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천현순 - 한국브레히트학회

천현순 - 한국브레히트학회

천현순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37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삶을 살아가는 유한한 존재로서 부각되고 있다. 이로써 호른의 기계들은 인간다움의<br />

경계를 인간에게만 제한했던 휴머니즘적 인간정체성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한다.<br />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호른의 기계들은 인간처럼 자율적으로 움직일 뿐만 아니<br />

라, 인간과 마찬가지로 느낌, 감정, 분노, 슬픔, 열정을 가진 ‘인간적인 기계’로서 제<br />

시되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살펴볼 때, 호른의 기계들은 기계 속에 깃<br />

든 영혼, 자율성, 생명력을 드러냄으로써 인간은 기계보다 우월하다는 인간중심주의<br />

적 사고체계를 전복시키고 있다. 앞장에서 살펴본 것처럼, 데카르트는 그의 방법서<br />

설에서 인간은 기계와 달리 영혼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로써 인간은 기계와는 다른<br />

존재가치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이와 달리 호른의 기계들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영혼<br />

을 지닌 살아있는 존재로서 제시되고 있다.<br />

3.3. 영화 : 인간과 기계의 공존 가능성<br />

초기 퍼포먼스 및 키네틱 아트와 비교해 볼 때, 호른이 제작한 영화에는 인간과<br />

기계의 공생(共生)관계가 두드러지게 묘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78년에 제작된<br />

영화 의 마지막 장면에는 인간과 기계의 공존의 가능성이<br />

묘사되고 있다. 영화 는 뉴욕을 배경으로 촬영된 작품인데, 마지막 장면에<br />

서 러시아 출신의 발레리나와 눈먼 장님이 함께 탱고를 춘 후 떠나가자, 방 한가운데<br />

서있던 ‘테이블 기계’는 마치 살아서 움직이는 인간처럼 이들의 탱고음악에 맞춰 춤<br />

을 추는 것으로 끝을 맺고 있다.<br />

(1978)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