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사암침법 진단 전문가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慶熙大學校 東西醫學 ...

사암침법 진단 전문가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慶熙大學校 東西醫學 ...

사암침법 진단 전문가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慶熙大學校 東西醫學 ...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博 士 學 位 論 文<br />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br />

<strong>개발에</strong> <strong>대한</strong> <strong>연구</strong><br />

指導敎授 이 혜 정<br />

<strong>慶熙大學校</strong> <strong>東西醫學</strong>大學院<br />

醫科學 專攻<br />

최 영 진<br />

2007年 2月 日


博 士 學 位 論 文<br />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br />

<strong>개발에</strong> <strong>대한</strong> <strong>연구</strong><br />

指導敎授 이 혜 정<br />

<strong>慶熙大學校</strong> <strong>東西醫學</strong>大學院<br />

醫科學 專攻<br />

최 영 진<br />

2007年 2月 日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br />

<strong>개발에</strong> <strong>대한</strong> <strong>연구</strong><br />

指導敎授 이 혜 정<br />

이 論文을 醫科學 博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br />

<strong>慶熙大學校</strong> <strong>東西醫學</strong>大學院<br />

醫科學 專攻<br />

최 영 진<br />

2007년 2월 일


최영진의 醫科學 博士學位 論文을<br />

認准함<br />

主審敎授 김 형 민 ㊞<br />

副審敎授 엄 재 영 ㊞<br />

副審敎授 함 대 현 ㊞<br />

副審敎授 박 히 준 ㊞<br />

副審敎授 이 혜 정 ㊞<br />

<strong>慶熙大學校</strong> <strong>東西醫學</strong>大學院<br />

2007년 2월 일


목 차<br />

I. 서 론 ·1<br />

II. 본 론 ·3<br />

1.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 ·3<br />

(1) 의학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필요성 ·4<br />

(2)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개발 ·4<br />

2. <strong>사암침법</strong> ·6<br />

(1)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지식 베이스 (knowledge base) ·7<br />

(2)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추론 엔진 (inference engine) ·10<br />

(3)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 사용방법 ·20<br />

III. 고 찰 ·25<br />

1.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개발 ·25<br />

2.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개선 방안 ·26<br />

(1) <strong>진단</strong>의 추가 ·26<br />

(2) 경락변증과 장부변증의 연결 ·27<br />

(3) 사용자 편리성 측면에서의 개선 ·29<br />

(4) 한의학 용어의 표준화 방안 ·34<br />

IV. 결 론 ·40<br />

V. 참고 문헌 ·41<br />

▣ Abstract ·43<br />

▣ 부 록 ·45<br />

1. 프로그램 등록증 ·45<br />

2. 프로그램 Source (Microsoft Visual Basic) ·46<br />

- i -


List of Tables ><br />

[Table 1]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its' symptoms in Sa-am Acupuncture<br />

Treatment Expert System ·8<br />

[Table 2] Inference engine of Sa-am Acupuncture Treatment System ·11<br />

[Table 3] Diarrhea self-diagnosis table based on ·32<br />

< List of Figures ><br />

[Fig. 1] Image of gastric symptoms ·21<br />

[Fig. 2] Image of motor system symptoms ·22<br />

[Fig. 3] Image of other symptoms ·23<br />

[Fig. 4] Diagnosis result image ·24<br />

[Fig. 5] Self-diagnosis table for diarrhea symptoms ·31<br />

[Fig. 6] MeSH tree structures ·36<br />

[Fig. 7] MeSH classification of morning sickness ·37<br />

- ii -


I. 서 론<br />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서 <strong>전문가</strong>의 지식을 컴퓨터에 체계적으로<br />

수록한 후 다양한 추론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strong>시스템</strong>이다. <strong>전문가</strong> 시스<br />

템은 <strong>전문가</strong>의 지식을 실험실 단계에서 벗어나 실제 작업 현장에서 이용하는 시스<br />

템으로 어느 특정 영역에 <strong>전문가</strong>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br />

하는 인간의 지능과 사고 과정을 모방하여 실제 현장에서 <strong>전문가</strong>를 대신하여 문제<br />

를 해결하거나 보조, 자문을 해 줄 수 있다. 1)<br />

의료 현장에서 <strong>진단</strong>이라는 과정은 환자의 질병을 처치하는데 있어 특정한 치료원칙<br />

과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는 처치과정의 어느 때보다도 정확<br />

성을 요구하게 된다. 그래서 여러 <strong>전문가</strong>가 모여서 <strong>진단</strong>을 숙의할수록 오진의 확률<br />

은 낮아지게 되고 가장 합리적인 치료방향을 수립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br />

분 한 사람의 제한된 지식과 수시로 변하는 감정을 가지고 이 모든 과정을 혼자서<br />

처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데 객관성을 유지하며 전문적인 지식을<br />

가지고 보조하게 된다면 오류를 범하게 될 확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그러한<br />

역할을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 훌륭하게 대신할 수 있다.<br />

1976년 Stanford 대학에서 뇌막염의 <strong>진단</strong> 및 치료처방을 결정하는 MYCIN이라는 최<br />

초의 의학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 개발된 이후, 현재까지 개발된 의료전문분야의 <strong>전문가</strong><br />

<strong>시스템</strong>은 전 세계적으로 4,700여 개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2)<br />

최근 한의학 분야에서도 <strong>진단</strong><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개발이 시도되었는데, 한국전자통신<br />

<strong>연구</strong>원에서는 한의<strong>진단</strong><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지식 베이스 구축에 관한 <strong>연구</strong>를 수행하였<br />

으며, 그 결과로 내과 질환에 <strong>대한</strong> 규칙기반 지식베이스 <strong>시스템</strong>으로 75개의 증형(證<br />

型)에 <strong>대한</strong> 1,200개의 규칙으로 이루어진 ODS(oriental medicine diagnosis system)를<br />

개발하였다. 3) 그 후에 OMES(oriental medicine diagnosis expert system)를 개발하였<br />

는데, OMES는 ODS의 교과서적 지식뿐만 아니라 임상경험 지식을 부가한 것으로,<br />

환자 몸 상태와 증상에 <strong>대한</strong> 자료로부터 환부와 병의 원인, 그리고 치료법을 알아<br />

내고자 하는 <strong>시스템</strong>이다. 임창수는 HEARSAY II를 기반으로 한 한의<strong>진단</strong><strong>전문가</strong> 시<br />

- 1 -


스템의 모형화에 <strong>대한</strong> <strong>연구</strong>를 하였으며, 4) 이창훈은 한의 지식베이스를 위한 지식<br />

정예기법에 <strong>대한</strong> <strong>연구</strong>하였고, 5) 권영규는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을 이용한 한의<strong>진단</strong>의 객관<br />

화 <strong>연구</strong>를 수행하고, 규칙 기반 및 수리 통계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한의<strong>진단</strong>전문<br />

가 <strong>시스템</strong>을 개발하였다. 6) 한편 박경모 등은 규칙기반 추론과 신경망 추론을 결합<br />

한 hybrid expert system을 개발하였다. 7)<br />

1990년대 후반에는 최승훈 등이 한의<strong>진단</strong>명과 <strong>진단</strong>요건의 표준화에 관한 <strong>연구</strong>를 수<br />

행하여 국내에서 본격적인 한의학의 표준화 및 객관화에 관한 <strong>연구</strong>를 전개한 바 있<br />

는데, 8) 그 <strong>연구</strong>를 바탕으로 더욱 정리되고 정형화된 지식베이스에 규칙기반추론<br />

(rule-based reasoning) 방식을 적용하여 변증처방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 KHU-PIPE(Kyung<br />

Hee University - pattern identification and prescription expert)을 웹(web) 기반으로<br />

개발하였다. 9) 그 이후 이를 다시 대폭적으로 수정 보완하여 동의표준 <strong>진단</strong><strong>전문가</strong><br />

(OMS-Prime : oriental medicine standard prime)를 개발하였다. 10)<br />

한의학의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침구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br />

한의계의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은 침 치료법을 포괄하지 못하였다. 이에 저자는, 사암<br />

침법의 내용을 정리하여, 12경락의 기초적인 허실(虛實) <strong>진단</strong>을 바탕으로 한 사암침<br />

법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SATES : Sa-am acupuncture treatment expert system)을 개<br />

발하였다.<br />

본 <strong>연구</strong>는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개발을 보고하고, 이 <strong>시스템</strong>의 최종 사용자인<br />

한의사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사용성의 품질에 <strong>대한</strong> 개선방<br />

안을 제시함으로써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유용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목적<br />

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Windows XP를 기반으로 한 Visual Basic Language로 프로그<br />

래밍된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개발을 보고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는 바이<br />

다.<br />

- 2 -


II. 본 론<br />

1.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 (Expert System)<br />

인공지능이란 컴퓨터가 지적인 인간이 하는 것과 동일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br />

분야에 관한 <strong>연구</strong>로서 11) 인간의 두뇌를 모방하여 인간의 문제처리를 컴퓨터가 대신<br />

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strong>연구</strong> 분야에는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br />

(expert system), 로보틱스(robotics), 자연 언어 처리(nature language processing) 등<br />

의 <strong>연구</strong>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 문제 분석과 의사 결정에 있어 컴퓨터로 하여금 인<br />

간을 보조할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기술이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다.<br />

대부분의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은 지식 베이스(knowledge base), 추론 엔진(inference<br />

engine), 활동기억장치(working memory) 등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식베이<br />

스는 <strong>전문가</strong>의 지식을 구체화한 사실과 규칙을 포함하고 있고, 추론 엔진은 지식베<br />

이스의 사실과 규칙을 처리하여 조작하는데 사용될 전략들과 통제수단을 포함하고<br />

있다.<br />

즉,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은 보통 사람들이 풀지 못하는 특정 분야의 문제를 풀 수 있는<br />

이른바 <strong>전문가</strong>적 문제해결 (expert problem solving) 능력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br />

현시킨 것으로, <strong>전문가</strong>의 지식으로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를 구축하고, 이 축<br />

적지식을 사용하여 문제해결을 추론하는 추론 엔진(inference engine)을 작성한 것<br />

이다. 12)<br />

<strong>전문가</strong>가 갖고 있는 전문지식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로 처음 성공한 것은<br />

Stanford 대학의 Edward A. Feigenbaum 교수였다. 1971년 그가 개발한 DENDRAL이<br />

라는 프로그램은 화학 분자식과 질량 스펙트럼을 입력시키면, 그 물질의 가장 가능<br />

성이 높은 화학구조식을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그 이후로 1976년경부터 의료<strong>진단</strong><br />

<strong>시스템</strong>을 중심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 개발되었다. 의<br />

료<strong>진단</strong> 분야 최초의 것은 Stanford대학의 Edward H. Shortliffe와 Bruce Buchanan이<br />

개발한 뇌막염의 <strong>진단</strong> 및 치료처방을 결정하는 MYCIN이다.<br />

- 3 -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정의되고 있으나,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란 인간<br />

<strong>전문가</strong>의 전문 의견이 필요한 어려운 문제에 대하여 지식과 추론 과정을 이용하여<br />

인간 <strong>전문가</strong>와 같은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컴퓨터 프로그램 13)이라고 정의할 수 있<br />

다. 그리고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은 다음 세 가지의 특징을 갖는다. 첫째, 특정 문제 분야<br />

에 <strong>대한</strong> 전문화된 지식을 이용한다. 둘째, 수치적 계산보다는 기호적이거나 질적인<br />

추리력을 이용한다. 셋째, 비<strong>전문가</strong>인 인간보다는 나은 능력의 수준에서 문제를 해<br />

결한다. 14)<br />

(1) 의학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필요성<br />

의료현장에서 <strong>진단</strong>은 다양하고 방<strong>대한</strong>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복잡한<br />

과정이며, <strong>진단</strong>결과는 바로 환자의 치료에 적용된다. 따라서 오진율을 낮추기 위한<br />

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오진은 의료인의 잘못된 지식이나 판단 착오에 의해 발생하<br />

며, 심지어는 의료인의 신체적, 정신적 컨디션에 의해 <strong>진단</strong> 결과가 좌우되기도 한<br />

다. 그러므로 실제 임상에서 의사의 판단에 <strong>대한</strong> 객관적인 근거와 자료가 필요하게<br />

되고, 이는 자연스럽게 의료인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인공지능형 소프트웨어의 개<br />

발을 요구하고 있다. 컴퓨터는 어떠한 정보나 사실을 망각하거나 누락하는 실수가<br />

없고, 인간처럼 피곤해 하거나 당황하지 않으며 그 외의 인간적인 과오를 범하지<br />

않는다. 또한, 의사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여러 곳에 흩어져 있지만, 의사들은 일정<br />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기계는 환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때<br />

부를 수 있으며 당장 의사가 없는 곳에서도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br />

다.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교육용으로 활용하여, 정확한 <strong>진단</strong>을 위한 학습에 이용할<br />

수도 있다.<br />

이러한 이유에서 의료<strong>진단</strong>은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을 이용하기에는 매우 적절한 분야라고<br />

할 수 있다.<br />

(2)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br />

한의학의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침구치료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br />

- 4 -


의학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인 KHU-PIPE나 OMS-Prime 등은 침 치료법을 포괄하지 못<br />

하였다. 이에 저자는, <strong>사암침법</strong>의 내용을 정리하여, 12경락의 기초적인 허실 <strong>진단</strong>을<br />

통한 침 치료법을 제시하는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SATES : Sa-am<br />

acupuncture treatment expert system)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심의 조정 위원회에<br />

등록하여 저작권을 확보하였다. (프로그램 등록번호 2006-01-186-001497)<br />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을 위한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은 침치료의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 경락 진<br />

단에 <strong>대한</strong> 전문적인 지식과 <strong>전문가</strong>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지식 베이스를<br />

구성하고 추론 엔진을 만드는 것이다.<br />

한의<strong>진단</strong>은 변증론치(辨證論治)라고 일컬어진다. 변증의 과정이란 증형(證型)을 판<br />

별하는 과정으로, 각종 증상으로부터 수집된 임상자료를 통해 한의<strong>진단</strong>의 기본패턴<br />

이라 할 수 있는 증형을 결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여기에서 특정 증(證)은 특정 증<br />

상군(症狀群)의 패턴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폐기허증(肺氣虛證)은 면색황백(面<br />

色晄白), 해천무력(咳喘無力), 동즉기단(動則氣短), 자한(自汗), 정신권태( 精神倦怠),<br />

성음저미(聲音低微), 단기나어(短氣懶言), 담다청희(痰多淸稀) 등의 증상들로 이루어<br />

진패턴이다. 논치의 과정이란 주 처방에서 포용되지 않은 증후들을 치료할 수 있<br />

도록 약물의 추가 혹은 배제 그리고 약량의 변경 등을 거쳐 최종 투약을 결정하는<br />

과정을 말한다. 15)<br />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들은 다양한 증상군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 패턴을 증(證)<br />

라고 하는데, 각각의 증(證)에 맞는 약물 처방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처방은 여러 가<br />

지 약물을 복합하여 구성된다. 이는 단일 약물로 치료하는 것보다 복합 처방으로<br />

치료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침구치료에서도 마찬가지로 유효한 혈자<br />

리의 조합으로 침처방을 구성하게 된다. 막연하게 361개의 정경혈들의 주치증을 바<br />

탕으로 환자의 치료법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그 효율성은 매우 떨어<br />

질 것이다. 치료법의 구성은 한의학의 오래된 이론을 바탕으로 경험이 축적되면서<br />

생성되어 왔다. 침구치료의 역사에 있어서도 같이 사용하였을 때 효과가 있는 경혈<br />

들의 집합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방식을 가장 잘 구현하고 있는 것이 <strong>사암침법</strong>(舍岩<br />

鍼法)이다.<br />

어떠한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어떤 질환을 치료할 것인가<br />

- 5 -


를 결정해야 하며, 또한 그 <strong>시스템</strong>이 제시하는 치료법으로 치료가 가능한 질환의<br />

강약이 설정되어야 한다. 본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 대상으로 하는 질환은<br />

12경락의 허실로 <strong>진단</strong>되는 24개의 <strong>진단</strong>명에 국한된다. 따라서 12경락의 한열(寒熱)<br />

변증과 여러 경락이 겹쳐서 병이 발생한 경우는 제외한다. 그리고 보존적 치료가<br />

불가능한 근골격계 질환 및 수술이 필요한 내과질환 등도 치료 대상에서 제외된다.<br />

이는 의료현장에서 의료인이 결정해야 하는 부분이며, 앞으로 <strong>시스템</strong>이 업그레이드<br />

되면서 갖추어가야 할 것이다.<br />

2. <strong>사암침법</strong><br />

인체에는 총 361개의 정경혈이 있고, 그 경혈은 각각의 주치 성능을 가지고 있다.<br />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 취혈함에 있어 그 효과가 두드러진 것들 중에서 선택을 하게<br />

된다. 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경혈들은 오수혈(五輸穴), 복모혈(腹募穴), 배수혈(背兪<br />

穴) 등이다. 그 중에서도 오수혈(五輸穴)을 이용한 치료법이 <strong>사암침법</strong>이다.<br />

<strong>사암침법</strong>이란 경락변증을 통해서 그 경락의 허실(虛實)과 한열(寒熱)을 변증하여 치<br />

료하는 침법이다. 조선시대 중기에 생존했던 것으로 알려진 사암도인(舍巖道人)은<br />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상생상극(相生相剋) 원리에 입각하여 장부(臟腑)의 허실(虛實)<br />

에 따른 침구보사법(鍼灸補瀉法)을 결합시키고, 여기에다 자경(自經)과 타경보사법<br />

(他經補瀉法)을 결부시켜 우리 민족의 독창적인 침법인 <strong>사암침법</strong>을 창안하였다. 사<br />

암침법은 거의 300여 년 동안 전해 왔으나 ‘사암(舍巖)’이라는 호만 기록되어 있<br />

기 때문에 그가 어느 시대 누구인지 알 수는 없다. 단지 ‘사암’이라는 호로서 그<br />

가 승려였다는 설과 ‘사명당의 제자’라는 설이 유력하게 구전되어 왔다. 16)<br />

<strong>사암침법</strong>은 12개 경락의 허실을 <strong>진단</strong>하여 치료법을 제시한다. 간허증(肝虛證)으로<br />

<strong>진단</strong>된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법인 간정격(肝正格)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간(肝)의<br />

기운이 부족한 것을 간허증(肝虛證)이라 하므로,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이 가지고<br />

있는 고유한 성질인 목(木)기운을 보(補)하는 방식으로 침처방이 구성된다. 우선 목<br />

(木)의 성질을 생(生)하는 수(水)의 기운을 보(補)한다. 따라서 간경(肝經)의 수혈(水<br />

穴)인 곡천(曲泉)을 보(補)하고, 수(水)의 성질을 가진 경락(經絡)인 족소음신경(足少<br />

- 6 -


陰腎經)의 수혈(水穴)인 음곡(陰谷)을 보(補)한다. 그리고 목(木)의 성질을 극(克)하는<br />

금혈(金穴)을 사(瀉)한다. 즉 간경(肝經)의 금혈(金穴)인 중봉(中封)을 사(瀉)하고, 금<br />

(金)의 성질을 가진 경락인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의 금혈(金穴)인 경거(經渠)를 사<br />

(瀉)한다. 결국 간허증(肝虛證)을 치료하는 간정격(肝正格)은 음곡(陰谷), 곡천(曲泉)을<br />

보(補)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을 사(瀉)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br />

(1)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지식 베이스 (knowledge base)<br />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에서의 지식 베이스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며, 이<br />

를 손쉽게 확인하기 위해 분류하는 것이다. 본 <strong>시스템</strong>에서는 총 367가지 증상을 10<br />

가지로 분류하였다. 프로그램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우려<br />

가 있는 경우에만 한자(漢子)를 사용하였다.<br />

구체적으로는 호흡기계 28가지, 소화기계 49가지, 순환기계 21가지, 흉협복통 29가<br />

지, 운동기계 78가지, 안이비인후구 증상 52가지, 비뇨기계 17가지, 생식기계 18가<br />

지, 정신 관련 39가지, 기타 36가지로 분류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Table 1]과 같다.<br />

- 7 -


[Table 1]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its' symptoms in Sa-am Acupuncture Treatment<br />

Expert System<br />

분류(증상의 개수) 증상<br />

호흡(28) 객혈, 구토청수, 氣病欠伸, 록록오한, 數欠, 善呻, 少氣, 식욕부진,<br />

고열, 신열, , 오풍, 오풍한, 오한, 진률, 천급, 천해, , 태식,<br />

폐결핵, 학질, 한률, 한열, 해수, 해천, 혈담, 호흡미약, 효천<br />

소화(49) 복대脛腫, 嘔 토 구역 구토, 당설무도, 변불통 변비, 복만腸痛, 복<br />

만통, 伏梁, 복창, 복창만, 복통변폐, 분돈, 脹, 설사, 손설, 수곡<br />

불화, 설사변비, 소갈, 소화불량, 소화불량비민, 息賁, 식불하, 식<br />

욕부진, 식체, 신경성위장병, 腎泄, 애, 애기, 여로달, 음식불하, 이<br />

변불통, 이질, 장명, 장명설리, 장염하혈, 腸風하혈, 臍右창통, 左<br />

脇下肝積, 中滿식감, 中消, 징하, 氣, 창만, 탄산, 토혈, 하<br />

혈, 혹변비혹설, 황달, 황색점변, 완곡불화, 적백리<br />

순환(21) 구안와사, 동통, 번민, 번심, 번심심통, 심번, 심장성천식, 심장弱<br />

, 심통, 심통번민, 心懸, 정충, 臍上有動氣按之牢若痛, 臍左有動<br />

氣, 諸風 , 중풍마비경련, , 偏枯, 偏風, 衰, 혼도<br />

흉협복통(29) 대장소장통, 복만, 복통, 복통복명, 小복창, 小복통, 소복경만, 소<br />

복만통, 소복통疝, 슝협척통, 심통, 심하급통, 심협통引小腹, 腰脊<br />

引睾而痛, 위복통, 위통, 장옹, 臍복통, 졸심통, 협만, 脇痛, 흉민<br />

만, 흉통, 흉통인배, 흉통혹민, 흉협만통, 흉협통<br />

운동(78) 각궁반장, 脚腫痛, 견비외측통, 견비후통, 결분통, 경련, 頸腫, 頸<br />

直, 頸項종통, 경항불능회고, 頸項脊背腰股痛, 계종, 臂, 尻股<br />

슬족통, 관절통, 구련불능굴신, 근급, 氣街 股 伏兎 脛 足 腫痛,<br />

기육통, 南百盡皆縱緩, 內 , 내통흉배견갑간통, 대퇴내측통, 膊痛,<br />

복수, 痛, 사지불용, 소복부종, 小指통, 수견비통, 手肩項熱종통,<br />

수모지차지통, 수무력, 手 臂痛, 수족역랭, 水脹, 슬내측통, 슬통,<br />

슬통일절, 슬활동불편, 신통, 액와종, 요통, 委中통, 厥, ,<br />

難行, 陰股痛, 장심열, 전근, 전근통, 전완,상완외측통, 제4족지<br />

마비, 제4지통, 諸濕腫滿, 제1족지통, 爪枯, 족경종통혹전근, 족내<br />

과전통, 족무력마목, 肉 , 족심열혹통, 족외과통, 족 무력양족역<br />

랭, 腫내과통脚下痛, 腫슬내측통, 구련, 주내측양골간통, 체중,<br />

痛引脊內廉, 피부虛浮, 하지冷枯, 項肩背脊腰臀脚皆痛, 항경통,<br />

- 8 -


內痛, 흉견배통, 胸脊脇臍痛<br />

안이비인후구(52) 구갈, 구건치통, 구고, 구설생창, 구순창, 口燥熱, 口瘡, 내자적, 淚<br />

出, 뉵혈, 多唾, 목예자통, 목적, 목적통, 목통, 목혼, 목황, 鼻乾,<br />

비병일절, 비연, 비염, 비염뉵혈, 數唾, 설권, 설본강급통, 설익건<br />

급종통, 舌焦, 舌破咽乾, 시력감퇴, 시력약, 안피로, 언어불능, 搖<br />

搖齒槁, 이롱, 이롱鳴, 이롱이명, 이명혹롱, 耳前열통, 이전후통,<br />

익건, 乾聲重, 咽瘡, 인후염, 인후종통, 인후통, 卒 , 충치, 치고<br />

이흑, 齒寒, 唾出, 唾血, 후비<br />

비뇨(17) 뇨불리, 뇨의급박, 뇨폐, 뇨황, 대소변난, 빈뇨, 소변불리, 소변불<br />

통, 소변빈삭, 소변삭이무력, 소변황적뇨, 수종, 야뇨, 유뇨, 遺溺,<br />

융폐, 淋瀝적백탁<br />

생식(18) 莖囊腫, 경수불리, 睾腫, 囊縮, 疝 , 性器挺長, 小복종, 월경불순,<br />

유정, 음器불용, 음기통, 陰痒, 陰 囊寒, 적백帶, 정력약, 정루몽<br />

정, 폐고환종 , 혈체경폐<br />

정신(39) 癎狂, 계종급痙, 恐, 恐意不樂上氣, 狂言, 광조섬어, 기와신중조번,<br />

亂번민, 노, 怒, 다면, 多, 대하, 두중현모, 頭 項, 두통, 두통목<br />

현, 두풍두통, 두항강직, 不得安, 불면,, 悲精神昏迷失語妄言笑心<br />

神, 四肢, 善, 瘦, 手足, 신권, 신혼, 言건망경계, 오심번열, 전간,<br />

전질, 정신이상, 정신장애,, 怠 , 怠惰嗜臥, 현훈, 희소불휴<br />

기타(36) 골비, 骨 , 나력, 瘻, 大癰, 대머리, 면열, 면적, 면황, 면흑, 無潤<br />

髮, 髮燥, 백발, 상하출혈, 生 , 악혈재내, 顎頰부의 疼痛, 안면부<br />

종, , 옹저, 乳통, 은진창개, 諸痒, 창양옹종, 體無膏澤, 痔,<br />

痔痔瘡, 탈항, 피부堅硬而不痛, 피부통, 하악 頰부의 종통, 하혈,<br />

한출, 한출무한, 혈실피로, 頰腫<br />

- 9 -


(2)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추론 엔진 (inference engine)<br />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에서의 추론 엔진은 각각의 개별 증상에 가능한 <strong>진단</strong><br />

명을 찾아내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들의 <strong>진단</strong>명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strong>진단</strong>명<br />

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strong>시스템</strong>에서는 환자가 호소하는 모든 증상에 관해 가능한<br />

<strong>진단</strong>명을 모두 제시하며, 한의사는 그중에서 가장 타당한 <strong>진단</strong>명을 결정하고 그에<br />

따른 치료법을 시행한다. 환자의 증상에 대해서 본 <strong>시스템</strong>이 제시하는 <strong>진단</strong>명의 자<br />

세한 내용은 [Table 2]와 같다.<br />

- 10 -


[Table 2] Inference engine of Sa-am Acupuncture Treatment System<br />

증상 <strong>진단</strong>명 증상 <strong>진단</strong>명 증상 <strong>진단</strong>명<br />

호흡기계<br />

객혈 폐허 폐실 구토청수 대장허<br />

대장실<br />

- 11 -<br />

기병흠신(氣<br />

病欠伸)<br />

폐허 폐실<br />

록록오한 담실 삭흠(數欠) 위허 위실 선신(善呻) 위허 위실<br />

소기(少氣) 심허 심실 고열 위허 위실 신열 간실 비실<br />

대장실 심실<br />

폐실 신실<br />

심허<br />

얼( ) 위허 위실 오풍 방광허 오풍한 폐실<br />

오한 위허 위실 진률 삼초허 천급 위실<br />

천해 대장실 폐허 폐실 태식 담허 담실<br />

심허 심실<br />

폐결핵 폐허 학질 위허 위실 한률 대장허<br />

한열왕래 간허 비허<br />

방광허<br />

방괄실 폐허<br />

폐실 담허<br />

해수 신허 신실 해천 폐허 폐실<br />

혈담 신허 신실 호흡미약 폐허 효천 폐실<br />

소화기계<br />

복대脛腫 심실 구토 구역 위허 위실<br />

간허 간실<br />

비허 비실<br />

담허 담실<br />

변불통 변비 간허 간실<br />

대장실 신허<br />

신실 위허<br />

위실<br />

복만腸痛 대장허<br />

대장실<br />

伏梁 심실 복창 소장허<br />

소장실 신허<br />

당설무도 대장허<br />

복만통 비허 비실<br />

복창만 간허 간실


신실<br />

복통변폐 소장실 분돈 신허 신실 脹 삼초허<br />

삼초실<br />

설사 비허 비실<br />

폐허<br />

설사변비 대장허<br />

대장실<br />

소화불량비<br />

민<br />

손설 간허 수곡불화 소장허<br />

소장실<br />

소갈 간허 담허<br />

담실 심허<br />

심실 비허<br />

비실 신허<br />

폐허<br />

- 12 -<br />

소화불량 위허 위실<br />

비허 비실 息賁 폐실 식불하 심허 심실<br />

식불하 심허 심실 식체 간허 간실 신경성위장<br />

병<br />

腎泄 신허 애역 애기 심허 심실<br />

비허 비실<br />

심허 심실<br />

위허 위실<br />

여로달 신허<br />

간허 간실<br />

위허 위실<br />

음식불하 담허 담실 이변불통 폐실 이질 신허 신실<br />

장명 대장허 비허<br />

비실<br />

장명설리 소장허 장염하혈 비허 비실<br />

腸風하혈 위실 臍右창통 폐허 폐실 左脇下肝積 간실<br />

中滿식감 신허 신실 中消 위실 징하 위허 위실<br />

氣 비허 비실 창만 위허 위실 탄산 위실<br />

토혈 위실 하혈 폐허 폐실 惑便秘惑泄 삼초허<br />

삼초실<br />

황달 담허 담실<br />

비허 비실<br />

적백리 대장실<br />

순환기계<br />

황색점변 대장실 완곡불화 대장허<br />

구안와사 위허 위실 動如蟲行 심허 번민 소장허


번심 심포허<br />

심포실 폐허<br />

폐실<br />

심장성천식 심포허<br />

심포실<br />

혈허동통 소장실<br />

번심심통 비허 비실 심번 심허 심실<br />

心腸弱 심허 심통 심포허<br />

심포실<br />

심통번민 신허 신실 心懸 신허 정충 심포허<br />

심포실 심허<br />

심실<br />

臍上有動氣<br />

按之牢若痛<br />

중풍마비경<br />

련<br />

심허 심실 臍左有動氣 간허 간실 諸風 담허 담실<br />

간허 간실 탄탄 비허 비실 편고 방광허<br />

편풍 폐허 혈맥쇠소 심허 혼도 심허 심실<br />

흉협복통<br />

膈寒 위실 대장소장통 신허 신실 복만 삼초허<br />

삼초실<br />

복통 심허 심실 복통복명 대장허<br />

대장실<br />

小복통 신허 신실 소복경만 삼초허<br />

삼초실<br />

소복통疝 소장허<br />

소장실<br />

심하급통 비허 비실 심협통引小<br />

腹<br />

- 13 -<br />

小복창 방광허<br />

방광실<br />

소복만통 간허 간실<br />

흉협척통 신허 신실 심통 심허 심실<br />

위허 위실<br />

폐허 폐실 腰脊引睾而<br />

痛<br />

소장허<br />

소장실<br />

위복통 비허 비실 위통 간허 간실 인소복산퇴 간실<br />

장옹 대장실 臍복통 소장허<br />

소장실<br />

졸심통 심실<br />

협만 비허 비실 협통 심허 심실 흉민만 폐허 폐실<br />

흉통 신허 신실<br />

심허 심실<br />

흉통인배 간허 간실 횽통惑민 삼초허<br />

삼초실


흉협만통 간허 간실 흉협통 심포허<br />

운동기계<br />

각궁반장 방광허<br />

방광실<br />

견비후통 소장허<br />

소장실<br />

頸腫 대장허<br />

대장실 위허<br />

위실<br />

경항불능회<br />

고<br />

대장허<br />

대장실<br />

- 14 -<br />

심포실<br />

脚腫痛 간허 간실 견비외측통 삼초허<br />

삼초실<br />

결분통 담허 담실<br />

폐허 폐실<br />

경련 담허 담실<br />

頸直 간허 간실 頸項종통 소장허<br />

소장실<br />

頸項脊背腰<br />

股痛<br />

신허 신실 비허 비실<br />

臂 심허 심실 尻股슬족통 폐허 폐실 관절통 간허 간실<br />

구련불능굴<br />

신<br />

심포허<br />

심포실<br />

근급 간허 간실 氣街 股<br />

伏兎 脛<br />

足 腫痛<br />

기육통 비허 비실 內 비허 비실 내통흉배견<br />

갑간통<br />

위허 위실<br />

심허 심실<br />

대퇴내측통 비허 비실 膊痛 담허 담실 背强 간허 간실<br />

복수 위허 위실 痛 담허 담실 사지불용 비허<br />

소복부종 삼초허<br />

삼초실<br />

手肩項熱종<br />

통<br />

手 臂痛 심포허<br />

심포실<br />

小指통 소장허<br />

소장실<br />

대장실 수모지차지<br />

통<br />

대장허<br />

대장실<br />

수견비통 대장허<br />

대장실<br />

수무력 삼초허<br />

수족역랭 심허 심실 水脹 삼초허<br />

삼초실<br />

슬내측통 간허 간실 슬통 담허 담실 슬통일절 간허 간실<br />

슬활동불편 대장허<br />

대장실<br />

요통 간허 간실<br />

담허 담실<br />

신통 비허 비실 액와종 포허 심포실<br />

委中통 방광허<br />

방광실<br />

厥 비허 비실


비허 비실<br />

위허 위실<br />

장심열 심포허<br />

심포실 폐허<br />

폐실 심허<br />

심실<br />

전완,상완외<br />

측통<br />

폐허 폐실 難行 담허 담실 陰股痛 간허 간실<br />

삼초허<br />

삼초실<br />

전근 간허 간실<br />

방광허<br />

방광실<br />

諸濕腫滿 비허 비실 제1족지통 간허 간실<br />

비허 비실<br />

족경종통혹<br />

전근<br />

- 15 -<br />

전근통 비허 비실<br />

제4족지마비 담허 제4지통 삼초허<br />

삼초실<br />

爪枯 간실<br />

신허 신실 족내과전통 간허 간실 족무력마목 담허<br />

족불수肉 비허 비실 족심열惑통 신허 신실 족외과통 담허 담실<br />

족 무력양<br />

족역랭<br />

신허 腫내과통脚<br />

下痛<br />

구련 삼초실 주내측양골<br />

간통<br />

비허 비실 腫슬내측통 비허 비실<br />

소장허<br />

소장실<br />

痛引脊內廉 신허 신실 피부虛浮 삼초허<br />

삼초실<br />

項肩背脊腰<br />

臀脚皆痛<br />

방광허<br />

방광실<br />

흉견배통 폐허 폐실 胸脊脇臍痛 비허 비실<br />

안이비인후구계<br />

구갈 대장실 구건치통 대장허<br />

대장실<br />

체중 비허 비실<br />

하지冷枯 위허<br />

항경통 담허 담실 內痛 간허 간실<br />

구고 간허 간실<br />

담허 담실<br />

구설생창 심실 구순창 위허 위실 口燥熱 신허 신실<br />

口瘡 소장실<br />

대장실<br />

내자적 심허 심실 淚出 방광허<br />

방광실 심허<br />

심실 담허<br />

血 간실 방광허 多唾 방광허 목예자통 담허 담실


방광실 심허<br />

심실 위허<br />

위실 폐허<br />

폐실<br />

목적 심포실 심허<br />

심실<br />

- 16 -<br />

삼초허<br />

삼초실<br />

목적통 간허 간실 목통 위실<br />

목혼 담허 목황 담허 담실<br />

심허 심실<br />

소장허<br />

소장실<br />

鼻乾 위실<br />

비병일절 폐허 폐실 비연 담실 비염 방광실<br />

비염뉵혈 대장허<br />

대장실<br />

설본강급통 비허 비실 설익건급종<br />

통<br />

數唾 담허 담실 설권 삼초허<br />

삼초실<br />

신허 신실 舌焦 대장실<br />

舌破咽乾 심허 심실 시력감퇴 간허 간실 시력약 신허 신실<br />

안피로 간허 언어불능 심허 심실 搖搖齒槁 신허<br />

이롱 방광허 폐허 이롱鳴 간허 간실 이롱이명 담허 담실<br />

소장허<br />

소장실<br />

대장허<br />

대장실<br />

삼초허<br />

삼초실<br />

이명惑롱 신허 신실 耳前열통 소장허<br />

소장실<br />

익건 간허 간실<br />

비실<br />

인후염 폐실 인후종통 삼초허<br />

삼초실<br />

이전후통 삼초허<br />

삼초실<br />

乾聲重 폐허 폐실 咽瘡 심실<br />

인후통 소장허<br />

소장실 위허<br />

위실<br />

卒 위허 위실 충치 신허 신실 치고이흑 신실


齒寒 대장허 唾出 심허 唾血 폐허 신허<br />

신실<br />

후비 대장허<br />

대장실<br />

비뇨기계<br />

뇨불리 위허 뇨의급박 삼초허 뇨폐 비실<br />

뇨황 위실 대소변난 심포실 빈뇨 삼초허<br />

소변불리 비실 소변불통 삼초허 소변빈삭 신허<br />

소변삭이무<br />

력<br />

폐허 소변황적뇨 신실 수종 비허 비실<br />

야뇨 폐허 유뇨 간허 遺溺 방광허<br />

융폐 간실 담허<br />

담실 소장실<br />

방광실<br />

생식기계<br />

淋瀝적백탁 소장허<br />

소장실<br />

莖囊腫 방광실 경수불리 간허 睾腫 간실<br />

囊縮 간실 疝 비실 性器挺長 간실<br />

小복종 간허 간실 월경불순 신허 신실 유정 소장허<br />

陰器불용 간허 간실 음기통 비허 비실 陰痒 간허<br />

陰 囊寒 신허 적백帶 소장허<br />

소장실<br />

- 17 -<br />

정력약 방광허<br />

정루몽정 신허 폐고환종 신실 혈체경폐 심허<br />

정신계<br />

癎狂 방광허<br />

방광실<br />

恐意不樂上<br />

氣<br />

기와신중조<br />

번<br />

계종급痙 신허 신실 恐 간허 담허<br />

신허 狂言 간실 광조섬어 위실<br />

신허 신실 亂번민 심실 怒 담실 담허<br />

담실


怒驚 간실 다면 담실 多臥 간실<br />

두중현모 비허 비실 頭 項痛 방광허<br />

방광실<br />

- 18 -<br />

두통 간허 간실<br />

심허 심실<br />

소장허<br />

소장실<br />

두통목현 폐실 두풍두통 비허 비실 두항강직 심포허<br />

심포실부득<br />

와<br />

부득와<br />

부득안와<br />

悲精神昏迷<br />

失語妄言笑<br />

心神煩<br />

간실 위허<br />

위실<br />

불면 담허 悲 폐허<br />

심허 四肢軟 심포허 善怒 비실<br />

瘦削 대장허 手足躁 간실 신권 위허<br />

신혼 신허 신실 言건망경계 심허 오심번열 심포실<br />

전간 담실 심허<br />

심실<br />

전질 폐허 정신이상 심포실<br />

정신장애 심허 심실 躁 심허 심실 怠 폐허<br />

怠惰嗜臥 비허 비실 현훈 간허 간실<br />

담허 담실<br />

방광허<br />

방광실<br />

기타<br />

희소불휴 심포실<br />

골비 신허 신실 骨 신허 신실 나력 폐허 폐실<br />

瘻漏 대장실 大癰 신허 신실 대머리 신허 신실<br />

면열 위실 면적 대장실 심실 면황 비허 비실<br />

면흑 신허 無潤髮 신허 신실 髮燥 담허 담실<br />

백발 신허 신실 상하출혈 폐허 폐실 生 소장허<br />

악혈재내 간허 간실 顎頰疼痛 비실 안면부종허<br />

신실 위실


兩腋缺盆<br />

담허 담실 옹저 간허 간실 乳통 위실<br />

은진창개 폐실 諸痒 심허 창양옹종 심실<br />

體無膏澤 담허 담실 痔 신허 신실 痔瘡 방광허<br />

방광실<br />

탈항 대장허 堅硬而不痛 대장허<br />

대장실<br />

하악,<br />

협(頰)부의<br />

종통<br />

소장허<br />

소장실<br />

하혈 심포허<br />

심포실<br />

- 19 -<br />

피부통 폐허 폐실<br />

한출 삼초허<br />

삼초실 위실<br />

폐허 폐실<br />

汗出無寒 심허 심실 혈허피로 간허 頰腫 간허 간실


(3)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 사용방법<br />

본 <strong>시스템</strong>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각 분류별로 찾아서 클릭하면, 컴퓨터가 추론<br />

엔진을 사용하여 몇 가지 <strong>진단</strong>명들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의료 현장에서<br />

는 <strong>시스템</strong>이 추천하는 이 <strong>진단</strong>명들 중에서 한의사가 환자의 다른 증상을 참고하여<br />

최종 결정하게 된다.<br />

예를 들어 “소화불량, 애역, 애기, 장명설사, 요통, 안면부종”을 호소하는 환자의<br />

<strong>진단</strong>하기 위해서는 소화기계에서 소화불량, 애역, 애기, 장명설사를 선택하고, 운동<br />

기계에서 요통을, 기타에서 안면부종을 선택한 후 ‘<strong>진단</strong>결과’를 클릭한다. 그 결<br />

과 위실증이나 위허증일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다른 증상을 참고하여 <strong>진단</strong>하고 치<br />

료하면 된다. ([Fig. 1] ~ [Fig. 4])<br />

- 20 -


[Fig. 1] Image of gastric symptoms<br />

- 21 -


[Fig. 2] Image of motor system symptoms<br />

- 22 -


[Fig. 3] Image of other symptoms<br />

- 23 -


[Fig. 4] Diagnosis result image<br />

- 24 -


III. 고 찰<br />

1.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개발<br />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란 문제 분석과 의사 결정에 있어 컴퓨터로 하여금 인간을 보조할<br />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기술이다.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은 지식 베이스(knowledge base), 추<br />

론 엔진(inference engine), 활동기억장치(working memory) 등의 세 가지로 구성되<br />

어, 보통 사람들이 풀지 못하는 특정 분야의 문제를 <strong>전문가</strong>의 수준으로 해결할 수<br />

있다.<br />

의료현장에서 <strong>진단</strong>의 과정은 질병을 인식하고 질환을 평가하는 작업이다. <strong>진단</strong>은<br />

넓은 의미에서 보면 환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기록하는 과정을 통해, 자료를 분<br />

석하고 적절한 진찰과 예후를 종합하여, 치료와 관리에 <strong>대한</strong> 계획 수립과 환자에게<br />

그 계획의 승낙과 참가를 유도하기 위해 목적 및 목표를 설명하고 전달하는 과정을<br />

전부 포괄하는 임상의 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좁은 의미로 보면 자료를 분석<br />

하고 적절한 진찰과 예후를 종합하는 중간 과정을 지칭한다.<br />

<strong>진단</strong>의 결과가 곧바로 치료 수단의 선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오진을 하지 않도록<br />

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컴퓨터는 인간처럼 어떠한 정보나 사실을 망<br />

각하거나 누락하는 실수가 없고, 감정이나 신체적, 정신적 컨디션에 좌우되지 않고<br />

<strong>진단</strong>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진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br />

당장 의사가 없는 곳에서도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교<br />

육 현장에서도 정확한 <strong>진단</strong>을 위한 학습에 이용할 수도 있다.<br />

1970년대 최초로 개발된 의료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인 MYCIN에서부터 지금까지 많은<br />

의료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 개발되었고, 한의계에서도 OMS-Prime 등의 <strong>진단</strong> 전문<br />

가 <strong>시스템</strong>이 개발되었으나, 약물 처방만이 가능할 뿐, 경락 변증의 내용은 빠져있어<br />

침 치료법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에 저자는 12경락의 허실 <strong>진단</strong>을 바탕으로 한<br />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을 개발하였다.<br />

<strong>사암침법</strong>이란 경락변증을 통해서 그 경락의 허실(虛實)과 한열(寒熱)을 변증하여 치<br />

- 25 -


료하는 침법이다. 조선시대 중기에 생존했던 것으로 알려진 사암도인(舍巖道人)은<br />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상생상극(相生相剋) 원리에 입각하여 장부(臟腑)의 허실(虛實)<br />

에 따른 침구보사법(鍼灸補瀉法)을 결합시키고, 여기에다 자경(自經)과 타경보사법<br />

(他經補瀉法)을 결부시켜 침 처방을 제시하였다.<br />

본 <strong>시스템</strong>에서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총 367가지로 정리하고 10가지로 분류하<br />

였다. 구체적으로는 호흡기계 28가지, 소화기계 49가지, 순환기계 21가지, 흉협복통<br />

29가지, 운동기계 78가지, 안이비인후구 증상 52가지, 비뇨기계 17가지, 생식기계 18<br />

가지, 정신 관련 39가지, 기타 36가지로 분류하였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각 분<br />

류별로 찾아서 체크하면, 컴퓨터가 추론 엔진을 사용하여 몇 가지 <strong>진단</strong>명들을 추천<br />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본 <strong>시스템</strong>에서는 환자가 호소하는 모든 증상에 관해 가능<br />

한 <strong>진단</strong>명을 다 제시하며, 한의사는 환자의 다른 증상을 참조하여 가장 타당한 진<br />

단명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치료법을 최종 결정하게 된다.<br />

2.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개선 방안<br />

본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몇 가지 개선점을 지적할 수 있다.<br />

개선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자체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부분이 있으며, 한의학계의<br />

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부분도 있다.<br />

(1) <strong>진단</strong>의 추가<br />

현재 임상에서 활용되는 <strong>사암침법</strong>은 12경락의 허실을 치료하는 정격(正格)과 승격<br />

(勝格)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에 더해서 한열까지 변증하며, 여러 치료 방법<br />

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br />

우선, 난경 칠십난(難經 七十五難)에서 언급한 ‘자능령모실, 모능령자허(子能令母<br />

實, 母能令子虛)’라는 원칙 17)을 응용하여 정격(正格)과 승격(勝格)의 다른 방식을<br />

구성할 수 있다. 모자(母子) 관계를 통해 본기(本氣)를 보(補)하는 방법을 배합해보면<br />

- 26 -


4가지의 조합이 가능해진다. 목(木)을 보하는 것으로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br />

① 금극목(金克木)하므로 금(金)을 사(瀉)하고 수생목(水生木)하므로 수(水)를 보(補)<br />

한다.<br />

② 금극목(金克木)하므로 금(金)을 사(瀉)하고 목생화(木生火)하므로 화(火)를 보(補)<br />

한다.<br />

③ 목극토(木克土)하므로 토(土)를 사(瀉)하고 수생목(水生木)하므로 수(水)를 보(補)<br />

한다.<br />

④ 목극토(木克土)하므로 토(土)를 사(瀉)하고 목생화(木生火)하므로 화(火)를 보(補)<br />

한다.<br />

이중에서 ①이 가장 많이 쓰이는 정격(正格)의 방법이며, 본 <strong>시스템</strong>이 채택하고 있<br />

는 방식이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정격(正格)에는 4가지 방법이 있으며, 12경락의 정<br />

격(正格)과 승격(勝格)에 각각 적용하면 96가지 침치료법이 제시된다.<br />

이외에도 어떤 경락이 한증(寒證)으로 <strong>진단</strong>되면, 열보(熱補)의 침처방을 쓰게 되고,<br />

열증(熱證)으로 <strong>진단</strong>되며, 한보(寒補)의 치료법을 쓰게된다. 열보(熱補)의 원리는 화<br />

(火)를 보(補)하고 수(水)를 사(瀉)하는 것이며, 한보(寒補)의 원리는 반대로 수(水)를<br />

보(補)하고 화(火)를 사(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시 24가지의 <strong>진단</strong>명이 더<br />

추가된다.<br />

결국에는 <strong>사암침법</strong>의 정격(正格)과 승격(勝格) 치료법 96가지와 열보(熱補)와 한보<br />

(寒補)의 24가지를 합하여 120가지의 <strong>진단</strong>이 가능하며, 여기에 특수한 몇 가지 처방<br />

을 더 할 수 있다.<br />

이러한 처방명이 본 <strong>시스템</strong>에 추가될 때, 임상에서 활용하기에 더욱 정확해 질 것<br />

이다.<br />

(2) 경락변증과 장부변증의 연결<br />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치료법은 장부변증을 통해서 약을 사용하는 방법과, 경락변증<br />

을 통해서 침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장부변증과 경락변증은 대부분<br />

유사하지만 정확하게 서로 일치하지는 않으며, 각각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에도 미<br />

- 27 -


묘한 차이가 있다.<br />

장부변증의 입장에서 보면, 장부(臟腑)를 오장육부(五臟六腑)라 하지만 실제 그 안의<br />

내용을 살펴보면 오장오부(五臟五腑)라 해도 큰 문제가 없다. 삼초(三焦)를 부(腑)에<br />

배속하여 육부(六腑)라 하기는 하나 삼초(三焦)는 오장(五臟)의 운행체계를 아우르면<br />

서도 그에 포함되는 모습을 보인다. 심포(心包)를 장(臟)에 포함시켜 육장(六臟)라고<br />

해도 심포(心包) 역시 다른 장(臟)들과는 논의의 차원이 다르고 독립적인 장부로서<br />

의 기능은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 여기서 경락이 12개인 이유에 대해서 근본적인<br />

이유를 밝힐 수는 없지만 경락이 10개가 아닌 12개라는 사실이 경락의 논리와 장부<br />

의 논리에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br />

장부변증과 침구변증이 일치하지 않는 실례로,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는 증상을<br />

사암침구요결에서는 ‘영풍출누(迎風出淚)’라 하고 신허(腎虛)로 <strong>진단</strong>하여 부류보<br />

(復溜補) 태계사(太谿瀉)의 신정격(腎正格)을 치료법을 제시하였으나, 동의보감에서는<br />

‘충풍누출(衝風淚出)’이라 하고 폐허(肺虛)로 <strong>진단</strong>하여 백강잠산(白 蠶散)을 약처<br />

방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같은 증상에 대해서 다른 <strong>진단</strong>명을 내린 경우이다. 이러한<br />

차이는 두 가지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첫째는 경락변증과 장부변증의 용어차이<br />

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즉, 경락변증에서는 신허(腎虛)로 <strong>진단</strong>하고 그에<br />

따른 침치료법을 사용하고, 약을 쓸 때는 장부변증의 폐허(肺虛)로 <strong>진단</strong>하고 백강잠<br />

산(白 蠶散)을 처방하는 것이다. 경락변증의 신허증(腎虛證)과 장부변증의 폐허증<br />

(肺虛證)에 공통적인 부분이 있을 것으로 해석하고, 신정격(腎正格)과 백강잠산(白<br />

蠶散)의 공통적인 효과로 보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영풍출누(迎風出淚) 증상은<br />

신허증과 폐허증에서 각각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렇게 가정<br />

한다면, 경력변증에는 폐허증의 <strong>진단</strong>명을 추가해야 하며, 장부변증에는 신허증의 진<br />

단명을 추가하고, 이를 결정할 때는 다른 부가적인 증상 패턴을 보고 결정해야 한<br />

다. 이러한 내용을 판단하기 위해 대규모의 임상자료 수집이 선행되어야 한다.<br />

한편, 장부변증과 경락변증이 일치하는 실례로는 ‘신허요통(腎虛腰痛)’이 있다. 동<br />

의보감에 의하면 신허요통을 “허리가 아프며 맥상(脈狀)이 대(大)하면 신허로 인한<br />

요통이다. 신허(腎虛)로 인한 요통은 동통(疼痛)이 그치지 않는다. 색욕(色慾)으로 신<br />

(腎)이 손상되어 정혈(精血)이 근육을 잘 길러주지 못하고 음(陰)이 허(虛)하게 되어<br />

- 28 -


허리가 계속해서 은근히 아프며 잘 거동하지 못한다.(脈大者 腎虛腰痛也 腎虛者 疼<br />

之不已者 是也 房慾傷腎 精血不足養筋 陰虛悠悠痛 不能擧者)”라 했으며, 약처방으<br />

로는 육미지황원 가미방과 팔미지황원 가미방을 제시하고, 침치료법으로는 신수, 인<br />

중, 위중, 견정을 제시하고 있다. 18) <strong>사암침법</strong>에는 신허요통을 “척추의 안쪽에 통증<br />

이 있고, 척추를 구부렸다 펼 때 통증이 있고, 맥상(脈狀)이 대무력(大無力)하다.(痛<br />

引脊內廉, 屈伸刺痛, 脈沈大無力)”이라 표현하며, 신정격(경거 부류 보, 태백 태계<br />

사)을 제시하고 있다. 19)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대해서 동일한 <strong>진단</strong>을 하고 있지<br />

만, 침 치료법에만 있어서도 다른 경혈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동의보감에서 제<br />

시한 신수, 인중, 위중, 견정의 침 치료법과 <strong>사암침법</strong>에서 제시한 신정격의 침치료<br />

법, 그리고 동의보감의 약 치료법인 육미지항원 가미방과 팔미지황원 가미방의 효<br />

과 중에서 같은 점은 어느 부분이고, 다른 점은 어느 부분인가? 같은 점이 있다면<br />

그 효과의 강약은 어떠한가? 등의 질문이 생겨난다. 이러한 질문이 해결된다면 향<br />

후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으로 침처방과 약처방을 동시에 할 수 있을 것이다.<br />

(3) 사용자 편리성 측면에서의 개선<br />

우선 필요한 것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한 개선이다. 점차 한의사의 임상환경의 정<br />

보화가 이루어지는 이러한 시점에서 <strong>시스템</strong>의 개발과 관련하여 사용성 평가가 요구<br />

되는데, 인간의 이용을 위한 상호작용적 컴퓨팅 <strong>시스템</strong>의 디자인 평가, 실제 구현과<br />

이를 둘러싼 주요 현상들에 관한 분야인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의 측면<br />

에서 사용성 평가는 사용자를 배려한 필수 불가결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0)<br />

현재 개발된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은 환자의 증상의 유무를 찾아서 체크하<br />

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한 가지 증상이라도 빠트리지 않고 모든 계통을 점검<br />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호소하는 증<br />

상을 클릭했을 때 자동으로 다음 질문을 찾아서 가는 방식(flow chart type)으로 개<br />

선한다면 더욱 편리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이미 서양의학에서 자가<br />

<strong>진단</strong>의 방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례로 미국 가정의학 학회(American<br />

Academy of Family Physicians)에서 ‘증상에 의한 <strong>진단</strong>(Search by Symptom)’이라<br />

는 서비스를 웹(Web)상에서 구현하고 있다. 21) 설사 증상을 예로 들면 [Fig. 5]와 같<br />

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동의보감을 바탕으로 한 설사의 <strong>진단</strong>표를 짜면 [Table 3]과<br />

- 29 -


같다.<br />

본 <strong>시스템</strong>에서도 이러한 자가 <strong>진단</strong> 방식의 개선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br />

두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본 <strong>시스템</strong>에서는 간허(肝虛), 간실(肝實), 심허(心虛),<br />

심실(心實), 소장허(小腸虛), 소장실(小腸實) 등 6가지 변증명을 추천하고 있다. 그에<br />

따라서 한의사는 다른 증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br />

이를 flow chart type으로 바꾼다면 더욱 사용하기 편리해진다. 즉, 두통이 있는 환<br />

자에게 구고(口苦) 증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하고,<br />

구고(口苦) 증상이 있다면 두통과 구고(口苦)를 동시에 포함하는 <strong>진단</strong>명은 간허와<br />

간실이므로 이 두 <strong>진단</strong>명을 구별하는 다음 질문을 하게 된다. 만약 환자가 구고(口<br />

苦) 증상이 없다면 심허, 심실 또는 소장허, 소장실을 구별하는 질문을 하게 된다.<br />

이 방식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두통을 호소하는 사람과 동시에 나타날 빈도<br />

가 높은 다른 증상의 순서로 질문하는 것이 더욱 편리할 것이다. 이 순서를 정하기<br />

위해서는 대규모의 임상 자료 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다.<br />

- 30 -


[Fig. 5] Self-diagnosis table for diarrhea symptoms<br />

- 31 -


[Table 3] Diarrhea self-diagnosis table based on <br />

설사<br />

1.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설사의 색이 누렇다.)(飮食不化色黃) → 胃泄<br />

2. 배가 불러 그득하고 설사를 하며 먹으면 토한다. 팔다리와 몸이 무겁고 명치가 막<br />

힌 듯하며 얼굴색이 누렇게 뜬다.(腹脹滿泄注食則吐逆. 肢體重着中脘有妨面色萎黃) →<br />

脾泄<br />

3. 음식을 먹고 나면 바로 대변을 누고 싶으며 대변의 빛이 허옇고 배에서 소리가 나<br />

면서 몹시 아프다.(食已窘迫大便色白腸鳴切痛) → 大腸泄<br />

4.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고 대변에 피고름이 섞여 나오면서 아랫배가 아프다.( 澁而便<br />

膿血小腹痛) → 小腸泄<br />

5. 뱃속이 당기듯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하여 화장실에 자주 가도 대변이 나오지 않으<br />

며 음경 속이 아프다.(裏急後重數至 而不能便莖中痛) → 大 泄<br />

6. 물이 쏟아지듯 설사를 하고 배에서 소리가 나며 몸이 무거운데 배는 아프지 않다.<br />

(如水傾下腸鳴身重腹不痛) → 濕泄<br />

7. 바람을 싫어하고 저절로 땀이 나며 가끔 대변에 선명한 피가 섞여 나온다.(惡風自汗<br />

或帶淸血由春傷風夏感濕而發動故其瀉暴) → 風泄<br />

8. 오한이 나고 몸이 무거우며, 배가 불러 오르면서 끊어지듯 아프고, 꾸룩꾸룩 소리가<br />

나고 거위 똥 같은 묽은 변을 보며 속이 차서 소화가 되지 않는 변이 나온다.(惡寒身<br />

重腹脹切痛雷鳴鴨 淸冷完穀不化) → 寒泄<br />

9. 갈증이 심하게 나고 오줌이 붉으면 갑자기 물 같은 설사를 한다.(煩渴尿赤暴瀉如水)<br />

→ 暑泄<br />

10. 입이 마르고 찬 것을 좋아하며, 배가 한 번 아플 때마다 한 번씩 설사를 하는데<br />

설사하는 것이 갑작스럽고 끈적끈적하다.(口乾喜冷痛一陣瀉一陣其來暴速稠粘) → 火泄<br />

11. 피곤하면서 힘이 없고 먹으면 바로 설사한다. 배가 아프지 않을 수도 있다.(困倦無<br />

力遇飮食卽瀉或腹不痛) → 虛泄<br />

12. 설사를 참을 수 없고 오랫동안 그치지 않는 것으로, 항문이 대나무 통처럼 벌어져<br />

서 설사가 걷잡을 수 없이 쏟아져 나온다.(不禁瀉久不止大孔如竹筒直出無禁氣陷下) →<br />

滑泄<br />

13.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은 채로 나온다.(米穀不化而泄出) → 泄<br />

14. 설사를 하다 안 하다 하고, 설사를 많이 하다 적게 하다 한다.(或瀉或不瀉或多或少)<br />

→ 痰泄<br />

15. 설사가 나면서 배가 몹시 아프다가 설사 후에는 통증이 줄어들고, 마치 달걀 썩은<br />

듯 한 냄새가 나고 신트림이 난다.(泄而腹痛甚瀉後痛減臭如抱壞鷄子噫氣作酸) → 食積<br />

泄<br />

16. 술과 음식을 지나치게 먹고, 뼈만 남을 정도로 야위고 음식을 먹지 못한다. 술을<br />

- 32 -


한두 잔만 마셔도 설사를 하고 몇 년이 지나도 낫지 않는다.(飮食過傷遂成酒泄骨立不<br />

能食但飮一二盃經年不愈) → 酒泄<br />

17. 새벽 3시 30분에서 5시 30분만 되면 묽은 설사를 한차례 한다.(每五更 泄一次此)<br />

→ 腎泄<br />

18. 오리 똥과 같은 설사를 하고, 대장이 잘 가둬두지 못하여 갑자기 설사를 하는데<br />

대변이 물과 같고 그 속에 작은 대변 덩어리가 섞여 나오며, 설사를 멈출 수가 없으<br />

며, 오줌은 맑다.( 大腸不能禁固卒然而下大便如水其中有小結糞硬物欲起而又下欲了而不<br />

了小便多淸) → 暴泄<br />

19. 설사가 그치지 않고, 맥이 침지하며 손발이 싸늘하고 콧물과 침에 피고름이 섞여<br />

나온다.(下痢不止其脈沈遲手足厥逆涕唾膿血) → 久泄<br />

- 33 -


(4) 한의학 용어의 표준화 방안<br />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발전을 위해서는 의학용어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과거 일<br />

부의 증상명과 <strong>진단</strong>명이 <strong>대한</strong> 한의학회에 정해진 바 있으나 22) 용어의 선별과 정리<br />

에 원칙이 없고 학문적인 정보교환에 부적합하여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br />

다. 한의학은 정체관(整體觀)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 특징은 변증론치(辨證論<br />

治)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전통을 지닌 한의학은 치료에 있어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br />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증논치의 핵심부분인 증후(證候)가 표준화되지 못한 약점을<br />

가지고 있다. 이는 진료에 있어서 환자와 한의사의 감각을 중시하는 학문적 특성에<br />

서 비롯된 것이다.<br />

의학용어의 표준화는 용어의 정의와 분류가 핵심이며, 서양의학에서는 UMLS<br />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와 MeSH(Medical Subject Heading)를 통해서 이를<br />

해결해 나가고 있다.<br />

의료 현장에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다양하며, 그 증상을 표현하는 방식은 더욱<br />

다양하다.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표현을 표준화된 용어로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br />

또한, 정보량의 증가와 다양한 정보검색 <strong>시스템</strong>의 출현은 정보에 <strong>대한</strong> 접근성을 확<br />

대시킨 방면 적합한 정보의 검색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원하는 주제, 개<br />

념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제어휘집이 탑재된 정보검색 <strong>시스템</strong><br />

이 개발, 활용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개발된 대표적인 것으로 미국 국립의학도서관<br />

(NLM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의 통합의학언어<strong>시스템</strong>(UMLS)을 들 수 있다<br />

. 23)24) UMLS는 동의어, 동음이의어 등을 통제하여 하나의 개념을 하나의 고유한 용<br />

어로 색인, 검색하도록 한다.<br />

UMLS는 식별자(identifier)를 이용하여 개념(concept)에 <strong>대한</strong> 서로 다른 용어(term),<br />

문자열(string)을 연계하여 같은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 예를 들면 문자열 Atrial<br />

Fibrillation과 Auricular Fibrillation은 심방세동이라는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용어이<br />

므로 동일한 개념식별자 C0004238로 연결된다.<br />

반대로 동일한 문자열이 복수의 의미를 가질 경우 별도의 개념을 부여한다. 예를<br />

들어 문자열 cold는 온도, 감기,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lstructive Lung Disease)<br />

의 약어 COLD 등 세 가지 다른 개념의 명칭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cold<br />

- 34 -


temperature. Common Clod,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의 문자열과 이의 의미유형, 정의<br />

를 제시해 줌으로써, 정확한 개념으로 찾아갈 수 있다. 25)<br />

이와 같이 용어의 표준화가 진행된 후에는 그 용어의 분류 작업이 필요하다. 서양<br />

의학에서는 MeSH이라는 작업으로 용어의 분류 체계를 세우고 있다. 26) MeSH는 의<br />

학의 전 분야를 16가지 분류로 나누고 tree 구조로 설계하였다.([Fig. 6]) 27) 그리고<br />

각각의 증상에 코드를 부여하고, 정의하였다.<br />

예를 들면 Morning Sickness를 Symptoms of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t<br />

women that usually occur in the morning during the first 2 to 3 months of<br />

PREGNANCY. Severe persistent vomiting during pregnancy is called HYPEREMESIS<br />

GRAVIDARUM.로 정의하고 Female Urogenital Diseases and Pregnancy<br />

Complications -> Pregnancy Complications의 경로와 Pathological Conditions, Signs<br />

and Symptoms -> Signs and Symptoms -> Signs and Symptoms, Digestive -><br />

Vomiting 의 2가지 경로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Morning Sickness라는 증상<br />

이 임산부의 증상 파트에서 찾을 수도 있으며, 소화기 장애의 구토 파트에서도 찾<br />

을 수 있도록 하여 검색의 편리성을 더하고 있다.([Fig. 7])<br />

이렇게 UMLS와 MeSH는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의료 정보의 표준화에 기여하고<br />

있다.<br />

서양의학의 통합의학언어<strong>시스템</strong>이 미국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의계<br />

에서도 한의 <strong>진단</strong>의 객관화에 관한 <strong>연구</strong>가 진행되고 있다. 한의<strong>진단</strong>의 객관화에 관<br />

한 <strong>연구</strong>는 곧 증(證)의 객관화에 관한 <strong>연구</strong>를 의미하며, 이러한 객관화<strong>연구</strong>는 20세<br />

기 후반 한의학 현대화 <strong>연구</strong>의 기조를 이루고 있다 28)고 할 수 있다. 한의학의 <strong>진단</strong><br />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한의학 <strong>진단</strong>의 핵심이 되는 증후(證候)에 <strong>대한</strong><br />

객관화와 표준화가 선행되어야만 한다.<br />

중국에서는 국가중의약관리국(國家中醫藥管理局)의 주도하에 80년대 중반 증후규범<br />

화(證候規範化)작업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으며, 80년대 중반에 증후 규범화(證候<br />

規範化)작업을 조직적으로 전개하면서 각종 변증방법을 통일하는 시도를 하였으<br />

며, 29) 이를 기반으로 중국 전역의 88개 한방병원에서 “전국 중의 의원 병종질량<br />

- 35 -


[Fig. 6] MeSH tree structures<br />

- 36 -


[Fig. 7] MeSH classification of morning sickness<br />

- 37 -


관리 현상조사”를 실시하였는데, 12만 여명의 환자에 <strong>대한</strong> 증후분류의 결과로서<br />

가장 많이 나타난 기체어혈증(氣滯血瘀證)을 선두로 상위 100개 증후를 발표한 바<br />

있다. 30) 그러한 성과들은 조금탁(趙金鐸)이 주편(主編)한 중의증후감별<strong>진단</strong>학(中醫證<br />

候鑑別診斷學)에서는 311개 증(證)으로, 31) 냉방남(冷方男)이 주편(主編)한 중의증후변<br />

치궤범(中醫證候辨治軌范)에서는 308개 증(證)으로 정리 수록되어 있다. 32)<br />

이러한 <strong>연구</strong>를 바탕으로 2005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국 북경에서 개최하는<br />

전통의학 의료정보 표준화를 위한 제1차 회의가 개최되었다. WHO는 서태평양 지역<br />

사무처가 중심이 되어 용어 분야, 침구경혈위치, 의료정보, 표준임상지침 분야 등<br />

전통의학 표준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북경회의는 의료정보와 관련된 첫 번째<br />

표준화 회의이다. 각국의 의료정보 현황 소개, 의료정보 표준화의 목표 설정 및 협<br />

조방법 등을 논의하는데, UMLS(데이터 베이스구축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용어<br />

<strong>시스템</strong>), MSD(의료정보의 색인, 분류, 검색을 위한 용어 사전), SNOMED(전자의무기<br />

록을 위한 용어<strong>시스템</strong>), ICD(국제질병사인분류) 등 4개 분과별로 진행되었다.<br />

이러한 움직임은 침구 경락 분야에서도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우선적으로 명칭 및<br />

위치의 표준화가 완성되었다. 1982년 마닐라에서 WHO 침용어 기준화 회의에서 경<br />

혈의 총수를 361개로 결정(12경맥 309개의 경혈과 임맥 24경혈, 독맥 28경혈)하고<br />

표기법을 확정하였다. 361개의 경혈은 황제내경에서 188혈, 침구갑을경에서 209혈,<br />

기타에서 14혈을 인용하였다. 또한 2005년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한국한의학<strong>연구</strong><br />

원에서 개최된 '제4차 WHO 국제침구경혈위치 표준화 회의'에서는 한, 중, 일 3개국<br />

의 <strong>전문가</strong>가 참여하여 361개 경혈 대부분의 위치 및 명칭 등을 통일된 안으로 제시<br />

하였다. 그리고 2006년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일본 쓰쿠바에서 열린 제6차<br />

회의에서 모든 경혈의 표준 위치가 최종 결정되었다.<br />

경혈의 위치 표준화뿐만 아니라, 한의학의 증상과 증(證)에 대해서도 UMLS와 MeSH<br />

의 방식을 이용한 용어의 정의와 분류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면, 대변불통,<br />

변비, 변폐 등의 증상을 한 가지 대표가 되는 이름으로 통일해야 하며, 신허요통(腎<br />

虛腰痛)에 관한 정의를 오늘날의 언어로 재정의하고, 한의학 용어 분류 작업을 통해<br />

서 신허요통(腎虛腰痛)의 경우 신허증(腎虛證)의 카테고리에서도 찾을 수 있어야 하<br />

면, 요통(腰痛)의 카테고리에서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토혈(吐血)의<br />

- 38 -


분류도 구토(嘔吐) 카테고리에서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혈병(血病)의 카테고리에서<br />

도 찾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렇게 다양한 경로로 찾아 갈 수 있도록 증상 분<br />

류가 이루어진다면 머지않아 치료 행위의 표준화도 이루어 질 것이다.<br />

본 <strong>시스템</strong>을 보다 더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섬세한 <strong>진단</strong>이 가능한 방식으로<br />

지식 베이스 및 추론 엔진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질문<br />

의 방식을 더 쉽게 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그리고 한의학 용어의 표준화가 학회차<br />

원에서 선행된다면 경락 변증과 장부 변증을 연결하여 침 치료법과 약 치료법을 동<br />

시에 제시하는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br />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서 본 <strong>시스템</strong>이 체택하고 있는 질문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br />

있다. 본 <strong>시스템</strong>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체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을 환자<br />

가 호소하는 증상을 클릭했을 때 자동으로 다음 질문을 찾아서 가는 방식(flow<br />

chart type)으로 개선한다면 더욱 편리해 질 수 있을 것이다.<br />

실제 임상에서 <strong>사암침법</strong>을 운용할 때는 12경락의 허실(虛實) 뿐만 아니라 한열(寒<br />

熱)까지 구별하고, 때로는 변형을 사용하기도 한다. <strong>사암침법</strong>의 정격(正格)과 승격<br />

(勝格) 치료법 96가지와 열보(熱補)와 한보(寒補)의 24가지를 합하여 120가지의 치료<br />

법이 있으며, 여기에 특수한 몇 가지 변형된 처방이 더 존재한다. 앞으로는 이러한<br />

처방에 맞는 <strong>진단</strong>을 추가하여 임상에서 활용하기에 더욱 정확해 지도록 해야 할 것<br />

이다. 만일 현재 개발된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시스템</strong>으로 <strong>진단</strong>하여 치료하였을 때, 치료효<br />

과가 없다면, 이는 <strong>사암침법</strong>의 12경락의 허실 판단만으로는 치료가 안 된다는 것을<br />

의미할 뿐이므로, 다른 방식의 <strong>사암침법</strong>의 치료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br />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치료법은 장부변증을 통해서 약을 사용하는 방법과, 경락변증<br />

을 통해서 침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경락변증과 장부변증을 연결하<br />

기 위해서는 한의학 용어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며, 서양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br />

UMLS(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와 MeSH(Medical Subject Heading)의 방식을<br />

응용한다면 한의학 용어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완료된다<br />

면 경락변증과 장부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한의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 개발될 것<br />

이다.<br />

- 39 -


IV. 결 론<br />

1970년대 최초로 개발된 의료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인 MYCIN에서부터 지금까지 많은<br />

의료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이 개발된 이래, 약물 처방 외에 경락 변증의 내용은 빠져<br />

있어 침 치료법을 제시하지 못하였음을 근거로, 12경락의 허실 <strong>진단</strong>을 바탕으로 사<br />

암침법의 기초적인 수준을 구현한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을 개발한 결과 다<br />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br />

1. 의학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 중에서 세계 최초로 침 치료법을 제시하는 <strong>사암침법</strong> <strong>진단</strong><br />

<strong>전문가</strong>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서 의료현장에서의 오진을 감소시키고 <strong>진단</strong>을 객관화<br />

할 수 있으며, 학교에서 교육용으로 활용하여 정확한 <strong>진단</strong>을 위한 학습에 이용할<br />

수 있는 표본이 되었다.<br />

2. 현재 개발된 <strong>시스템</strong>은 12경락의 기초적인 허실을 <strong>진단</strong>하는 수준이며, 향후 의료<br />

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현재의 24가지 <strong>진단</strong>명에 한증, 열증, 변형 등을 추<br />

가한다면 앞으로 한의계의 <strong>진단</strong> 및 진료의 표준화의 기틀이 될 것이다.<br />

3. 침 치료 외의 다른 치료법인 약물 치료법 등을 제시할 수 있도록 경락변증과 장<br />

부변증을 연결해야 하는 근거를 얻었으며, 이를 위해 <strong>진단</strong> 용어 표준화가 선행되어<br />

야 하고 프로그램의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질문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이<br />

대두되었다.<br />

- 40 -


V. 참고 문헌<br />

1) Durkin, J., Expert Systems: Design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New York,<br />

NY, 1994.<br />

2) Chae. Y.M.. Expert systems in Medicine. (in The Handbook of Applied Expert<br />

Systems). Liebowitz. J(ed). CRC Press LLC. 1998.<br />

3) 한국전자통신<strong>연구</strong>소, 한의학<strong>전문가</strong><strong>시스템</strong>의 지식베이스 구축에 관한 <strong>연구</strong>, 1987.<br />

4) 임창수, 한의<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의 설계모형화, 숭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br />

5) 이창훈, 한의 지식베이스를 위한 지식정예기법에 <strong>대한</strong> <strong>연구</strong>, KAIST 전산학과 박<br />

사학위논문, 1993.<br />

6) 권영규, 중풍변증에 관련된 임상지식에 <strong>대한</strong> 요인분석, <strong>대한</strong>한의학회지, 18(2):<br />

73-81, 1997.<br />

7) 박경모, 김성인, 주형진. “人工知能을 이용한 한의<strong>진단</strong>모델”, <strong>대한</strong>산업공학회<br />

추계학술대회, 1999.<br />

8) 한국한의학<strong>연구</strong>소, 한의<strong>진단</strong>명과 <strong>진단</strong>요건의 표준화<strong>연구</strong>(Ⅰ-Ⅲ), 서울, 1995-1997.<br />

9) 최승훈, 인터넷 기반 한의<strong>전문가</strong><strong>시스템</strong>(KHU-PIPE) 개발, 동의생리병리학회지,<br />

16(3):528-531, 2002.<br />

10) 최승훈, 동의표준 <strong>진단</strong><strong>전문가</strong>프로그램 (OMS-Prime) 개발, <strong>대한</strong>의료정보학회지,<br />

제8권 s1호, p28~31, 2002.<br />

11) Winston P.H., Artificial Intelligence, Addison-Wesley, M. A., 1984, p. 1.<br />

12) Waterman D.A., A Guide to Expert Systems, Addison-Wesley, 1986, pp. 12-15.<br />

13) Feigenbau, The Handbook of AI, William Kaufmann Inc., Vol 1, 1984.<br />

14) Luconi F.L., Thomas W. Malone and Michael S. Scott Morton, Exper Systems ;<br />

The next challenge for managers, Sloon Management Review, Summer, 1986, p. 4.<br />

15) 김상철,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을 이용한 한의 <strong>진단</strong>의 객관화 <strong>연구</strong>, 경산대학교 한의과<br />

대학, 1998.<br />

16) 김달호, 舍巖鍼法의 著作時期 및 形成背景에 關한 硏究, 동의대학교 석사학위<br />

논문, 1993.<br />

17) 孫桐, 難經, 北京, 中國醫葯科技出版社, 1999.<br />

18) 許浚, 東醫寶鑑, 南山堂, 서울, 1986.<br />

- 41 -


19) 정호영, 사암침구정전, 석림출판사, 서울, 2003.<br />

20) Jenny Preece, Human Computer Interaction, Addison-Wesley Publishing<br />

Company, 1994, p.17.<br />

21)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URL : http://familydoctor.org/<br />

symptom.xml<br />

22) <strong>대한</strong>한의사협회 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한의), 서울, <strong>대한</strong>한의사협회, 1994.<br />

23) UMLS URL : http://www.nlm.nih.gov/research/umls/<br />

24) 김승희, UMLS(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와 한글의학용어 통합 과정의<br />

소개, <strong>대한</strong>의료정보학회지, 제10권 보완본1호, 2004, 봄.<br />

25) 김혜선, 통합의학언어 <strong>시스템</strong>의 구성 및 적용에 <strong>대한</strong> 고찰, 정보관리<strong>연구</strong>, vol.<br />

32, no. 2, 2001, pp.26-39.<br />

26) 조정진, 메쉬(MeSH)의 사용법, 가정의학회지, vol. 25, no. 5, 2000, pp.S277-S285.<br />

27) MeSH URL : http://www.nlm.nih.gov/cgi/mesh/2006/MB_cgi<br />

28) 陳少宗. 中醫診斷客觀化硏究的誤區. 醫學與哲學 1998; 19(7): 360-361.<br />

29) 陳家旭. 中醫證候與辨證體系硏究現狀與展望. 北京中醫藥大學學報 2001;24(4):3-8.<br />

30) 章如虹, 毛樹松, 邵企紅. 田輝, 潘 秦, 張奇. 國家標準《中醫病證分類與代碼》應<br />

用硏究(III). 北京中醫藥大學學報. 22(4): 49-52. 1999<br />

31) 趙金鐸 主編. 中醫證候鑑別診斷學. 人民衛生出版社. 1987.<br />

32) 冷方南 主編. 中醫證候辨治軌範. 北京, 中國; 人民衛生出版社. 1989.<br />

- 42 -


▣ Abstract<br />

The study on development of Sa-am acupuncture expert system<br />

An expert system is a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system, an<br />

expert inputs his/her knowledge into the computer and the computer draws out<br />

many informations from it. The expert system is a system used in real working<br />

fields outside laboratory environment. This system is an imitation of human thinking<br />

process, in which a problem is solved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br />

an expert. So it performs a role as a substitute of a human expert in solving,<br />

consulting or supporting any kind of problems in work fields.<br />

In medical practice field, diagnosing is a process of decision making as in<br />

selecting the appropriate treatment principle and method to cure patients. This step<br />

requires more precision than any other step in the whole treatment process.<br />

Therefore, the more number of experts gathered for diagnosis, the less probability<br />

there is for error, thus leading to the most adequate direction for treatment. But in<br />

most cases in reality, a doctor has to go through this entire process by himself<br />

with his limited knowledge and temperamental feelings of a human. If this can be<br />

aided by the support of objective point of view and professional knowledge, more<br />

accuracy can be expected. This is exactly the role the expert system will be able<br />

to perform.<br />

Since the development of meningitis diagnosis system(MYCIN) in Stanford<br />

University in 1976, there are now known to be about 4,700 kinds of expert<br />

systems in medical field in the world.<br />

Recent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develop a diagnosis expert system in<br />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In late 1990s' Dr. Choi Seung Hoon et al. carried out<br />

a research to standardize Oriental medical diagnosis. Based on the research and<br />

applying the rule-based reasoning, was developed.<br />

Treatment of Oriental medicin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o groups ;<br />

herbal medicine treatment, and acupuncture treatment. But so far, the diagnosis<br />

- 43 -


expert system in Oriental medicine field did not cover the acupuncture treatment<br />

area. Therefore, in this paper, the author would like to introduce the Sa-am<br />

acupuncture expert system(SATES: Sa-am Acupuncture Treatment Expert System)<br />

that I have developed based on the study of Sa-am acupuncture theory.<br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following three objectives ; 1.To<br />

report the development of the expert system. 2. To assess the system as the<br />

oriental medical doctor, which is in the point of view of the system user. 3. To<br />

propose a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enhance its' value of use.<br />

Therefore, the author present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Sa-am<br />

Acupuncture Treatment Expert System, programmed in Visual Basic Language based<br />

on Windows XP.<br />

- 44 -


▣ 부 록<br />

1. 프로그램 등록증<br />

- 45 -


2. 프로그램 Source (Microsoft Visual Basic)<br />

Option Explicit<br />

Option Base 1<br />

Dim Ch_Array(100) As String '선택된 체크박스 값을 넣는 1차배열<br />

Dim Ch_Result(500, 100) As String '결과값을 넣을 2차배열<br />

Dim Ch_Total(500, 100) As String '전체 자료 넣을 배열<br />

Dim COU(500) As Integer '중복 카운트<br />

Dim i As Integer 'for 문에 사용<br />

Dim j As Integer 'for 문에 사용<br />

Dim k As Integer 'for 문에 사용<br />

Dim m As Integer 'for 문에 사용<br />

Dim tot As Integer '환자증상 for 문에 사용<br />

Dim Y As Integer 'goekdX 카운터<br />

Dim Limsi As String '임시 변수<br />

Dim Coun As Integer '세로열의 빈칸을 찾을 변수<br />

Dim Cot(500) As Integer '가로줄의 빈칸을 찾을 변수<br />

Dim goekdX(500) As String '해당사항 없는 증상 넣는 배열<br />

Dim Yn As Boolean<br />

Dim YnY As Integer<br />

Dim Plus As String<br />

Dim wmdTkd As String<br />

Private Sub List1_MouseMove(Button As Integer, _<br />

Shift As Integer, X As Single, Y As Single) '' 긴내용을 툴팁으로 보여주기<br />

Dim intPos As Integer<br />

Dim intSize As Integer<br />

intSize = Me.Font.Size<br />

Me.Font.Size = List1.Font.Size<br />

intPos = Y \ Me.TextHeight("Xyz") + List1.TopIndex<br />

Me.Font.Size = intSize<br />

If intPos < List1.ListCount Then<br />

List1.ToolTipText = List1.List(intPos)<br />

Else<br />

List1.ToolTipText = ""<br />

End If<br />

End Sub<br />

Private Sub List1_Click()<br />

'Text1.Text = List1.Text<br />

End Sub<br />

Private Sub Claqjq_Click()<br />

Form2.Show<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1_Click()<br />

Erase COU<br />

List1.Clear<br />

Call Frm_Cls ' 프레임 감추기<br />

For YnY = 1 To 368<br />

Ch(YnY).Value = 0<br />

Next YnY<br />

- 46 -


Form1.Caption = "↓↓↓↓ 증상의 범주를 먼저 선택해 주십시오 ↓↓↓↓"<br />

List1.Visible = True<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 ↑↑↑↑ 증상의 범주를 먼저 선택해 주십시오 ↑↑↑↑"<br />

'Frame1.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안이빈인후구계]"<br />

Yn = True<br />

For i = 1 To 500<br />

Cot(i) = 3<br />

Next i<br />

Coun = 1<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10_Click()<br />

Call Frm_Cls<br />

Frame6.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정신계]"<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11_Click()<br />

Call Frm_Cls<br />

Frame3.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기타]"<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12_Click()<br />

Call Frm_Cls<br />

Erase COU<br />

Coun = 1<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strong>진단</strong>결과]"<br />

List1.Clear<br />

List1.Visible = True<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 ::::환자증상::::"<br />

'Text1.Visible = True<br />

'Text1.Text = ""<br />

'Text1.Text = "위 내용을 클릭하시면 이 곳에 표시 됩니다."<br />

wmdTkd = ""<br />

Erase Ch_Result<br />

For YnY = 1 To 368<br />

If Ch(YnY).Value = 1 Then<br />

Erase Ch_Array<br />

For i = 1 To 20<br />

Ch_Array(i) = Ch_Total(YnY, i)<br />

Next i<br />

wmdTkd = wmdTkd & " " & Ch_Array(1)<br />

'/////////////////////////////////////////////////'<br />

If Len(wmdTkd) > 70 Then<br />

- 47 -


End Sub<br />

List1.AddItem wmdTkd<br />

wmdTkd = ""<br />

End If<br />

'List1.AddItem wmdTkd<br />

'List1.AddItem ""<br />

'wmdTkd = ""<br />

'////////////////////////////////////////////////'<br />

Call Result<br />

End If<br />

Next YnY<br />

Call goEkd<br />

Private Sub Command13_Click()<br />

Form2.Show<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14_Click()<br />

End<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2_Click()<br />

Call Frm_Cls<br />

Frame4.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호흡기계]"<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3_Click()<br />

Call Frm_Cls<br />

Frame8.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소화기계]"<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4_Click()<br />

Call Frm_Cls<br />

Frame9.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순환기계]"<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5_Click()<br />

Call Frm_Cls<br />

Frame5.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흉협복통류]"<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6_Click()<br />

- 48 -


End Sub<br />

Call Frm_Cls<br />

Frame10.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운동기계]"<br />

Private Sub Command7_Click()<br />

Call Frm_Cls<br />

Frame1.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안이빈인후구계]"<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8_Click()<br />

Call Frm_Cls<br />

Frame2.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비뇨기계]"<br />

End Sub<br />

Private Sub Command9_Click()<br />

Call Frm_Cls<br />

Frame7.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생식기계]"<br />

End Sub<br />

Private Sub Form_Load()<br />

Erase Ch_Total<br />

'////////////////// 안이빈인후구계///////////////''''''1111111<br />

Ch_Total(1, 1) = "구갈": Ch_Total(1, 2) = "대장실"<br />

Ch_Total(2, 1) = "구건치통": Ch_Total(2, 2) = "대장허": Ch_Total(2, 3) = "대장실"<br />

Ch_Total(3, 1) = "구고": Ch_Total(3, 2) = "간허": Ch_Total(3, 3) = "간실": Ch_Total(3, 4) = "담허": Ch_Total(3, 5) = "담<br />

실"<br />

Ch_Total(4, 1) = "구설생창": Ch_Total(4, 2) = "심실"<br />

Ch_Total(5, 1) = "구순창": Ch_Total(5, 2) = "위허": Ch_Total(5, 3) = "위실"<br />

Ch_Total(6, 1) = "구조열(口燥熱)": Ch_Total(6, 2) = "신허": Ch_Total(6, 3) = "신실"<br />

Ch_Total(7, 1) = "구창(口瘡)": Ch_Total(7, 2) = "소장실": Ch_Total(7, 3) = "대장실"<br />

Ch_Total(8, 1) = "내자적": Ch_Total(8, 2) = "심허": Ch_Total(8, 3) = "심실"<br />

Ch_Total(9, 1) = "누출(淚出)": Ch_Total(9, 2) = "방광허": Ch_Total(9, 3) = "방광실": Ch_Total(9, 4) = "심허"<br />

Ch_Total(9, 5) = "심실": Ch_Total(9, 6) = "담허"<br />

Ch_Total(10, 1) = "뉵혈": Ch_Total(10, 2) = "간실": Ch_Total(10, 3) = "방광허": Ch_Total(10, 4) = "방광실":<br />

Ch_Total(10, 5) = "심허"<br />

Ch_Total(10, 6) = "심실": Ch_Total(10, 7) = "위허": Ch_Total(10, 8) = "위실": Ch_Total(10, 9) = "폐허": Ch_Total(10,<br />

10) = "폐실"<br />

Ch_Total(11, 1) = "다타(多唾)": Ch_Total(11, 2) = "방광허"<br />

Ch_Total(12, 1) = "목예자통": Ch_Total(12, 2) = "담허": Ch_Total(12, 3) = "담실": Ch_Total(12, 4) = "삼초허":<br />

Ch_Total(12, 5) = "삼초실"<br />

Ch_Total(13, 1) = "목적": Ch_Total(13, 2) = "심포실": Ch_Total(13, 3) = "심허": Ch_Total(13, 4) = "심실"<br />

Ch_Total(14, 1) = "목적통": Ch_Total(14, 2) = "간허": Ch_Total(14, 3) = "간실"<br />

Ch_Total(15, 1) = "목통": Ch_Total(15, 2) = "위실"<br />

Ch_Total(16, 1) = "목혼": Ch_Total(16, 2) = "담허"<br />

Ch_Total(17, 1) = "목황": Ch_Total(17, 2) = "담허": Ch_Total(17, 3) = "담실": Ch_Total(17, 4) = "심허"<br />

Ch_Total(17, 5) = "심실": Ch_Total(17, 6) = "소장허": Ch_Total(17, 7) = "소장실"<br />

Ch_Total(18, 1) = "비건(鼻乾)": Ch_Total(18, 2) = "위실"<br />

Ch_Total(19, 1) = "비병일절": Ch_Total(19, 2) = "폐허": Ch_Total(19, 2) = "폐실"<br />

Ch_Total(20, 1) = "비연": Ch_Total(20, 2) = "담실"<br />

Ch_Total(21, 1) = "비염": Ch_Total(21, 2) = "방광실"<br />

Ch_Total(22, 1) = "비염뉵혈": Ch_Total(22, 2) = "대장허": Ch_Total(22, 3) = "대장실"<br />

Ch_Total(23, 1) = "삭타(數唾)": Ch_Total(23, 2) = "담허": Ch_Total(23, 3) = "담실"<br />

- 49 -


Ch_Total(24, 1) = "설권": Ch_Total(24, 2) = "삼초허": Ch_Total(24, 3) = "삼초실"<br />

Ch_Total(25, 1) = "설본강급통": Ch_Total(25, 2) = "비허": Ch_Total(25, 3) = "비실"<br />

Ch_Total(26, 1) = "설익건급종통": Ch_Total(26, 2) = "신허": Ch_Total(26, 3) = "신실"<br />

Ch_Total(27, 1) = "설초(舌焦)": Ch_Total(27, 2) = "대장실"<br />

Ch_Total(28, 1) = "설파인건(舌破咽乾)": Ch_Total(28, 2) = "심허": Ch_Total(28, 3) = "심실"<br />

Ch_Total(29, 1) = "시력감퇴": Ch_Total(29, 2) = "간허": Ch_Total(29, 3) = "간실"<br />

Ch_Total(30, 1) = "시력약": Ch_Total(30, 2) = "신허": Ch_Total(30, 3) = "신실"<br />

Ch_Total(31, 1) = "안피로": Ch_Total(31, 2) = "간허"<br />

Ch_Total(32, 1) = "언어불능": Ch_Total(32, 2) = "심허": Ch_Total(32, 3) = "심실"<br />

Ch_Total(33, 1) = "요요치고(搖搖齒槁)": Ch_Total(33, 2) = "신허"<br />

Ch_Total(34, 1) = "이롱": Ch_Total(34, 2) = "방광허": Ch_Total(34, 3) = "폐허"<br />

Ch_Total(35, 1) = "이롱명(鳴)": Ch_Total(35, 2) = "간허": Ch_Total(35, 3) = "간실"<br />

Ch_Total(36, 1) = "이롱이명": Ch_Total(36, 2) = "담허": Ch_Total(36, 3) = "담실": Ch_Total(36, 4) = "소장허":<br />

Ch_Total(36, 5) = "소장실"<br />

Ch_Total(36, 6) = "대장허": Ch_Total(36, 7) = "대장실": Ch_Total(36, 8) = "삼초허": Ch_Total(36, 9) = "삼초실"<br />

Ch_Total(37, 1) = "이명혹롱": Ch_Total(37, 2) = "신허": Ch_Total(37, 3) = "신실"<br />

Ch_Total(38, 1) = "이전(耳前)열통": Ch_Total(38, 2) = "소장허": Ch_Total(38, 3) = "소장실"<br />

Ch_Total(39, 1) = "이전후통": Ch_Total(39, 2) = "삼초허": Ch_Total(39, 3) = "삼초실"<br />

Ch_Total(40, 1) = "익건(목구멍 익)": Ch_Total(40, 2) = "간허": Ch_Total(40, 3) = "간실": Ch_Total(40, 4) = "비실"<br />

Ch_Total(41, 1) = "익건성중(목구멍 익 乾聲重)": Ch_Total(41, 2) = "폐허": Ch_Total(41, 3) = "폐실"<br />

Ch_Total(42, 1) = "인창(咽瘡)": Ch_Total(42, 2) = "심실"<br />

Ch_Total(43, 1) = "인후염": Ch_Total(43, 2) = "폐실"<br />

Ch_Total(44, 1) = "인후종통": Ch_Total(44, 2) = "삼초허": Ch_Total(44, 3) = "삼초실"<br />

Ch_Total(45, 1) = "인후통": Ch_Total(45, 2) = "소장허": Ch_Total(45, 3) = "소장실": Ch_Total(45, 4) = "위허":<br />

Ch_Total(45, 5) = "위실"<br />

Ch_Total(46, 1) = "졸음(卒 벙어리 음)": Ch_Total(46, 2) = "위허": Ch_Total(46, 3) = "위실"<br />

Ch_Total(47, 1) = "충치": Ch_Total(47, 2) = "신허": Ch_Total(47, 3) = "신실"<br />

Ch_Total(48, 1) = "치고이흑": Ch_Total(48, 2) = "신실"<br />

Ch_Total(49, 1) = "치한(齒寒)": Ch_Total(49, 2) = "대장허"<br />

Ch_Total(50, 1) = "타출(唾出)": Ch_Total(50, 1) = "심허"<br />

Ch_Total(51, 1) = "타혈(唾血)": Ch_Total(51, 2) = "폐허": Ch_Total(51, 3) = "신허": Ch_Total(51, 4) = "신실"<br />

Ch_Total(52, 1) = "후비": Ch_Total(52, 2) = "대장허": Ch_Total(52, 3) = "대장실"<br />

''''''/////////////// 비뇨기계/////////////////'''''2222222<br />

Ch_Total(53, 1) = "뇨불리": Ch_Total(53, 2) = "위허"<br />

Ch_Total(54, 1) = "뇨의급박": Ch_Total(54, 2) = "삼초허"<br />

Ch_Total(55, 1) = "뇨폐": Ch_Total(55, 2) = "비실"<br />

Ch_Total(56, 1) = "뇨황": Ch_Total(56, 2) = "위실"<br />

Ch_Total(57, 1) = "대소변난": Ch_Total(57, 2) = "심포실"<br />

Ch_Total(58, 1) = "빈뇨": Ch_Total(58, 2) = "삼초허"<br />

Ch_Total(59, 1) = "소변불리": Ch_Total(59, 2) = "비실"<br />

Ch_Total(60, 1) = "소변불통": Ch_Total(60, 2) = "삼초허"<br />

Ch_Total(61, 1) = "소변빈삭": Ch_Total(61, 2) = "신허"<br />

Ch_Total(62, 1) = "소변삭이무력": Ch_Total(62, 2) = "폐허"<br />

Ch_Total(63, 1) = "소변황적뇨": Ch_Total(63, 2) = "신실"<br />

Ch_Total(64, 1) = "수종": Ch_Total(64, 2) = "비허": Ch_Total(64, 3) = "비실"<br />

Ch_Total(65, 1) = "야뇨": Ch_Total(65, 2) = "폐허"<br />

Ch_Total(66, 1) = "유뇨": Ch_Total(66, 2) = "간허"<br />

Ch_Total(67, 1) = "유익(遺溺)": Ch_Total(67, 2) = "방광허"<br />

Ch_Total(68, 1) = "융폐": Ch_Total(68, 2) = "간실": Ch_Total(68, 3) = "담허"<br />

Ch_Total(69, 1) = "임력(淋瀝)적백탁": Ch_Total(69, 2) = "소장허": Ch_Total(69, 3) = "소장실"<br />

''''''''//////////////기타///////////////'''''333333333<br />

Ch_Total(70, 1) = "골비": Ch_Total(70, 2) = "신허": Ch_Total(70, 3) = "신실"<br />

Ch_Total(71, 1) = "골위(骨 저릴 위)": Ch_Total(71, 2) = "신허": Ch_Total(71, 3) = "신실"<br />

Ch_Total(72, 1) = "나력": Ch_Total(72, 2) = "폐허": Ch_Total(72, 2) = "폐실"<br />

Ch_Total(73, 1) = "누루(瘻부스럼 누 漏)": Ch_Total(73, 2) = "대장실"<br />

Ch_Total(74, 1) = "대옹(大癰)": Ch_Total(74, 2) = "신허": Ch_Total(74, 2) = "신실"<br />

- 50 -


Ch_Total(75, 1) = "독발(禿대머리독)": Ch_Total(75, 2) = "신허": Ch_Total(75, 3) = "신실"<br />

Ch_Total(76, 1) = "면열": Ch_Total(76, 2) = "위실"<br />

Ch_Total(77, 1) = "면적": Ch_Total(77, 2) = "대장실": Ch_Total(77, 3) = "심실"<br />

Ch_Total(78, 1) = "면황": Ch_Total(78, 2) = "비허": Ch_Total(78, 3) = "비실"<br />

Ch_Total(79, 1) = "면흑": Ch_Total(79, 2) = "신허"<br />

Ch_Total(80, 1) = "무윤발(無潤髮)": Ch_Total(80, 2) = "신허": Ch_Total(80, 3) = "신실"<br />

Ch_Total(81, 1) = "발조(髮燥)": Ch_Total(81, 2) = "담허": Ch_Total(81, 3) = "담실"<br />

Ch_Total(82, 1) = "백발": Ch_Total(82, 2) = "신허": Ch_Total(82, 3) = "신실"<br />

Ch_Total(83, 1) = "상하출혈": Ch_Total(83, 2) = "폐허": Ch_Total(83, 3) = "폐실"<br />

Ch_Total(84, 1) = "생우(生 사마귀 우)": Ch_Total(84, 2) = "소장허"<br />

Ch_Total(85, 1) = "악혈재내": Ch_Total(85, 2) = "간허": Ch_Total(85, 3) = "간실"<br />

Ch_Total(86, 1) = "악협(顎頰) 疼痛": Ch_Total(86, 2) = "비실"<br />

Ch_Total(87, 1) = "안면부종": Ch_Total(87, 2) = "신허": Ch_Total(87, 3) = "신실": Ch_Total(87, 4) = "위실"<br />

Ch_Total(88, 1) = "영나력(혹, 연주창) (양액결분 兩腋缺盆)": Ch_Total(88, 2) = "담허": Ch_Total(88, 3) = "담실"<br />

Ch_Total(89, 1) = "옹저": Ch_Total(89, 2) = "간허": Ch_Total(89, 3) = "간실"<br />

Ch_Total(90, 1) = "유(乳)통": Ch_Total(90, 1) = "위실"<br />

Ch_Total(91, 1) = "은진창개": Ch_Total(91, 2) = "폐실"<br />

Ch_Total(92, 1) = "제양(諸痒)": Ch_Total(92, 2) = "심허"<br />

Ch_Total(93, 1) = "창양옹종": Ch_Total(93, 2) = "심실"<br />

Ch_Total(94, 1) = "체무고택(體無膏澤)": Ch_Total(94, 2) = "담허": Ch_Total(94, 3) = "담실"<br />

Ch_Total(95, 1) = "치(痔)": Ch_Total(95, 2) = "신허": Ch_Total(95, 3) = "신실"<br />

Ch_Total(96, 1) = "치치창(痔痔瘡)": Ch_Total(96, 2) = "방광허": Ch_Total(96, 3) = "방광실"<br />

Ch_Total(97, 1) = "탈항": Ch_Total(97, 2) = "대장허"<br />

Ch_Total(98, 1) = "피부견경이불통(堅硬而不痛)": Ch_Total(98, 2) = "대장허": Ch_Total(98, 3) = "대장실"<br />

Ch_Total(99, 1) = "피부통": Ch_Total(99, 2) = "폐허": Ch_Total(99, 3) = "폐실"<br />

Ch_Total(100, 1) = "하악, 협(頰) 종통": Ch_Total(100, 2) = "소장허": Ch_Total(100, 3) = "소장실"<br />

Ch_Total(101, 1) = "하혈": Ch_Total(101, 2) = "심포허": Ch_Total(101, 3) = "심포실"<br />

Ch_Total(102, 1) = "한출": Ch_Total(102, 2) = "삼초허": Ch_Total(102, 3) = "삼초실": Ch_Total(102, 4) = "위실"<br />

Ch_Total(102, 5) = "폐허": Ch_Total(102, 6) = "폐실"<br />

Ch_Total(103, 1) = "한출무한": Ch_Total(103, 2) = "심허": Ch_Total(103, 3) = "심실"<br />

Ch_Total(104, 1) = "혈허피로": Ch_Total(104, 2) = "간허"<br />

Ch_Total(105, 1) = "협종(頰腫)": Ch_Total(105, 2) = "간허": Ch_Total(105, 3) = "간실"<br />

'/////////////////////////////흉협///////////////////// 5555555555<br />

Ch_Total(106, 1) = "격한(膈寒)": Ch_Total(106, 2) = "위실"<br />

Ch_Total(107, 1) = "대장소장통": Ch_Total(107, 2) = "신허": Ch_Total(107, 3) = "신실"<br />

Ch_Total(108, 1) = "복만": Ch_Total(108, 2) = "삼초허": Ch_Total(108, 3) = "삼초실"<br />

Ch_Total(109, 1) = "복통": Ch_Total(109, 2) = "심허": Ch_Total(109, 3) = "심실"<br />

Ch_Total(110, 1) = "복통복명": Ch_Total(110, 2) = "대장허": Ch_Total(110, 3) = "대장실"<br />

Ch_Total(111, 1) = "소(小)복창": Ch_Total(111, 2) = "방광허": Ch_Total(111, 3) = "방광실"<br />

Ch_Total(112, 1) = "소(小)복통": Ch_Total(112, 2) = "신허": Ch_Total(112, 3) = "신실"<br />

Ch_Total(113, 1) = "소복경만": Ch_Total(113, 2) = "삼초허": Ch_Total(113, 3) = "삼초실"<br />

Ch_Total(114, 1) = "소복만통": Ch_Total(114, 2) = "간허": Ch_Total(114, 3) = "간실"<br />

Ch_Total(115, 1) = "소복통산(疝)": Ch_Total(115, 2) = "소장허": Ch_Total(115, 3) = "소장실"<br />

Ch_Total(116, 1) = "슝협척통": Ch_Total(116, 2) = "신허": Ch_Total(116, 3) = "신실"<br />

Ch_Total(117, 1) = "심통": Ch_Total(117, 2) = "심허": Ch_Total(117, 3) = "심실"<br />

Ch_Total(117, 4) = "위허": Ch_Total(117, 5) = "위실"<br />

Ch_Total(118, 1) = "심하급통": Ch_Total(118, 2) = "비허": Ch_Total(118, 3) = "비실"<br />

Ch_Total(119, 1) = "심협통인소복(引小腹)": Ch_Total(119, 2) = "폐허": Ch_Total(119, 3) = "폐실"<br />

Ch_Total(120, 1) = "요척인고이통(腰脊引睾而痛)": Ch_Total(120, 2) = "소장허": Ch_Total(120, 3) = "소장실"<br />

Ch_Total(121, 1) = "위복통": Ch_Total(121, 2) = "비허": Ch_Total(121, 3) = "비실"<br />

Ch_Total(122, 1) = "위통": Ch_Total(122, 2) = "간허": Ch_Total(122, 3) = "간실"<br />

Ch_Total(123, 1) = "인소복산퇴": Ch_Total(123, 2) = "간실"<br />

Ch_Total(124, 1) = "장옹": Ch_Total(124, 2) = "대장실"<br />

Ch_Total(125, 1) = "제(臍)복통": Ch_Total(125, 2) = "소장허": Ch_Total(125, 3) = "소장실"<br />

Ch_Total(126, 1) = "졸심통": Ch_Total(126, 2) = "심실"<br />

Ch_Total(127, 1) = "협만": Ch_Total(127, 2) = "비허": Ch_Total(127, 3) = "비실"<br />

Ch_Total(128, 1) = "협통(脇痛)": Ch_Total(128, 2) = "심허": Ch_Total(128, 3) = "심실"<br />

Ch_Total(129, 1) = "흉민만": Ch_Total(129, 2) = "폐허": Ch_Total(129, 3) = "폐실"<br />

Ch_Total(130, 1) = "흉통": Ch_Total(130, 2) = "신허": Ch_Total(130, 3) = "신실": Ch_Total(130, 4) = "심허":<br />

Ch_Total(130, 5) = "심실"<br />

- 51 -


Ch_Total(131, 1) = "흉통인배": Ch_Total(131, 2) = "간허": Ch_Total(131, 3) = "간실"<br />

Ch_Total(132, 1) = "흉통혹민": Ch_Total(132, 2) = "삼초허": Ch_Total(132, 3) = "삼초실"<br />

Ch_Total(133, 1) = "흉협만통": Ch_Total(133, 2) = "간허": Ch_Total(133, 3) = "간실"<br />

Ch_Total(134, 1) = "흉협통": Ch_Total(134, 2) = "심포허": Ch_Total(134, 3) = "심포실"<br />

'''//////////////////////// 정신계 ////////////////////''''' 666666<br />

Ch_Total(135, 2) = "간광(癎狂)": Ch_Total(135, 2) = "방광허": Ch_Total(135, 3) = "방광실"<br />

Ch_Total(136, 1) = "계종급경(痙)": Ch_Total(136, 2) = "신허": Ch_Total(136, 3) = "신실"<br />

Ch_Total(137, 1) = "공(恐)": Ch_Total(137, 2) = "간허": Ch_Total(137, 3) = "담허"<br />

Ch_Total(138, 1) = "공의불락상기(恐意不樂上氣)": Ch_Total(138, 2) = "신허"<br />

Ch_Total(139, 1) = "광언(狂言)": Ch_Total(139, 2) = "간실"<br />

Ch_Total(140, 1) = "광조섬어": Ch_Total(140, 2) = "위실"<br />

Ch_Total(141, 1) = "기와신중조번": Ch_Total(141, 2) = "신허": Ch_Total(141, 2) = "신실"<br />

Ch_Total(142, 1) = "난(亂)번민": Ch_Total(142, 2) = "심실"<br />

Ch_Total(143, 1) = "노(怒)": Ch_Total(143, 2) = "담실": Ch_Total(143, 3) = "담허": Ch_Total(143, 4) = "담실"<br />

Ch_Total(144, 1) = "노경(怒驚)": Ch_Total(144, 2) = "간실"<br />

Ch_Total(145, 1) = "다면": Ch_Total(145, 2) = "담실"<br />

Ch_Total(146, 1) = "다와(多臥)": Ch_Total(146, 2) = "간실"<br />

Ch_Total(147, 1) = "대하": Ch_Total(147, 2) = "방광허": Ch_Total(147, 3) = "방광실"<br />

Ch_Total(148, 1) = "두중현모": Ch_Total(148, 2) = "비허": Ch_Total(148, 3) = "비실"<br />

Ch_Total(149, 1) = "두항통(頭項痛)": Ch_Total(149, 2) = "방광허": Ch_Total(149, 2) = "방광실"<br />

Ch_Total(150, 1) = "두통": Ch_Total(150, 2) = "간허": Ch_Total(150, 3) = "간실": Ch_Total(150, 4) = "심허"<br />

Ch_Total(150, 5) = "심실": Ch_Total(150, 6) = "소장허": Ch_Total(150, 7) = "소장실"<br />

Ch_Total(151, 1) = "두통목현": Ch_Total(151, 2) = "폐실"<br />

Ch_Total(152, 1) = "두풍두통": Ch_Total(152, 2) = "비허": Ch_Total(152, 3) = "비실"<br />

Ch_Total(153, 1) = "두항강직": Ch_Total(153, 2) = "심포허": Ch_Total(153, 3) = "심포실"<br />

Ch_Total(154, 1) = "부득와 부득안와(不得安臥)": Ch_Total(154, 2) = "간실": Ch_Total(154, 3) = "위허": Ch_Total(154, 4)<br />

= "위실"<br />

Ch_Total(155, 1) = "불면": Ch_Total(155, 2) = "담허"<br />

Ch_Total(156, 1) = "비(悲)": Ch_Total(156, 2) = "폐허"<br />

Ch_Total(157, 1) = "비정신혼미실어망언소심신번(悲精神昏迷失語妄言笑心神煩)": Ch_Total(157, 2) = "심허"<br />

Ch_Total(158, 1) = "사지연(四肢軟)": Ch_Total(158, 2) = "심포허"<br />

Ch_Total(159, 1) = "선노(善怒)": Ch_Total(159, 2) = "비실"<br />

Ch_Total(160, 1) = "수삭(瘦削)": Ch_Total(160, 2) = "대장허"<br />

Ch_Total(161, 1) = "수족조(手足躁)": Ch_Total(161, 2) = "간실"<br />

Ch_Total(162, 1) = "신권": Ch_Total(162, 2) = "위허"<br />

Ch_Total(163, 1) = "신혼": Ch_Total(163, 2) = "신허": Ch_Total(163, 3) = "신실"<br />

Ch_Total(164, 1) = "언(言)건망경계": Ch_Total(164, 2) = "심허"<br />

Ch_Total(165, 1) = "오심번열": Ch_Total(165, 2) = "심포실"<br />

Ch_Total(166, 1) = "전간": Ch_Total(166, 2) = "담실": Ch_Total(166, 3) = "심허": Ch_Total(166, 4) = "심실"<br />

Ch_Total(167, 1) = "전질": Ch_Total(167, 2) = "폐허"<br />

Ch_Total(168, 1) = "정신이상": Ch_Total(168, 2) = "심포실"<br />

Ch_Total(169, 1) = "정신장애": Ch_Total(169, 2) = "심허": Ch_Total(169, 3) = "심실"<br />

Ch_Total(170, 1) = "조(躁)": Ch_Total(170, 2) = "심허": Ch_Total(170, 3) = "심실"<br />

Ch_Total(171, 1) = "태타(怠?)": Ch_Total(171, 2) = "폐허"<br />

Ch_Total(172, 1) = "태타기와(怠惰嗜臥)": Ch_Total(172, 2) = "비허": Ch_Total(172, 3) = "비실"<br />

Ch_Total(173, 1) = "현훈": Ch_Total(173, 2) = "간허": Ch_Total(173, 3) = "간실": Ch_Total(173, 4) = "담허"<br />

Ch_Total(173, 5) = "담실": Ch_Total(173, 6) = "방광허": Ch_Total(173, 7) = "방광실"<br />

Ch_Total(174, 1) = "희소불휴": Ch_Total(174, 2) = "심포실"<br />

''////////////////// 생식기계 ////////////// 7777777777<br />

Ch_Total(175, 1) = "경낭종(莖囊腫)": Ch_Total(175, 2) = "방광실"<br />

Ch_Total(176, 1) = "경수불리": Ch_Total(176, 2) = "간허"<br />

Ch_Total(177, 1) = "고종(睾腫)": Ch_Total(177, 2) = "간실"<br />

Ch_Total(178, 1) = "낭축(囊縮)": Ch_Total(178, 2) = "간실"<br />

Ch_Total(179, 1) = "산퇴(疝 음부병 퇴)": Ch_Total(179, 2) = "비실"<br />

Ch_Total(180, 1) = "성기정장(性器挺長)": Ch_Total(180, 2) = "간실"<br />

Ch_Total(181, 1) = "소(小)복종": Ch_Total(181, 2) = "간허": Ch_Total(181, 3) = "간실"<br />

Ch_Total(182, 1) = "월경불순": Ch_Total(182, 2) = "신허": Ch_Total(182, 31) = "신실"<br />

- 52 -


Ch_Total(183, 1) = "유정": Ch_Total(183, 2) = "소장허"<br />

Ch_Total(184, 1) = "음기(器)불용": Ch_Total(184, 2) = "간허": Ch_Total(184, 3) = "간실"<br />

Ch_Total(185, 1) = "음기통": Ch_Total(185, 2) = "비허": Ch_Total(185, 3) = "비실"<br />

Ch_Total(186, 1) = "음양(陰痒)": Ch_Total(186, 2) = "간허"<br />

Ch_Total(187, 1) = "음위낭한(陰?囊寒)": Ch_Total(187, 2) = "신허"<br />

Ch_Total(188, 1) = "적백대(帶)": Ch_Total(188, 2) = "소장허": Ch_Total(188, 3) = "소장실"<br />

Ch_Total(189, 1) = "정력약": Ch_Total(189, 2) = "방광허"<br />

Ch_Total(190, 1) = "정루몽정": Ch_Total(190, 2) = "신허"<br />

Ch_Total(191, 1) = "폐고환종퇴(음부병 퇴)": Ch_Total(191, 2) = "신실"<br />

Ch_Total(192, 1) = "혈체경폐": Ch_Total(192, 2) = "심허"<br />

'''///////////////// 소화계 ////////// //// 888888888<br />

Ch_Total(193, 1) = "복대경종(脛腫)": Ch_Total(193, 2) = "심실"<br />

Ch_Total(194, 1) = "구(嘔)": Ch_Total(194, 2) = "토": Ch_Total(194, 3) = "구역": Ch_Total(194, 4) = "구토"<br />

Ch_Total(194, 5) = "위허": Ch_Total(194, 6) = "위실": Ch_Total(194, 7) = "간허": Ch_Total(194, 8) = "간실":<br />

Ch_Total(194, 9) = "비허"<br />

Ch_Total(194, 10) = "비실": Ch_Total(194, 11) = "담허": Ch_Total(194, 12) = "담실"<br />

Ch_Total(195, 1) = "당설무도": Ch_Total(195, 2) = "대장허"<br />

Ch_Total(196, 1) = "변불통": Ch_Total(196, 2) = "변비": Ch_Total(196, 3) = "간허": Ch_Total(196, 4) = "간실":<br />

Ch_Total(196, 5) = "대장실"<br />

Ch_Total(196, 6) = "신허": Ch_Total(196, 7) = "신실": Ch_Total(196, 8) = "위허": Ch_Total(196, 9) = "위실"<br />

Ch_Total(197, 1) = "복만장통(腸痛)": Ch_Total(197, 2) = "대장허": Ch_Total(197, 3) = "대장실"<br />

Ch_Total(198, 1) = "복만통": Ch_Total(198, 2) = "비허": Ch_Total(198, 3) = "비실"<br />

Ch_Total(199, 1) = "복양(伏梁)": Ch_Total(199, 2) = "심실"<br />

Ch_Total(200, 1) = "복창": Ch_Total(200, 2) = "소장허": Ch_Total(200, 3) = "소장실": Ch_Total(200, 4) = "신허":<br />

Ch_Total(200, 5) = "신실"<br />

Ch_Total(201, 1) = "복창만": Ch_Total(201, 2) = "간허": Ch_Total(201, 3) = "간실"<br />

Ch_Total(202, 1) = "복통변폐": Ch_Total(202, 2) = "소장실"<br />

Ch_Total(203, 1) = "분돈": Ch_Total(203, 2) = "신허": Ch_Total(203, 3) = "신실"<br />

Ch_Total(204, 1) = "비창(뱃속결릴 비 脹)": Ch_Total(204, 2) = "삼초허": Ch_Total(204, 3) = "삼초실"<br />

Ch_Total(205, 1) = "설사": Ch_Total(205, 2) = "비허": Ch_Total(205, 3) = "비실": Ch_Total(205, 4) = "폐허"<br />

Ch_Total(206, 1) = "손설": Ch_Total(206, 2) = "간허"<br />

Ch_Total(207, 1) = "수곡불화": Ch_Total(207, 2) = "소장허": Ch_Total(207, 3) = "소장실"<br />

Ch_Total(208, 1) = "설사변비": Ch_Total(208, 2) = "대장허": Ch_Total(208, 3) = "대장실"<br />

Ch_Total(209, 1) = "소갈": Ch_Total(209, 2) = "간허": Ch_Total(209, 3) = "담허": Ch_Total(209, 4) = "담실"<br />

Ch_Total(209, 5) = "심허": Ch_Total(209, 6) = "심실": Ch_Total(209, 7) = "비허": Ch_Total(209, 8) = "비실"<br />

Ch_Total(209, 9) = "신허": Ch_Total(209, 10) = "폐허"<br />

Ch_Total(210, 1) = "소화불량": Ch_Total(210, 2) = "위허": Ch_Total(210, 3) = "위실"<br />

Ch_Total(211, 1) = "소화불량비민": Ch_Total(211, 2) = "비허": Ch_Total(211, 3) = "비실"<br />

Ch_Total(212, 1) = "식분(息賁)": Ch_Total(212, 2) = "폐실"<br />

Ch_Total(213, 1) = "식불하": Ch_Total(213, 2) = "심허": Ch_Total(213, 3) = "심실"<br />

Ch_Total(214, 1) = "식욕부진": Ch_Total(214, 2) = "신허": Ch_Total(214, 3) = "신실"<br />

Ch_Total(215, 1) = "식체": Ch_Total(215, 2) = "간허": Ch_Total(215, 3) = "간실"<br />

Ch_Total(216, 1) = "신경성위장병": Ch_Total(216, 2) = "간허": Ch_Total(216, 3) = "간실": Ch_Total(216, 4) = "위허":<br />

Ch_Total(216, 5) = "위실"<br />

Ch_Total(217, 1) = "신설(腎泄)": Ch_Total(217, 2) = "신허"<br />

Ch_Total(218, 1) = "애역 애기": Ch_Total(218, 2) = "심허": Ch_Total(218, 3) = "심실": Ch_Total(218, 4) = "비허":<br />

Ch_Total(218, 5) = "비실"<br />

Ch_Total(218, 6) = "위허": Ch_Total(218, 7) = "위실"<br />

Ch_Total(219, 1) = "여로달": Ch_Total(219, 2) = "신허"<br />

Ch_Total(220, 1) = "음식불하": Ch_Total(220, 2) = "담허": Ch_Total(220, 3) = "담실"<br />

Ch_Total(221, 1) = "이변불통": Ch_Total(221, 2) = "폐실"<br />

Ch_Total(222, 1) = "이질": Ch_Total(222, 2) = "신허": Ch_Total(222, 3) = "신실"<br />

Ch_Total(223, 1) = "장명": Ch_Total(223, 2) = "대장허": Ch_Total(223, 3) = "비허": Ch_Total(223, 4) = "비실"<br />

Ch_Total(224, 1) = "장명설리": Ch_Total(224, 2) = "소장허"<br />

Ch_Total(225, 1) = "장염하혈": Ch_Total(225, 2) = "비허": Ch_Total(225, 3) = "비실"<br />

Ch_Total(226, 1) = "장풍(腸風)하혈": Ch_Total(226, 2) = "위실"<br />

Ch_Total(227, 1) = "제우(臍右)창통": Ch_Total(227, 2) = "폐허": Ch_Total(227, 3) = "폐실"<br />

Ch_Total(228, 1) = "좌협하간적(左脇下肝積)": Ch_Total(228, 2) = "간실"<br />

Ch_Total(229, 1) = "중만(中滿)식감": Ch_Total(229, 2) = "신허": Ch_Total(229, 3) = "신실"<br />

Ch_Total(230, 1) = "중소(中消)": Ch_Total(230, 2) = "위실"<br />

- 53 -


Ch_Total(231, 1) = "징하": Ch_Total(231, 2) = "위허": Ch_Total(231, 3) = "위실"<br />

Ch_Total(232, 1) = "징하비기": Ch_Total(232, 2) = "비허": Ch_Total(232, 3) = "비실"<br />

Ch_Total(233, 1) = "창만": Ch_Total(233, 2) = "위허": Ch_Total(233, 3) = "위실"<br />

Ch_Total(234, 1) = "탄산": Ch_Total(234, 2) = "위실"<br />

Ch_Total(235, 1) = "토혈": Ch_Total(235, 2) = "위실"<br />

Ch_Total(236, 1) = "하혈": Ch_Total(236, 2) = "폐허": Ch_Total(236, 3) = "폐실"<br />

Ch_Total(237, 1) = "혹변비혹설": Ch_Total(237, 2) = "삼초허": Ch_Total(237, 3) = "삼초실"<br />

Ch_Total(238, 1) = "황달": Ch_Total(238, 2) = "담허": Ch_Total(238, 3) = "담실": Ch_Total(238, 4) = "비허":<br />

Ch_Total(238, 5) = "비실"<br />

Ch_Total(239, 1) = "황색점변": Ch_Total(239, 2) = "대장실"<br />

Ch_Total(240, 1) = "완곡불화": Ch_Total(240, 2) = "대장허"<br />

Ch_Total(241, 1) = "적백리": Ch_Total(241, 2) = "대장실"<br />

'''''/////////////////////////// 순환 /////////////////////// 999999999999<br />

Ch_Total(242, 1) = "구안와사": Ch_Total(242, 2) = "위허": Ch_Total(242, 3) = "위실"<br />

Ch_Total(243, 1) = "동여충행(動如 벌레 충 行)혈허동통": Ch_Total(243, 2) = "심허"<br />

Ch_Total(244, 1) = "번민": Ch_Total(244, 2) = "소장허": Ch_Total(244, 2) = "소장실"<br />

Ch_Total(245, 1) = "번심": Ch_Total(245, 2) = "심포허": Ch_Total(245, 3) = "심포실"<br />

Ch_Total(245, 4) = "폐허": Ch_Total(245, 5) = "폐실"<br />

Ch_Total(246, 1) = "번심심통": Ch_Total(246, 2) = "비허": Ch_Total(246, 3) = "비실"<br />

Ch_Total(247, 1) = "심번": Ch_Total(247, 2) = "심허": Ch_Total(247, 3) = "심실"<br />

Ch_Total(248, 1) = "심장성천식": Ch_Total(248, 2) = "심포허": Ch_Total(248, 3) = "심포실"<br />

Ch_Total(249, 1) = "심장약순(弱 쥐날 순)": Ch_Total(249, 2) = "심허"<br />

Ch_Total(250, 1) = "심통": Ch_Total(250, 2) = "심포허": Ch_Total(250, 3) = "심포실"<br />

Ch_Total(251, 1) = "심통번민": Ch_Total(251, 2) = "신허": Ch_Total(251, 2) = "신실"<br />

Ch_Total(252, 1) = "심현(心懸)": Ch_Total(252, 2) = "신허"<br />

Ch_Total(253, 1) = "정충": Ch_Total(253, 2) = "심포허": Ch_Total(253, 3) = "심포실"<br />

Ch_Total(253, 4) = "심허": Ch_Total(253, 5) = "심실"<br />

Ch_Total(254, 1) = "제상유동기안지뇌약통(臍上有動氣按之牢若痛 / 牢-우리 뇌)"<br />

Ch_Total(254, 2) = "심허": Ch_Total(254, 3) = "심실"<br />

Ch_Total(255, 1) = "제좌유동기(臍左有動氣)": Ch_Total(255, 2) = "간허": Ch_Total(255, 3) = "간실"<br />

Ch_Total(256, 1) = "제풍강부(諸風 쓰러질 강 엎드릴 부)": Ch_Total(256, 2) = "담허": Ch_Total(256, 3) = "담실"<br />

Ch_Total(257, 1) = "중풍마비경련": Ch_Total(257, 2) = "간허": Ch_Total(257, 3) = "간실"<br />

Ch_Total(258, 1) = "탄탄(사지틀릴 탄 중풍 탄)": Ch_Total(258, 2) = "비허": Ch_Total(258, 3) = "비실"<br />

Ch_Total(259, 1) = "편고(偏枯)": Ch_Total(259, 2) = "방광허"<br />

Ch_Total(260, 1) = "편풍(偏風)": Ch_Total(260, 2) = "폐허"<br />

Ch_Total(261, 1) = "혈맥쇠소(衰少)": Ch_Total(261, 2) = "심허"<br />

Ch_Total(262, 1) = "혼도": Ch_Total(262, 2) = "심허": Ch_Total(262, 3) = " 심실"<br />

''''''//////////////////////// 호흡 ///////////// 44444444<br />

Ch_Total(263, 1) = "객혈": Ch_Total(263, 2) = "폐허": Ch_Total(263, 3) = "폐실"<br />

Ch_Total(264, 1) = "구토청수": Ch_Total(264, 2) = "대장허": Ch_Total(264, 3) = "대장실"<br />

Ch_Total(265, 1) = "기병흠신(氣病欠伸)": Ch_Total(265, 2) = "폐허": Ch_Total(265, 3) = "폐실"<br />

Ch_Total(266, 1) = "록록오한": Ch_Total(266, 2) = "담실"<br />

Ch_Total(267, 1) = "삭흠(數欠)": Ch_Total(267, 2) = "위허": Ch_Total(267, 3) = "위실"<br />

Ch_Total(268, 1) = "선신(善呻)": Ch_Total(268, 2) = "위허": Ch_Total(268, 3) = "위실"<br />

Ch_Total(269, 1) = "소기(少氣)": Ch_Total(269, 2) = "심허": Ch_Total(269, 3) = "심실"<br />

Ch_Total(270, 1) = "식욕부진": Ch_Total(270, 2) = "대장허": Ch_Total(270, 3) = "대장실"<br />

Ch_Total(271, 1) = "고열": Ch_Total(271, 2) = "위허": Ch_Total(271, 3) = "위실"<br />

Ch_Total(272, 1) = "신열": Ch_Total(271, 2) = "간실": Ch_Total(271, 3) = "비실": Ch_Total(271, 4) = "대장실"<br />

Ch_Total(272, 5) = "심실": Ch_Total(272, 6) = "폐실": Ch_Total(272, 7) = "신실": Ch_Total(272, 8) = "심허"<br />

Ch_Total(273, 1) = "얼": Ch_Total(273, 2) = "위허": Ch_Total(273, 3) = "위실"<br />

Ch_Total(274, 1) = "오풍": Ch_Total(274, 2) = "방광허"<br />

Ch_Total(275, 1) = "오풍한": Ch_Total(275, 2) = "폐실"<br />

Ch_Total(276, 1) = "오한": Ch_Total(276, 2) = "위허": Ch_Total(276, 3) = "위실"<br />

Ch_Total(277, 1) = "진률": Ch_Total(277, 2) = "삼초허"<br />

Ch_Total(278, 1) = "천급": Ch_Total(278, 2) = "위실"<br />

Ch_Total(279, 1) = "천해": Ch_Total(279, 2) = "대장실"<br />

- 54 -


Ch_Total(280, 1) = "체(재채기 체)": Ch_Total(280, 2) = "폐허": Ch_Total(280, 1) = "폐실"<br />

Ch_Total(281, 1) = "태식": Ch_Total(281, 2) = "담허": Ch_Total(281, 3) = "담실": Ch_Total(281, 4) = "심허":<br />

Ch_Total(281, 5) = "심실"<br />

Ch_Total(282, 1) = "폐결핵": Ch_Total(282, 2) = "폐허"<br />

Ch_Total(283, 1) = "학질": Ch_Total(283, 2) = "위허": Ch_Total(283, 3) = "위실"<br />

Ch_Total(284, 1) = "한률": Ch_Total(284, 2) = "대장허"<br />

Ch_Total(285, 1) = "한열": Ch_Total(285, 2) = "간허": Ch_Total(285, 3) = "비허": Ch_Total(285, 4) = "방광허"<br />

Ch_Total(285, 5) = "방괄실": Ch_Total(285, 6) = "폐허": Ch_Total(285, 7) = "폐실": Ch_Total(285, 8) = "담허"<br />

Ch_Total(286, 1) = "해수": Ch_Total(286, 2) = "신허": Ch_Total(286, 3) = "신실"<br />

Ch_Total(287, 1) = "해천": Ch_Total(287, 2) = "폐허": Ch_Total(287, 3) = "폐실"<br />

Ch_Total(288, 1) = "혈담": Ch_Total(288, 2) = "신허": Ch_Total(288, 3) = "신실"<br />

Ch_Total(289, 1) = "호흡미약": Ch_Total(289, 2) = "폐허"<br />

Ch_Total(290, 1) = "효천": Ch_Total(290, 2) = "폐실"<br />

''''''''//////////////////// 운동 /////////////////////// 10 10 10<br />

Ch_Total(291, 1) = "각궁반장": Ch_Total(291, 2) = "방광허": Ch_Total(291, 3) = "방광실"<br />

Ch_Total(292, 1) = "각종통(脚腫痛)": Ch_Total(292, 2) = "간허": Ch_Total(292, 3) = "간실"<br />

Ch_Total(293, 1) = "견비외측통": Ch_Total(293, 2) = "삼초허": Ch_Total(293, 3) = "삼초실"<br />

Ch_Total(294, 1) = "견비후통": Ch_Total(294, 2) = "소장허": Ch_Total(294, 3) = "소장실"<br />

Ch_Total(295, 1) = "결분통": Ch_Total(295, 2) = "담허": Ch_Total(295, 3) = "담실": Ch_Total(295, 4) = "폐허":<br />

Ch_Total(295, 5) = "폐실"<br />

Ch_Total(296, 1) = "경련": Ch_Total(296, 2) = "간허": Ch_Total(296, 3) = "간실"<br />

Ch_Total(297, 1) = "경종(頸腫)": Ch_Total(297, 2) = "대장허": Ch_Total(297, 3) = "대장실": Ch_Total(297, 4) = "위허":<br />

Ch_Total(297, 5) = "위실"<br />

Ch_Total(298, 1) = "경직(頸直)": Ch_Total(298, 2) = "간허": Ch_Total(298, 3) = "간실"<br />

Ch_Total(299, 1) = "경항(頸項)종통": Ch_Total(299, 2) = "소장허": Ch_Total(299, 3) = "소장실"<br />

Ch_Total(300, 1) = "경항불능회고": Ch_Total(300, 2) = "대장허": Ch_Total(300, 3) = "대장실"<br />

Ch_Total(301, 1) = "경항척배요고통(頸項脊背腰股痛)": Ch_Total(301, 2) = "신허": Ch_Total(301, 3) = "신실"<br />

Ch_Total(302, 1) = "계종": Ch_Total(302, 2) = "비허": Ch_Total(302, 3) = "비실"<br />

Ch_Total(303, 1) = "계종비": Ch_Total(303, 2) = "심허": Ch_Total(303, 3) = "심실"<br />

Ch_Total(304, 1) = "고고(尻 꽁무니 고 股 넓적다리 고)슬족통": Ch_Total(304, 2) = "폐허": Ch_Total(304, 3) = "폐실"<br />

Ch_Total(305, 1) = "관절통(불리)": Ch_Total(305, 2) = "간허": Ch_Total(305, 3) = "간실"<br />

Ch_Total(306, 1) = "구련불능굴신": Ch_Total(306, 2) = "심포허": Ch_Total(306, 3) = "심포실"<br />

Ch_Total(307, 1) = "근급": Ch_Total(307, 2) = "간허": Ch_Total(307, 3) = "간실"<br />

Ch_Total(308, 1) = "氣街 股 伏兎 脛 足부腫痛 (발등 부)": Ch_Total(308, 2) = "위허": Ch_Total(308, 3) = "위실"<br />

Ch_Total(309, 1) = "기육통": Ch_Total(309, 2) = "비허": Ch_Total(309, 3) = "비실"<br />

Ch_Total(310, 1) = "남백진개종완(南百盡皆縱緩)": Ch_Total(310, 2) = "비허"<br />

Ch_Total(311, 1) = "내연(꿈틀거릴 연)": Ch_Total(311, 2) = "비허": Ch_Total(311, 3) = "비실"<br />

Ch_Total(312, 1) = "내통흉배견갑간통": Ch_Total(312, 2) = "심허": Ch_Total(312, 3) = "심실"<br />

Ch_Total(313, 1) = "대퇴내측통": Ch_Total(313, 2) = "비허": Ch_Total(313, 3) = "비실"<br />

Ch_Total(314, 1) = "박통(膊痛 견박통)": Ch_Total(314, 2) = "담허": Ch_Total(314, 3) = "담실"<br />

Ch_Total(315, 1) = "배강(背强)": Ch_Total(315, 2) = "간허": Ch_Total(315, 3) = "간실"<br />

Ch_Total(316, 1) = "복수": Ch_Total(316, 2) = "위허": Ch_Total(316, 3) = "위실"<br />

Ch_Total(317, 1) = "비통(장딴지)": Ch_Total(317, 2) = "담허": Ch_Total(317, 3) = "담실"<br />

Ch_Total(318, 1) = "사지불용": Ch_Total(318, 2) = "비허"<br />

Ch_Total(319, 1) = "소복부종": Ch_Total(319, 2) = "삼초허": Ch_Total(319, 3) = "삼초실"<br />

Ch_Total(320, 1) = "소지(小指)통": Ch_Total(320, 2) = "소장허": Ch_Total(320, 3) = "소장실"<br />

Ch_Total(321, 1) = "수견비통": Ch_Total(321, 2) = "대장허": Ch_Total(321, 3) = "대장실"<br />

Ch_Total(322, 1) = "수견항열(手肩項熱)종통": Ch_Total(322, 2) = "대장실"<br />

Ch_Total(323, 1) = "수모지차지통": Ch_Total(323, 2) = "대장허": Ch_Total(323, 3) = "대장실"<br />

Ch_Total(324, 1) = "수무력": Ch_Total(324, 2) = "삼초허"<br />

Ch_Total(325, 1) = "수완비통(臂痛)": Ch_Total(325, 2) = "심포허": Ch_Total(325, 3) = "심포실"<br />

Ch_Total(326, 1) = "수족역랭": Ch_Total(326, 2) = "심허": Ch_Total(326, 3) = "심실"<br />

Ch_Total(327, 1) = "수창(水脹)": Ch_Total(327, 2) = "삼초허": Ch_Total(327, 3) = "삼초실"<br />

Ch_Total(328, 1) = "슬내측통": Ch_Total(328, 2) = "간허": Ch_Total(328, 3) = "간실"<br />

Ch_Total(329, 1) = "슬통": Ch_Total(329, 2) = "담허": Ch_Total(329, 3) = "담실"<br />

Ch_Total(330, 1) = "슬통일절": Ch_Total(330, 2) = "간허": Ch_Total(330, 3) = "간실"<br />

Ch_Total(331, 1) = "슬활동불편": Ch_Total(331, 2) = "대장허": Ch_Total(331, 3) = "대장실"<br />

Ch_Total(332, 1) = "신통": Ch_Total(332, 2) = "비허": Ch_Total(332, 3) = "비실"<br />

Ch_Total(333, 1) = "액와종": Ch_Total(333, 2) = "심포허": Ch_Total(333, 3) = "심포실"<br />

- 55 -


Ch_Total(334, 1) = "요통": Ch_Total(334, 2) = "간허": Ch_Total(334, 3) = "간실": Ch_Total(334, 4) = "담허":<br />

Ch_Total(334, 5) = "담실"<br />

Ch_Total(334, 6) = "비허": Ch_Total(334, 7) = "비실": Ch_Total(334, 8) = "위허": Ch_Total(334, 9) = "위실"<br />

Ch_Total(335, 1) = "위중(委中)통": Ch_Total(335, 2) = "방광허": Ch_Total(335, 3) = "방광실"<br />

Ch_Total(336, 1) = "위궐(저릴 위 厥)": Ch_Total(336, 2) = "비허": Ch_Total(336, 3) = "비실"<br />

Ch_Total(337, 1) = "위벽(저릴 위 앉은뱅이 벽)": Ch_Total(337, 2) = "폐허": Ch_Total(337, 3) = "폐실"<br />

Ch_Total(338, 1) = "위벽난행(저릴 위 앉은뱅이 벽難行)": Ch_Total(338, 2) = "담허": Ch_Total(338, 3) = "담실"<br />

Ch_Total(339, 1) = "음고통(陰股痛)": Ch_Total(339, 2) = "간허": Ch_Total(339, 3) = "간실"<br />

Ch_Total(340, 1) = "장심열": Ch_Total(340, 2) = "심포허": Ch_Total(340, 3) = "심포실": Ch_Total(340, 4) = "폐허"<br />

Ch_Total(340, 5) = "폐실": Ch_Total(340, 6) = "심허": Ch_Total(340, 7) = "심실"<br />

Ch_Total(341, 1) = "전근": Ch_Total(341, 2) = "간허": Ch_Total(341, 3) = "간실": Ch_Total(341, 4) = "방광허":<br />

Ch_Total(341, 5) = "방광실"<br />

Ch_Total(342, 1) = "전근통": Ch_Total(342, 2) = "비허": Ch_Total(342, 3) = "비실"<br />

Ch_Total(343, 1) = "전완,상완외측통": Ch_Total(343, 2) = "삼초허": Ch_Total(343, 3) = "삼초실"<br />

Ch_Total(344, 1) = "제4족지마비": Ch_Total(344, 2) = "담허"<br />

Ch_Total(345, 1) = "제4지통": Ch_Total(345, 2) = "삼초허": Ch_Total(345, 3) = "삼초실"<br />

Ch_Total(346, 1) = "제습종만(諸濕腫滿)": Ch_Total(346, 2) = "비허": Ch_Total(346, 3) = "비실"<br />

Ch_Total(347, 1) = "제1족지통": Ch_Total(347, 2) = "간허": Ch_Total(347, 3) = "간실": Ch_Total(347, 4) = "비허":<br />

Ch_Total(347, 5) = "비실"<br />

Ch_Total(348, 1) = "조고(爪枯)": Ch_Total(348, 2) = "간실"<br />

Ch_Total(349, 1) = "족경종통혹전근": Ch_Total(349, 2) = "신허": Ch_Total(349, 2) = "신실"<br />

Ch_Total(350, 1) = "족내과전통": Ch_Total(350, 2) = "간허": Ch_Total(350, 3) = "간실"<br />

Ch_Total(351, 1) = "족무력마목": Ch_Total(351, 2) = "담허"<br />

Ch_Total(352, 1) = "족불수육위": Ch_Total(352, 2) = "비허": Ch_Total(352, 3) = "비실"<br />

Ch_Total(353, 1) = "족심열혹통": Ch_Total(353, 2) = "신허": Ch_Total(353, 3) = "신실"<br />

Ch_Total(354, 1) = "족외과통": Ch_Total(354, 2) = "담허": Ch_Total(354, 3) = "담실"<br />

Ch_Total(355, 1) = "족위무력양족역랭": Ch_Total(355, 2) = "신허"<br />

Ch_Total(356, 1) = "종(腫)내과통각하통(脚下痛)": Ch_Total(356, 2) = "비허": Ch_Total(356, 3) = "비실"<br />

Ch_Total(357, 1) = "종(腫)슬내측통": Ch_Total(357, 2) = "비허": Ch_Total(357, 3) = "비실"<br />

Ch_Total(358, 1) = "주(팔꿈치)구련": Ch_Total(358, 2) = "삼초실"<br />

Ch_Total(359, 1) = "주내측양골간통": Ch_Total(359, 2) = "소장허": Ch_Total(359, 3) = "소장실"<br />

Ch_Total(360, 1) = "체중": Ch_Total(360, 2) = "비허": Ch_Total(360, 3) = "비실"<br />

Ch_Total(361, 1) = "통인척내렴(痛引脊內廉)": Ch_Total(361, 2) = "신허": Ch_Total(361, 3) = "신실"<br />

Ch_Total(362, 1) = "피부허부(虛浮)": Ch_Total(362, 2) = "삼초허": Ch_Total(362, 3) = "삼초실"<br />

Ch_Total(363, 1) = "하지냉고(冷枯)": Ch_Total(363, 2) = "위허"<br />

Ch_Total(364, 1) = "항견배척요둔각개통(項肩背脊腰臀脚皆痛)": Ch_Total(364, 2) = "방광허": Ch_Total(364, 3) = "방광실"<br />

Ch_Total(365, 1) = "항경통": Ch_Total(365, 2) = "담허": Ch_Total(365, 3) = "담실"<br />

Ch_Total(366, 1) = "행내통(정강이 행 內痛)": Ch_Total(366, 2) = "간허": Ch_Total(366, 3) = "간실"<br />

Ch_Total(367, 1) = "흉견배통": Ch_Total(367, 2) = "폐허": Ch_Total(367, 3) = "폐실"<br />

Ch_Total(368, 1) = "흉척협제통(胸脊脇臍)": Ch_Total(368, 2) = "비허": Ch_Total(368, 3) = "비실"<br />

Call Frm_Cls ' 프레임 감추기<br />

'Frame1.Visible = True<br />

'Form1.Caption = "<strong>사암침법</strong><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 [안이빈인후구계]"<br />

Form1.Caption = "↓↓↓↓ 증상의 범주를 먼저 선택해 주십시오 ↓↓↓↓"<br />

List1.Visible = True<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 ↑↑↑↑ 증상의 범주를 먼저 선택해 주십시오 ↑↑↑↑"<br />

Yn = True<br />

For i = 1 To 500<br />

Cot(i) = 3<br />

Next i<br />

'Coun = 1<br />

End Sub<br />

Private Sub Frm_Cls()<br />

- 56 -


Frame1.Visible = False<br />

Frame2.Visible = False<br />

Frame3.Visible = False<br />

Frame4.Visible = False<br />

Frame5.Visible = False<br />

Frame6.Visible = False<br />

Frame7.Visible = False<br />

Frame8.Visible = False<br />

Frame9.Visible = False<br />

Frame10.Visible = False<br />

List1.Visible = False<br />

'Text1.Visible = False<br />

End Sub<br />

Private Sub Result()<br />

If Ch_Result(1, 1) = "" Then<br />

Else<br />

Do<br />

k = 1<br />

Do<br />

Ch_Result(k, 1) = Ch_Array(k + 1)<br />

COU(k) = COU(k) + 1<br />

Coun = Coun + 1<br />

Ch_Result(k, 2) = COU(k)<br />

Ch_Result(k, 3) = Ch_Array(1)<br />

Cot(k) = Cot(k) + 1<br />

k = k + 1<br />

Loop While Ch_Array(k + 1) ""<br />

i = 1<br />

j = 1<br />

Do<br />

If Ch_Result(j, 1) = Ch_Array(i + 1) Then<br />

End If<br />

If Ch_Array(i + 1) "" Then<br />

End If<br />

j = j + 1<br />

COU(j) = COU(j) + 1 'gg<br />

Ch_Result(j, 2) = COU(j)<br />

Ch_Result(j, Cot(j)) = Ch_Array(1) 'dd<br />

Cot(j) = Cot(j) + 1 'dd<br />

Yn = False<br />

Loop While Ch_Result(j, 1) ""<br />

If Yn = True Then<br />

Ch_Result(Coun, 1) = Ch_Array(i + 1)<br />

- 57 -


End If<br />

End If<br />

Ch_Result(Coun, Cot(Coun)) = Ch_Array(1) 'gg<br />

COU(j) = COU(j) + 1<br />

Ch_Result(Coun, 2) = COU(Coun)<br />

Cot(Coun) = Cot(Coun) + 1<br />

Coun = Coun + 1<br />

Yn = True<br />

i = i + 1<br />

Loop While Ch_Array(i + 1) ""<br />

End Sub<br />

Private Sub goEkd()<br />

'/////////////////////////////////////////////////'<br />

'List1.AddItem ""<br />

'List1.AddItem " ::::환자증상::::"<br />

'If Len(wmdTkd) > 80 Then<br />

'List1.AddItem wmdTkd<br />

'wmdTkd = " "<br />

'End If<br />

'List1.AddItem wmdTkd<br />

'List1.AddItem " "<br />

'wmdTkd = ""<br />

'////////////////////////////////////////////////'<br />

List1.AddItem wmdTkd<br />

List1.AddItem ""<br />

wmdTkd = ""<br />

i = 1<br />

Do<br />

wmdTkd = " " & Ch_Result(i, 1) & " " & "(" & Ch_Result(i, 2) & ")" 'ex) 폐허(2)<br />

List1.AddItem wmdTkd<br />

'/////////////////////////////////////////////////////////////////////////////'<br />

wmdTkd = " 해당O : "<br />

For j = 3 To 30<br />

If Ch_Result(i, j) "" Then<br />

wmdTkd = wmdTkd & Ch_Result(i, j) & " "<br />

End If<br />

Next<br />

If Len(wmdTkd) > 70 Then<br />

List1.AddItem wmdTkd<br />

wmdTkd = " "<br />

End If<br />

List1.AddItem wmdTkd<br />

'//////////////////////////////////////////////////////////////////////////////<br />

- 58 -


Erase goekdX<br />

wmdTkd = " 해당X : "<br />

For j = 1 To 500<br />

For k = 1 To 100<br />

Next k<br />

Next j<br />

If Ch_Result(i, 1) = Ch_Total(j, k) Then<br />

goekdX(j) = Ch_Total(j, 1)<br />

End If<br />

For j = 1 To 100<br />

For k = 1 To 100<br />

Next k<br />

Next j<br />

If goekdX(j) = Ch_Result(i, k) Then<br />

goekdX(j) = ""<br />

End If<br />

For j = 1 To 500<br />

If goekdX(j) = "" Then<br />

Else<br />

wmdTkd = wmdTkd & goekdX(j) & " "<br />

If Len(wmdTkd) > 70 Then<br />

List1.AddItem wmdTkd<br />

wmdTkd = " "<br />

End If<br />

End If<br />

Next j<br />

List1.AddItem wmdTkd<br />

List1.AddItem ""<br />

i = i + 1<br />

Loop While Ch_Result(i, 1) ""<br />

End Sub<br />

Private Sub Whdfy_Click()<br />

End<br />

End Sub<br />

Private Sub wjdqh_Click()<br />

frmAbout.Show<br />

End Sub<br />

1) Durkin, J., Expert Systems: Design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New York, NY, 1994.<br />

2) Chae. Y.M.. Expert systems in Medicine. (in The Handbook of Applied Expert Systems). Liebowitz. J(ed). CRC Press LLC. 1998<br />

3) 한국전자통신<strong>연구</strong>소, 한의학<strong>전문가</strong><strong>시스템</strong>의 지식베이스 구축에 관한 <strong>연구</strong>, 1987<br />

4) 임창수, 한의<strong>진단</strong><strong>시스템</strong>의 설계모형화, 숭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br />

5) 이창훈, 한의 지식베이스를 위한 지식정예기법에 <strong>대한</strong> <strong>연구</strong>, KAIST 전산학과 박사학위논문, 1993<br />

6) 권영규, 중풍변증에 관련된 임상지식에 <strong>대한</strong> 요인분석, <strong>대한</strong>한의학회지, 18(2): 73-81, 1997<br />

7) 박경모, 김성인, 주형진. “人工知能을 이용한 한의<strong>진단</strong>모델”, <strong>대한</strong>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1999<br />

8) 한국한의학<strong>연구</strong>소, 한의<strong>진단</strong>명과 <strong>진단</strong>요건의 표준화<strong>연구</strong>(Ⅰ-Ⅲ), 서울, 1995-1997<br />

9) 최승훈, 인터넷 기반 한의<strong>전문가</strong><strong>시스템</strong>(KHU-PIPE) 개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6(3):528-531, 2002<br />

10) 최승훈, 동의표준 <strong>진단</strong><strong>전문가</strong>프로그램 (OMS-Prime) 개발, <strong>대한</strong>의료정보학회지, 제8권 s1호, p28~31, 2002,12.07<br />

11) P.H. Winston, Artificial Intelligence, Addison-Wesley, M. A., 1984, p. 1.<br />

12) Donald A Waterman, A Guide to Expert Systems, Addison-Wesley, 1986, pp. 12-15<br />

13) Feigenbau, The Handbook of AI, William Kaufmann Inc., Vol 1, 1984.<br />

14) Fred L. Luconi, Thomas W. Malone and Michael S. Scott Morton, Exper Systems ; The next challenge for managers, Sloon Management Review, Summer, 1986, p. 4<br />

15) 김상철 (1998), <strong>전문가</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을 이용한 한의 <strong>진단</strong>의 객관화 <strong>연구</strong>, 경산대학교 한의과 대학.<br />

16) 김달호, 舍巖鍼法의 著作時期 및 形成背景에 關한 硏究, 동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3<br />

17) 孫桐, 難經, 北京, 中國醫葯科技出版社, 1999<br />

18) 許浚, 東醫寶鑑, 南山堂, 서울, 1986.<br />

19) 정호영, 사암침구정전, 석림출판사, 서울, 2003.<br />

20) Jenny Preece, Human Computer Interacti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94, p.17<br />

21)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URL : http://familydoctor.org/symptom.xml<br />

22) <strong>대한</strong>한의사협회 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한의), 서울, <strong>대한</strong>한의사협회, 1994<br />

23) UMLS URL : http://www.nlm.nih.gov/research/umls/<br />

24) 김승희, UMLS(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와 한글의학용어 통합 과정의 소개, <strong>대한</strong>의료정보학회지, 제10권 보완본1호, 2004, 봄.<br />

25) 김혜선, 통합의학언어 <strong>시스템</strong>의 구성 및 적용에 <strong>대한</strong> 고찰, 정보관리<strong>연구</strong>, vol. 32, no. 2, 2001, pp.26-39<br />

26) 조정진, 메쉬(MeSH)의 사용법, 가정의학회지, vol. 25, no. 5, 2000, pp.S277-S285<br />

27) MeSH URL : http://www.nlm.nih.gov/cgi/mesh/2006/MB_cgi<br />

28) 陳少宗. 中醫診斷客觀化硏究的誤區. 醫學與哲學 1998; 19(7): 360-361.<br />

29) 陳家旭. 中醫證候與辨證體系硏究現狀與展望. 北京中醫藥大學學報 2001; 24(4):3-8.<br />

30) 章如虹, 毛樹松, 邵企紅. 田輝, 潘 秦, 張奇. 國家標準《中醫病證分類與代碼》應用硏究(III). 北京中醫藥大學學報. 22(4): 49-52. 1999<br />

31) 趙金鐸 主編. 中醫證候鑑別診斷學. 人民衛生出版社. 1987.<br />

32) 冷方南 主編. 中醫證候辨治軌範. 北京, 中國; 人民衛生出版社. 1989.<br />

- 59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