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단기간의 무산소성 인터벌 트레이닝이 전신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

단기간의 무산소성 인터벌 트레이닝이 전신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

단기간의 무산소성 인터벌 트레이닝이 전신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석사학위논문<br />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br />

<strong>트레이닝이</strong><br />

<strong>전신</strong> <strong>지구력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br />

지도교수 노 호 성<br />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br />

스포츠의학과<br />

홍 석 재<br />

2007년 2월


석사학위논문<br />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br />

<strong>트레이닝이</strong><br />

<strong>전신</strong> <strong>지구력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br />

지도교수 노 호 성<br />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br />

스포츠의학과<br />

홍 석 재<br />

2007년 2월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br />

<strong>트레이닝이</strong><br />

<strong>전신</strong> <strong>지구력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br />

지도교수 노 호 성<br />

이 논문을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br />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br />

스포츠의학과<br />

홍 석 재<br />

2007년 2월


홍석재의 체육학 석사 학위 논문을 인준함<br />

주심교수 (인)<br />

부심교수 (인)<br />

부심교수 (인)<br />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br />

2007년 2월


목 차<br />

Ⅰ. 서 론 ·1<br />

1. 연구의 필요성 ·1<br />

2. 연구 목적 ·4<br />

3. 용어의 해설 ·4<br />

4. 연구 가설 ·5<br />

5. 연구의 제한점 ·6<br />

Ⅱ. 연구 방법 ·7<br />

1. 연구 대상 ·7<br />

2. 연구 절차 ·8<br />

3. 측정항목 및 방법 ·11<br />

1) Cycling test ·11<br />

2) Cycling endurance test ·11<br />

3) Wingate training ·12<br />

4. 자료처리 방법 ·13<br />

Ⅲ. 연구 결과 ·14<br />

1.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Cycling endurance test 지속시간의 변화 ·14<br />

2.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La의 변화 ·16<br />

3.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epinephrine의 변화 ·18<br />

- i -


4.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CK의 변화 ·20<br />

Ⅳ. 논의 ·22<br />

1.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Cycling endurance test 지속시간의 변화 ·22<br />

2.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La의 변화 ·24<br />

3.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epinephrine의 변화 ·26<br />

4.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CK의 변화 ·27<br />

Ⅴ. 결론 ·28<br />

참고문헌 ·29<br />

Abstract ·34<br />

- ii -


표 목 차<br />

표 1.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7<br />

표 2. Pre/Post-training의 cycling endurance test 지속시간 ·14<br />

표 3. Pre/Post 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나타난 La 농도 ·16<br />

표 4. 시점 간 La의 평균차 ·17<br />

표 5. Pre/Post 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나타난 epinephrine 농도 ·18<br />

표 6. 시점 간 epinephrine의 평균차 ·19<br />

표 7. Pre/Post 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나타난 CK 농도 ·20<br />

표 8. 시점 간 CK의 평균차 ·20<br />

- iii -


그림 목차<br />

그림 1. 연구 설계 ·9<br />

그림 2. Training schedule ·10<br />

- iv -


1. 연구의 필요성<br />

Ⅰ. 서 론<br />

운동능력을 크게 분류한다면 유산소성 운동능력(aerobic exercise<br />

capacity)과 <strong>무산소성</strong> 운동능력(anaerobic exercise capacity)으로 분류<br />

할 수 있다. 3분 이상의 운동을 할 때 주로 유산소성 해당과정에 의해 에<br />

너지를 공급받아 운동하는 것을 유산소성 운동능력이라 하고, 높은 강도의<br />

운동을 할 때 주로 <strong>무산소성</strong> 해당작용에 의해서 에너지를 공급받아 운동하<br />

는 것을 <strong>무산소성</strong> 운동능력이라 한다(여남회 등, 2000). 이러한 운동능력<br />

의 분류에 맞추어 운동유형을 분류하자면 육상종목의 경우, 100m, 200m,<br />

400m 등 단기간 폭발적인 힘을 요구하는 경기는 단거리 경기로 분류하고,<br />

800m, 1500m, 3000m 등 스피드와 지구력이 함께 요구되는 경기는 중<br />

거리로 분류되며, 5000m이상의 유산소성 능력이 요구되는 경기는 장거리<br />

로 분류한다(Snell, 1990). 또한, 최대산소섭취량(maximal oxygen uptake:<br />

˙VO2max)은 유산소성 운동수행능력의 여러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관계<br />

(Foster et al., 1973)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유산소성 운동능<br />

력의 평가지표로 인식되어 왔다.<br />

그 외의 젖산역치(lactate threshold: LT)와 혈중젖산축적시점(onset<br />

of blood lactate threshold: OBLA) 그리고 %운동 강도 등이 유산소성<br />

운동능력의 평가지표로 사용되고 있다(Brooks, 1985; Jones & Ehrsam,<br />

1982). LT는 혈중 젖산(lactate: La)농도가 안정 시 보다 현저하게 증가<br />

하기 시작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운동 강도 혹은 상대적 운동 강도로 정의<br />

되며(Yoshida, 1984), 이것은 <strong>무산소성</strong> 대사과정에 대한 의존 비율이 증<br />

가함을 의미한다. La축적의 2번째 증가현상은 다소 높은 운동 강도에서<br />

나타나는데, 이러한 지점을 OBLA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4mM 주위의 혈<br />

중 La농도에 이르렀을 때 나타난다(Hill, 1924; Sjodin et al., 1981;<br />

- 1 -


Tanaka et al., 1983).<br />

특히, 유산소성 운동 트레이닝의 실시는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활동성 증<br />

가 및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유산소성 능력이 향상된다. 이는 ˙VO2max의<br />

증가로 이어져서 세포의 호흡 능력(respiratory capacity)이 증가되고, 세<br />

포 내 유산소성 에너지 생산의 교란이 감소되어 에너지 항상성에 도움이<br />

된다. 또한, 호흡교환율(respiratory exchange ratio: RER)이 감소되어,<br />

탄수화물에 대한 의존도가 떨어지고 지방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되는 결과<br />

를 가져온다(Holloszy and Coyle, 1985; Ross and Leveritt, 2001). 이<br />

러한 유산소성 능력의 향상은 2주 미만의 빠른 기간 내에 이루어지는 것<br />

으로 사료된다. 예를 들어 Spina et al.(1996)은 고정식 자전거를 이용한<br />

유산소성 운동을 ˙VO2max 60~70%의 강도로 1회 2시간씩 7~10일간을<br />

실시한 결과, 유산소성 능력을 대표하는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활동성이 약<br />

30% 증가되고 ˙VO2peak가 약 9% 증가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운동 실시<br />

후 동일한 절대 운동 강도에서 La의 축적 또한 감소됨을 발견하였는데<br />

(Spina et al., 1996), 이것은 탄수화물에 대한 의존도가 감소되어 지방에<br />

대한 의존도가 증가됨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Holloszy and Coyle,<br />

1985; Ross and Leveritt, 2001).<br />

전통적인 유산소성 트레이닝 원칙과는 달리 6~8주간의 <strong>무산소성</strong> 운동인<br />

스프린트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sprint interval training: SIT)을 수행한 결과<br />

유산소성 능력 또는 지구력이 향상된다는 보고도 있다(Jacobs et al.,<br />

1987; MacDougall et al., 1998). 그러나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br />

유산소성 운동을 시행할 경우 시간적인 측면에서 거의 매일 훈련을 실시하<br />

여 약 2주간의 기간이 필요한 반면, SIT는 6~8주간의 운동기간을 필요로<br />

한다는 단점이 있다.<br />

최근의 Burgomaster et al.(2005)이 발표한 연구에 의하면, 2주간의<br />

SIT 형태의 Wingate 운동으로도 지구력이 증가됨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br />

에서는 최대 운동 강도로 30초간 스프린트 형태의 운동을 cycle<br />

ergometer로 2주간 시행한 결과 ˙VO2peak의 변화 없이 지구력이 약 2배<br />

증가되고, 유산소성 능력의 생화학적 척도로 알려진 미토콘드리아 효소인<br />

- 2 -


citrate synthase의 활동성이 약 38% 증가됨을 발견하였다.<br />

즉, <strong>무산소성</strong> SIT를 시행하더라도 ˙VO2peak의 변화 없이 지구력이 향상<br />

된다는 점에서, 항상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산소성 운동 트레이닝<br />

이 유일한 훈련방법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지구력 운동에 투자한<br />

시간은 하루에 약 2~4분으로 2주간 시행하여 총 30분을 초과하지 않았기<br />

때문에 짧은 기간 고강도의 SIT 운동량으로 지구력이 2배 증가했다는 점<br />

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짧은 기간 내에 적은 양의 운동으로 지구력을<br />

향상시켜야 되는 경우에 유용한 운동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Coyle,<br />

2005).<br />

그러나 Burgomaster et al.(2005)의 연구에서 유산소성 능력의 주요<br />

지표인 ˙VO2max의 증가 없이 적은 양의 <strong>무산소성</strong> 운동 트레이닝에 인체<br />

가 어떻게 적응했기에 생리학 및 생화학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지구력이 향<br />

상되었는지에 대한 생리학적 기전에 대한 언급이 되어있지 않아서 앞으로<br />

후속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br />

- 3 -


2. 연구 목적<br />

단기간(2주간)의 <strong>무산소성</strong> SIT 운동실시에 따른 <strong>전신</strong> 지구력의 향상에<br />

<strong>미치는</strong> 생리학적인 반응과 기전을 검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br />

3. 용어의 해설<br />

①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 본 연구에서는 30초 동안 이루어지는<br />

wingate 형식의 운동을 4분간의 휴식과 함께 몇 차례 반복하는 운동을 의<br />

미하며, SIT(sprint interval training)과도 의미를 같이한다.<br />

② <strong>전신</strong> 지구력: 지구력은 <strong>전신</strong>지구력(general endurance)과 국소적 근지<br />

구력(muscular endurance)으로 나눈다. 전자는 일정한 <strong>전신</strong>운동을 강도(무<br />

게나 스피드)를 바꾸지 않고 얼마만큼의 시간(또는 횟수)을 지속할 수 있는<br />

가 하는 능력이며, 주로 심장·폐 기능을 대표로 하는 내장 여러 기관의 기<br />

능 및 근육기능·영양상태·내분비기능·대사기능·신경기능·해독배설기능<br />

등이 관계한다. 따라서 이들 하나만을 단독으로 측정해서 <strong>전신</strong>지구력을 정확<br />

하게 평가한다는 것은 곤란하다.<br />

③ ˙VO2max: 최대산소섭취량(maximal oxygen uptake)을 의미하며, 해<br />

수면 수준에서 운동을 수행할 때 섭취할 수 있는 산소량의 단위 시간당 최<br />

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산소운반능력과 최대유산소능력에 대한 정보를<br />

제공한다. 단위는 ml/kg/min 으로 사용한다.<br />

④ Wingate training: Wingate test는 등속성 운동검사(isokinetic power<br />

test)와 함께 대표적인 <strong>무산소성</strong> 능력검사이다. 이 검사는 cycle을 이용하<br />

여 30초 동안 전력의 pedaling을 실시하는 형태이며, 대상자의 <strong>무산소성</strong><br />

- 4 -


파워(anaerobic power)와 <strong>무산소성</strong> 능력(anaerobic capacity)을 평가한<br />

다. 여기서 말하는 ‘파워’라 함은 검사 중 5초간 낼 수 있는 최대파워를<br />

의미하며, ‘능력’은 30초 동안의 전체 파워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br />

러한 wingate test를 바탕으로 30초간 최대 운동 후 4분의 휴식을 취하는<br />

방법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며 일정 수준의 pedaling을 실시하지 못할 때 까<br />

지 지속하는 훈련 방법이다.<br />

⑤ Epinephrine: 부신의 내부에서 분비되는 물질. 또한, 교감신경의 말단<br />

에서 분비되기도 한다. 생리적으로는 심장에 작용하여 많은 혈관을 현저하<br />

게 수축시키거나, 심장과 혈관에 대한 이상과 같은 작용의 결과로 혈압이<br />

상승한다. 단위는 pg/mL를 사용한다.<br />

⑥ CK: 크레아틴의 구아니딘기가 인산화된 것. 크레아틴 키나아제의 작용<br />

에 의하여 근육 속에서 ATP와 평형으로 존재하면서 근육 수축 시에 필요<br />

한 ATP를 공급한다. 또, 여분의 ATP는 크레아틴인산의 형태로 저장한다.<br />

단위는 U/L을 사용한다.<br />

- 5 -


4. 연구 가설<br />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br />

1) 운동 트레이닝 후의 cycling endurance test에 대한 지속시간이 증<br />

가된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br />

2) 운동 트레이닝 후의 cycling endurance test에 대한 epinephrine의<br />

반응이 감소된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br />

3) 운동 트레이닝 후의 cycling endurance test에 대한 La의 반응이<br />

감소된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br />

4) 운동 트레이닝 후의 cycling endurance test에 대한 CK의 반응이<br />

감소된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br />

5. 연구의 제한점<br />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일상생활에서 운동습관이 없는 일반 남자 대학생<br />

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엘리트 선수나 여성, 노인에게는 동일한 결과를<br />

예상하기는 어렵다. 또한 본 연구는 cycle ergometer를 이용한 훈련을 실<br />

시하였으므로 조깅 또는 treadmill을 이용한 운동에는 적용하기 어렵다.<br />

- 6 -


1. 연구 대상<br />

표 1.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br />

Ⅱ. 연구 방법<br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상생활에서 운동습관이 없는 남자 대학생 8명으로<br />

선정되었다. 실험 참가 3달 전부터 고강도의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br />

없고, 건강한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신체조성의 평가는 생체전기저항법<br />

(bioimpedance method)로 측정한 후, 체지방량(fat mass: FM)과 제지<br />

방조직량(fat free mass: FFM)을 산출하였다.<br />

연령(세) 22.25±2.49<br />

신장(cm) 172.75±5.99<br />

체중(kg) 67.80±7.20<br />

체지방률(%) 17.38±3.31<br />

체지방량(kg) 11.88±3.02<br />

제지방량(kg) 55.92±5.27<br />

BMI(kg/m 2 ) 22.73±2.25<br />

단위는 mean±SD로 표시되었음<br />

- 7 -


2. 연구 절차<br />

대상자를 모집하여 실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고, 대상자의 참가 동<br />

의를 구한 후 일정을 결정하였다. 실험 첫 날은 cycling test로 자전거 에<br />

르고미터와 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VO2max을 측정하였다. 이 때 얻어진<br />

최대산소섭취량은 둘째 날 실시하는 cycling endurance test의 강도를 설<br />

정하는 기준이 되었다. 둘째 날에는 80% ˙VO2max의 강도로 Pre-cycling<br />

endurance test가 실시되며 La, CK, epinephrine 의 측정을 위하여 채혈<br />

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셋째 날부터 첫째 주에 월, 수, 금, 둘째 주에 일,<br />

월, 화의 형태로 총 9일 동안 6일의 wingate training을 한 후에 마지막<br />

10일 째에는 post-cycling endurance 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에서 기술<br />

한 연구의 절차와 실험 일정을 도식화하여 제시하면 각각 , 과 같다.<br />

- 8 -


Cycling test<br />

Pre-cycling endurance test<br />

- 9 -<br />

신체구성 측정<br />

˙VO2max 측정<br />

운동 지속시간 측정<br />

운동 중 채혈<br />

Wingate training(6 days) 월, 수, 금, 일, 월, 화<br />

Post-cycling endurance test<br />

그림 1. 연구 설계<br />

운동 지속시간 측정<br />

운동 중 채혈


1st week<br />

목 금 토 일<br />

Cycling<br />

test<br />

2nd week<br />

- 10 -<br />

Pre-<br />

cycling<br />

endurance<br />

월 화 수 목 금 토 일<br />

1st<br />

Wingate<br />

training<br />

2nd<br />

Wingate<br />

training<br />

3rd week<br />

월 화 수 목<br />

5th<br />

Wingate<br />

training<br />

6th<br />

Wingate<br />

training<br />

Post-<br />

cycling<br />

endurance<br />

test<br />

test<br />

3rd<br />

Wingate<br />

training<br />

그림 2. Training schedule<br />

4th<br />

Wingate<br />

training


3. 측정항목 및 방법<br />

본 연구의 모든 실험은 경기도 소재 K대학교 운동처방실에서 실시하였<br />

으며, 그 구체적인 항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br />

1) Cycling test(˙VO2max test)<br />

자전거 에르고미터(Monark cycle ergometer)를 이용하여 분당 약<br />

60rpm의 회전수로 0 watt에서 2분간 준비운동을 실시한 후, 처음 2분은<br />

0kp에서, 그 후 매 1분마다 15 watts씩 증가시켜서 탈진 상태까지 지속<br />

시킨다(Nho et al., 1998). Cycling test 시 심박수(heart rate: HR), 혈<br />

압 및 주관적 운동 강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 등의 변화<br />

를 관찰하여 기록하고, 대상자의 생리적, 심리적 상태를 계속적으로 주시<br />

하였다. 각 부하에 대한 호흡순환계의 반응은 대사측정장치에 의해 분석하<br />

였다. ˙VO2max의 판정기준은 운동 중 ˙VO2의 최대값 또는 levelling­off에<br />

해당하는 ˙VO2로 규정하였다. 운동중지 기준은 대상자 본인의 중지 희망과<br />

운동지속이 불가능한 호흡곤란, 가슴통증, 안면 창백 등으로 하였다. ˙V<br />

O2max 측정을 위해서 가스분석기(Vmax229)를 사용하였고, cycling test<br />

를 위해서 cycle ergometer를 사용하였으며, 심박수 측정을 위해서 심박<br />

수 측정기(Polar)를 사용하였다.<br />

2) Cycling endurance test<br />

Cycling test 종료 2일 후, cycling test에서 산출된 각 대상자의 운동<br />

강도를 ˙VO2max 80%에 해당하는 부하(kp)에 맞추어서 pedaling하였다.<br />

pedaling의 속도가 40 rpm(revolution per minute) 이하인 경우 cycling<br />

endurance test가 종료되며, 운동을 수행한 시간을 기록하였다. 이 Test<br />

의 목적은 운동 트레이닝 전 후 <strong>지구력에</strong>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조사하기<br />

위함이다.<br />

혈액분석에 사용된 장비로는 (주)녹십자에 혈액분석을 의뢰한 CK와<br />

- 11 -


epinephrine의 분석을 위해 ADVIA(ADVIA 1500; Bayer, Japan)와<br />

HPLC(Acclaim; Bio-Rad, USA)가 각각 사용되었다. 또한 La 분석을 위<br />

해서 blood lactate analyzer(YSI 1500, USA), 혈청 원심분리를 위해서<br />

HC-16A centrifuge(Hanshin, Korea), 분리된 혈청의 냉동보관을 위해<br />

초저온냉동고 120l(OPR-DAU-128LE)이 사용되었다.<br />

안정 시에 전완정맥(antecubital vein)에서 혈액을 약 3~4 ml를 채혈한<br />

후 La을 측정하고, CK와 epinephrine측정을 위해 혈액을 plain tube와<br />

항응고(EDTA 또는 heparin)처리된 tube에 각각 분리하여 보관하였다.<br />

이 후에 -80℃로 냉동 보관하여 (주)녹십자에 검사를 의뢰하였다. 채혈<br />

시점은 7분, 14분, 24분, 34분, last시에 각각 실시하였다.<br />

3) Wingate training<br />

Cycling test와 Pre-cycling endurance test를 종료하고 난 후에<br />

Wingate training program이 적용되었다. Wingate test를 기본 형태로<br />

하는 training program이 2주 동안 실시하였다. 첫 주의 월, 수, 금에 운<br />

동을 실시하고, 화, 목, 토에는 휴식을 취하였다. 이 후에 일, 월, 화 3일을<br />

연속으로 운동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의 설계는 첫 주와 둘째 주 모두<br />

월, 수, 금으로 실시하였지만, 운동 적응을 1주일로 간주하여 운동의 효과<br />

를 극대화하고자 둘째 주는 일, 월, 화로 3일을 연속적으로 운동을 하였다.<br />

대상자들이 실험실에 도착하면, 먼저 안정을 취한 뒤 간단히 준비운동을<br />

한 후, wingate test를 시행하였다. pedaling의 운동강도는 대상자의 체중<br />

× 0.075에 해당하는 저항(kp)이 사용되었고 최대운동 강도로 pedaling을<br />

30초간 시행한 후 4분간의 휴식이 주어졌으며, 또 다른 30초간의<br />

pedaling이 최대운동 강도로 시작하였다. 휴식시간은 다양한 이론이 있으<br />

며 4분으로 선정한 이유는 첫째, 본 연구의 선행연구(Burgomaster et<br />

al., 2005)와 동일한 디자인으로 설정하려 함이고 둘째, 고강도의 본운동<br />

은 중강도의 보조운동보다 많은 시간의 휴식을 필요로 한다는 많은 선행연<br />

구들에 의해서이다. 실제로 Robinson(1995)은 back squat 운동에서 세트<br />

간 3분 휴식이 30초 휴식보다 더 큰 근력 향상을 가져왔다고 보고하였다.<br />

- 12 -


운동 형태와 운동의 목표에 따라서 알려진 휴식시간은 매우 다양하지만,<br />

근력과 근파워 향상을 위한 고강도 트레이닝에서 일반적인 휴식시간 지침<br />

은 2분에서 5분 까지 다양하다. Sewall(1991)은 squat와 bench press를<br />

통한 저항운동에서 적어도 2분의 휴식이 필요하다고 하였다.<br />

Kreamer(1987)와 Larson(1997)은 2분에서 5분 정도의 휴식이 필요하다<br />

고 했고, Fleck(1997)과 Weiss(1991) 등은 3분에서 5분 정도의 휴식이<br />

정당하다고 보고하였다. 가능한 최대의 rpm을 요구하며 All-out 상태가<br />

될 때까지 이러한 30초 pedaling 그리고 4분 휴식의 interval이 지속하였다<br />

(Burgomaster et al., 2005). 하루의 트레이닝 동안에 수행된 30초 SIT<br />

횟수를 기록하였다.<br />

4. 자료처리 방법<br />

모든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또는 표준오차를 산출하였으며,<br />

실험 종료 후 수집된 자료는 운동 트레이닝의 전 후의 유의성을 파악하기<br />

위해서 관련 항목들에 한하여 반복이 있는 일원변량분석(repeated<br />

one-way ANOVA)을 통하여 유의차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시점별<br />

평균을 파악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평균검정(paired t-test)을 통하여 통<br />

계처리를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은 P


Pre-training<br />

cycling time<br />

Post-training<br />

cycling time<br />

N<br />

Ⅲ. 연구 결과<br />

본 연구는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을 통해서 지구력의 증가<br />

를 나타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운동 트레이닝<br />

전 후로 cycling endurance test를 실시하였고, 또한 CK(creatine<br />

kinase), epinephrine, La, 그리고 cycling Endurance test 지속시간을<br />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br />

1.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cycling endurance test 지속시간의 변화<br />

Pre-training과 post-training에서 나타난 cycling endurance test 지<br />

속시간의 변화는 과 같다.<br />

표 2. Pre/Post-training의 cycling endurance test 지속시간<br />

* P


1646.6±496.3초로 나타났다. 이것은 운동 지속시간이 Training 후 평균<br />

518.5±509.2초(약 45.9%)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br />

는 것으로 나타났다(P


2.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 La의<br />

변화<br />

Pre-cycling endurance test와 post-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나<br />

타난 La의 농도는 에서 보는 바와 같다.<br />

표 3. Pre/Post 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나타난 La 농도<br />

시점<br />

- 16 -<br />

La(mM/L)<br />

mean±SEM<br />

pre post<br />

0분 0.7±0.5 0.7±0.3<br />

7분 3.8±1.4 *<br />

14분 6.3±1.3 **<br />

Enduracne test의 14분 시점까지의 La만 표기<br />

* **<br />

P


각 시점 간의 La의 평균차를 살펴보면 에 나타난 바와 같다.<br />

표 4. 시점 간 La의 평균차<br />

요인1 요인2<br />

- 17 -<br />

평균차(mM/L)<br />

mean±SEM<br />

P(유의수준)<br />

pre 0분 post 0분 -0.0±0.1 .884<br />

pre 7분 post 7분 -0.2±0.8 .736<br />

pre 14분 post 14분 0.5±0.9 .530<br />

pre-training과 post-training에서 각각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br />

는 La의 변화에 대한 유의성을 살펴보면, 운동 전에 채혈한 pre 0분과 운<br />

동 시작 후 7분이 경과한 pre 7분 시점은 -3.0±0.5로써 통계적으로 유<br />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3.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epinephrine의 변화<br />

Pre-cycling endurance test와 post-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나<br />

타난 epinephrine의 농도는 에서 보는 바와 같다.<br />

표 5. Pre/Post 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나타난 epinephrine 농도<br />

시점<br />

- 18 -<br />

Epinephrine(pg/mL)<br />

mean±SEM<br />

pre post<br />

0분 32.0±9.5 43.3±14.5<br />

7분 135.0±53.4 **<br />

14분 403.2±163.6 ***<br />

Enduracne test의 14분 시점까지의 epinephrine만 표기<br />

* ** ***<br />

P


각 시점 간의 epinephrine의 평균차를 살펴보면 에 나타난 바와<br />

같다.<br />

표 6. 시점 간 epinephrine의 평균차<br />

* P


4.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 CK의<br />

변화<br />

Pre-cycling endurance test와 post-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나<br />

타난 CK의 농도는 에서 보는 바와 같다.<br />

표 7. Pre/Post 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나타난 CK 농도<br />

시점<br />

표 8. 시점 간 CK의 평균차<br />

요인1 요인2<br />

- 20 -<br />

평균차(U/L)<br />

mean±SEM<br />

CK(U/L)<br />

mean±SEM<br />

pre post<br />

0분 212.5±94.9 205.3±110.5<br />

7분 239.2±1.6.9 *<br />

14분 254.8±110.6 **<br />

Enduracne test의 14분 시점까지의 CK만 표기<br />

* **<br />

P


Pre-training과 post-training에서 각각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br />

는 CK의 변화에 대한 유의성을 살펴보면, 운동 전에 채혈한 pre 0분 시점<br />

과 운동 시작 후 7분이 경과한 pre 7분 시점은 -26.7±5.6U/L로써 통계<br />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Ⅳ. 논 의<br />

본 연구는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을 통해서 지구력의 증가가 일어나<br />

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대하여 혈액성분을 분석함으로써 생리학적인 기전을<br />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br />

적정 유산소성 운동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VO2max의 증가는 매우 중요<br />

하다. ˙VO2max이 증가되는 기전중의 하나는 심박출량을 늘리는 것이며,<br />

이것은 체력 수준과 매우 높은 상관을 가지고 <strong>전신</strong>지구력의 지표로 널리<br />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 최대 운동 강도로 30초간 스프린트 형태<br />

의 운동을 cycle ergometer에서 2주간 시행한 결과, VO2peak의 변화 없<br />

이 유산소성 능력이 약 2배 증가되고, 유산소성 능력의 생화학적 척도로<br />

알려진 미토콘드리아 효소인 citrate synthase (CS)의 활동성이 약 38%<br />

증가됨을 보고하였는데(Burgomaster, 2005), 이러한 결과는 유산소성 능<br />

력이 증가되었다고 보는 것 보다는 지구력이 증가되었다고 하는 것이 더<br />

바람직할 것이다.<br />

1.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cycling endurance test 지속시간의 변화<br />

Astrand and Rodahl(1986)은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은 처음 체력 수준<br />

에 따라서 5%에서 10%까지 선수의 유산소성 파워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br />

보고하였다. 그리고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의 생리적 적응은 나이와 성별에<br />

따라 다양하다는 보고도 있다(Astrand, 1968; Vogel, et al., 1986). 하<br />

지만 유산소성 트레이닝 또는 지구력 트레이닝을 통해서 유산소성 운동 능<br />

력 또는 지구력 운동 능력(Baechle, 1998)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통념과<br />

- 22 -


는 달리 은 유산소성 체력의 적절한 획득은 필요 시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으로<br />

성취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Fox, et al., 1988; Gaesser, et al.,<br />

1988).<br />

본 연구에서도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을 통해서 cycling endurance test의 지<br />

속시간이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지속시간의<br />

변화를 살펴보면, pre-cycling endurance test에서의 지속시간은 평균<br />

1128.1±147.9초인데 반해 post-cycling endurance test의 지속시간은<br />

평균 1646.6±496.3초를 나타내어 518.5±509.2초의 유의한 증가를 나<br />

타내고 있다. 다시 말하면 평균적으로 8분 이상(약 45.9%)의 큰 차이를<br />

보이고 있다.<br />

이와 같은 결과는 운동 강도 80%에서 FT(fast twitch)가 사용될 수 있<br />

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ST(slow twitch)의 유산소적 능력의 변화 없이<br />

FT의 근사용량이 늘어나면서 FT 근섬유의 피로도에 견디는 능력이 증가<br />

됨에 따라 유산소화 되어 지구력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br />

- 23 -


2.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 La의<br />

변화<br />

La는 운동의 형태와 강도에 따라 근육활동 중 포도당의 무산소적 대사<br />

에 의해서 근육과 혈액 속에 축적되며, 가볍거나 중정도의 부하 시에는 증<br />

가가 없으나 강한 운동 시에는 증가한다(Mathews et al., 1971). 혈중<br />

La 축적은 근운동의 무산소적 대사의 표시이며, 피로의 화학적 원인으로<br />

평가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이만균, 1991).<br />

<strong>인터벌</strong> 형태로 실시되는 높은 강도 트레이닝은 무산소적 해당과정을 통<br />

한 에너지 생산 능력을 향상시키며 La 생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H + 를 중화<br />

하는 능력을 증가시킨다(Sharp et al., 1986). 짧은 시간동안의 운동에 발<br />

생하는 피로의 가장 주된 원인은 La 생성에 따른 H + 의 증가이며 H + 는 해<br />

당과정과 근육 수축과정 두 가지 모두를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br />

러므로 높은 강도의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 완충물질의 증가는 무산소적<br />

해당과정에 의한 에너지 생산이 근육 수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강도<br />

운동 동안 피로가 시작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다(Willmore and<br />

Costill, 1999). 즉 완충 능력의 증가는 <strong>무산소성</strong> 해당과정으로 La의 축적<br />

이 어느 정도 상승하여 근육 수축 과정을 방해하기 전까지는 더 오랜 시간<br />

동안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해준다.<br />

인원질 과정에 중점을 둔 어떤 <strong>무산소성</strong> 훈련 프로그램(단거리 달리기,<br />

플라이오메트릭)은 전형적으로 10초 미만의 운동시간을 설정하고 완전한<br />

휴식을 취해서 La는 높게 축적되지 않고 최대강도로 수행할 수 있다<br />

(Callister et al. 1988). 그러나 인원질 과정이 아닌 해당과정에 중점을<br />

둔 훈련은 휴식시간을 짧게 하고 스피드와 파워도 다소 적게 하여 실시한<br />

다.<br />

본 연구에서 나타난 La의 변화를 살펴보면, pre-cycling endurance<br />

test와 post-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증가<br />

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pre-cycling endurance test와 post-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대응<br />

되는 각각의 시점 즉, pre 0분과 post 0분, pre 7분과 post 7분, pre 14<br />

분과 post 14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br />

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본 연구에서 적용된 SIT는 <strong>무산소성</strong> 해당작<br />

용을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며, 별도의 다른 기전이 지구력 향상<br />

에 <strong>영향</strong>을 <strong>미치는</strong>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해당과정<br />

의 산물로서 피로물질인 La 자체의 변화보다는 La에 의해 생성되는 H + 에<br />

대한 완충능력의 향상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br />

- 25 -


3.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br />

epinephrine의 변화<br />

catecholamines-주로 epinephrine, norepinephrine과 dopamine-는<br />

교감신경의 말단과 부신수질의 과립이나 액낭에서 생성되어 신체활동에 의<br />

한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로 분비로 증가되며, 심혈관계에 작용하여 심박출<br />

량, 심근수축, 심박수 및 대사작용 등에 작용하여 운동 시 에너지 동원에<br />

관여하는 스트레스 호르몬 중 하나이다. 또한 Kraemer et al.(1991)은<br />

catecholamine이 중추운동 자극원, 말초혈관 확장자, 그리고 증가된 효소<br />

계로서 활동하기 때문에 급속히 근력, 근 파워를 발휘해야하는 경우에 있<br />

어 다른 호르몬들보다 더욱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스트레스 호르<br />

몬의 체내 농도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인체의 항상성 적응 기전의 긍정적<br />

변화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운동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이들 호르몬<br />

의 체내 농도에 어떠한 <strong>영향</strong>을 주는 가는 인체의 적응 기전을 이해하는 데<br />

필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catecholamine은 저항운동 프로토콜<br />

의 신체적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Kraemer et al., 1987).<br />

본 연구에서 나타난 epinephrine의 변화를 살펴보면, pre-cycling<br />

endurance test와 post-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모두 시간의 흐름<br />

에 따른 epinephrine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br />

나타내었다(P


4.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에 따른 CK의<br />

변화<br />

Ayalon et al.(1974)은 최대 <strong>무산소성</strong> 운동 시 최대 근력 발휘를 위한<br />

에너지의 공급의 원인으로 CP(creatine phosphate)와 근육의 당원질 포<br />

도당 분해의 결과에 의해 이루어지며 최대 시점은 5초 이내에 이루어진다<br />

고 보고하였다. 또한, Wingate 최대운동시간이 지연될수록 운동수행능력이<br />

감소하여 피로지수가 운동수행시간 지연과 반비례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활<br />

동근육의 CP의 고갈, 당원분해과정의 비율감소, La을 통한 당신생 비율<br />

감소로 인한 젖산염의 증가 등의 원인으로 보고하였다(조현철, 2003;<br />

Inbar and Ornri, 1996; Wilmore and Costill, 1999).<br />

본 연구에서 나타난 CK의 변화를 살펴보면, pre-cycling endurance<br />

test와 post-cycling endurance test에서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른 CK<br />

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Ⅴ. 결론<br />

본 연구는 <strong>단기간의</strong> <strong>무산소성</strong> <strong>인터벌</strong> <strong>트레이닝이</strong> <strong>지구력에</strong>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br />

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생리적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액성<br />

분에 초점을 맞추었다. Wingate Test 형태로 구성된 2주간의 <strong>인터벌</strong> 트<br />

레이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br />

1. 2주간의 <strong>인터벌</strong> 트레이닝을 통해서 Pre-cycling endurance test와<br />

Post-cycling endurance test의 운동 지속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br />

(P


참고 문헌<br />

여남회, 서봉하(2000). 윙게이트 검사를 이용한 고교육상선수들의 환기역<br />

치, 젖산역치, 및 혈중젖산축적시점의 비교 분석. 운동과학 9(2):<br />

375-384.<br />

이만균(1991). 최대한 운동 후 초과 산소소비(EPOC)의 양과 지속시간에<br />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br />

조현철, 정한상, 김종규(2003). <strong>무산소성</strong> 파워테스트의 수행시간이 파워관<br />

련 지수 및 혈중 대사성변인들에 <strong>미치는</strong> <strong>영향</strong>. 용인대학교논총, 21:<br />

173-183.<br />

Astrand, P. O.(1968). Physical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age. J.<br />

A. M. A., 205: 729-733.<br />

Astrand, P. O., and K. Rodahl(1986). Textbook of work<br />

Physiology, 3rd ed. New York: McGraw-Hill.<br />

Ayalon, A., Inbar, O. and Bar-Or(1974). Relationships among<br />

measurements of explosive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In<br />

International series on sports sciences, Baltimore: University<br />

Park Press: 527-532.<br />

Baechle, T. R. and B. R. Groves(1998). Weight training: Steps to<br />

success, 2nd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br />

Brooks, G. A.(1986). The lactate shuttle during exercise and<br />

recovery. Med. Sci. Sports Exerc., 18: 360-368.<br />

- 29 -


Burgomaster, K. A., Hughes, S. C., Heigenhauser, G. J. F.,<br />

Bradwell, S. N., and Gibala, M. J.(2005). Six sessions of<br />

sprint interval training increases muscle oxidative potential<br />

and cycle endurance capacity in humans. J. Appl. physiol.,<br />

98: 1985-1990.<br />

Callister, R., M. J. Shealy, S. J. Fleck, and G. A. Dudley(1988).<br />

Performance dadptations to sprint, endurance and both modes<br />

of training. J. Appl. Sport Sci., Res. 2: 46-51.<br />

Coyle, E. F.(2005). Very intense exercise-training is extremely<br />

potent and time efficient: a reminder. J. Appl. Physiol., 98:<br />

1983-1984, 2005<br />

Fleck, S. J., and W. J. Kraemer(1997). Designing Resistance Training<br />

Programs. 2nd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br />

Foster, C. D. L., Gollnick, P. D., Jansson, E. D., Saltin, B., and<br />

Stein, E. M.(1973). Glycogen depletion pattern in human<br />

muscle fibers during distance running. Acta Physiol. Scand.,<br />

89: 374-383.<br />

Fox, E. L., R. W. Bowers, and M. L. Foss(1988). The<br />

Physiological Basis of Physical Education and Athletics, 4th<br />

ed. Dubuque, IA: Brown.<br />

Gaesser, G. A., and L. A. Wilson(1988). Effects of continous and<br />

interval training on the parameters of the power-endurance<br />

time relationship for high-intensity exercise. Int. J. Sports<br />

Med., 9: 417-421.<br />

- 30 -


Hill, A. V.(1924). Muscular exercise, lactic acid and the supply and<br />

utilization of oxygen. Proc. Roy. Soc. Lond. (Biol.), 96: 438.<br />

Holloszy, J. O., and Coyle, E. F.(1985). Adapatations of skeletal<br />

muscle to endurance exercise and their metabolic<br />

consequences, J. Appl. Physiol., 56: 831-838.<br />

Inbar and Bar-Or(1996). Wingate Anerobic Test. Human Kinetics<br />

Publisher: 25-40.<br />

Jacobs, I., Esbjornsson, M., Sylven, C., Holm, I., and Jansson,<br />

E.(1987). Sprint training effects on muscle myoglobin,<br />

enzymes, fiber types and blood lactate. Med. Sci. Sports<br />

Med., 19: 368-374.<br />

Jones, N. L., and Ehrsam, R. E.(1982). The anaerobic threshold.<br />

Exerc. Sport Sci. Rev., 10: 49-83.<br />

Kraemer, W. J., B. J. Noble, M. J. Clark, and B. W. Culver(1987).<br />

Physiologic responses to geavy-resistance exercise with<br />

very short rest periods. Int. J. Sports Med., 8: 247-252.<br />

Kraemer, W. J., J. F. Patton, H. G. Knuttgen, C. J. Hannan, T.<br />

Kittler, S. Gordon, J. E. Dziados, A. C. Fry, P. N. Frykman,<br />

and E. A. Harman(1991). The effects of high intensity cycle<br />

exercise on sympatho-adrenal medullary response patterns. J.<br />

Appl. Physiol., 70: 8-14.<br />

Larson, G. D., Jr., and J. A. Potteiger(1997). A comparison of three<br />

different rest intervals between multiple squat bouts. J. Strenght<br />

Cond. Res. 11(2): 115-118.<br />

- 31 -


MacDougall, J. D., Hicks, A. L., MacDonald, J. R., McKelvie, R. S.,<br />

Green, H. J., and Smith, K. M.(1998). Muscle performance<br />

and enzymatic adaptations to sprint interval training. J. Appl.<br />

Physiol., 84: 2138-2142.<br />

Mathews, D. K. and Fox, E. L.(1971). The Physiological basic of<br />

physical education and athletics. Philadelphia, Sanders.<br />

Nho, H. S., Tanaka, K., Kim, H. S., Watanabe., Y., Hiyama,<br />

T.(1998). Exercise training in female patients with a family<br />

history of hypertension. European J. Appl. Physiol., 78, 1-6.<br />

Robinson, J. M., M. H. Stone, R. L. Johnson, C. M. Penland, B. J.<br />

Warren, and R. D. Lewis(1995). Effects of different weight<br />

training exercise/ rest intervals on strength, power, and high<br />

intensity exercise endurance. J. Strength Cond. Res. 9(4):<br />

216-221.<br />

Ross, A., and Leveritt, M.(2001). Long-term metabolic and<br />

skeletal muscle adaptations to short-sprint training:<br />

implications for sprint training and tapering, Sports Med., 15:<br />

1063-1082.<br />

Sharp, R. L. Costill, D. L. Fink, W. J. & King, D. S.(1986). Effects<br />

of eight weeks of bicycle ergometer sprint training on human<br />

muscle buffer capacity. Int. J. Sports Med., 7(1): 13-17.<br />

Sjodin, B., and I. Jacobs(1981). Onset of blood lactate<br />

accumulation and marathon running performance. Int. J.<br />

Sports Med., 2: 23-26.<br />

- 32 -


Snell, P. G.(1990). Middle distance running. In "Physiology of<br />

Sports" edited by Reilly, T., N. Secher, P. Snell and C.<br />

Willams., E. & F.N. Spon, London. 101-120.<br />

Spina, R. J., Chi, M. M., Hopkins, M. G., Nemeth, P. M., Lowry, O.<br />

H., and Holloszy, J. O.(1996). Mitochondrial enzymes<br />

increase in muscle in response to 7-10 days of cycle exercise,<br />

J. Appl. Physiol., 80: 2250-2254.<br />

Sewall, L, P., and J. E. Lander(1991). The effects of rest on maximal efforts<br />

in the squat and bench press. J. Appl. Sport Sci. Res. 5: 96-99.<br />

Tanaka, K., Y. Matsuura, S. Kumagai, A. Matsuzuka, K. Hirakoba,<br />

and K. Asano.(1983). Relationships of anaerobic threshold<br />

and 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 with endurance<br />

performance. Eur. J. Appl. Physiol., 52: 51-56.<br />

Vogel, J. A., J. E. Patton, R. P. Mello, and W. L. Daniels(1986).<br />

An analysis of aerobic capacity in a large United States<br />

population. J. Appl. Physiol., 60: 494-500.<br />

Weiss, L(1991). The obtuse nature of muscular strength: The<br />

contribution of rest to its development and expression. J. Appl.<br />

Sports Sci. Res. 5(4): 219-227.<br />

Wilmore, J. H. & Costill, D. L.(1999). Physiology of sport and<br />

exercise. Champaign, IL., Human Kinetics.<br />

Yoshida, I.(1984). Effect of dietary modifications on lactate<br />

threshold and 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 during<br />

incremental exercise. Eur. J. Appl. Physiol., 53: 200-205.<br />

- 33 -


Abstract<br />

Effects of Short-term Anaerobic Interval Training<br />

on the General Endurance<br />

- 34 -<br />

Seok-Jae Hong<br />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br />

Sports Medicine Major<br />

Kyung Hee University<br />

Directed by Hoo-Sung Nho, Ph.D.<br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2<br />

weeks' anaerobic interval training on endurance capacity. Eight<br />

untrained male college students(22.25 ± 2.49 yrs) were recruited in<br />

the study. The subjects experienced (1) pre-training endurance<br />

test on cycle ergometer, (2) six sessions of interval<br />

training(Wingate test; sprint for 30 seconds and rest for 4<br />

minutes) and (3) post-training endurance test. Lactate,<br />

epinephrine and creatine kinase were measured pre- and<br />

post-training.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br />

Interval training for 2 weeks significantly increased time for<br />

endurance on cycle ergometer from 1128.1 ± 147.9 to 1646.6 ±<br />

496.3 seconds (P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