen, mit den frühkindlichen<br />

Erinnerungen zu versöhnen, um schließlich einen entspannten Zustand zu erreichen.<br />

Gefühlte Imagination kann anhand des Lesens, Malens und nicht zuletzt Schreibens<br />

eingeführt werden. Dabei lernen die Klienten, sich angenehme Umwelten<br />

(Reparenting) vorzustellen, die bei ihnen positiven Gefühle hervorzurufen.<br />

주제어: 문학치료, 우울, 우울증, 독서행위, 불안, 문학의 치유력<br />

Schlüsselbegriffe: Poesie- und Bibliotherapie, Melancholie, Depression, Leseakt, Angst,<br />

Heilkraft der Literatur<br />

e-mail: hsbyun@mail.knu.ac.kr<br />

투고일: 2006. 03. 31 / 심사일: 2006. 04. 20 / 심사완료일: 2006. 04. 2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